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644A -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644A
KR20120061644A KR1020100123018A KR20100123018A KR20120061644A KR 20120061644 A KR20120061644 A KR 20120061644A KR 1020100123018 A KR1020100123018 A KR 1020100123018A KR 20100123018 A KR20100123018 A KR 20100123018A KR 20120061644 A KR20120061644 A KR 2012006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ase
fuel cell
reservoir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183B1 (ko
Inventor
이승용
서상훈
김학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1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는, ⅰ)소정의 내부 공간을 지닌 케이스와, ⅱ)케이스의 전방에서 내부 공간 측으로 일부 인입되게 설치되며,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다수의 배수 포트들이 구비된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와, ⅲ)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후방 측으로 일부 인출되게 설치되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를 통과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와, ⅳ)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와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재와, ⅴ)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의 배기 포트들과 연결되고,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에서 응축되며 배수 포트들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고 그 응축수를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MUFFLER FOR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연료 전지 차량에 채용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기류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시스템의 메인 파워(Main Power) 공급원인 연료 전지 스택은 공기 중의 산소와 연료인 수소를 공급받아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고순도의 수소가 수소 저장탱크로부터 연료전지의 연료극(anode)으로 공급되고, 공기 블로워와 같은 공기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공기가 연료전지의 공기극(cathode)으로 공급된다.
연료 전지 스택으로 공급된 수소가 연료극(anode)의 촉매에서 수소 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분리된 수소 이온은 고분자 전해질 막을 통해 공기극(cathode)으로 넘어가게 되며, 이때 공기극으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가 외부 도선을 타고 들어온 전자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수분이 함유된 고온의 공기(반응하고 남은 공기로 이하에서는 "배출 공기" 라고 한다)를 배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터보 머신인 공기 블로워가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소음이 심하게 발생한다.
이에, 종래 기술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는 배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 라인을 구성하고, 이 배기 라인에 배기 가스의 기류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기를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배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생성된 응축수가 배기 라인에 고여 배압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의 배출을 위해 배기 라인에 배수 포트를 형성하는 경우 소음이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며, 동절기에 배기 라인 내의 응축수가 동결되면서 배기 라인이 막히게 되는 등의 폐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면서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는, 연료 전지 스택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라인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ⅰ)소정의 내부 공간을 지닌 케이스와, ⅱ)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내부 공간 측으로 일부 인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다수의 배수 포트들이 구비된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와, ⅲ)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후방 측으로 일부 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를 통과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와, ⅳ)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와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재와, ⅴ)상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의 배기 포트들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에서 응축되며 상기 배수 포트들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고 그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유닛은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바닥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조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 포트들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역유(U)자 형태로서 유입구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 근처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을 관통하며 유출구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벤트 관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응축수 저장유닛을 통해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응축수 만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부피가 절약되고,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 자체가 소음을 흡수하게 되므로 소음기의 흡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에 적용되는 응축수 저장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는 연료 전지 차량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은 연료로서의 수소와 산화제인 공기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 스택을 구비하는데,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수분이 함유된 습윤 공기(이하에서는 편의 상 "배기가스" 라고 한다)를 배출한다.
이 경우,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에 터보 머신인 공기 블로워가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한 소음기(100)는 이러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라인에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100)는 소음을 흡음하는 과정에 배기가스 중의 수분이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100)는 기본적으로, 케이스(10),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50), 충진재(70), 및 응축수 저장유닛(9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10)는 소음기의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10)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소음기 케이스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는 케이스(10)의 전방에서 내부 공간 측으로 일부 인입되게 설치된다.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에는 케이스(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다수의 배수 포트들(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50)는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서 후방 측으로 일부 인출되게 설치된다.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50)는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를 통과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충진재(70)는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서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와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5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데, 예를 들면 소음을 흡음하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유닛(90)은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로 유입되는 과정에 배기가스 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일정 수위로 저장되면 그 응축수를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응축수 저장유닛(90)은 도 2에서와 같이 저장조(91)와, 가이드부재(93)와, 배출부재(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도 1과 함께 이들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상기 저장조(91)는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의 배수 포트(31)와 연결된다.
상기 저장조(91)는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서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의 배수 포트(31)에 대응하여 충진재(70)가 충진된 영역에 구성된다. 이 저장조(91)는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의 배수 포트(31)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93)는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의 배수 포트(31)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조(9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재(95)는 저장조(91)에 저장된 응축수를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출부재(95)는 저장조(91)의 바닥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바, 대략 역유(U)자 형태로서 유입구(96)가 저장조(91)의 바닥면 근처에 위치하고, 그 저장조(91)의 바닥면을 관통하며 유출구(97)가 케이스(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벤트 관로(99)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재(95)는 응축수가 저장조(91)에 계속적으로 저장되면서 그 수위가 벤트 관로(99)의 최 상단 높이에 다다르는 경우에 벤트 관로(99)를 통하여 응축수를 케이스(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100)에 의하면, 연료 전지 스택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라인을 통해 유동하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배기 가스는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거치며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50)를 통해 배출되는데, 배기 가스의 고주파의 압력파가 충진재(70)에 의해 손실되면서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는 과정에,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에서는 배기가스 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응축수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응축수는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30)의 배수 포트(31)를 통해 배출되고, 가이드부재(9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저장조(91)의 자장 공간으로 저장된다.
그 후,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가 저장조(91)에 계속적으로 저장되면서 그 수위가 배출부재(95)의 벤트 관로(99)의 최 상단 높이에 다다르게 되면, 응축수는 벤트 관로(99)를 통하여 응축수를 케이스(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100)에 의하면,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수분이 응축된 응축수를 응축수 저장유닛(90)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 저장유닛(90)의 배출부재(95)를 통해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응축수 만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부피가 절약되고, 저장조(91)에 저장된 응축수 자체가 소음을 흡수하게 되므로 흡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케이스 30...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
31... 배수 포트 50...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
70... 충진재 90... 응축수 저장유닛
91... 저장조 93... 가이드부재
95... 가이드부재 95... 배출부재
99... 벤트 관로

