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377A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377A
KR20120065377A KR1020127008615A KR20127008615A KR20120065377A KR 20120065377 A KR20120065377 A KR 20120065377A KR 1020127008615 A KR1020127008615 A KR 1020127008615A KR 20127008615 A KR20127008615 A KR 20127008615A KR 20120065377 A KR20120065377 A KR 20120065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lefin
propylene
polymer
protec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571B1 (ko
Inventor
히사유키 오고다
마사노리 츠지무라
노리히데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hydrocarbo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Abstract

광학 재료에 대한 점착 특성, 경시 점착 안정성, 투명성, 풀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표면층(A)이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고, 점착층(X)이,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결정성 α-올레핀 (공)중합체(X-1) 5?95중량%, 및 융점이 50?130℃의 범위에 있고,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 (공)중합체(X-2) 95?5중량%((X-1)과 (X-2)의 합계로 100중량%로 한다)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표면 보호 필름.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SURFAC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광학 제품, 건재,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점착 특성, 특히 피착체에 대한 점착성 및 점착력의 경시(經時)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열성이 우수하며, 피착체 등에의 오염이 적고, 또한 피시 아이(fish eye) 등의 외관이 우수하고, 피착체를 스크래치하는 일이 없으며, 게다가 롤상으로부터 조출(繰出)할 때의 조출성이 용이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은, 주로 건재용이나 광학 용도용의 수지 제품, 금속 제품, 유리 제품 등의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며, 이들의 수송, 보관이나 가공시의 스크래치 또는 이물 혼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 표면 보호 필름은, 일반적으로는 점착성이 없는 표면층과, 상기 피착체와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층으로 이루어진다. 표면층은 통상,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폴리염화바이닐 등의 바이닐 중합체로 형성된다.
최근, 액정 화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나 리어 프로젝션 화면 등에 이용하는 부재, 이른바 광학 제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광학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하여, 스크래치나 이물 혼입뿐만 아니라,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 제품 검사가 가능한 투명성이나, 고온 상태에서 부착이나 열처리 공정을 거쳐도 적절한 점착력이 발현되는 등의 특성이 소망되고 있다.
또한, 광학 제품에 관해서는, 예컨대 편광판, 위상차판, 도광판, 프리즘판과 같이 광학 특성이 요구되는 부재가 많이 있고, 이들 부재에 대해서도 적절한 점착력 및 경시적으로도 안정한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는 보호 필름이 소망되고 있다.
한편, 이들 광학 부재에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한 경우, 표면 보호 필름을 벗겼을 때에, 접착제 잔류나, 표면 보호 필름에 피시 아이가 존재하면, 광학 부재에 결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접착제 잔류나 피시 아이가 없는 표면 보호 필름이 소망되고 있다.
또한, 비교적 점착력이 높은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롤상의 제품으로부터 조출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점착층에 이형 필름을 접합한 상태에서 롤상으로 하고, 피착체에의 부착시에 이 이형 필름을 벗겨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정을 채용하면, 대량의 폐기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형 필름이 없더라도 용이하게 롤로부터 조출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116769호 공보에는, 폴리에틸렌 성분을 주체로 한 표면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 공보에 의한 방법에서는, 일부 용도 부재에 대해서는 적용 가능하지만, 점착력이 낮고, 또한 투명성도 불충분하여, 피착체의 용도에는 한계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9-83110호 공보에는, 메탈로센 촉매계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 프로필렌계 랜덤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동 공보에 의한 방법에서는, 점착력도 낮아, 한층 더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11676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83110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광학 제품, 건재 제품이나 자동차 부품의 보관, 수송, 가공, 검사시에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특성, 특히는 피착체에의 점착 특성, 투명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피착체 등에의 오염이 적고, 또한 피시 아이 등이 없어 외관이 우수하고, 피착체를 스크래치하는 일이 없으며, 롤로부터의 조출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어떤 특정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표면층(A)이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고,
점착층(X)이,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결정성 α-올레핀 (공)중합체(X-1) 5?95중량%, 및 융점이 50?130℃의 범위에 있고,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 (공)중합체(X-2) 95?5중량%((X-1)과 (X-2)의 합계로 100중량%로 한다)
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층(X)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일부인 α-올레핀 (공)중합체(X-1)가, 프로필렌과 탄소수 2?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한다)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층(X)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일부인 프로필렌 (공)중합체(X-2)가, 융점이 60?120℃의 범위에 있고,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을 T-다이로부터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다층 필름인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 특성 및 경시 안정성, 투명성, 풀림력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광학 용도, 건재 용도, 자동차 부품 용도 등의 보호 필름으로서 산업상의 이용 가치는 매우 높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 또는 필요에 따라 표면층(A), 기재층(B) 및 점착층(X)의 적어도 3층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점착층(X)을 최내층으로 한 경우, 표면층(A)은 최외층에 위치하고, 필름을 롤상으로 할 때에는 표면층(A)과 점착층(X)이 접촉한다.
