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886A -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 Google Patents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886A
KR20120064886A KR1020100126144A KR20100126144A KR20120064886A KR 20120064886 A KR20120064886 A KR 20120064886A KR 1020100126144 A KR1020100126144 A KR 1020100126144A KR 20100126144 A KR20100126144 A KR 20100126144A KR 20120064886 A KR20120064886 A KR 20120064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spension system
control suspension
active contro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최해용
라은우
서인석
고영민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886A/ko
Publication of KR2012006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27Mechanical springs regulated by flui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는 후륜측 너클에 연결된 어시스트 링크의 차체측 절점을 가변하기 위한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며, 외측단 양측에는 힌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원호형상의 슬라이드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가이더; 상기 양측 슬라이드 가이더의 슬라이드 홈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 양측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 양측과 상기 양측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힌지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포크로 형성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고정체를 따라 전자력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가 상기 회전레버의 포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포크를 힌지 작동시키는 직선형 모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HARD-POINT VARIABLE APPARATUS FOR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AGCS,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용 절점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측 서브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너클에 일단이 설치된 어시스트 링크의 차체측 절점의 위치를 가변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리어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AGCS)은 차량의 선회 주행 시, 어시스트 링크의 차체측 절점의 위치를 제어하여 차량을 롤 강성 및 요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향 및 조종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특히, 차량의 급선회 시에 오버 스티어 경향이 나타나 조종 안정성이 떨어지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급선회 시, 선회 외측 후륜을 토우 인(Toe-in)으로 유도하여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일례에 의한 사시도로서, 이러한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후륜(W)측 너클(1)과 크로스 멤버(3)에 설치된 서브 프레임(5) 사이의 하부에 로워암(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너클(1)과 서브 프레임(5) 사이의 상부 일측에는 어퍼암(9)이 연결되고, 상기 너클(1)과 서브 프레임(5) 사이의 상부 타측에는 어시스트 링크(11)가 절점가변장치(20)와 함께 설치된다.
즉,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일단은 상기 너클(1)의 상부 타측에 볼 조인트(BJ)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타단은 상기 절점가변장치(20)를 통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5)에 설치되어 차체측 절점(P)을 형성한다.
도 2와 도 3은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어시스트 링크 및 절점가변장치의 측면 사시도 및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절점가변장치(20)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프레임(5)에 일체로 하우징부(21)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부(21)의 양 측면에는 원호형상의 슬라이드 홈부(23)를 형성하여 슬라이드 가이더(2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가이더(25)에는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타단에 구성된 부시(미도시)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7)를 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어시스트 링크(11)는 상기 부시에 양측으로 회전레버(29)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레버(29)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21)의 일측에서 힌지점(H)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레버(29)의 타단은 포크(31)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1)의 상부 타측에는 액추에이터로써, 회전축이 스크루 축(33)으로 된 스크루 모터(35)가 하향 설치되고, 상기 스크루 모터(35)의 모터 하우징(37)에는 상기 스크루 축(33)에 나란히 2개의 가이드 핀(39)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루 축(33)에는 슬라이더(41)가 치합되며, 동시에 상기 2개의 가이드 핀(39)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더(41)는 그 양측에 포크돌기(43)를 형성하여 상기 각 회전레버(29)의 포크(31)에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량의 급선회 시, 범프가 일어나는 선회 외측 후륜(W)을 토우-인으로 유도하게 된다.
즉, 차량의 급선회 시, 제어기가 상기 스크루 모터(35)를 구동하여 상기 슬라이더(41)를 하강시키면, 상기 슬라이더(41)의 포크돌기(43)에 포크(31)를 통하여 연결된 회전레버(29)가 힌지점(H)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차체측 절점(P)을 이루는 부시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7)와 함께 슬라이드 가이더(25)를 따라 하강하여 어시스트 링크(11)의 차체측 절점(P)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선회 외측 후륜(W)은 토우-인 값이 증대되어 차량의 고속 선회 시, 횡풍 시, 급차선 변경 시 등의 상황에서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켜 안정된 차량 주행성능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절점가변장치(20)에 충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루 모터(35)를 적용함에 따라 내부에 감속구조 및 어시스트 링크(11)와의 동력전달구조가 적용되어 레이아웃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른 설계상의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동원으로 플레밍의 법칙을 이용한 직선형 모터부를 적용하여 설치 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하우징에 내장할 수 있어 설계상의 이점을 갖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는 후륜측 너클에 연결된 어시스트 링크의 차체측 절점을 가변하기 위한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며, 외측단 양측에는 힌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원호형상의 슬라이드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가이더; 상기 양측 슬라이드 가이더의 슬라이드 홈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 양측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 양측과 상기 양측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힌지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포크로 형성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고정체를 따라 전자력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가 상기 회전레버의 포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레버를 힌지 작동시키는 직선형 모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형 모터부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코일을 내장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 및 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영구자석을 내장하여 상기 고정체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상기 양측 회전레버의 각 포크가 끼워지는 포크 핀이 설치되는 이동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어 상단과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코일로드; 상기 코일로드에 감긴 상태로 전류를 통전하는 코일; 및 상기 코일로드에 감긴 코일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로드는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커버는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커버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고정체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 상기 슬라이딩 홀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면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 및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양측 회전레버의 각 포크가 끼워져 설치되는 포크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직육면의 도체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슬라이딩 홀에 대응하는 면이 원호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선형 모터부는 상기 고정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이동체의 초기 위치를 탄성 지지해주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에 의하면, 구동원으로 플레밍의 법칙을 이용한 직선형 모터부를 적용하여 설치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동원을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내장할 수 있어 설계상의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일례에 의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절점가변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절점가변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점가변장치에 적용되는 직선형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에 의한 차량의 주행 조건별 어시스트 링크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세부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점가변장치(50)가 적용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후륜(W)측 너클(1)과 크로스 멤버(3)에 설치된 서브 프레임(5) 사이의 하부에 로워암(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너클(1)과 서브 프레임(5) 사이의 상부 일측에는 어퍼암(9)이 연결되고, 상기 너클(1)과 서브 프레임(5) 사이의 상부 타측에는 어시스트 링크(11)가 절점가변장치(50)와 함께 연결된다.
