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366A - 업무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무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366A
KR20120063366A KR1020100124496A KR20100124496A KR20120063366A KR 20120063366 A KR20120063366 A KR 20120063366A KR 1020100124496 A KR1020100124496 A KR 1020100124496A KR 20100124496 A KR20100124496 A KR 20100124496A KR 20120063366 A KR20120063366 A KR 2012006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application server
request
prov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세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2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366A/ko
Publication of KR2012006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87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voi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3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ssaging or cha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업무 지원 시스템은 업무 지원 서비스를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단말 중 사내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중계하는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무 지원 시스템{SYSTEM FOR SUPPORTING WORK}
본 발명은 업무 지원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업에서 사내망과 외부 간을 중계하는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업에서는 사내 통신망을 구비하여 업무에 이용하고 있다. 사내에서는 특히 전화, 인터넷 등을 주로 이용하고, 최근 들어 전자 결재, 고객 정보 관리, 메일 등의 업무를 사내 구비된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내 업무를 위한 시스템이 늘어나면서, 기업 입장에서는 각 시스템을 구비 및 관리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내 업무를 위한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에 대해 많은 기업이 망설이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업무 지원을 위한 기능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업무 지원 서비스를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단말 중 사내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중계하는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 간의 음성 통신 호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통합 게이트웨이를 설치함으로써 업무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업무 지원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업무 지원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성하는 기능부를 간략히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업무 지원 시스템의 통합 게이트웨이를 구성하는 기능부를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모바일 단말 또는 사내 단말에 설치되어 업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도 4의 어플리케이션의 메일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도 5b는 도 4의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록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도 5c는 도 4의 어플리케이션의 공지사항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업무 지원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업무 지원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110), 어플리케이션 서버(120), 통합 게이트웨이(130) 및 사내 단말(140)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10)은 휴대 전화, 스마트폰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이다. 모바일 단말(11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합 게이트웨이(130)로 접근할 수 있으며, 통합 게이트웨이(1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사내 단말(14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110)로부터 업무 지원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각 요청에 따라 업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20)가 제공하는 업무 지원 서비스는 이메일, 연락처, 스케줄, 파일 공유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외부 통신망(예를 들어, IMS 망, WCDMA 망 등)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통합 게이트웨이(130)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110) 사내 단말(140)과 연결되어, 단말 간의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통합 게이트웨이(13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 서버(120)가 제공하는 업무 지원 서비스를 사내 단말(140)로 중계한다.
또한 사내 단말(140)은 유선 전화, VOIP 단말, 퍼스널 컴퓨터, 무선랜으로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사내 통신망을 통해 통합 게이트웨이와 연결될 수 있는 단말이다. 통합 게이트웨이(130)는 복수의 사내 단말(140)과 연결될 수 있다. 통합 게이트웨이(130)는 상술한 업무 지원 서비스 이외 사내 단말(140) 간의 내선 통화를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모바일 단말(110) 및 사내 단말(14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업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로써, 각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의 각 기능부와 송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업무 지원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성하는 기능부를 간략히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인증부(210), 이메일부(220), 메신저부(230), 연락처부(240), 파일 공유부(250), 스케줄부(260), 전자 결재부(270), 게시판부(280) 및 조직도부(290)를 포함한다.
인증부(2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업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을 받을 모바일 단말(110) 및 사내 단말(140)의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증부(210)는 모바일 단말(110) 및 사내 단말(140)로 사용자 식별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 사원번호 등) 및 패스워드를 요청하고, 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110) 및 사내 단말(140)을 인증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110)의 경우, 인증부(210)에서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통신망의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인증 서버를 통해 인증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메일부(220)는 이메일 서버 역할을 수행하여 사내 단말(140), 모바일 단말(110) 및 유선 단말로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메일부(220)는 PUSH 서비스를 제공하여 PUSH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단말은 PUSH 서비스를 통해 이메일을 수신할 수 있다.
메신저부(230)는 통합 게이트웨이(130)에 엑세스한 단말 간의 인스턴스 메신저(INSTANCE MASSENGER)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신저부(230)는 사내 단말(140) 간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내 단말(140)은 메신저를 통해 업무 관련 커뮤티케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메신저부(230)는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파일 전송 및 음성 통화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연락처부(240)는 연락처를 각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연락처부(240)는 각 단말로부터 저장된 연락처에 대해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단말로 연락처를 전송한다. 이 때, 연락처부(240)는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연락처를 타 단말로 제공하여 업무 지원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 간의 연락처가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파일 공유부(250)는 각 단말로부터 수신한 파일을 저장한다. 또한 파일 공유부(250)는 타 단말로부터 파일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파일을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
스케줄부(260)는 단말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 때, 스케줄 정보는 켈린더(Calender) 및 할일(todo) 등의 개인 스케줄이 기입된 정보이다. 스케줄부(260)는 단말로부터 스케줄 정보를 요청 받는 경우,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
전자 결재부(270)는 결제를 요청하는 단말인 제1 단말로부터 결제를 요청 받는 단말인 제2 단말에 대한 전자 결재 요청을 수신한다. 전자 결재부(270)는 제2 단말로 전자 결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제2 단말로부터 전자 결재의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한다. 전자 결재부(270)는 전자 결재 완료에 대한 메시지를 제1 단말로 전송한다.