표면층(A)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공지된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호모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으로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풀림성의 관점에서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투명성, 내열성의 관점에서 호모폴리프로필렌이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성분 또는 프로필렌?1-뷰텐?에틸렌 공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블록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표면층(A)을 형성하는 조성물 중에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대전 방지제, 이형제, 산화 방지제, 내후제, 결정 핵제 등의 각종 첨가제나,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왁스,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개질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층(X)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결정성 α-올레핀 (공)중합체(X-1) 5?95중량%, 바람직하게는 10?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75중량%, 및 융점이 50?130℃의 범위에 있고,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 (공)중합체(X-2) 95?5중량%, 바람직하게는 90?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5?25중량%((X-1)과 (X-2)의 합계로 100중량%로 한다)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점착층(X)에 사용되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α-올레핀 (공)중합체(X-1)는, -50℃?200℃ 범위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 측정으로 결정 융해 열량이 0.5?40J/g의 피크를 갖는 저결정성의 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결정 융해 열량이 1?20J/g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J/g의 피크를 갖는 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 (공)중합체(X-1)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이고, 예컨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1-뷰텐 단독중합체, 1-뷰텐?에틸렌 공중합체, 1-뷰텐?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 단독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1-뷰텐 공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α-올레핀 (공)중합체(X-1)를 점착층의 일부에 사용함으로써, 점착력의 가온 경시 안정성 및 피착체에의 내오염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얻어진다.
α-올레핀 (공)중합체(X-1)의 230℃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은 0.1?100g/10분, 바람직하게는 0.5?50g/10분의 범위에 있다.
프로필렌 (공)중합체(X-2)의 융점은 50?13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5?13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20℃의 범위에 있다. 프로필렌 (공)중합체(X-2)는, 결정성의 중합체이고,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 하에 제조되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2?10(프로필렌을 제외한다)의 공중합체이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이다.
메탈로센 촉매로서는, 사이클로펜타다이엔, 인덴, 플루오렌, 이들의 알킬 치환체, 아릴 치환체 등의 사이클로펜타다이엔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대칭, 비대칭, 가교, 비가교의 배위자와, 타이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등의 전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알루미녹세인, 붕소계 화합물 등의 조촉매로 이루어지는 촉매이며, 나아가 하프 메탈로센 등, 그 밖의 여러 가지 단일 자리(single site) 촉매도, 올레핀을 중합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얻어지는 올레핀 중합체의 특징인 좁은 분자량 분포, 좁은 조성 분포를 발현할 수 있는 촉매이면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저결정성 α-올레핀 (공)중합체(X-1), 프로필렌 (공)중합체(X-2)는, 각각 필요에 따라 그의 1종 이상이 이용된다. 따라서, 각각 2종 이상 이용한 경우는, 1종류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그 분자량 분포(Mw/Mn)의 값이 넓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 분자량 분포(Mw/Mn)는 폴리스타이렌 환산에 기초하여 그 값이 1?4인 중합체, 그 중에서도 1.8?4인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공)중합체(X-2)의 230℃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은 0.1?100g/10분, 바람직하게는 0.5?50g/10분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층(X)에는, 점착력, 경시 점착력의 제어나 풀림력의 제어를 목적으로, 다른 결정성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나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점착 부여제를 상기 조성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나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점착 부여제를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점착층(X)의 1성분으로서 사용할 때의 함유량으로서는, (X-1) 및 (X-2)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0중량부이다. 결정성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나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점착 부여제를 첨가함으로써, 원하는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고, 또한 여러 가지 피착체에 적합한 점착 특성을 발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층(X)은, 상기 (X-1) 및 (X-2)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 필요에 따라 결정성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나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점착 부여제를 가한 조성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점착층(X)에,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산 변성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등의 수지 개질제나, 대전 방지제, 결정 핵제, 산화 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층(A)과 점착층(X) 사이에 적어도 1층의 기재층(B)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름의 기계 강도나 투명성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또한 표면층(A) 및 점착층(X)과의 접착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기재층으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나 접착성 수지 내지는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기재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융점이 10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결정성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을 접착층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변성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등이 이용된다. 이들 중에서는, 생산성 및 투명성의 점에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중간층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와 스타이렌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또는 추가로 이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결정성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배합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수지 개질제 또는 첨가제를 배합한 조성물은, 상기 표면층(A), 또는 필요에 따라 기재층(B)과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추가의 층으로 할 수 있다.