즉,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일단은 상기 너클(1)의 상부 타측에 볼 조인트(BJ)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타단은 상기 절점가변장치(50)를 통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5)에 설치되어 차체측 절점(P)을 형성한다.
이러한 절점가변장치(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4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4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절점가변장치(50)는 어시스트 링크(11)의 차체측 절점(P)의 위치를 가변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51), 슬라이드 가이더(53), 슬라이드 플레이트(55), 회전레버(57), 및 직선형 모터부(59)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51)은 차체측 서브 프레임(5)에 설치되며, 외측단 양측에는 힌지부(51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51)이 서브 프레임(5)에 설치되는 구조는 일반적인 용접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브 프레임(5)의 양단에 일체로 하우징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더(53)는 원호형상의 슬라이드 홈부(53a)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51)의 양 측면에 하나씩 용접되어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5)는 상기 하우징(51)의 외측에서 양측 슬라이드 가이더(53)의 슬라이드 홈부(53a)를 따라 안내되도록 하나씩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51)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11a) 양측에 체결볼트(B)를 통하여 조립된다.
또한, 상기 회전레버(57)는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11a) 양측과 상기 양측 슬라이드 플레이트(55) 사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상기 체결볼트(B)에 의해 함께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레버(57)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51)의 힌지부(51a)에 힌지 핀(57a)을 통하여 설치되고, 타단은 포크(57b)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형 모터부(59)는 상기 하우징(51)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고정체(61)를 따라 전자력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체(63)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레버(57)를 힌지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직선형 모터부(59)는 상기 고정체(61)가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코일(61a)을 내장하여 상기 하우징(51)의 내측 중앙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체(61)는 하우징(51)의 내측 중앙에 코일로드(61b)가 배치되어 그 상단과 하단이 상기 하우징(5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볼트(B)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코일로드(61b)에는 전류를 통전하기 위한 코일(61a)이 감겨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코일로드(61b)에 감긴 코일(61a)의 외측에는 코일커버(61c)가 코일(61a)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51) 내부에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로드(61b)와 코일커버(61c)는 도체로 구성되어야 하며, 상기 코일커버(61c)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63)는 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영구자석(63a)을 내장하여 상기 고정체(6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상기 양측 회전레버(57)의 각 포크(57b)가 끼워지는 포크 핀(63b)이 설치된다.
즉, 상기 이동체(63)는 고정체(61)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홀(63d)이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63c)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63c)는 직육면의 도체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홀(63d)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63c)의 내부 양측에는 영구자석(63a)이 각각 내장된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영구자석(63a)은 상기 슬라이딩 홀(63d)을 기준으로 상호 대응하는 면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63a)은 상기 슬라이딩 홀(63d)에 대응하는 면이 원호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63c)의 양 측면에는 포크 핀(63b)이 체결되며, 상기 포크 핀(63b)에는 양측 회전레버(57)의 각 포크(57b)가 끼워져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직선형 모터부(59)는 상기 고정체(61)에 끼워지는 스프링(65)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스프링(65)은 고정체(61)에 끼워진 상태로 코일(61a)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63)가 초기 위치를 갖도록 몸체(63c)를 하부에서 탄성 지지해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50)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상기 직선형 모터부(59)의 고정체(61)에 코일(61a)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이동체(63)가 전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체(63)의 포크 핀(63b)에 포크(57b)를 통하여 끼워진 회전레버(57)가 힌지 핀(57a)을 기준으로 힌지 작동하면서,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차체측 절점(P)을 이루는 부시(11a)를 슬라이드 가이더(53)를 따라 가변 이동시키게 된다.
