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191A -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191A
KR20120063191A KR1020100124268A KR20100124268A KR20120063191A KR 20120063191 A KR20120063191 A KR 20120063191A KR 1020100124268 A KR1020100124268 A KR 1020100124268A KR 20100124268 A KR20100124268 A KR 20100124268A KR 20120063191 A KR20120063191 A KR 20120063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sensor
sheet
seat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865B1 (ko
Inventor
문진기
황영수
황재호
신언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8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제 1접촉부재가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시트, 이 상부시트의 하측에 접착되고 외부 가압력 발생시 제 1접촉부재와 접촉되는 제 2접촉부재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하부시트, 및 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서 내외측으로 연결되게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제 1접촉부재와 제 2접촉부재의 유격 거리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고, 공기통로의 내부 체적을 초기 상태에서 제 1접촉부재와 제 2접촉부재 사이의 내부 체적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용 시트(seat)의 에스비알(SBR)센서의 공기통로 체적과 공기배출구의 직경 및 이 공기배출구와 접촉부재간의 거리를 각각 최적화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기로부터 접촉부재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SBR SENS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seat)의 에스비알(SBR;Seat Belt Resistor)센서의 공기통로 체적과 공기배출구의 직경 및 이 공기배출구와 접촉부재간의 거리를 각각 최적화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기로부터 접촉부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했는지 감지하여 미착용 시 경보음을 울려 이를 알려주는 장치와, 충돌 시에 승객이 앉은 좌석에 에어백이 팽창되도록 하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는 좌석 시트에 내장되어 있는 SBR센서가 승객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SBR센서가 승객의 탑승을 감지한 상태에서 안전벨트가 채워지지 아니하면 경보음을 울리도록 되어 있고, 에어백 팽창장치는 좌석 시트에 내장되어 있는 PPD(Passenger Presence Detector)센서가 승객의 탑승여부와 승객의 몸무게와 크기 등을 판단하여 승객이 없는 좌석에는 에어백이 팽창되지 않도록 하고 승객이 앉아 있는 좌석은 승객에 맞게 에어백의 팽창정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감지에 관련된 SBR센서와, 에어백의 팽창에 관련된 PPD센서는 승객의 안전을 위한 장치로서, 종래에는 각각 개별적인 제품으로 생산되어 별개로 좌석에 장착되었다.
기존 차량용 SBR센서는 박막형 타입으로 이루어져 탑승객 착좌시 작용하는 분포하중에 의하여 센싱셀 부위에 변형이 발생하여 상판과 하판이 접촉함에 따라 '온' 스위칭 되는 것으로서, 시트에 수분이 유입될 경우 탑승객의 승하차에 따라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판과 하판 사이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SBR센서는 유입되는 수분으로 인해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시트(seat)의 에스비알(SBR)센서의 공기통로 내부 체적을 센싱셀 영역의 내부 체적보다 크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기를 공기통로 상에 완전히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센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통로와 연결되는 공기배출구의 직경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기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려는 물기의 양을 줄여 이 물기가 센싱셀 영역까지 흐르지 않도록 함에 따라 센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기배출구와 접촉부재간의 거리를 기존에 비해 멀게 배치함으로써 공기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려는 물기가 센싱셀 영역까지 흐르지 않도록 함에 따라 센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는: 복수개의 제 1접촉부재가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시트, 이 상부시트의 하측에 접착되고 외부 가압력 발생시 제 1접촉부재와 접촉되는 제 2접촉부재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하부시트, 및 이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서 내외측으로 연결되게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제 1접촉부재와 제 2접촉부재의 유격 거리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고, 공기통로의 내부 체적을 초기 상태에서 제 1접촉부재와 제 2접촉부재 사이의 내부 체적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구의 직경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의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시트는 상기 공기배출구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제 2접촉부재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배출구는 고어텍스 재질의 멤브레인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 1접촉부재와 상기 제 2접촉부재의 이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에 스페이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용 시트(seat)의 에스비알(SBR)센서의 공기통로 내부 체적을 센싱셀 영역의 내부 체적보다 크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기를 공기통로 상에 완전히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센싱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통로와 연결되는 공기배출구의 직경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기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려는 물기의 양을 줄여 이 물기가 센싱셀 영역까지 흐르지 않도록 함에 따라 센싱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기배출구와 접촉부재간의 거리를 기존에 비해 멀게 배치함으로써 공기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려는 물기가 센싱셀 영역까지 흐르지 않도록 함에 따라 센싱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SBR;Seat Belt Resistor)센서는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를 포함한다.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는 서로 접착되어 있다. 이때, 상부시트(10)는 하부시트(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나,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의 박막 필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부시트(10)는 복수개의 제 1접촉부재(12)를 하부면에 형성하고, 하부시트(20)는 복수 개의 제 2접촉부재(22)를 상부면에 형성한다.
