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910A -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910A
KR20120064910A KR1020100126176A KR20100126176A KR20120064910A KR 20120064910 A KR20120064910 A KR 20120064910A KR 1020100126176 A KR1020100126176 A KR 1020100126176A KR 20100126176 A KR20100126176 A KR 20100126176A KR 20120064910 A KR20120064910 A KR 20120064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t exchange
air
heat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덕재
성태수
Original Assignee
갑을오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오토텍(주) filed Critical 갑을오토텍(주)
Priority to KR102010012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910A/ko
Publication of KR2012006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2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5Thermoelectric converter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81Air supply, exhaus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차량의 내부와 관통되는 흡기구에 일측이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서 송풍된 공기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온도조절실 내부에 장착되며 열전소자가 구비되어 송풍된 공기의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하는 열교환코어와, 상기 온도조절실에 연통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에 접촉되면서 냉방 및 난방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와 관통되는 토출구에 연통되는 토출덕트와, 상기 온도조절실에서 분기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되면서 냉방이나 난방에 사용되지 않는 열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연통된 배기덕트로 구성됨으로써, 모듈화된 일체형 냉난방장치를 차량의 내부 어느 곳이든 설치하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ONE BODY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동차 내부 어느 곳이든 설치가 쉽고 설계변경이 용이하므로 곧바로 적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HVAC(Heater-Vent-Air conditioning)라고 하는 냉난방장치가 장착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차 내부의 환기나 냉, 난방 등 각종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여 자동차의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HVAC는 운전자 및 실내 동승자가 핸들 우측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를 작동함으로써 조작가능하고, 자동 온도 조절유닛을 구동하여 공기의 통풍경로를 조절하거나 에어컨 압축기를 가동시킴으로써 동작시킨다.
도 1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냉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냉난방장치는 에어컨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통풍경로를 살펴보면, 송풍할 공기의 근원을 차량의 내부공기로 할 것인지, 외부의 공기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에어 인렛 도어(100)와, 에어 인렛 도어(100)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기를 압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블로워(101)와 블로워(10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에어컨 증발기(106)와, 히터코어(102)로 향하는 양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에어 믹스도어(103)와, 에어컨 증발기(106) 및 히터 코어(102)를 경유한 공기를 차량의 각 부위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에어 덕트(104) 및 에어벤트(105)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내의 공기가 통풍경로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의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에어 인렛 도어(100)에서 선택된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블로워(101)가 공기를 흡입하여 압송하면 압송된 공기가 에어컨의 증발기(106)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냉각되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된다.
에어컨 증발기(106)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 믹스 도어(103)의 상태에 따라서 히터 코어(102)를 경유한 후 에어 덕트(104) 및 에어 벤트(105)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며, 히터 코어(102)를 경유한 공기와 히터 코어(102)를 경유하지 않은 공기가 믹스존(107)에서 혼합되어 소정의 온도로 변환된 후 에어 덕트(104) 및 에어 벤트(105)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히터 코어(102)를 경유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면 그 만큼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상승된다. 이와 같이 에어 믹스 도어(103)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기본적인 공기의 통로 경로를 조절함과 더불어 각 에어벤트(105)의 개폐 상태와 에어컨 압축기의 가동 정도 등이 종합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차량의 실내에 소정의 온도를 갖는 공기를 공급하거나 조절할 수도 있다. 보통 에어벤트(105)는 운전자나 실내 동승자의 발 쪽, 가슴 쪽, 머리 쪽 이렇게 세 방향으로 분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렇게 차량 내부의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종래의 자동차 냉난방장치는 핸들 우측 하단의 대쉬보드 상에 설치되는 온도조절용 조작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냉, 난방을 위한 에어컨 및 히터를 구동한다.
