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597A - Led 조명 램프 - Google Patents

Led 조명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597A
KR20120064597A KR1020100125894A KR20100125894A KR20120064597A KR 20120064597 A KR20120064597 A KR 20120064597A KR 1020100125894 A KR1020100125894 A KR 1020100125894A KR 20100125894 A KR20100125894 A KR 20100125894A KR 20120064597 A KR20120064597 A KR 2012006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erminal
led
contact
light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1149B1 (ko
Inventor
임광배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1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2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of polygonal shape, e.g. square or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LED 조명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LED 모듈 ; 상기 LED 모듈이 상부면에 고정설치되고, 좌우양단에 베이스캡이 각각 조립되는 하우징 ; 및 상기 베이스캡에 형성된 핀공에 고정되어 외부노출되는 노출단자로부터 상기 LED 모듈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캡과 결합되는 기판에 형성된 표면단자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접촉단자를 구비하는 접속 단자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LED 조명 램프{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lamp}
본 발명은 LED 조명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캡과 LED 모듈간의 결합에 의해서 베이스캡의 접속 단자핀과 기판의 표면단자간의 전기적인 접속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LED 조명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조명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이용한 형광등 및 백열전구가 대부분이다. 특히, 전력 효율이 우수하고 그 조도가 더 많이 확보되는 형광등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목적으로 수명이 100,000시간에 달하여 반영구적이며, 전력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는 고휘도 LED 소자를 형광등에 적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휘도 LED 소자는 미래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각광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도 1은 종래의 형광등 타입 LED 조명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형광등 타입 LED 조명 램프(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b)에 다수의 LED 소자(11a)를 실장한 LED 모듈(11)과, LED 모듈(11)이 고정되며 하부에 방열핀(13a)이 형성되는 하우징(13), 하우징(13) 양단에 고정되어 형광등 소켓(미도시)에 끼워지도록 한쌍의 접속단자핀(14a)을 갖는 베이스캡(14) 및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3)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투명커버(1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캡(14)의 접속단자핀(14a)은 상기 형광등 소켓과의 결합시 이에 구비된 연결단자와 접촉되도록 접촉부인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캡(14)에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단은 상기 LED 모듈(11)의 기판(11b)과 와이어(16)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 단자핀(14a)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와이어(16)를 통하여 LED 모듈(11)로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상기 접속 단자핀(14a)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16)의 일단과 납땜방식 또는 압착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6)의 타단은 LED 모듈(11)의 기판(11b)과 납땜방식 또는 커넥터방식으로 연결되고 있는데, 상기 와이어(16)와 접속 단자핀(14a)간의 연결 및 상기 와이어(16)와 기판(11b)간의 연결은 납땜방식에 의해서 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16)의 일단 또는 타단을 접속 단자핀(14a) 또는 기판(11b)에 납땜으로 연결하는 공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납땜 사용량이 적어지는 것에 의한 미납으로 접촉불량을 초래할 수 있고, 외부충격시 납땜부위가 단락되는 불량을 초래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작업자의 납땜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작업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길이에 맞추어 사전에 일정길이로 절단된 와이어를 사용해야만 하고, 접속 단자핀과 기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구성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전제적으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납땜방식의 연결에 기인하는 접촉불량 및 단락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접속 단자핀과 기판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안정적으로 보장하고, 접속 단자핀과 기판간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LED 조명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 단자핀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LED 조명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LED 모듈 ; 상기 LED 모듈이 상부면에 고정설치되고, 좌우양단에 베이스캡이 각각 조립되는 하우징 ; 및 상기 베이스캡에 형성된 핀공에 고정되어 외부노출되는 노출단자로부터 상기 LED 모듈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캡과 결합되는 기판에 형성된 표면단자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접촉단자를 구비하는 접속 단자핀을 포함하는 LED 조명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출단자는 상기 핀공에 접착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착방식으로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출단자는 상기 핀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몸체 외부면에 형성하여 나사체결방식으로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출단자는 몸체 외부면에 상기 핀공에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기판과 대응하는 하부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기판의 표면단자와 대응하는 접촉면이 적어도 하나의 점접촉 부위를 갖도록 파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기판의 표면단자와 대응하는 접촉면이 적어도 하나의 선접촉 부위를 갖도록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ED 모듈의 단부와 대응하는 베이스캡의 밀폐면에는 상기 접속 단자핀의 접촉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단부가 