KR20120065686A -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686A
KR20120065686A KR1020100126948A KR20100126948A KR20120065686A KR 20120065686 A KR20120065686 A KR 20120065686A KR 1020100126948 A KR1020100126948 A KR 1020100126948A KR 20100126948 A KR20100126948 A KR 20100126948A KR 20120065686 A KR20120065686 A KR 20120065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patterns
support layer
touch screen
screen panel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536B1 (ko
Inventor
박정목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536B1/ko
Priority to US13/181,427 priority patent/US20120147467A1/en
Publication of KR2012006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형성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두께를 줄이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은, 편광판의 제 1지지층 일면에 형성되는 감지패턴들과; 상기 감지패턴들을 포함한 제 1지지층 상에 형성된 광학층과; 상기 광학층 상에 형성된 제 2지지층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having a Polarizer}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단, 터치 스크린 패널이 영상표시장치의 패널 상부에 부착되면 표시장치 전체의 부피가 커져 휴대의 편리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박형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는 외광 반사 차단 등의 야외 시인성 향상을 위해 외면에 편광판이 부착되는데, 상기 영상표시장치 패널 상부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편광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이를 부착 또는 조립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전체 두께 증가, 공정 효율 감소, 수율 감소 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편광판 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형성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두께를 줄이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은, 편광판의 제 1지지층 일면에 형성되는 감지패턴들과; 상기 감지패턴들을 포함한 제 1지지층 상에 형성된 광학층과; 상기 광학층 상에 형성된 제 2지지층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감지패턴들은 상기 제 1지지층 상면에 제1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 1감지패턴들이며, 상기 제 2지지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감지패턴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제 2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 2감지패턴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지지층은 TAC(TriAcetyl Cellulose)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층은 PVA(Poly Vinyl Alcohol)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패턴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과, 상기 제1 감지패턴들 사이에 각각이 분리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제2 감지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의 일 영역을 노출하는 다수의 컨택홀이 형성되는 제1 절연막과,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을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연결패턴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지지층 및 제 2지지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구현될 있으며, 이는 상기 제 1 지지층은 박막 강화유리 또는 유리섬유 복합체로 구현되고, 상기 제 2지지층은 TAC(TriAcetyl Cellulose)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감지패턴들은 상기 제 1지지층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판을 구성하는 지지층의 적어도 한 일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감지패턴들을 형성하여 상기 편광판 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함으로써, 편광판이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광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요부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요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편광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편광판은 상, 하의 지지층(10, 50) 사이에 광학층(30)이 개재된 구조로 구현된다.
이 때, 상기 광학층(30)은 입사되는 광의 편광 정도에 따라 투과되는 광의 광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PVA(Poly Vinyl Alcohol)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층(30)은 편광자인 요오드를 흡수한 PVA 필름을 강한 장력으로 연신함을 통해 편광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학층(30)의 상,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층(10, 50)은 상기 PVA 필름을 보호, 지지하기 위한 TAC(TriAcetyl Cellulose)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신된 PVA 필름은 내재적으로 수축력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TAC 필름이 상기 PVA 필름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편광판은 외광 반사 차단 등의 야외 시인성 향상을 위해 일반적으로 영상표시패널의 외측에 부착되는데, 상기 영상표시장치 패널 상부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편광판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편광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이를 부착 또는 조립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경우 공정 효율 감소, 수율 감소 등과 같은 단점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 적층 구조의 편광판의 경우 광학층이 약 20㎛, 상, 하 지지층이 각각 80㎛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전체적으로는 약 180㎛의 두께로 구현되는 바, 이를 터치 스크린 패널에 그대로 부착할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박형화 추세에 역행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편광판을 구성하는 지지층의 적어도 한 일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감지패턴들을 형성하여 상기 편광판 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함으로써, 편광판이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편광판의 제 1지지층(10) 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 1감지패턴들(12)과, 상기 제 1감지패턴들(12)을 포함한 제 1지지층(10) 상에 형성된 광학층(30)과, 상기 제 1지지층(10)과 대면하는 제 2지지층(50)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감지패턴들(12)과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 2감지패턴들(14) 및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을 위치 검출라인(15_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금속패턴들(15)을 포함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편광판 내에 2 layer 구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일체형으로 형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광학층(30)은 PVA(Poly Vinyl Alcohol) 재질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편광자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 사이의 유전체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1, 2지지층(10, 50)은 TAC(TriAcetyl Cellulose)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된다.