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396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396A
KR20120063396A KR1020100124534A KR20100124534A KR20120063396A KR 20120063396 A KR20120063396 A KR 20120063396A KR 1020100124534 A KR1020100124534 A KR 1020100124534A KR 20100124534 A KR20100124534 A KR 20100124534A KR 20120063396 A KR20120063396 A KR 20120063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image
portable terminal
face recognition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396A/ko
Publication of KR2012006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6Descriptors for shape, contour or point-related descriptors, e.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r bags of words [BoW]; Salient regional features
    • G06V10/469Contour-based spatial representations, e.g. vector-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06V40/171Local features and components; Facial parts ; Occluding parts, e.g. glasses; Geometrical relations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인 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각각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준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USING FAC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촬영 장치는, 촬영을 실행하는 장면에 적합하게 촬영 조건을 자동으로 조정하거나,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인식된 얼굴을 기준으로 초점을 조정하거나, 얼굴의 표정 변화를 인식하여 촬영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한다.
최근에는 웃는 표정과 같은 지정된 표정을 자동으로 포착하여 촬영동작이 개시되도록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웃는 표정에서 나타나는 형상학적인 특징들을 분석하여 촬영을 개시한다는 것으로, 우선,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는 기능인 얼굴 인식 기능을 통해 전체 영상에서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에서 특징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웃는 표정일 경우 자동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개인별 편차를 고려하지 않고 촬영 개시 여부에 관한 판단 기준을 제조사 측에서 획일적으로 제공할 경우, 촬영을 의도한 표정이 무시될 수 있고, 촬영을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촬영이 개시되는 등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촬영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인물들을 촬영할 경우 복수 개의 얼굴들의 각각을 인식하여 촬영자 또는 피사체가 되는 인물이 원하는 얼굴 표정을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인식된 얼굴의 표정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되는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를 포함한 촬영 대상자의 얼굴 표정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인 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각각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준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표시부와,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하는 얼굴 표정 추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각각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준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의 각 얼굴들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의 표정의 변화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사용자 시선 방향에 배치된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진 촬영 시 시선이 고정되지 않는 아이들이 카메라를 바라보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된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를 포함한 촬영 대상자의 얼굴 표정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에 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에 관한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인식된 얼굴의 표정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사용자의 시선방향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진 촬영 시 촬영 대상자의 웃는 얼굴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촬영이 가능한 단말기이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먼저, 110 과정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한다.
112 과정에서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한다.
상기 얼굴 인식 알고리즘은 전체 영상 공간에서 얼굴의 윤곽, 눈, 턱 및 입의 위치 인식을 통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이는,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물의 얼굴들에 해당하는 얼굴 영역들을 검출하기 위한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표준적인 얼굴의 기하학적인 특징들을 이용하는 얼굴 인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하학적인 특징들을 이용한 얼굴 인식은, 눈, 코, 입과 같은 얼굴의 특징점들의 위치, 크기 및 이들 사이의 거리와 같은 기하학적인 인자들을 사용하여 개인들 각각의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114 과정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한다. 이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된 얼굴의 웃음(smile), 눈깜박임(blink), 찡그림 및 무표정과 같은 얼굴의 특정 표정을 인식하는 것으로, 상기 얼굴의 특정 표정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해당 얼굴 표정에 대한 추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된 특징 벡터로부터 눈 혹은 입을 통해 관찰되는 특징적인 요소 즉, "눈이 가늘어짐", "눈 꼬리가 내려감" 및 "입의 각도가 올라감" 등의 공통적인 특징들이 관찰되며, 이러한 형상학적인 특징들을 추출하여 해당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식된 얼굴상에 찍힌 눈과 입 영역을 인식하고, 눈의 개구도, 눈의 에지 라인이 추종하는 곡선도, 입의 개구도, 입의 에지 라인이 추종하는 곡선도 등을 통해 얼굴 표정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116 과정에서는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118 과정에서는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에 대응되는 기준 이미지를 검색한다. 즉, 상기 114 과정에서 추정된 얼굴 표정이 웃음일 경우, 상기 웃음으로 설정된 기준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이 무표정일 경우, 상기 무표정으로 설정된 기준 이미지를 검색하는 것으로, 상기 인식된 얼굴로부터 추출된 특징 벡터와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사람의 감정을 표시하는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의 유사도 측정을 통해 수행된다.
