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018A -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018A
KR20120063018A KR1020100124012A KR20100124012A KR20120063018A KR 20120063018 A KR20120063018 A KR 20120063018A KR 1020100124012 A KR1020100124012 A KR 1020100124012A KR 20100124012 A KR20100124012 A KR 20100124012A KR 20120063018 A KR20120063018 A KR 20120063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ser
field
menu items
menu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623B1 (ko
Inventor
유봉수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623B1/ko
Priority to US13/992,691 priority patent/US9436350B2/en
Priority to PCT/KR2011/003565 priority patent/WO2012077876A1/ko
Priority to EP11846261.3A priority patent/EP2649943A4/en
Publication of KR2012006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or menu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각 모드별로 선택가능한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c)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을 진단장치의 실제 화면과 연동되는 진단화면 적용필드에 적용하는 단계; 및 (d) 상기 적용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을 실제 진단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Method for Realizing Editing Function of User Menu}
본 발명은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진단장치 등의 각종의 진단장치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거나 주로 사용하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한 메뉴 아이템을 사용자 편의대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진단장치를 포함한 각종의 진단장치는 기능이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서 이에 따라 표시되는 메뉴의 항목도 다양해지고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각 진단장치의 메뉴 항목에 있어서, 각 메뉴 항목들은 사용자의 개인 행동 패턴에 따라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 출시 당시에 제품 개발자들이 일률적으로 정한 바에 따라 배열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사용하는 기능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며 기기의 조작시 전문적인 소양을 필요로 하는 진단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크게 대두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의료진단장치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메뉴 아이템과 그렇지 않은 메뉴 아이템 간에 아무런 구별없이 각 단계별로 모든 항목이 표시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표시되는 각 메뉴 아이템들이 매우 복잡하게 배치되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아이템을 찾아서 선택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음파 진단장치 등의 각종의 진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거나 주로 사용하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한 메뉴 아이템을 사용자 편의대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각 모드별로 선택가능한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c)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을 진단장치의 실제 화면과 연동되는 진단화면 적용필드에 적용하는 단계; 및 (d) 상기 적용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을 실제 진단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편집필드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속성 편집필드에서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는 상기 속성은 각 메뉴 아이템의 명칭, 중요도 및 분류 그룹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실제 진단 화면 상에서 상기 메뉴 아이템이 정렬되는 기준을 정할 수 있는 자동정렬 필드를 추가로 제공하되, 상기 자동정렬 필드는 상기 속성 편집 필드에서 편집되거나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각 메뉴 아이템의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각 메뉴 아이템이 정렬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각각을 실제 진단 화면 상에 페이지별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c)에서,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은, 끌어놓기(drag and drop)에 의해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에 적용되거나, 상기 메뉴 아이템의 선택 및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 상의 소망하는 페이지 내 특정 위치의 선택에 의해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뉴 아이템은 알파벳 순 또는 속성별로 정렬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의 제공시, 상기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 중 복수의 메뉴 아이템을 그룹화하기 위한 그룹화 필드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룹화 필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그룹화된 메뉴 아이템은 상기 진단장치의 실제 화면에 그룹화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관한 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범위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적용범위(coverage) 편집필드를 추가로 제공하거나,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 내 해당 페이지 별로 적용하고자 하는 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범위를 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용범위 편집필드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초음파 진단장치 등의 각종의 진단장치를 사용할 때 자신이 선호하거나 주로 사용하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한 메뉴 아이템을 사용자 편의대로 직접 편집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메뉴 편집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구현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메뉴 편집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실시예가 구현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간략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현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종의 진단장치에서 적용된다. 