삽입배치되는 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밀폐면으로부터 상기 LED 모듈측으로 연장되는 사각틀형상의 돌출리브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와 대응하는 배치부의 상측 내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단부가 배치되어 안내이동되도록 함몰형성되는 단자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과 대응하는 배치부의 하측 내부면에는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함몰형성된 위치결정용 요홈과 대응결합되는 엠보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과 대응하는 배치부의 하측 내부면에는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위치결정용 엠보싱과 대응결합되는 요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과 대응하는 배치부의 하측 내부면에는 상기 기판의 선단이 접하는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열확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LED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투명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투명커버는 상기 기판의 전체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캡에 형성된 핀공에 고정되어 외부노출되는 노출단자로부터 LED 모듈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베이스캡과 결합되는 기판에 형성된 표면단자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접촉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베이스캡과 LED 모듈간의 결합시 접속 단자핀의 접촉단자가 기판의 표면단자에 탄력적으로 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와이어를 매개로 하는 납땜작업의 필요없이 접속 단자핀을 기판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접촉불량 및 단락불량을 예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속 단자핀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형광등 타입 LED 조명램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형광등 타입 LED 조명램프에서 베이스캡의 접속 단자핀과 와이어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램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램프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램프에 채용되는 베이스캡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종단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c)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램프에 채용되는 접속 단자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b)(c)(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램프에 채용되는 접속 단자핀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b)(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램프에 채용되는 접속 단자핀의 접촉단자와 기판의 표면단자를 일대일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9(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램프에 채용되는 베이스캡과 기판을 결합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램프를 설명한다.
상기 LED 조명램프(100)는 LED 모듈(110), 하우징(120), 베이스캡(130) 및 접속 단자핀(140)을 포함한다.
상기 LED 모듈(110)은 전원인가시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111)가 실장되는 기판(113)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113)의 좌우양단에는 상기 접속 단자핀(140)과의 접속시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일련의 회로를 형성하는 표면단자(115)를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표면단자(115)는 상기 LED 소자(111)가 탑재되는 상부면에 외부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LED 소자(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113)에 패턴인쇄된 회로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 소자(111)의 배열은 기판(113)의 양단에 대하여 동일방향으로 배치되어 직렬 연결되거나,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양측 단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3)은 상부면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11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열을 1차로 방열시키는 메탈 PC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명램프의 구조나 특성에 따라서 FR-4나 CEM PCB와 같은 다른 재질 PCB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LED 모듈(110)이 상부면에 고정설치되고, 좌우양단에 베이스캡(130)이 각각 조립되는 방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상기 LED 모듈(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 싱크(heat sink)로 구비되며, 외부면에는 열방출용 표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방열핀(122)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2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2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방열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절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열확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LED 모듈(110)이 탑재된 상부공간을 덮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LED 모듈(110)의 LED 소자(111)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투명커버(15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20)의 좌우양단에 조립되는 베이스캡(130)은 상기 하우징(120)과 대응하는 일측이 개방되고, 반대편이 밀폐된 밀폐면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밀폐면에는 상기 접속 단자핀(140)이 삽입되는 핀공(132)을 관통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투명커버(150)와 결합된 하우징(120)의 좌우양단과 조립되는 베이스캡(130)에 의해서 상기 투명커버(150)와 하우징(120)은 기존의 형광등 소켓에 장착할 수 있는 원기둥 형상의 형광등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 단자핀(140)은 상기 베이스캡(130)의 밀폐면에 관통형성된 핀공(132)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선단이 외부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출단자(142)와, 상기 베이스캡(130)과 결합되는 기판(113)의 단부에 형성된 표면단자(115)와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상기 노출단자(142)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LED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144)를 포함한다.
