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791A -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791A
KR20120063791A KR1020100124923A KR20100124923A KR20120063791A KR 20120063791 A KR20120063791 A KR 20120063791A KR 1020100124923 A KR1020100124923 A KR 1020100124923A KR 20100124923 A KR20100124923 A KR 20100124923A KR 20120063791 A KR20120063791 A KR 20120063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projected
specific imag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계용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791A/ko
Priority to US13/314,569 priority patent/US20120148096A1/en
Publication of KR2012006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Abstract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화면을 투사하며, 특정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투사되는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된다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1 장치와, 상기 특정 이미지를 투사하며,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사진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다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장치를 포함함을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IMAGE USING MOBILE PROJECTOR}
본 발명은 모바일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프로젝터가 장착된 이동단말기의 이미지를 공유, 전송 및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은 문자, 그래프 또는 도형과 같은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실시 예로는 각종 전자기기의 모니터와 같은 표시부, 프린터, 프로젝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프로젝터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로도 불리며,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연결된 전자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광학 렌즈를 통해서 스크린 상에 확대하여 투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프로젝터는 포커스 렌즈가 포함된 렌즈부를 통하여 스크린 상에 특정 화면을 투사하며, 포커스 렌즈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을 수행한다. 이후 프로젝터의 위치 또는 스크린의 위치가 변경되면, 정확한 초점을 위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용하여 다시 초점 조절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의 위치가 변경되면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다시 조절해 주어야 하는데, 이 때에 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수동으로 포커스 렌즈를 돌려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나 특정 버튼을 눌러 포커스 렌즈 이송용 모터를 회전시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이전에는 고가의 장비로 분류되어 일반 사용자들보다는 대형 회의실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 회의, 논문 발표 또는 행사 등에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정용으로 제작된 기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더욱이, 휴대폰과 같은 이동단말기의 발달과 더불어, 이동단말기에 탑재되거나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도 부담스럽지 않은 크기의 휴대성이 뛰어난 모바일 프로젝터도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의 모바일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의 프로젝터는 프로젝터 모듈(101), 입력부(103), 제어부(105), 출력부(107), 저장부(109)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젝터 모듈(101)은 영상 신호를 스크린과 같은 투사면에 투사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젝터 모듈(101)에는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의 포커스를 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렌즈가 포함되어 있다. 입력부(103)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입력 수신 여부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여부 및 버튼 입력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05)는 입력부(103)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되면 특정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101)을 통해서 투사면에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부(107)는 이동단말기의 LCD 패널과 같은 화면을 의미하며, 프로젝터 모듈(101)을 통하여 투사되는 영상이 동일하게 출력된다. 저장부(109)는 특정 영상을 포함한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53)로부터 특정 영상의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바일 프로젝터는 투사면에 따라서 투사되는 영상의 크기가 커질 수 있으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원하는 영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출력되는 영상의 제어는 모바일 프로젝터가 탑재된 이동단말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즉, 자신의 모바일 프로젝터가 탑재된 이동단말기를 통해서는 다른 모바일 프로젝터가 탑재된 이동단말기가 투사하고 있는 영상의 제어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모바일 프로젝터가 서로의 위치, 클릭, 터치, 투사되는 내용 등의 정보를 공유하며 서로를 제어하거나 모바일 프로젝터를 통하여 투사되는 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 화면을 투사면에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제2 화면을 투사하는 상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투사되는 제2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투사되는 제1 화면이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된다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상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2 화면을 투사하는 상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과, 제1 화면을 투사면에 투사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투사되는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된다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상대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화면을 