이러한 자동차의 혼합용 냉난방장치는 차량용 난방장치 인 엔진 냉각수가 가열되고, 블로워(101)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냉각수 순환로에 설치된 히터 코어(102)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난방에 필요한 열을 얻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차량용 냉난방장치는 대쉬보드 측에 형성되는 구조로만 형상이 한정되기 때문에 차량 곳곳을 고르게 냉난방 하는데 한계가 있다. 일예로 후석 측을 냉난방 하기 위해서는 대쉬보드 측에 형성된 냉난방장치로부터 냉난방된 공기를 후석 측까지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차량 내부 형상 설계 자체를 변경해야하는 어려움이 있고, 유로를 형성한다 하더라도 유로를 따라 냉난방된 공기가 이송되면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난방장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모듈화시킨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즉, 큰 설계변경 없이 차량의 어느 위치에든지 설치가 가능한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내부 냉난방 시에 전 구역에 걸쳐 온도분포가 고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차량의 내부와 관통되는 흡기구에 일측이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덕트;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서 송풍된 공기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온도조절실 내부에 장착되며 열전소자가 구비되어 송풍된 공기의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하는 열교환코어; 상기 온도조절실에 연통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에 접촉되면서 냉방 및 난방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와 관통되는 토출구에 연통되는 토출덕트; 및 상기 온도조절실에서 분기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되면서 냉방이나 난방에 사용되지 않는 열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연통된 배기덕트;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교환 코어에는, 냉방인 경우에는 냉방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열교환코어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난방의 경우에는 난방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차량의 열교환 코어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 코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덕트의 끝단부에는 회동되는 다수개의 슬릿이 배열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제어하는 방향전환그릴이 탈 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에는 상기 슬릿의 각도를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릿을 회동시키는 전동모터가 장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덕트의 일측에는 차량 내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가 장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덕트의 끝단에는 차량의 외부와 연결하는 배기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배기구 커넥터가 형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 코어는 상기 토출덕트에 접촉되는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핀; 상기 배기덕트에 접촉되는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장착되어 열교환을 실시하는 방열핀; 및 상기 열전소자가 장착된 부위에 장착되는 단열재; 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코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을 이루도록 다수개 배열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코어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층을 이루도록 병렬로 다수개 배열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기구 및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는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토출덕트의 끝단에는 상기 흡기구와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고 걸림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턱에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덕트의 내측면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드레인홀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를 흡수하는 흡수제가 장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유닛이 더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모듈화된 냉난방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냉난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차량 내부 구조의 큰 설계변경 없이 냉난방장치의 추가 설치가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는 차량 내부의 천정, 사이드(앞 도어와 뒷 도어 사이 안전벨트가 연결되는 부분), 후석 뒤편의 선반 이나 전석 내부 등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차량 내부의 냉난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냉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교환 코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열교환 코어가 직렬로 배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열교환 코어가 병렬로 배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교환 코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열교환 코어가 직렬로 배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열교환 코어가 병렬로 배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흡입덕트(10), 송풍팬(20), 열교환 코어(30), 토출덕트(40) 및 배기덕트(60)가 구비된 하우징(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덕트(10)는 하우징(50)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 끝단이 차량의 내부와 관통되는 흡기구(1)에 연통된다. 또한 흡입덕트(10)의 일측 끝단부에는 흡기구(1)를 통해 유입되는 차량의 내부 공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11)가 장착된다. 필터(11)는 먼지나 미세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컨 이나 공기청정기 등에 사용되는 필터와 동일한 종류의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흡입덕트(10)의 끝단에는 흡기구(1)에 삽입되고 걸림상태를 유지하는 걸림턱(12)이 구비된다. 걸림턱(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를 관통한 끝단에 확장된 단면형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흡기구(1)에 흡입덕트(10)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송풍팬(20)은 흡입덕트(10)의 중간부에 장착되고, 흡기구(1)를 통해 차량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코어(30) 측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열교환 코어(30)는 토출덕트(40)와 배기덕트(60)가 분기되는 지점인 온도조절실(70)에 설치된다. 열교환 코어(30)는 토출덕트(40)와 배기덕트(60)가 분기되는 지점의 끝단 부에 배열되는 다수개의 열전소자(31)와, 토출덕트(40)에 접촉되는 열전소자(31)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핀(32)과, 배기덕트(60)에 접촉되는 열전소자(31)의 타측면에 장착되어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실시하는 방열핀(33)과, 열전소자(31) 주변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열교환핀(32)과 방열핀(33) 이외의 부분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34)로 이루어진다. 열전소자(31)와 송풍팬(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외부 전원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열교환 코어(30)에는 냉난방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열전소자(31)에는 온도센서(35)가 장착된다. 온도센서(35)는 열교환핀(32) 측에 접촉되어 냉난방시 발생되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열교환핀(32)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온도센서(35)로 측정하여 냉방인 경우에는 열교환핀(3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냉방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열교환 코어(31)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난방인 경우에는 열교환핀(3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난방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열교환 코어(31)의 작동을 중시키는 것이다.