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은 서로 어긋나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는 각각 X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열 및 Y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행 단위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감지패턴들(12, 14)은 다이아몬드 패턴과 같이 규칙적인 패턴으로 밀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감지패턴들(12, 14)의 형상이 다이아몬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패턴들(12, 14)은 이들이 밀접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본 발명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감지패턴들(12)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감지패턴들(14)은 상기 광학층(30)을 그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다른 레이어 즉, 각각 제 1지지층(10) 및 제 2지지층(50)의 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감지패턴들(12)은 제 1지지층(10) 상에 제1 방향, 예컨대, 열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감지패턴들(12)은 X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열에 위치된 다수의 패턴들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X 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감지패턴들(12)이 X 패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감지패턴들(12)은 Y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행에 위치된 다수의 패턴들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Y 패턴들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제1 감지패턴들(12) 및 제2 감지패턴들(14)을 각각 X 패턴들 및 Y 패턴들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제1 감지패턴들(12)은 금속패턴들(15)에 의해 열 단위로 위치 검출라인(15_1)과 연결된다.
또한, 제2 감지패턴들(14)은 상기 제 1지지층(10)과 대면하는 제 2지지층(50)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감지패턴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2 감지패턴들(14)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예컨대, 행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감지패턴들(12)이 X 패턴들로 구성될 때, 제2 감지패턴들(14)은 Y 좌표가 동일한 하나의 행에 위치된 다수의 패턴들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Y 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감지패턴들(14)은 금속패턴들(15)에 의해 행 단위로 위치 검출라인(15_1)과 연결된다.
금속패턴들(15)은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이 위치되는 영역의 가장자리에서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과 연결되어, 이들을 위치 검출라인(15_1)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컨대, 금속패턴들(15)은, 하나의 열 단위의 제1 감지패턴들(12)을 각각의 위치 검출라인(15_1)과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하나의 행 단위의 제2 감지패턴들(14)을 각각의 위치 검출라인(15_1)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위치 검출라인(15_1)은 금속패턴들(15)을 통해 각각의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과 연결되어 이들을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한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 패널이 패드부(20)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되는 경우, 위치 검출라인(15_1)은 패드부(20)와 감지패턴들(12, 14) 사이에 연결된다.
한편, 앞선 설명에서, 금속패턴들(15)과 위치 검출라인(15_1)을 별도의 구성요소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금속패턴들(15)과 위치 검출라인(15_1)은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동일 재료로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성 터치 스크린 패널로, 사람의 손 또는 터치스틱 등과 같은 접촉물체가 접촉되면, 감지패턴들(12, 14)로부터 금속패턴들(15), 위치 검출라인(15_1) 및 패드부(20)를 경유하여 구동회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리고,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서 도 2,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 2감지패턴들(14')이 제 2지지층(50) 하면이 아닌 제 1감지패턴들(12)과 동일한 레이어 즉, 제 1지지층(10) 상에 형성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편광판의 제 1지지층(10) 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2감지패턴들(12, 14')과,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을 포함한 제 1지지층(10) 상에 형성된 광학층(30)과, 상기 제 1지지층(10)과 대면하여 상기 광학층(30) 상에 형성되는 제 2지지층(50) 및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을 위치 검출라인(15_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금속패턴들(15)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2감지패턴들(14')은 상기 제 1감지패턴들(12)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면서 이와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편광판 내에 1 layer 구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일체형으로 형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광학층(30)은 PVA(Poly Vinyl Alcohol)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2지지층(10, 50)은 TAC(TriAcetyl Cellulose)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2 감지패턴들(14')은 제1 감지패턴들(12)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제1 감지패턴들(12) 사이에 각각이 분리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다. 