투사하며, 특정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투사되는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된다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1 장치와, 상기 특정 이미지를 투사하며,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사진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다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장치를 포함함을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상대 이동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자신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 이동단말기를 통하여 투사되는 사진 이미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초점 조절이 가능한 프로젝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들의 투사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확대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복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위치 인식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의 이동단말기(21)는 프로젝터 모듈(201), 저장부(203), 입출력부(205), 제어부(207), 카메라부(209), 센서부(211), 무선 네트워크 모듈(213)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젝터 모듈(201)은 제어부(207)의 제어 하에 저장부(203)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이미지를 투사면에 투사하는 역할을 한다. 입출력부(20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특정 이미지를 터치스크린 또는 LCD 패널과 같은 화면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입출력부(205)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키패드와 별도의 화면으로 나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203)는 다수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7)의 제어 하에 특정 이미지를 입출력부(205)나 프로젝터 모듈(20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부(209)는 프로젝터 모듈(201)에서 투사되는 이미지를 인식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다른 이동단말기의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이미지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인식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207)로 전달된다. 센서부(211)는 이동단말기(21)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이동단말기(21)의 움직임에 대한 결과 값을 제어부(207)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네트워크 모듈(213)은 다른 이동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07)는 프로젝터 모듈(201)을 통하여 특정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이동단말기와 통신 연결이 되면 카메라부(209)를 통하여 다른 이동단말기의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이미지를 인식하도록 제어하고, 다른 이동단말기의 프로젝터 모듈에서 투사되는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요구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구 입력에 대한 정보를 다른 이동단말기로 송신하여 요구 입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이동단말기(21)의 프로젝터 모듈(201)에는 커서 모양의 이미지를 투사하고, 통신이 연결된 다른 이동단말기의 프로젝터 모듈에는 임의의 이미지가 투사되는 경우, 사용자가 임의의 이미지에 대해서 확대, 복사, 삭제 등의 제어를 원한다면, 커서 모양의 이미지를 투사되는 임의의 이미지 위에 투사되도록 이동단말기(21)를 이동하고, 입출력부(205)를 터치, 드래그, 또는 클릭하게 되면, 해당 입력에 따라서 다른 이동단말기의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투사되는 임의의 이미지가 제어된다. 또한, 이동단말기(21)는 커서 모양의 이미지 대신 빈(Empty) 화면을 투사하고, 빈 화면의 특정 영역을 임의의 이미지 위에 투사되도록 이동단말기(21)를 이동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의 구성도를 이용하여 모바일 프로젝터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간의 정보 공유 및 제어 과정을 하기의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들의 투사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기(21)는 프로젝터 모듈(201)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21)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제1 화면(23)을 투사한다. 본 도면에서는 투사되는 화면에는 커서 모양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빈 화면 그대로 투사면에 투사할 수도 있다. 이동단말기(21)와 통신 연결되는 상대 이동단말기(31) 또한 프로젝터 모듈(301)을 이용하여 상대 이동단말기(31)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제2 화면(33)을 투사하며, 본 도면에서는 사진 이미지를 투사면에 투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단말기(21)와 상대 이동단말기(31)는 장착된 카메라부(209, 303)를 통하여 투사되는 두 화면(23, 33)을 모두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부(209, 303)의 화각이 프로젝터 모듈(201, 301)의 화각보다 휠씬 크기 때문에 투사된 두 화면(23, 33) 사이의 거리가 카메라부(209, 303)의 화각을 벗어나지만 않는다면 충분히 인식이 가능하다.
이동단말기(21)와 상대 이동단말기(31) 간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면, 이동단말기(21)은 상대 이동단말기(31)와 터치스크린 터치, 버튼 입력, 센서부(211, 305)을 통한 움직임 결과 값 등을 교환하면서 상대 이동단말기(31)를 통해 투사된 제2 화면(33)에 포함된 이미지를 제어한다. 이미지 제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는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확대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서 이동단말기(21)과 상대 이동단말기(31)는 서로 통신 연결된 상태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대 이동단말기(31)의 프로젝터 모듈(301)이 3개의 이미지가 포함된 제2 화면(33)을 투사면에 투사하고 있고, 이동단말기(21)의 프로젝터 모듈(209)이 투사하는 제1 화면(23)은 제2 화면(33) 위에 투사되고 있다. 제1 화면(23)은 본 도면에서처럼 커서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빈 화면 그대로 투사될 수도 있다. 이 때 이동단말기(21)의 사용자가 제2 화면(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를 확대하여 보고 싶은 경우, 제1 화면(23)에 포함된 커서 이미지를 제 2 화면(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 위에 투사되도록 이동단말기(21)를 이동한 후, 이동단말기(21)의 입출력부(205)를 터치 또는 클릭한다.