표면층(A)과 점착층(X), 필요에 따라 기재층(B)을 적층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미리 T-다이 성형 또는 인플레이션 성형으로 얻어진 표면층 필름 상에, 점착층(X), 또는 추가로 필요에 따라 기재층(B)을 압출 라미네이션, 압출 코팅 등의 공지된 적층법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이나, 기재층 및 점착층을 독립적으로 필름으로 한 후, 각각의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생산성의 점에서, 표면층(A), 필요에 따라 기재층(B), 및 점착층(X)의 각 성분을 다층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성형하는 공압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표면층(A)의 두께는 0.1?100㎛, 바람직하게는 0.3?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 더 바람직하게는 1?20㎛이다. 점착층(X)의 두께는 0.1?50㎛, 바람직하게는 0.3?4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1?300㎛, 바람직하게는 2?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0㎛이다.
상기의 바람직한 형태의 표면층(A), 점착층(X) 및 필요에 따라 기재층(B)을 사용함으로써, 점착 특성, 특히는 고요철(高凹凸)의 피착체에 대하여 우수한 점착력이 발현되고, 또한 투명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얻어지며, 특히는 건재 용도, 광학 용도에 대하여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법]
점착력(아크릴판):
아크릴판을 폭 50mm, 길이 125mm로 절단하고, 이 시험판에 2kg의 고무 롤러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어서, 300mm/분의 속도로 박리(180도 박리)했을 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여, 50mm 폭 당의 박리력을 점착력(N/50mm)으로 한다.
피시 아이(FE):
A4 크기의 필름 샘플을 준비하고, 길이 0.1mm 이상의 피시 아이를 육안으로 카운팅한다. 단위 면적 당으로 환산한 FE의 수를 FE수(개/m2)로 하였다.
내오염성:
폭 50mm, 길이 125mm의 흑색 아크릴판에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다. 50℃에서 7일간 보관한 후, 필름을 벗기고, 흑색 아크릴판에의 오염 상태를 확인한다. 현저히 오염이 보인 경우를 ×, 소량의 오염이 관측된 경우를 △, 오염이 전혀 보이지 않은 것을 ○로 하였다.
용융 유량(MFR):
ASTM D1238에 준거하여 하중 2.16kg, 온도 230℃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표면층, 중간층 및 점착층용으로 40mmφ의 단축 압출기를 겸비한 다이 폭500mm의 3종 3층 T-다이 성형기에 이하에 기재된 수지를 표 1에 기재된 조성물로 공급하여, 표면층의 두께가 10㎛, 점착층 두께가 10㎛, 중간층 두께가 30㎛, 총 두께가 50㎛인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면층:
PP-1: 블록 폴리프로필렌
(융점 160℃, MFR(230℃) 3g/10분)
기재층:
PP-2: 호모폴리프로필렌
(융점 160℃, MFR(230℃) 7g/10분)
점착층:
PEBR-1: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10몰%, 1-뷰텐 함량 17몰%, MFR=7g/10분, -50?200℃의 DSC 측정으로 융해 열량 4J/g의 피크 있음)
PEBR-2: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50?200℃의 DSC 측정으로 융해 열량 0.5J/g 이상의 피크 없음)
MP-1: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 융점=115℃, MFR=7g/10분, 폴리스타이렌을 기준으로 한 분자량 분포(Mw/Mn)=2.2)
PP-3: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지글러 나타 촉매로 제조. 융점=138℃이고, -50?200℃의 DSC 측정으로 65J/g의 피크 있음)
[실시예 2 및 비교예 1, 2, 3]
각종 층의 수지 조성을 표 1에 기재된 수지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Claims (4)

  1.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표면층(A)이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고, 점착층(X)이,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저결정성 α-올레핀 (공)중합체(X-1) 5?95중량%, 및 융점이 50?130℃의 범위에 있고,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 (공)중합체(X-2) 95?5중량%((X-1)과 (X-2)의 합계로 100중량%로 한다)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층(X)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일부인 α-올레핀 (공)중합체(X-1)가, 프로필렌과 탄소수 2?1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한다)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점착층(X)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일부인 α-올레핀 (공)중합체(X-2)가, 융점이 60?120℃의 범위에 있고,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을 T-다이로부터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다층 필름인 표면 보호 필름.