또한 열교환 코어(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을 이루도록 다수개 배열되는 구조로 구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층을 이루도록 병렬로 다수개가 배열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 코어(30)이 직렬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열전소자(31)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각각의 열교환핀(32)과 방열핀(33)이 같은 면을 따라 배열되도록 장착되고, 열교환 코어(30)가 병렬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층을 이루는 경우에는 열전소자(31)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각각의 열교환핀(32)이나 방열핀(33)중 어느 하나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핀(33)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장착됨으로써, 각각의 방열핀(33) 사이 공간이 배기덕트(60)를 이루고, 각각의 열교환핀(32)이 접촉되는 공간은 토출덕트(40)을 이룬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열교환핀(32)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장착되어 각각의 열교환핀(32) 사이 공간이 토출덕트(40)을 이루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토출덕트(40)는 일측은 온도조절실(70)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량의 내부와 관통되는 토출구(2)에 연결된다. 토출덕트(40)의 끝단부, 즉 토출구(2) 측에는 회동되는 다수개의 슬릿(41a)이 배열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제어하는 방향전환그릴(41)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방향전환그릴(41)의 슬릿(41a)에는 슬릿(41a)의 각도를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슬릿(41a)을 회동시키는 전동모터(미도시)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방향전환그릴(41)은 기존의 HVAC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냉난방장치에서 대쉬보드 측에 형성되어 탑승자의 가슴 측으로 토출되는 냉난방된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전환그릴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토출덕트(40)의 끝단에는 토출구(2)에 삽입되고 걸림상태를 유지하는 걸림턱(42)이 구비된다. 걸림턱(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2)를 관통한 끝단에 확장된 단면형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토출구(2)에 토출덕트(40)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토출덕트(40)의 내측면에는 중력에 의해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 부위에 드레인홀(81)이 관통된다. 드레인홀(81) 주변에는 응축수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제(82)가 장착된다. 드레인홀(81)은 열교환코어(30)가 작동중에 발생될 수 있는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흡수제(82)는 토출덕트(40) 내부 뿐만아니라 후술할 배기덕트(60)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배기덕트(60)는 온도조절실(70)에서 토출덕트(40)와 함께 분기된다. 배기덕트(60)는 일측은 온도조절실(70)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량의 외부로 연통된다. 이대 배기덕트(60)의 끝단에는 차량의 외부와 연결되는 배기호스(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도록 배기구 커넥터(61)가 장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배기구 커넥터(61)는 일반적으로 호스를 연결하는 니플 구조나, 나사결합하는 방식 등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배기구 커넥터(61) 없이 배기덕트(60)의 끝단을 통해 자동차의 샤시 내부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는 냉방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전소자(3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열교환핀(32) 측은 저온상태가 되고, 방열핀(33) 측은 고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열교환핀(32)이 저온 상태가 되면 송풍팬(20)에서 송풍된 공기의 일부가 열교환핀(32)을 지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는 토출덕트(40)를 지나 토출구(2)를 통해 차량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토출구(2)에 장착된 방향전환그릴(41)의 슬릿(41a) 각도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열핀(33)에 전달된 고온의 열은 송풍팬(20)에서 송풍된 공기의 나머지 일부가 방열핀(33)을 지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배기덕트(6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기구 커넥터(61)에 별도의 배기호스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배기호스를 따라 차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난방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냉방시 열전소자(3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여 열교환핀(32) 측은 고온상태가 되고, 방열핀(33) 측은 저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열교환핀(32)이 고온상태가 되면 송풍팬(20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가 열교환핀(32)을 지나면서 난방되고, 난방된 공기는 토출덕트(40)를 지나 토출구(2)를 통해 차량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토출구(2)에 장착된 방향전환그릴(41)의 슬릿(41a) 각도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열핀(33)에 전달된 저온의 냉기는 송풍팬(2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나머지 일부가 방열핀(33)을 지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냉각된 공기는 배기덕트(60)를 통해 차량의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구 커넥터(61)에 별도의 내기호스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배기호스를 따라 차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는 차량의 사이드, 즉 앞 도어와 뒷 도어 사이 안전벨트가 연결되는 부분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하우징(50)이 장착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만 있다면 차량의 어느 부분에든지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50)을 설치하면서 차량의 내부와 관통되는 흡기구(1)와 토출구(2)를 형성하는 작업과, 송풍팬(20)과 열전소자(3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작업만으로 일체형 냉난방장치의 설치가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즉, 차량 내부의 천정, 후석 뒤편의 선반 이나 전석 내부 등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차량 내부의 냉난방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흡입덕트 20 : 송풍팬
30 : 열교환코어 31 : 열전소자
32 : 열교환핀 33 : 방열핀
34 : 단열재 35 : 온도센서
40 : 토출덕트 50 : 하우징
60 : 배기덕트 70 : 온도조절실

Claims (13)

  1.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차량의 내부와 관통되는 흡기구에 일측이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덕트;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서 송풍된 공기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온도조절실 내부에 장착되며 열전소자가 구비되어 송풍된 공기의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하는 열교환코어;