제1 화면(23)이 빈 화면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 화면(23)의 특정 영역을 커서 이미지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먼저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 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화면(23)의 중앙 영역을 커서 이미지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설정한 경우, 제1 화면(23)의 중앙 영역을 제2 화면(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 위에 투사되도록 이동단말기(21)를 이동한다.
입출력부(205)를 통하여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단말기(21)는 제2 화면(33)에 포함된 첫 번째 이미지의 확대 요청 메시지를 상대 이동단말기(31)로 송신하고, 상대 이동단말기(31)는 카메라부(303)를 이용하여 제1 화면(23)에 포함된 커서 이미지 또는 특정 영역이 사진 이미지(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어떠한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는지를 인식한다. 이후 첫 번째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음을 인식하면 이러한 정보를 상대 이동단말기(31)로 전달하고, 상대 이동단말기(31)는 사진 이미지(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만을 확대하여 투사한다.
제1 화면(23)이 빈 화면이고 중앙 영역을 커서 이미지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설정한 경우, 제1 화면(23)의 중앙 영역이 제2 화면(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 위에 제대로 투사되었다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LED 점멸 또는 비프음과 같은 별도의 출력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2 화면서(33)의 첫 번째 이미지의 확대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동단말기(21)의 입출력부(205)에 터치 또는 클릭되는 횟수에 따라서 특정 이미지를 축소 또는 삭제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입력 정보는 최초 이동단말기 간 통신 연결 시에 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복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서 이동단말기(21)과 상대 이동단말기(31)는 서로 통신 연결된 상태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 또한 상대 이동단말기(31)의 프로젝터 모듈(301)이 3개의 이미지가 포함된 제2 화면(33)을 투사면에 투사하고 있고, 이동단말기(21)의 프로젝터 모듈(209)이 투사하는 제1 화면(23)은 제2 화면(33) 위에 투사되고 있다. 도 5의 제1 화면(23) 또한 본 도면에서처럼 커서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빈 화면 그대로 투사될 수도 있다.
이 때에 이동단말기(21)의 사용자가 투사되는 제2 화면(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를 자신의 이동단말기(21)로 복사함과 동시에 제1 화면(23)에 투사하고 싶은 경우, 제1 화면(23)에 포함된 커서 이미지를 제2 화면(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 위에 투사되도록 이동단말기(21)를 이동한 후, 이동단말기(21)의 입출력부(205)를 터치 또는 클릭한 채로 이동단말기(21)를 제1 화면(23)가 제2 화면(33)이 겹치지 않을 때까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화면(23)이 빈 화면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 화면(23)의 특정 영역을 커서 이미지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먼저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 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화면(23)의 중앙 영역을 커서 이미지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설정한 경우, 제1 화면(23)의 중앙 영역을 제2 화면(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 위에 투사되도록 이동단말기(21)를 이동한다. 이 후, 이동단말기(21)의 입출력부(205)를 터치 또는 클릭한 채로 이동단말기(21)를 제1 화면(23)가 제2 화면(33)이 겹치지 않을 때까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단말기(21)의 제어부(207)는 입출력부(205)로부터 터치 또는 버튼 클릭이 지속되면서, 센서부(211)를 통해서 이동단말기가 이동하고 있음을 감지하면, 첫 번째 이미지의 복사 요청 메시지를 상대 이동단말기(31)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첫 번째 이미지의 복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 이동단말기(31)는 카메라부(303)를 이용하여 제1 화면(23)의 커서 이미지 또는 특정 영역이 최초에 제2 화면(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어떠한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었는지를 인식한다. 제2 화면(33)의 첫 번째 이미지 위에 제1 화면(23)의 커서 이미지 또는 특정 영역이 위치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제1 화면(23)이 제2 화면(33)과 겹치지 않는 범위로 이동하면 상대 이동단말기(31)는 투사되는 제2 화면(33)에 포함된 3개의 이미지 중 첫 번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복사하여 이동단말기(21)로 송신한다. 이동단말기(21)는 상대 이동단말기(31)로부터 첫 번째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1 화면(23)에 첫 번째 이미지를 투사하며 복사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투사되는 화면을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이동단말기(21)의 입출력부(205)를 터치 또는 클릭하면 커서 이미지의 색 변화 또는 크기 변화 등을 통해서 입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터치 또는 클릭한 채로 이동단말기(21)를 이동하는 과정 또한 투사되므로, 투사된 화면을 통해서 이동단말기(21)의 사용자가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다.