상기 노출단자(142)는 상기 핀공(132)에 접착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착방식으로 베이스캡(130)에 위치고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핀공(132)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수나사부(142b)를 몸체 외부면에 형성하여 나사체결방식으로 베이스캡(130)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단자(142)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핀공(13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의 노출길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몸체 외부면에 상기 핀공(132)에 걸리는 걸림턱(142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단자(144)는 상기 노출단자(142)의 단부로부터 상기 기판(113)의 표면단자(115)와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기판(113)측으로 휘어진 곡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단자(144)는 상기 기판(113)의 표면단자(115)와 대응하는 접촉면이 적어도 하나의 점접촉 부위를 갖도록 하부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속 단자핀(140)과 기판(113)간의 접속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3)의 표면단자(115)와 대응하는 접촉면이 복수의 점접촉 부위를 갖도록 파형으로 구비되거나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3)의 표면단자(115)와 대응하는 접촉면이 적어도 하나의 선접촉 부위를 갖도록 직선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LED 모듈(110)의 단부와 대응하는 베이스캡(130)의 밀폐면에는 상기 접속 단자핀(140)의 접촉단자(144)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113)의 단부가 삽입배치되는 배치부(134)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치부(134)는 상기 밀폐면으로부터 상기 LED 모듈(110)측으로 연장되는 사각틀형상의 돌출리브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144)와 대응하는 배치부(134)의 상측 내부면에는 평상시 상기 접촉단자(144)의 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표면단자(144)의 접촉시 탄성변형되는 접촉단자(144)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외부이탈없이 안내이동되도록 함몰형성되는 단자홈(134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판(113)과 대응하는 배치부(134)의 하측 내부면에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치부(134)내로 삽입되는 기판(113)의 삽입깊이를 제어함과 동시에 결합 후 기판(113)의 움직임에 의한 접촉불량 및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접촉단자(144)와 표면단자(115)가 일대일 대응되어 접촉될 때 상기 기판(113)의 하부면에 함몰형성된 위치결정용 요홈(113a)과 대응결합되는 엠보싱(134b)을 구비하거나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3)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위치결정용 엠보싱(113b)과 대응결합되는 요홈(134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판(113)과 대응하는 배치부(134)의 하측 내부면에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치부(134)내로 삽입되는 기판(113)의 삽입깊이를 제어하기 상기 접촉단자(144)와 표면단자(115)가 일대일 대응되어 접촉될 때 상기 기판(113)의 선단이 접하는 돌출턱(134d)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캡(130)과 LED 모듈(110)을 결합하면서 상기 접속 단자핀(140)을 기판(113)에 접속하는 작업은 도 9(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캡(130)의 배치부(134)와 상기 기판(113)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P)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기판(113)의 일단부는 상기 배치부(134)의 하측 내부면과 접촉단자(14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억지끼움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접촉단자(144)는 변형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부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단자(144)의 곡선부가 기판(113)의 상부면과 접촉되면서 전체길이가 길어지면서 기판측으로 길게 펴져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접촉단자(144)의 단부는 기판측으로 단자홈(134a)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113)의 삽입이 상기 기판(113)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요홈(113a)과 상기 배치부(134)에 형성된 엠보싱(134b)간의 결합 또는 상기 기판(113)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엠보싱(113b)과 상기 배치부(134)에 형성된 요홈(134c)간의 결합 또는 상기 배치부(134)에 형성된 돌출턱(134d)에 의해서 중단되면, 상기 접촉단자(144)와 표면단자(115)가 일대일 대응되어 외부전원을 LED 모듈(110)측으로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표면단자(115)와 접하는 접촉단자(144)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기판(113)을 직하부로 가압하여 이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결합 후 상기 기판(113)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접촉단자(144)와 표면단자(115)간의 접촉불량 및 쇼트에 의한 제품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LED 모듈(110)의 기판(113)과 베이스캡(130)간의 결합은 상기 LED 모듈(110)이 하우징(120)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상기 하우징(120)에 투명커버(150)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 또는 상기 투명커버(150)의 전체길이는 상기 기판(113)의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캡(130)의 배치부(134)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단자(144)와 표면단자(115)가 서로 접촉하는 여유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기판(113)의 전체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 LED 모듈 111 : LED 소자
113 : 기판 115 : 표면단자
120 : 하우징 122 : 방열핀
130 : 베이스캡 132 : 핀공
140 : 접속 단자핀 142 : 노출단자
144 : 접촉단자 150 : 투명커버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LED 모듈 ;
    상기 LED 모듈이 상부면에 고정설치되고, 좌우양단에 베이스캡이 각각 조립되는 하우징 ; 및
    상기 베이스캡에 형성된 핀공에 고정되어 외부노출되는 노출단자로부터 상기 LED 모듈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캡과 결합되는 기판에 형성된 표면단자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접촉단자를 구비하는 접속 단자핀을 포함하는 LED 조명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자는 상기 핀공에 접착부재를 매개로 하여 접착방식으로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자는 상기 핀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몸체 외부면에 형성하여 나사체결방식으로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단자는 몸체 외부면에 상기 핀공에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기판과 대응하는 하부로 볼록한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기판의 표면단자와 대응하는 접촉면이 적어도 하나의 점접촉 부위를 갖도록 파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기판의 표면단자와 대응하는 접촉면이 적어도 하나의 선접촉 부위를 갖도록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의 단부와 대응하는 베이스캡의 밀폐면에는 상기 접속 단자핀의 접촉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단부가 삽입배치되는 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밀폐면으로부터 상기 LED 모듈측으로 연장되는 사각틀형상의 돌출리브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와 대응하는 배치부의 상측 내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단부가 배치되어 안내이동되도록 함몰형성되는 단자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대응하는 배치부의 하측 내부면에는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함몰형성된 위치결정용 요홈과 대응결합되는 엠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대응하는 배치부의 하측 내부면에는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위치결정용 엠보싱과 대응결합되는 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대응하는 배치부의 하측 내부면에는 상기 기판의 선단이 접하는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열확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LED 소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투명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투명커버는 상기 기판의 전체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램프.