Claims (4)

  1. 연료 전지 스택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라인에 구성되는 소음기로서,
    소정의 내부 공간을 지닌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내부 공간 측으로 일부 인입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다수의 배수 포트들이 구비된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후방 측으로 일부 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를 통과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와 배기가스 유출 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충진재; 및
    상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의 배기 포트들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 파이프에서 응축되며 상기 배수 포트들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고 그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유닛
    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유닛은,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바닥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조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 포트들을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역유(U)자 형태로서 유입구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 근처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을 관통하며 유출구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벤트 관로로서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KR1020100123018A 2010-12-03 2010-12-03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KR10140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18A KR101405183B1 (ko) 2010-12-03 2010-12-03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18A KR101405183B1 (ko) 2010-12-03 2010-12-03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644A true KR20120061644A (ko) 2012-06-13
KR101405183B1 KR101405183B1 (ko) 2014-06-10

Family

ID=4661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018A KR101405183B1 (ko) 2010-12-03 2010-12-03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658B1 (ko) * 2013-06-10 2014-11-24 세종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 자동차용 배기소음기
CN111261898A (zh) * 2018-11-30 2020-06-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车辆的消音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093B1 (ko) 2021-05-11 2023-03-07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수소자동차용 배출수 증발장치
KR102471630B1 (ko) 2021-05-11 2022-11-29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수소자동차용 배출수 자연증발장치
KR102506083B1 (ko) 2021-05-11 2023-03-07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수소자동차용 배출수 무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058A (ja) * 2000-06-22 2002-01-09 Toshitaka Ueno 降雨強度の測定装置
JP2005073463A (ja) * 2003-08-27 2005-03-17 Calsonic Kansei Corp 燃料電池自動車用の排気装置
JP4192777B2 (ja) * 2003-12-11 2008-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消音器
JP2006120455A (ja) 2004-10-21 2006-05-1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マフ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658B1 (ko) * 2013-06-10 2014-11-24 세종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 자동차용 배기소음기
CN111261898A (zh) * 2018-11-30 2020-06-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车辆的消音器
CN111261898B (zh) * 2018-11-30 2023-09-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车辆的消音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183B1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29620B (zh) 一种带有尾排集氮装置的燃料电池系统及停机吹扫方法
KR20120061644A (ko) 연료 전지 시스템용 소음기
KR101535026B1 (ko)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KR101558356B1 (ko) 이젝터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US20070048572A1 (en) Fuel cell system enclosure
JP201209939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6196388A (ja) 燃料電池車両
KR100916393B1 (ko) 연료전지 자동차용 워터트랩
KR102328442B1 (ko) 연료전지용 멤브레인형 습도 조절 장치
US9559368B2 (en) Fuel cell system having ejector
KR101209747B1 (ko) 차량용 연료 전지 시스템
KR20100010580A (ko) 연료전지용 소음기
KR102496633B1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KR20090009343A (ko) 연료전지 차량용 워터트랩 장치
CN213692130U (zh) 用于燃料电池系统的尾气排放装置
JP2019214295A (ja) 燃料電池車両
KR101755916B1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애노드 매니폴드 유로 조절장치
JP201015738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用消音器
KR101920786B1 (ko) 연료전지 스택용 가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JP200621005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969061B1 (ko) 연료전지 시스템용 공용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소 퍼지장치
KR100684806B1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JP5443693B2 (ja) 燃料電池自動車の消音器
KR10133923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의 가습장치
CN116344893B (zh) 一种氢能混动商用车氢燃料电池箱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