한편, 상기의 실시 예들에서는 상대 이동단말기(31)의 카메라부(303)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21)의 커서 이미지(23)를 확인하였으나, 하기의 도 6의 경우에는 카메라부(303)를 이용하지 않고, 커서 이미지의 확인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위치 인식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서 이동단말기(21)과 상대 이동단말기(31)는 서로 통신 연결된 상태로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최초 이동단말기(21)와 상대 이동단말기(31) 간의 위치 및 초기 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대 이동단말기(31)의 프로젝터 모듈(301)을 통하여 제2 화면(33)을 투사하고 이동단말기(21)의 프로젝터 모듈(209)을 통하여 제1 화면(23)을 투사한다. 제1 화면(23)과 제2 화면(33)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투사된다. 겹쳐진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제1 화면(23)에 커서 이미지를 포함하여 제2 화면(33)의 특정 영역 위에 투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이동단말기(21, 31)의 센서부를 이용하여 투사되는 투사면을 기준으로 두 이동단말기(21, 31) 간의 각도를 계산하고, 이를 초기 각도 ω로 설정한다.
이렇게 초기 각도 ω가 설정되면 두 이동단말기(21, 31)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더라도 센서부를 이용하여 두 이동단말기(21, 31) 간의 현재 각도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1 화면(23)과 제2 화면(33)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두 이동단말기(21, 31) 사이에 초기 각도 ω를 설정하고, 이동단말기(21)의 제1 화면(23)이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초기 각도 ω에 변화가 생기고, 현재의 각도를 구하여 초기 각도 ω와 대비함으로써 제1 화면(23)이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이동단말기(21, 31) 사이의 각도 계산이 정확하다면, 카메라부(209, 303) 없이도 도 4 및 도 5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단계에서 이동단말기는 이동단말기가 제어할 사진 이미지를 투사하는 상대 이동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동단말기와 상대 이동단말기 간에 통신이 수행되면, 703단계에서 이동단말기는 사진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이 과정에서 이동단말기는 제1 화면을 상대 이동단말기의 제2 화면에 포함된 사진 이미지 위에 투사하며,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705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신호를 상대 이동단말기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진 이미지를 확대하기 위하여 제1 화면에 포함된 커서 이미지 또는 제1 화면의 특정 영역을 사진 이미지 위에 겹치게 투사한 후에 입출력부를 터치하거나 특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동단말기는 상대 이동단말기로 사진 이미지를 확대하라는 입력 신호를 송신한다.
707단계에서 상대 이동단말기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대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가 투사하는 제1 화면에 포함된 커서 이미지 또는 제1 화면의 특정 영역의 위치를 인식한다. 제1 화면에 포함된 커서 이미지 또는 제1 화면의 특정 영역이 사진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다면 709단계에서 상대 이동단말기는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단말기로 송신 후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711단계에서 해당 동작을 투사한다. 예를 들어, 사진 이미지를 확대하라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상대 이동단말기는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제1 화면에 포함된 커서 이미지 또는 제1 화면의 특정 영역이 자신이 투사하는 제2 화면에 포함된 사진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 투사되고 있다면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이동단말기로 송신하고, 사진 이미지를 확대하여 투사한다.
도 7의 흐름도에서는 카메라부를 통하여 제1 화면의 커서 이미지 또는 특정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카메라부 대신 이동단말기와 상대 이동단말기의 초기 각도를 계산 후, 이후 이동단말기 또는 상대 이동단말기가 이동하면서 변하는 각도에 따라서 투사되는 커서 이미지의 위치를 판단하여 도 7의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같은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 화면을 투사면에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제2 화면을 투사하는 상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투사되는 제2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투사되는 제1 화면이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된다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상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장치가 움직인 거리 및 방향에 대한 결과 값을 계산하는 센서부와,
    투사되는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은
    커서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되는 특정 이미지 위에 겹쳐서 투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상대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부를 통하여 상기 커서 이미지가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겹쳐서 투사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장치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화면의 특정 이미지 위에 상기 제1 화면이 겹쳐서 투사되는 경우, 상기 투사면을 기준으로 상기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 간의 초기 각도를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초기 각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장치 또는 상기 상대 장치의 이동에 따라 변화된 각도를 계산하여 상기 제1 화면과 상기 제2 화면의 현재 위치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제2 화면의 특정 이미지에 겹쳐서 투사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를 터치하거나 클릭하면 상기 사진 이미지의 크기가 변화되어 투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제2 화면의 특정 이미지에 겹쳐서 투사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를 터치하거나 클릭한 채로 상기 제1 화면을 상기 제2 화면 영역 밖으로 이동하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장치로 복사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화면에 투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장치.