게시판부(280)는 모바일 단말(110) 또는 사내 단말(140)로 인터넷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 단말은 게시판부(280)에서 제공하는 게시판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조직도부(290)는 통합 게이트웨이(130)를 구비한 조직의 조직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조직도부(290)는 조직도를 미리 저장하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조직도를 통신망을 통해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각 기능부는 인증부(210)를 통한 인증이 된 단말에 대해서만 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의 각 기능부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업무 지원 시스템의 통합 게이트웨이를 구성하는 기능부를 예시한 블록도이다.도 3을 참조하면, 통합 게이트웨이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부(310), 전화 교환부(320) 및 근거리 통신 제공부(33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연동부(310)는 외부 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와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업무 지원 서비스를 사내 단말(140)로 중계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연동부(310)는 사내 단말(140)로부터 연락처 정보를 요청받으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의 연락처부(240)로 연락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연동부(310)는 연락처 정보를 사내 단말(140)로 전송하여 업무 지원 서비스를 중계할 수 있다.
전화 교환부(320)는 IP-PBX(IP Private Branch Exchange)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부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방식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10) 및 사내 단말(140) 간의 음성 통화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10)이 외부에서 사내의 직원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전화 교환부(320)는 모바일 단말(11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전화 교환부(320)는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사내 단말(140)과 VOIP를 이용한 통신호를 연결한다. 이 때, 전화 교환부(320)는 IP-PBX의 기능 이외 일반 PBX 기능을 제공하여 사내 단말(140)과 사외의 유선 전화 간의 PSDN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제공부(330)는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여 무선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사내 단말(140)과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4는 모바일 단말 또는 사내 단말에 설치되어 업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도 4의 어플리케이션의 메일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고, 도 5b는 도 4의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록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고, 도 5c는 도 4의 어플리케이션의 공지사항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메일 버튼(410), 주소록 버튼(420), 공지사항 버튼(430), 전자결재 버튼(440), 일정 버튼(450)을 단말의 표시부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단말은 메일 버튼(41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도 5a의 수신 메일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은 주소록 버튼(420)이 선택되었을 때, 연락처부(240)로 주소록을 요청하여 주소록을 수신하고, 수신한 주소록을 도 5b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공지사항 버튼(430)이 선택되었을 때, 게시판부(280)로 게시판에 게시된 게시물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도 5c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업무 지원 서비스를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단말 중 사내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중계하는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 간의 음성 통신 호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지원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 별로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메일부;
    상기 단말 간의 인스턴스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연락처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연락처를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연락처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파일을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파일 공유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스케줄 정보를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스케줄부;
    상기 단말 중 제1 단말로부터 전자 결재를 요청 받고, 상기 전자 결재를 상기 단말 중 제2 단말로 요청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 결재에 대한 승인을 받아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전자 결재부;
    상기 단말로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시판부; 및
    미리 저장된 조직도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상기 조직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지원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인증부를 통해 인증된 상기 단말에 대해서만 상기 업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지원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내 통신망과 연결된 단말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부;
    상기 단말 간의 음성 통신 호를 중계하는 전화 교환부; 및
    상기 단말이 무선랜 방식을 통해 상기 사내 통신망에 연결되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지원 시스템.
KR1020100124496A 2010-12-07 2010-12-07 업무 지원 시스템 KR20120063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496A KR20120063366A (ko) 2010-12-07 2010-12-07 업무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496A KR20120063366A (ko) 2010-12-07 2010-12-07 업무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366A true KR20120063366A (ko) 2012-06-15

Family

ID=4668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496A KR20120063366A (ko) 2010-12-07 2010-12-07 업무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3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392B1 (ko) 2020-07-16 2020-11-04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화면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KR102185800B1 (ko) 2020-08-31 2020-12-02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KR20230150892A (ko) 2022-04-23 2023-10-31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유를 통한 비대면 원격 업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392B1 (ko) 2020-07-16 2020-11-04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화면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US11270317B2 (en) 2020-07-16 2022-03-08 Inswave Systems Co., Ltd. Work support system and method with screen sharing and development system for multi-platform application
KR102185800B1 (ko) 2020-08-31 2020-12-02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디바이스 공유를 통한 업무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멀티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스템
US11316859B2 (en) 2020-08-31 2022-04-26 Inswave Systems Co., Ltd. Work support system and method with device sharing and development system for multi-platform application
KR20230150892A (ko) 2022-04-23 2023-10-31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유를 통한 비대면 원격 업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882B1 (ko) 피싱 방지를 위한 발신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8457613B2 (en) Automated mobile intelligent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CN103024061A (zh) 网络通讯录共享系统及方法
CN1909454B (zh) 用于在装置间提供安全访问的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20040231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689667B1 (en) Communication using communication tokens, such as QR codes
JP2020191675A (ja) 複数の通信プラットフォームを介して通信を確立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743439B2 (en) Mobile devices having a common communication mode
KR20140051596A (ko) 사내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호 착신 시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04394B1 (en) Remote management of VoIP device contact lists
JP2013013019A (ja) 発信者情報提供装置
KR20120063366A (ko) 업무 지원 시스템
CA26661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name-based communication service
KR20160031769A (ko) 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74216B1 (ko) 가상 번호 기반의 통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한 회원 정보 안내 시스템 및 회원 정보 안내 방법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JP7023795B2 (ja) 発信者情報通知システム,発信者情報通知管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788598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remote access to an email platform
KR20090061432A (ko) 인증서를 이용한 발신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5099073A1 (ja) 個人情報付加システムおよび課金方法
US201500247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communications based upon contact relationships
CN102740168A (zh) 一种实现呼叫的方法及系统、办公系统、企业总机系统
JP2010154280A (ja) 着信制御サーバ、及び、着信制御方法
JP2014220605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904386B1 (ko) 허브 중계를 이용한 정보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