    상기 온도조절실에 연통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에 접촉되면서 냉방 및 난방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와 관통되는 토출구에 연통되는 토출덕트; 및
    상기 온도조절실에서 분기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되면서 냉방이나 난방에 사용되지 않는 열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연통된 배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열교환 코어에는,
    냉방인 경우에는 냉방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열교환코어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난방의 경우에는 난방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차량의 열교환 코어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 코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의 끝단부에는 회동되는 다수개의 슬릿이 배열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제어하는 방향전환그릴이 탈 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에는 상기 슬릿의 각도를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릿을 회동시키는 전동모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일측에는 차량 내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의 끝단에는
    차량의 외부와 연결하는 배기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배기구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코어는
    상기 토출덕트에 접촉되는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핀;
    상기 배기덕트에 접촉되는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장착되어 열교환을 실시하는 방열핀; 및
    상기 열전소자가 장착된 부위에 장착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코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을 이루도록 다수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코어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층을 이루도록 병렬로 다수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 및 상기 토출구에 연결되는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토출덕트의 끝단에는 상기 흡기구와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고 걸림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턱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의 내측면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드레인홀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를 흡수하는 흡수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유닛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KR1020100126176A 2010-12-10 2010-12-10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KR20120064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76A KR20120064910A (ko) 2010-12-10 2010-12-10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76A KR20120064910A (ko) 2010-12-10 2010-12-10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910A true KR20120064910A (ko) 2012-06-20

Family

ID=4668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176A KR20120064910A (ko) 2010-12-10 2010-12-10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91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637A (ko) *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이중 송풍 냉난방 모듈
CN109631206A (zh) * 2019-01-14 2019-04-16 杭州捷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封闭空间的温度调节系统
KR20190061655A (ko) * 2017-11-28 2019-06-0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배치오프머신의 시트고무 냉각시스템
CN112389163A (zh) * 2019-08-13 2021-02-23 佛吉亚汽车内部系统公司 带有热电空调的车辆内面板
CN112696751A (zh) * 2021-01-22 2021-04-23 东莞市万维热传导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3d均温板模组的空调装置
US11167618B2 (en) 2015-07-23 2021-11-09 Hyundai Motor Company Combined heat exchanger modu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7618B2 (en) 2015-07-23 2021-11-09 Hyundai Motor Company Combined heat exchanger module
KR20180035637A (ko) *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이중 송풍 냉난방 모듈
KR20190061655A (ko) * 2017-11-28 2019-06-0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배치오프머신의 시트고무 냉각시스템
CN109631206A (zh) * 2019-01-14 2019-04-16 杭州捷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封闭空间的温度调节系统
CN112389163A (zh) * 2019-08-13 2021-02-23 佛吉亚汽车内部系统公司 带有热电空调的车辆内面板
US11712941B2 (en) 2019-08-13 2023-08-01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interior panel with thermoelectric air conditioning
CN112696751A (zh) * 2021-01-22 2021-04-23 东莞市万维热传导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3d均温板模组的空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554B1 (ko) 차량 후석용 보조 냉난방장치
KR101571905B1 (ko) 자동차의 보조 냉난방장치
KR101605914B1 (ko)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US9016069B2 (en) Condensate water removing apparatus for vehicle air conditioners
KR101605916B1 (ko)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KR20120064910A (ko) 차량의 일체형 냉난방장치
KR101232451B1 (ko) 자동차 시트 냉난방 장치
JP2016190512A (ja) 車両用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装置
WO2012049997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20023874A (ko)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CN107953740B (zh) 空调单元
KR101648226B1 (ko) 차량 후석용 보조 냉난방장치
JP6032353B2 (ja) 空調システムのための専用床抽気
KR20090106213A (ko) 리어공조장치를 이용한 에어커튼유니트
KR101605915B1 (ko)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JP6065817B2 (ja) 車室内温度検出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KR101746232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977779B1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KR20090036370A (ko) 자동차용 시트의 공기조화장치
JP2003025826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20044902A1 (ja) 車両
JP6546764B2 (ja) 車両用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装置
CN105082932A (zh) 双温度hvac系统
KR20150080236A (ko) 차량용 프론트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한 전석 개별 공기조화 시스템
KR20230061107A (ko) 차량용 공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