  9.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2 화면을 투사하는 상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과,
    제1 화면을 투사면에 투사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장치로부터 투사되는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된다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상대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을 투사하는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장치가 움직인 거리 및 방향에 대한 결과 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은
    커서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되는 특정 이미지 위에 겹쳐서 투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장치는 상기 상대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부를 통하여 상기 커서 이미지가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겹쳐서 투사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제1 화면을 투사하는 장치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의 특정 이미지 위에 상기 제1 화면이 겹쳐서 투사되는 경우, 상기 투사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면을 투사하는 장치와 상기 상대 장치 간의 초기 각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초기 각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장치 또는 상기 상대 장치의 이동에 따라 변화된 각도를 계산하여 커서 이미지와 사진 이미지의 위치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제2 화면의 특정 이미지에 겹쳐서 투사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을 투사하는 장치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거나 특정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특정 이미지의 크기가 변화되어 투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제2 화면의 특정 이미지에 겹쳐서 투사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을 투사하는 장치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거나 특정 버튼을 클릭한 채로 상기 제1 화면을 상기 제2 화면의 영역 밖으로 이동하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장치로 복사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화면에 투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방법.
  17.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화면을 투사하며, 특정 이미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투사되는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된다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1 장치와,
    상기 특정 이미지를 투사하며,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사진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다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2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화면이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투사되고 있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은
    커서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커서 이미지가 상기 특정 이미지 위에 겹쳐서 투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제어 시스템.
KR1020100124923A 2010-12-08 2010-12-08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 KR20120063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923A KR20120063791A (ko) 2010-12-08 2010-12-08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
US13/314,569 US20120148096A1 (en) 2010-12-08 2011-12-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using mobile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923A KR20120063791A (ko) 2010-12-08 2010-12-08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791A true KR20120063791A (ko) 2012-06-18

Family

ID=4619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923A KR20120063791A (ko) 2010-12-08 2010-12-08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48096A1 (ko)
KR (1) KR201200637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38A1 (ko) * 2013-08-16 2015-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투사 영상을 중첩되지 않게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8108B2 (ja) * 2016-01-20 2020-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投射システム、及び、画像投射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7145278B (zh) * 2016-03-01 2021-06-1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设备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11631381B2 (en) * 2018-11-01 2023-04-18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input position in an overlap reg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4681B2 (en) * 2007-10-05 2011-01-25 Huebner Kenneth J Interactive projector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38A1 (ko) * 2013-08-16 2015-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투사 영상을 중첩되지 않게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686522B2 (en) 2013-08-16 2017-06-20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eamles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projection images on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48096A1 (en)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0377B2 (en)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operation control apparatus
JP5696908B2 (ja) 操作表示システム
US10477145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remote communication
EP31971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tions and actions of an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capture device
US20140292724A1 (en) A display method, a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ic device
CN112099618A (zh)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6721951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20063791A (ko)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어 방법
JP2017182109A (ja) 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6208416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24037415A1 (zh) 投屏内容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016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gesture operation and storage medium
JP2017123125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1110611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ling manual focus operation amounts before and after autofoc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KR20120063935A (ko) 데이터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1537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30021642A (ko)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포커스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9317109B2 (en) Interactive image projection accessory
JP2015163930A (ja) 画像投射装置、画像投射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投射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204868B1 (ko) 프로젝션 및 가상 입력 겸용의 프로젝터 및 데이터 입력 방법
JP2016225762A (ja) 操作表示システム、操作表示装置および操作表示プログラム
JP2020197976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TWI750773B (zh) 投影系統及方法與投影顯示系統
EP40474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sensor data, terminal, and storage medium
TW201610754A (zh) 觸控感測裝置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