단, 제2 감지패턴들(14')은 별도의 연결패턴들(14a)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감지패턴들(14')은 패터닝 단계에서는 서로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되고, 이후의 공정단계에서 연결패턴들(14a)에 의해 동일한 행에 위치된 패턴들끼리 X축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12, 14') 상에 절연막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막(13)에는 제2 감지패턴들(14')의 일 영역을 노출하는 다수의 컨택홀(CH)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연결패턴들(14a)은 절연막(13)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절연막(13)에 형성된 컨택홀(CH)을 통해 제2 감지패턴들(14')을 제2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후, 도시된 바와 상기 연결패턴들(14a)를 포함한 절연막(13) 상에 상기 광학층(30) 및 제 2지지층(50)이 순차적으로 부착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현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성하는 감지패턴들(12, 14')이 편광판을 구성하는 지지층(10) 상에 형성됨을 그 특징으로 하나, 이 경우 상기 감지패턴들(12, 14')이 형성되는 지지층(10) 즉, TAC 필름의 내열 특성 및 경도(hardness) 문제로 인해 생산성 측면에서 다소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편광판의 제 1, 2지지층(10, 50) 중 감지패턴들(12, 14')이 형성되는 제 1지지층(10)에 대해 이를 제 2지지층(50)과 상이한 재질 즉, 내열성 등의 확보된 박막 강화유리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 복합체로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단, 이 경우 앞서 도 4,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편광판 내에 1 layer 구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요부 단면도이다.
단, 도 6a, 도 6b의 실시예의 경우 평면도는 앞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여 이를 생략하고,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 1지지층의 재질이 상이한 점 외에는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는, 편광판의 제 1지지층(10') 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2감지패턴들(12, 14')과,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을 포함한 제 1지지층(10') 상에 형성된 광학층(30)과, 상기 제 1지지층(10')과 대면하여 상기 광학층(30) 상에 형성되는 제 2지지층(50) 및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을 위치 검출라인(15_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금속패턴들(15)을 포함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제 1, 감지패턴들(12, 14') 및 금속패턴들(15)이 상기 제 1지지층(10')의 상면에 형성되지 않고, 제 1지지층(10') 하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그 외의 구성은 도 6a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때, 상기 제 2감지패턴들(14')은 상기 제 1감지패턴들(12)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면서 이와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는 도 1에 도시된 편광판 내에 1 layer 구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6a, 도 6b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1, 2감지패턴들(12, 14')이 형성되는 편광판의 제 1지지층(10')이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이 아닌 박막 강화유리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 복합체로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단, 상기 제 2지지층(5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으로 구현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 1지지층(10') 및 제 2지지층(50)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지지층(10')으로 사용되는 박막 강화유리 또는 유리섬유 복합체는 굴절율 이방성이 없는 재료로서, 내열성 및 표면 경도 특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 1지지층(10') 상에 감지패턴들을 형성하여도 생산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10, 10': 제 1지지층 12: 제 1감지패턴들
14, 14': 제 2감지패턴들 30: 광학층
50: 제 2지지층

Claims (11)

  1. 편광판의 제 1지지층 일면에 형성되는 감지패턴들과;
    상기 감지패턴들을 포함한 제 1지지층 상에 형성된 광학층과;
    상기 광학층 상에 형성된 제 2지지층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턴들은 상기 제 1지지층 상면에 제1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 1감지패턴들이며,
    상기 제 2지지층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감지패턴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제 2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 2감지패턴들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지지층은 TAC(TriAcetyl Cellulose)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PVA(Poly Vinyl Alcohol)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턴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패턴들과, 상기 제1 감지패턴들 사이에 각각이 분리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제2 감지패턴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패턴들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의 일 영역을 노출하는 다수의 컨택홀이 형성되는 제1 절연막과,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감지패턴들을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연결패턴들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지지층은 TAC(TriAcetyl Cellulose)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층 및 제 2지지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층은 박막 강화유리 또는 유리섬유 복합체로 구현되고, 상기 제 2지지층은 TAC(TriAcetyl Cellulose)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감지패턴들은 상기 제 1지지층의 상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감지패턴들은 상기 제 1지지층의 하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00126948A 2010-12-13 2010-12-13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84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48A KR101844536B1 (ko) 2010-12-13 2010-12-13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US13/181,427 US20120147467A1 (en) 2010-12-13 2011-07-12 Touch screen panel integrated with polar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48A KR101844536B1 (ko) 2010-12-13 2010-12-13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686A true KR20120065686A (ko) 2012-06-21
KR101844536B1 KR101844536B1 (ko) 2018-04-03

Family

ID=4619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948A KR101844536B1 (ko) 2010-12-13 2010-12-13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47467A1 (ko)