즉, 차량의 고속 선회 혹은 급차선 변경 등에 의해 차량의 선회 외측 후륜이 범프할 경우, 조향 각속도, 차속 등의 신호에 따라 제어기가 상기 직선형 모터부(59)의 고정체(61)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면, 이동체(63)가 하강하면서 회전레버(57)를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어시스트 링크(11)의 차체측 절점(P)의 위치를 아래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61)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이동체(63)에 작용하는 힘인 전자력의 방향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설계되며, 자세한 설계구성은 생략한다.
이에, 상기 차량의 선회 외측 후륜은 토우-인이 증대되며, 차량은 언더 스티어로 유도되어 차량의 선회 거동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모터부(59)는 고정체(61)와 이동체(63)로 구성되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하우징(51)의 내측에 내장되며, 이로 인해 설계상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50: 절점가변장치 51: 하우징
51a: 힌지부 53: 슬라이드 가이더
53a: 슬라이드 홈부 55: 슬라이드 플레이트
57: 회전레버 57a: 힌지 핀
57b: 포크 59: 직선형 모터부
61: 고정체 61a: 코일
61b: 코일로드 61c: 코일커버
63: 이동체 63a: 영구자석
63b: 포크 핀 63c: 몸체
63d: 슬라이드 홀 65: 스프링

Claims (10)

  1. 후륜측 너클에 연결된 어시스트 링크의 차체측 절점을 가변하기 위한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며, 외측단 양측에는 힌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원호형상의 슬라이드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가이더;
    상기 양측 슬라이드 가이더의 슬라이드 홈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 양측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 양측과 상기 양측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힌지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포크로 형성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고정체를 따라 전자력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가 상기 회전레버의 포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레버를 힌지 작동시키는 직선형 모터부를 포함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모터부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코일을 내장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 및
    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영구자석을 내장하여 상기 고정체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상기 양측 회전레버의 각 포크가 끼워지는 포크 핀이 설치되는 이동체로 구성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어 상단과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코일로드;
    상기 코일로드에 감긴 상태로 전류를 통전하는 코일; 및
    상기 코일로드에 감긴 코일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커버로 구성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로드는
    도체로 구성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커버는
    도체로 구성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커버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고정체에 끼워지는 슬라이딩 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
    상기 슬라이딩 홀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면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 및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양측 회전레버의 각 포크가 끼워져 설치되는 포크 핀으로 구성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직육면의 도체 블록으로 구성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슬라이딩 홀에 대응하는 면이 원호면으로 형성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모터부는
    상기 고정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이동체의 초기 위치를 탄성 지지해주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KR1020100126144A 2010-12-10 2010-12-10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KR20120064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44A KR20120064886A (ko) 2010-12-10 2010-12-10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44A KR20120064886A (ko) 2010-12-10 2010-12-10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86A true KR20120064886A (ko) 2012-06-20

Family

ID=4668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144A KR20120064886A (ko) 2010-12-10 2010-12-10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8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46B1 (ko) * 2012-12-31 2014-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능동 제어 현가장치
KR101393587B1 (ko) * 2013-04-03 2014-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제어 현가장치
KR20160131311A (ko) * 2015-05-06 2016-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쇽업소버를 갖는 서스펜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546B1 (ko) * 2012-12-31 2014-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능동 제어 현가장치
KR101393587B1 (ko) * 2013-04-03 2014-05-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제어 현가장치
KR20160131311A (ko) * 2015-05-06 2016-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쇽업소버를 갖는 서스펜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3729B2 (ja) 能動制御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用駆動装置
US20080116665A1 (en) Vehicle Having An Adjustable Wheel Base
KR101518884B1 (ko) 능동 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US11565548B2 (en) Hub unit having steering function, and vehicle provided with said hub unit
KR20120064886A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절점가변장치
CN105324266A (zh) 轮内电动机驱动车轮的电动机供电线布线构造
KR20120064539A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장치
KR101592352B1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JP2004261584A (ja) 自動車玩具
JP2014069741A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1356179B1 (ko) 토션빔 액슬 차량의 후륜 조향장치
JP4168818B2 (ja) モータ駆動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700763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の走行モードの切り替え方法
CN105835942A (zh) 转向装置
CN112896300A (zh) 转向力调节机构、汽车及转向力调节方法
KR102097946B1 (ko) 토우와 캠버를 조절할 수 있는 ctba
KR101592366B1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용 구동장치
CN114348143B (zh) 基于麦克纳姆轮的全向移动机器人
KR20130012293A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KR101294068B1 (ko)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
JP4831345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527719B1 (ko) 자동차용 타워바의 강성가변장치
KR101601047B1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JP2009120067A (ja) 後輪トー角可変制御装置
KR101283604B1 (ko)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