이때, 상기 기준 이미지는 사람의 얼굴에서 대표적인 표정 이를 테면, 웃음, 무표정 및 찡그림과 같은 특징적인 표정을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서, 120 과정에서는 상기 검색된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느 한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프 촬영에 특화된 적어도 둘 이상의 화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상을 둘 이상의 화면에서 동시에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이미지는, 상기 112 과정에서 인식된 얼굴의 수와 동일하게 적어도 둘 이상의 화면에서 셀프 촬영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포함한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선 방향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느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110 과정~120 과정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촬영을 시도하는 사용자(31)를 포함한 촬영 대상자(32, 33)들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각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하여, 미리 설정된 이미지와 각각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준 이미지 검색을 통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에서 인식된 얼굴의 수와 동일하게 검색된 기준 이미지와 사용자를 포함한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선방향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느 하나의 화면(30)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122 과정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어느 하나의 화면(30)에 표시된 검색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에 해당하는 이미지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에 해당할 경우, 124 과정으로 이동하여 촬영을 개시하고, 체크 결과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114 과정으로 이동하여 그 이후의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은 사용자를 포함한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으로부터 추정된 얼굴 표정이 웃음일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만족할 경우 바로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기준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라도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을 만족하지 못 할 경우, 상기 114 과정으로 돌아가 그 이후의 과정을 재수행 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에 관해 도 2를 참조하며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통신부(210), 카메라부(212), 제어부(214), 제1표시부(220) 및 제2표시부(222)를 포함하는 표시부(221) 및 메모리(215)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210)은, 안테나를 이용하여 공중으로부터 무선 하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하향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08)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402)는 상기 제어부(408)로부터 입력된 상향 데이터를 변조하여 무선 하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무선 상향 신호를 안테나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무선 전송한다. 이러한 변조 및 복조는 바람직하게는 부호분할다중접소(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이외에 주파수분할다중(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방식, 시분할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방식 등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212)는 촬상 소자에서 입력되는 이미지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부(216)는 제어부(21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서와 같이 얼굴 인식 및 얼굴 표정 추정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214)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카메라부(212)를 이용하여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이용하여 상기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216)와,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하는 얼굴 표정 추정부(218)을 포함하고,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각각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준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기준 이미지를 상기 제1표시부(220) 혹은 제2표시부(222) 어느 하나의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얼굴 인식부(216)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체 영상 공간에서 얼굴의 윤곽, 눈, 턱 및 입의 위치 인식을 통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것으로,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물의 얼굴들에 해당하는 얼굴 영역들을 검출하기 위한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표준적인 얼굴의 기하학적인 특징들을 이용하는 얼굴 인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하학적인 특징들을 이용한 얼굴 인식은, 눈, 코, 입과 같은 얼굴의 특징점들의 위치, 크기 및 이들 사이의 거리와 같은 기하학적인 인자들을 사용하여 개인들 각각의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상기 얼굴 표정 추정부(218)은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한다. 이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된 얼굴의 웃음(smile), 눈깜박임(blink), 찡그림 및 무표정과 같은 얼굴의 특정 표정을 인식하는 것으로, 상기 얼굴의 특정 표정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해당 얼굴 표정에 대한 추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인식된 얼굴의 수와 동일하게 검색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에 해당하는 기준 이미지가 표시되어 촬영이 수행되기 전까지 상기 검색된 이미지가 제1표시부(220) 혹은 제2표시부(222)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인식된 얼굴로부터 추출된 특징 벡터와,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사람의 감정을 표시하는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의 유사도 측정을 통해 기준 이미지를 검색한다.
상기 표시부(221)는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선 방향으로 상기 검색된 이미지를 제1 표시부(220) 및 제2 표시부(222)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표시되는 프리뷰는 다른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221)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대면하여 제1표시부(220) 및 제2표시부(222)로 각각 위치하거나, 하나의 화면이 각각 제1표시부(220) 및 제2표시부(222)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14.. 제어부 215. 메모리
216. 얼굴 인식부 218. 얼굴 표정 추정부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각각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준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에 해당할 경우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를 포함한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의 시선방향으로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어느 하나의 화면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 알고리즘은,
    전체 영상 공간에서 얼굴의 윤곽, 눈, 턱 및 입의 위치 인식을 통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표정을 추정함은,
    상기 인식된 얼굴의 눈 영역 또는 입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벡터를 추출하여 웃음(smile), 눈깜박임(blink), 찡그림 및 무표정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이미지는,
    상기 인식된 얼굴의 수와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에 해당하는 기준 이미지가 표시되어 촬영이 수행되기 전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화면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인식된 얼굴로부터 추출된 특징 벡터와,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사람의 감정을 표시하는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의 유사도 측정을 통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8.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표시부와,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얼굴에 대한 얼굴 표정을 추정하는 얼굴 표정 추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된 얼굴 표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각각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준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된 전체 영상 공간에서 얼굴의 윤곽, 눈, 턱 및 입의 위치 인식을 통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표정 추정부는,
    상기 인식된 얼굴의 눈 영역 또는 입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웃음(smile), 눈깜박임(blink), 찡그림 및 무표정을 추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얼굴의 수와 동일하게 검색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촬영 조건에 해당하는 기준 이미지가 표시되어 촬영이 수행되기 전까지 상기 검색된 이미지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얼굴로부터 추출된 특징 벡터와,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사람의 감정을 표시하는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의 유사도 측정을 통해 기준 이미지를 검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KR1020100124534A 2010-12-07 2010-12-07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63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534A KR20120063396A (ko) 2010-12-07 2010-12-07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534A KR20120063396A (ko) 2010-12-07 2010-12-07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396A true KR20120063396A (ko) 2012-06-15

Family

ID=4668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534A KR20120063396A (ko) 2010-12-07 2010-12-07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3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69B1 (ko) * 2014-03-24 2015-0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얼굴 표정을 이용한 감정 인식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62843A (ko) * 2018-11-27 202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표정 기반 컨텐츠 추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69B1 (ko) * 2014-03-24 2015-0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얼굴 표정을 이용한 감정 인식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62843A (ko) * 2018-11-27 202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표정 기반 컨텐츠 추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97586B (zh) 脸部识别方法和装置
EP3179408A2 (en)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8928770B2 (en) Multi-subject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JP566267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554389B (zh) 拍摄方法及装置
EP2549741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capture control program product
KR101923177B1 (ko) 사용자 기반의 증강 현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730448B (zh) 基于图像处理的美颜方法及装置
US20170339287A1 (en)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2188091B (zh) 人脸信息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784164B (zh) 前景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509005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965713A (zh) 图像采集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330570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27122A (zh) 水印去除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827998B1 (ko) 얼굴 특징 기반의 가상 체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509195B (zh) 前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470321B (zh) 照片的美颜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12006339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1226585A (zh) 脸部端正度的计算方法及其计算机系统
CN110110742B (zh) 多特征融合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363725A (zh) 显示设备的人像追踪方法、系统、显示设备及存储介质
KR20090032209A (ko)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이미지를 등록하는 방법 및장치
CN112702520B (zh) 对象合照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726531B (zh) 图像拍摄方法、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