KR (1) KR1018445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542A1 (ko) * 2013-05-03 2014-11-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US9019232B2 (en) 2012-12-14 2015-04-2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US9569020B2 (en) 2012-07-30 2017-02-1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touch screen panel
US9983711B2 (en) 2014-11-26 2018-05-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990098B2 (en) 2013-02-05 2018-06-05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US10203818B2 (en) 2014-11-13 2019-02-12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at least one dummy patter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439B1 (ko) * 2012-04-24 2019-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43689B1 (ko) * 2013-08-23 2014-09-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CN104635967B (zh) * 2013-11-12 2018-04-10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触控显示设备
CN109309113B (zh) * 2013-11-12 2023-05-23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触控显示设备
KR101444132B1 (ko) * 2013-11-20 2014-1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US10073569B2 (en) * 2014-01-28 2018-09-11 Apple Inc. Integrated polarizer and conductive material
KR102205858B1 (ko) 2014-04-25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867701A (zh) * 2015-01-23 2016-08-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集成光电触摸屏、装置和电子设备及触摸识别方法、系统
KR20170000187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447889B (zh) * 2018-03-29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其制备方法和触控显示装置
KR102424172B1 (ko) 2018-04-25 2022-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176A (en) * 1990-01-29 1991-10-15 Belcher Walter C Cutter assembly for rotary drain cleaner
KR100356989B1 (ko) * 1999-04-13 2002-10-18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투명 도전성필름 일체형 편광판, 편광판 일체형 터치패널 및 터치패널 일체형 평판 디스플레이
JP4592862B2 (ja) * 1999-09-03 2010-12-08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6605789B2 (en) * 2001-12-18 2003-08-12 Eturbotouch Technology Inc. Polarizing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ensor
US7486442B2 (en) * 2004-09-30 2009-02-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visual display
US20070153162A1 (en) * 2005-12-30 2007-07-05 Wright Robin E Reinforced reflective polarizer films
JP4506785B2 (ja) * 2007-06-14 2010-07-2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
TW201008118A (en) * 2008-04-10 2010-02-16 Atmel Corp Capacitive touch screen with noise suppression
US8928597B2 (en) * 2008-07-11 2015-01-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WI379226B (en) * 2009-03-13 2012-12-11 Tpk Touch Solutions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tegrated capacitive touch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9020B2 (en) 2012-07-30 2017-02-1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touch screen panel
US9019232B2 (en) 2012-12-14 2015-04-2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US9990098B2 (en) 2013-02-05 2018-06-05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WO2014178542A1 (ko) * 2013-05-03 2014-11-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40131130A (ko) * 2013-05-03 2014-11-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US10203818B2 (en) 2014-11-13 2019-02-12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at least one dummy pattern
US9983711B2 (en) 2014-11-26 2018-05-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345944B2 (en) 2014-11-26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84717B2 (en) 2014-11-26 2020-06-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536B1 (ko) 2018-04-03
US20120147467A1 (en)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536B1 (ko) 편광판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01406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487388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
US10481642B2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2111628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77316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040802B1 (ko)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100440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09309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US20120306777A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KR2014001348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0008425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126007A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02214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30278511A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KR2012006568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064259A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30124882A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20080390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11710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193216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JP3130570U (ja) タッチパネル構造
KR102131778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153132B1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