KR1020100125894A 2010-12-09 2010-12-09 Led 조명 램프 KR101791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94A KR101791149B1 (ko) 2010-12-09 2010-12-09 Led 조명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94A KR101791149B1 (ko) 2010-12-09 2010-12-09 Led 조명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97A true KR20120064597A (ko) 2012-06-19
KR101791149B1 KR101791149B1 (ko) 2017-10-30

Family

ID=4668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94A KR101791149B1 (ko) 2010-12-09 2010-12-09 Led 조명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1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48B1 (ko) * 2012-07-31 2013-04-03 에스제이주식회사 형광등 타입 led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CN104832811A (zh) * 2015-04-27 2015-08-12 东莞勤上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灯管结构
CN107339300A (zh) * 2014-09-28 2017-11-10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制造led直管灯的外部加热设备
CN114885566A (zh) * 2022-05-25 2022-08-09 东莞市洪港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插接端子且塑封防水型单面线路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2724B2 (en) * 2009-02-06 2012-07-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nd cap assembly for a light tube
KR100949699B1 (ko) * 2009-12-04 2010-03-29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구조가 개선된 전원단자 및 방열테이프의 분리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엘이디 형광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48B1 (ko) * 2012-07-31 2013-04-03 에스제이주식회사 형광등 타입 led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CN107339300A (zh) * 2014-09-28 2017-11-10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制造led直管灯的外部加热设备
CN107339300B (zh) * 2014-09-28 2022-02-08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制造led直管灯的外部加热设备
CN104832811A (zh) * 2015-04-27 2015-08-12 东莞勤上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灯管结构
CN114885566A (zh) * 2022-05-25 2022-08-09 东莞市洪港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插接端子且塑封防水型单面线路板
CN114885566B (zh) * 2022-05-25 2024-02-20 东莞市洪港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插接端子且塑封防水型单面线路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149B1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9188B2 (ja) Led照明組立体
US9153882B2 (en) Connector having a cylindrical section with a contact connected to an electrical wire therein
KR101448700B1 (ko) 직관형 led 램프, 램프 소켓 세트 및 조명 기구
JP5052647B2 (ja) 照明装置
KR101615839B1 (ko) 고체 조명 조립체
JP4854798B2 (ja) 照明装置
JP4926262B2 (ja) 照明装置
JP2011243392A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120064597A (ko) Led 조명 램프
KR20090003437A (ko) 착탈식 led 모듈을 갖는 발광장치
WO2014045494A1 (ja) 接続構造、配線コネクタ、および照明装置
KR10109253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JP6297299B2 (ja) 照明器具
CN106233069B (zh) 固持座以及具有固持座的led系统
JP5501543B1 (ja) 電球型の照明装置
KR101544907B1 (ko) Led 조명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구조
JP2014072154A (ja) 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JP2014072149A (ja) 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KR102031737B1 (ko) 조명 장치
JP3192284U (ja) Ledチューブランプの端部組立構造
KR101651476B1 (ko) 조명기기
JP5906405B2 (ja) 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JP5501542B2 (ja) 電球型の照明装置
JP6112444B2 (ja) 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JP2014130727A (ja) ランプ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