각 진단장치는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00), 사용자로부터 각종 선택이나 입력을 받는 입력부(200), 대상체에 대하여 각종의 진단을 실시하는 진단부(300), 각종의 메뉴 아이템이나 진단 결과를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표시부(400), 및 각종의 사용자 입력 정보, 메뉴 설정에 관한 데이터 및 진단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은 주로 제어부(100), 입력부(200), 표시부(400) 및 저장부(500)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0)는 각 모드별로 선택가능한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101).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0)에 각 모드별 탭(tab)이 제공되고, 그 중에서 선택된 각 모드별로 선태가능한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가 영역(20)에 제공된다. 여기서, 영역(10)에는 예를 들어 초음파 진단장치인 경우 B 모드(brightness mode), C 모드(Color mode), PW 모드(Pulsed-wave mode), M 모드(Motion mode), CW 모드(Continuous wave mode) 등 초음파 진단장치의 초음파 영상 모드에 대한 탭이 제공된다. 그리고, 영역(20)에는 예를 들어 상기에서 B 모드가 선택된 경우 그에 따른 선택 가능한 메뉴 아이템들로서 Focus, Frame average, Power, Rotation 등의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가 제공된다. 이 때, 메뉴 아이템들은 영역(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명칭 정렬(Name sort), 속성 정렬(Attribute sort) 등의 탭을 통하여 각각 알파벳 순 또는 속성별로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입력부(20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S102). 즉, 진단장치의 실제 화면에 표시되도록 편집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의 선택을 입력부(200)를 통하여 받는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을 진단장치의 실제 화면과 연동되는 진단화면 적용필드(60)에 적용한다(S103). 즉, 단계(S102)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이 선택되면, 이를 진단장치의 실제 화면과 연동되는 진단화면 적용필드(60)에 적용함으로써, 그 선택된 메뉴 아이템이 진단화면 적용필드(60)의 특정 페이지(page) 내에 활성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실제 화면과 연동된다는 것은 진단화면 적용필드(60)에 적용된 내용에 기초하여 진단장치의 실제화면에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60)를 이용하여 메뉴 아이템의 각각을 실제 진단 화면 상에서 페이지별(page 1, page 2,...)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적용되는 페이지의 갯수는 영역(70)의 버튼을 이용하여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S103)에서,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은 끌어놓기(drag and drop)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진단화면 적용필드(60)에 적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메뉴 아이템의 선택 및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60) 상의 소망하는 페이지 내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진단화면 적용필드(60)에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메뉴 아이템 리스트에서 Gain 선택 후 진단화면 적용 필드(60) 상의 Page 2 내 MenuItem8 선택).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단계(S103)에서의 적용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을 실제 진단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04). 이를 통하여 상기 단계(S103)에서 진단화면 적용필드(60) 내 각 페이지 별로 적용된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템이 실제 진단장치의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초음파 진단장치 등의 각종의 진단장치를 사용할 때 자신이 선호하거나 주로 사용하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한 메뉴 아이템을 사용자 편의대로 직접 편집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S102)에서 특정 메뉴 아이템이 선택되면, 그 메뉴 아이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편집필드(40)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속성 편집필드(40)에서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는 속성들로서는 예를 들어 각각의 메뉴 아이템의 명칭, 아이템의 중요도 및 각 아이템의 속성에 따라 분류하여 그룹핑을 하기 위한 분류 그룹명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S101)에서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를 제공할 때, 그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 중 복수의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여 그룹화하기 위한 그룹화 필드(50)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그룹화 필드(50)는 복수의 메뉴 아이템 중 사용자가 그룹핑을 하여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룹화 필드(5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그룹화된 메뉴 아이템은 진단장치의 실제 화면에 그룹화되어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S102)에서 특정 메뉴 아이템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관하여 진단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진단과목 등)의 설정범위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적용범위(coverage) 편집필드(30)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진단 어플리케이션 또는 진단 과목별로 진단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메뉴 아이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적용범위 편집필드(30)는 진단화면 적용필드(60) 내 해당 페이지 별로 적용하고자 하는 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범위를 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 진단 화면 상에서 메뉴 아이템들이 정렬되는 기준을 정할 수 있는 자동정렬 필드(80)를 제공한다. 자동정렬 필드(80)는 상기 속성 편집 필드(40)에서 편집되거나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메뉴 아이템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각 메뉴 아이템들이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진단화면 상에서 메뉴가 정렬될 수 있는 정렬 기준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진단에 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 메뉴 아이템 버튼에 대하여 복수의 메뉴 아이템을 중복하여 설정하기 위한 중복 설정필드(90)를 제공한다. 다만, 이 경우 중복 설정된 각 메뉴 아이템이 활성화되는 조건은 각 메뉴 아이템 간에 상충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초음파 진단장치 등의 각종의 진단장치를 사용할 때 자신이 선호하거나 주로 사용하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한 메뉴 아이템을 사용자 편의대로 직접 편집하여 이용할 수 있다.