이때,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는 일대일 대응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는 동일 개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부시트(20)는 차량용 시트(seat) 내측에 지지되게 구비되고, 상부시트(10)는 하부시트(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는 접착이나 융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그래서, 상부시트(10)가 누르는 외력에 의해 하부시트(20)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누르는 외력'은 착석자의 하중으로 볼 수 있다.
상부시트(10)가 하부시트(20)방향으로 눌려지면, 제 1접촉부재(12)는 제 2접촉부재(22)와 접촉하게 된다.
아울러,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는 각각 통전성을 갖는 회로패턴(5)을 형성한다. 그래서, 제 1접촉부재(12)가 제 2접촉부재(22)와 접촉하게 되면, 이 접촉 신호는 회로패턴(5)을 따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전송된다.
특히, 회로패턴(5)은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편의상,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는 통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 1접촉부재(12)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상부시트(10)에 형성되고, 제 2접촉부재(22)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하부시트(20)에 형성된다.
아울러, 제 1접촉부재(10)와 제 2접촉부재(22) 및 회로패턴(5)은 대응되는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에 전도성 잉크로써 인쇄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사이에는 공기통로(30)가 형성된다. 공기통로(30)는 상부시트(10) 또는 하부시트(20) 외측으로 연결하도록 공기배출구(32)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부시트(10) 또는 하부시트(20)는 공기배출구(32)를 형성하고, 공기배출구(32)는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30)와 연결된다.
편의상, 공기배출구(32)는 하부시트(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공기통로(30)는 서로 밀착되는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대향하는 부위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일부를 밀착시키지 않도록 하여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는 초기에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가 접촉되지 않게 접착된다. 여기서, '초기'는 상부시트(10)를 누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에는 일정한 영역을 갖게 되고, 이 영역은 소정의 체적을 갖게 된다.
아울러,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가 접촉되는 외력이 발생하게 되면,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의 영역에 잔류하는 공기는 공기통로(30)를 통해 공기배출구(32)로 배출된다.
이 후,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가 접촉된 상태에서 누르는 외력이 제거되면, 제 1접촉부재(12)는 제 2접촉부재(22)와 유격되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구(32)와 공기통로(30)를 통해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의 영역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부시트(10)의 제 1접촉부재(12)를 형성한 부위는 누르는 외력 제거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도 있다.
편의상,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는 초기 상태에서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의 이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에 스페이서(50)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즉, 스페이서(50)는 외력 제거시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의 사이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스페이서(50)의 형상과 두께 및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외부의 물기가 공기배출구(32)를 통해 유입되어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의 영역까지 흐르지 않도록, 공기통로(30)와 공기배출구(32) 및 제 1접촉부재(12)와 공기배출구(32) 간의 간격은 최적화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공기통로(30)의 내부 영역에 해당되는 체적은 초기 상태에서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의 상호 이격된 내부 영역에 해당되는 체적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배출구(32)를 통해 유입되는 물기가 공기통로(30)에만 수용되도록 하여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의 공간까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공기통로(30) 내부 체적이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 영역의 체적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다면, 제 1접촉부재(12)가 제 2접촉부재(22)로부터 유격되면서 함께 유입되는 물기는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의 영역까지 강제 흡입된다.
그러나, 공기통로(30)의 내부 체적이 초기 상태에서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 체적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물기는 공기통로(30) 영역에 한해서만 강제 흡입된다.
또한, 공기배출구(32)의 직경(D)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의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배출구(32)가 최소의 직경으로 형성되면, 제 1접촉부재(12)가 제 2접촉부재(22)로부터 유격되면서 함께 유입되는 물기의 양은 기존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물기는 공기통로(30) 영역에 한해서만 강제 흡입된다.
여기서, '최소의 크기'란 제 1접촉부재(12)가 제 2접촉부재(22)로부터 유격되면서 함께 유입되는 물기가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 영역까지 흡입되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유입하는 크기를 말한다.