KR1020127008615A 2009-09-15 2010-09-14 표면 보호 필름 KR101692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2776 2009-09-15
JP2009212776 2009-09-15
PCT/JP2010/065806 WO2011034045A1 (ja) 2009-09-15 2010-09-14 表面保護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377A true KR20120065377A (ko) 2012-06-20
KR101692571B1 KR101692571B1 (ko) 2017-01-03

Family

ID=4375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615A KR101692571B1 (ko) 2009-09-15 2010-09-14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38191B2 (ko)
KR (1) KR101692571B1 (ko)
CN (1) CN102470652B (ko)
TW (1) TWI540044B (ko)
WO (1) WO2011034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8060A (ja) * 2011-07-11 2013-02-21 Sumitomo Chemical Co Ltd マスキングフィルム貼合導光板原板
JP5932463B2 (ja) * 2012-04-26 2016-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CN108192531A (zh) * 2017-12-29 2018-06-22 中山诚泰化工科技有限公司 耐高温聚烯烃热熔胶及其制备方法
WO2019187249A1 (ja) * 2018-03-30 2019-10-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硬化封止体の反り防止用積層体、及び、硬化封止体の製造方法
JP7292884B2 (ja) * 2019-01-18 2023-06-19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CN114286840A (zh) * 2019-07-17 2022-04-05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用于层状制品的基于乙烯的共聚物和丙烯-α-烯烃-二烯组合物
CN110819245A (zh) * 2019-11-11 2020-02-21 上海优珀斯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车身漆面保护用改性聚烯烃弹性体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769A (ja) 2004-10-20 2006-05-11 C I Kasei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115212A (ja) * 2006-11-01 2008-05-22 Mitsui Chemical Fabr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162108A (ja) * 2006-12-28 2008-07-17 Nippon Polyethylene Kk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213297A (ja) * 2007-03-05 2008-09-18 Mitsui Chemical Fabr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9083110A (ja) 2007-09-27 2009-04-23 Mitsui Chemicals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7062B2 (ja) * 2004-04-20 2012-03-28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二軸延伸複層フィルム
JP4937704B2 (ja) * 2006-11-10 2012-05-23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863157B2 (ja) * 2006-12-18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4890340B2 (ja) * 2007-05-01 2012-03-07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455311B2 (ja) * 2008-02-08 2014-03-26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US20090202804A1 (en) * 2008-02-08 2009-08-13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Masking film with improved wett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769A (ja) 2004-10-20 2006-05-11 C I Kasei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115212A (ja) * 2006-11-01 2008-05-22 Mitsui Chemical Fabr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162108A (ja) * 2006-12-28 2008-07-17 Nippon Polyethylene Kk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213297A (ja) * 2007-03-05 2008-09-18 Mitsui Chemical Fabr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9083110A (ja) 2007-09-27 2009-04-23 Mitsui Chemicals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4045A1 (ja) 2011-03-24
JP5738191B2 (ja) 2015-06-17
CN102470652B (zh) 2016-03-16
JPWO2011034045A1 (ja) 2013-02-14
TW201127622A (en) 2011-08-16
TWI540044B (zh) 2016-07-01
CN102470652A (zh) 2012-05-23
KR101692571B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353B1 (ko) 표면 보호 필름
JP504757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593168B2 (ja) 加熱工程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489034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692571B1 (ko) 표면 보호 필름
US20100015331A1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5916386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20112846A (ko) 표면 보호 필름
JP536387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CN110249017B (zh) 粘合性树脂组合物、和包含其的层叠膜
JP201318107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9184216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1096351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61939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937704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85530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937910B2 (ja) 粘着シート基材用樹脂フィルム及び粘着シート
JP568702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871697B2 (ja) ラミネート用積層フィルム
JP2008214492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