100 : 제어부
200 : 입력부
300 : 진단부
400 : 표시부
500 : 저장부

Claims (11)

  1. (a) 각 모드별로 선택가능한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c)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을 진단장치의 실제 화면과 연동되는 진단화면 적용필드에 적용하는 단계; 및
    (d) 상기 적용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을 실제 진단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 편집필드를 추가로 제공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편집필드에서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는 상기 속성은 각 메뉴 아이템의 명칭, 중요도 및 분류 그룹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실제 진단 화면 상에서 상기 메뉴 아이템이 정렬되는 기준을 정할 수 있는 자동정렬 필드를 추가로 제공하되,
    상기 자동정렬 필드는 상기 속성 편집 필드에서 편집되거나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각 메뉴 아이템의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각 메뉴 아이템이 정렬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 아이템의 각각을 실제 진단 화면 상에 페이지별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선택된 상기 메뉴 아이템은, 끌어놓기(drag and drop)에 의해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에 적용되거나, 상기 메뉴 아이템의 선택 및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 상의 소망하는 페이지 내 특정 위치의 선택에 의해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에 적용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아이템은 알파벳 순 또는 속성별로 정렬되어 제공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의 제공시, 상기 메뉴 아이템의 리스트 중 복수의 메뉴 아이템을 그룹화하기 위한 그룹화 필드를 추가로 제공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필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그룹화된 메뉴 아이템은 상기 진단장치의 실제 화면에 그룹화되어 표시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메뉴 아이템에 관한 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범위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적용범위(coverage) 편집필드를 추가로 제공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화면 적용필드 내 해당 페이지 별로 적용하고자 하는 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설정범위를 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용범위 편집필드를 추가로 제공하는,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KR1020100124012A 2010-12-07 2010-12-07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KR10123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012A KR101232623B1 (ko) 2010-12-07 2010-12-07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US13/992,691 US9436350B2 (en) 2010-12-07 2011-05-13 Method of realizing user menu edit function
PCT/KR2011/003565 WO2012077876A1 (ko) 2010-12-07 2011-05-13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EP11846261.3A EP2649943A4 (en) 2010-12-07 2011-05-13 Method for implementing an editing function of a user men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012A KR101232623B1 (ko) 2010-12-07 2010-12-07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018A true KR20120063018A (ko) 2012-06-15
KR101232623B1 KR101232623B1 (ko) 2013-02-13

Family

ID=4620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012A KR101232623B1 (ko) 2010-12-07 2010-12-07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36350B2 (ko)
EP (1) EP2649943A4 (ko)
KR (1) KR101232623B1 (ko)
WO (1) WO2012077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761B1 (ko) 2012-09-24 201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음파 장치 및 초음파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162836B1 (ko) * 2013-08-30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드 속성을 이용한 컨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860910B1 (ko) * 2015-12-29 201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의료 기기
CN109831589A (zh) * 2019-04-11 2019-05-31 深圳市泰衡诺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流量控制方法、流量控制装置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7008A (en) * 1992-06-23 1995-07-25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of establishing constraints and links in a distribution frame between graphical elements and resolving the constaints
JPH0844851A (ja) * 1994-07-28 1996-02-16 Hitachi Medical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
US20020173721A1 (en) * 1999-08-20 2002-11-21 Novasonics, Inc. User interface for handheld imaging devices
CN1558738A (zh) * 2001-11-22 2004-12-29 ��ʽ���綫֥ 超声波诊断设备、工作流程编辑系统和控制超声波诊断设备的方法
US8190483B2 (en) * 2006-05-02 2012-05-29 Nextep Systems, Inc. Computer-based ordering system
KR20100011669A (ko) * 2008-07-25 2010-02-03 (주)메디슨 초음파 진단 시스템에서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JP2010244418A (ja) * 2009-04-08 2010-10-28 Toshiba Tec Corp 注文受付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51375A (ko) 2009-11-10 2011-05-1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의료진단장치 및 메뉴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36350B2 (en) 2016-09-06
EP2649943A1 (en) 2013-10-16
WO2012077876A1 (ko) 2012-06-14
EP2649943A4 (en) 2017-05-24
KR101232623B1 (ko) 2013-02-13
US20140109006A1 (en)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052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iewing transition effects between pairs of images
US8952991B1 (en) Selective zoom response behavior in computing systems
US84340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windows on a display
US7716600B2 (en) Interface
JP2009277177A (ja) 画像レイアウト装置、記録媒体および画像レイアウト方法
US20110320948A1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3008017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6268120A (ja) 医用画像表示装置
TW200535633A (en) Key-based advanced navigation techniques
CN105793918B (zh) 同时显示多个视频源的视频数据
CN104545997A (zh) 一种超声设备的多屏互动操作方法和系统
KR101232623B1 (ko) 사용자 메뉴의 편집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JP2022520263A (ja) ミニプログラムのデータバインディング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783398A (zh) 显示控制与交互控制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US20130139110A1 (en) User Interface Image Navigation System for Use in Medical or Other Applications
JPH08328795A (ja) ツールボタンの設定のための方法及び編集装置
JP5028483B2 (ja) プロジェクト情報表示装置、プロジェクト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カルテ情報表示装置
JP2014073156A (ja) 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300538A (ja)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装置およびmri装置
US20100199207A1 (en) Method, device and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acquisition of measurement data in a medical imaging device
KR102331342B1 (ko) 어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 색상을 커스터마이징 하는 방법 및 장치
JP5262649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5336322A (ja) 画像表示装置
JP2019215591A (ja) 表示制御装置及び医用画像表示システム
JP6207694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