또한, 하부시트(20)는 공기배출구(32)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 2접촉부재(22)로부터 먼 거리(L)에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배출구(32)가 제 2접촉부재(22)로부터 최대한 먼 거리의 하부시트(20)에 형성되면, 제 1접촉부재(12)가 제 2접촉부재(22)로부터 유격되면서 함께 유입되는 물기는 공기통로(30) 영역에 한해서만 강제 흡입된다.
여기서, '최대한 먼'이란 제 1접촉부재(12)가 제 2접촉부재(22)로부터 유격되면서 공기배출구(32)를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물기가 제 1접촉부재(12)와 제 2접촉부재(22) 사이 영역까지 흡입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말한다.
한편, 공기배출구(32)는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고, 물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고어텍스 재질의 멤브레인(4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멤브레인(40)은 융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공기배출구(32)를 막도록 하부시트(20)에 연결 형성된다. 물론, 멤브레인(40)은 하부시트(20)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공기배출구(32)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상부시트 12: 제 1접촉부재
20: 하부시트 22: 제 2접촉부재
30: 공기통로 32: 공기배출구
40: 멤브레인 50: 스페이서

Claims (5)

  1. 복수개의 제 1접촉부재가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의 하측에 접착되고, 외부 가압력 발생시 상기 제 1접촉부재와 접촉되는 제 2접촉부재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하부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사이에서 내외측으로 연결되게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제 1접촉부재와 상기 제 2접촉부재의 유격 거리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로의 내부 체적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 1접촉부재와 상기 제 2접촉부재 사이의 내부 체적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의 직경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는 상기 공기배출구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제 2접촉부재로부터 멀어지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고어텍스 재질의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 1접촉부재와 상기 제 2접촉부재의 이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KR1020100124268A 2010-12-07 2010-12-07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KR101684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268A KR101684865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268A KR101684865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191A true KR20120063191A (ko) 2012-06-15
KR101684865B1 KR101684865B1 (ko) 2016-12-09

Family

ID=4668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268A KR101684865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837B1 (ko) * 2019-06-20 2019-10-29 덕일산업 주식회사 안전 벨트 경고 센서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의 발열 패드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107A (ja) * 1998-01-07 1999-07-21 Harness Syst Tech Res Ltd 水濡れ検知機能を備えた電子制御ユニットおよび水濡れ検知センサ
JP2005203282A (ja) * 2004-01-16 2005-07-28 Aisin Seiki Co Ltd 着座検知装置
JP2006032150A (ja) * 2004-07-16 2006-02-02 Fujikura Ltd 乗員検知セ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107A (ja) * 1998-01-07 1999-07-21 Harness Syst Tech Res Ltd 水濡れ検知機能を備えた電子制御ユニットおよび水濡れ検知センサ
JP2005203282A (ja) * 2004-01-16 2005-07-28 Aisin Seiki Co Ltd 着座検知装置
JP2006032150A (ja) * 2004-07-16 2006-02-02 Fujikura Ltd 乗員検知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865B1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6014B1 (en) Capacitive occupant presence det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JP4766166B2 (ja) 静電容量式乗員センサおよび静電容量式乗員センサ装置
JP5103028B2 (ja) 車両用シート
US9630525B2 (en) Seat device
US9776530B2 (en) Vehicle seat suspension mat
EP2216200B1 (en) Seat sensor apparatus for occupant presence detection
US7523679B2 (en) Switch-based seat sensor for occupant presence detection
US20080122645A1 (en) Seat sensor
JP5103027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4084069A (ja) 乗員検知装置
JP2011022124A (ja) 自動車用乗客感知装置
JP2010159043A (ja) 乗員検知システム
JP4564894B2 (ja) 乗員検知システム
KR20120063191A (ko) 차량의 시트용 에스비알센서
WO2007090737A1 (en) Vehicle seat with pressure-activatable sensor
KR102037837B1 (ko) 안전 벨트 경고 센서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의 발열 패드 및 그의 제조 방법
US9719839B2 (en) Occupant sensor and seat with such an occupant sensor
CN203479440U (zh) 落座载荷检测装置
US8022834B2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KR20110119310A (ko) 승객감지센서
JP2001122010A (ja) 着座センサ
CN107257752A (zh) 重量响应式车辆座椅占用者检测和分类方法及系统
JP5135242B2 (ja) 車両用乗員検出装置
KR20100113376A (ko) 차량용 승객 감지장치
Becker et al. TOR (total occupant recogn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