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603A -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 Google Patents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603A
KR20120061603A KR20100122958A KR20100122958A KR20120061603A KR 20120061603 A KR20120061603 A KR 20120061603A KR 20100122958 A KR20100122958 A KR 20100122958A KR 20100122958 A KR20100122958 A KR 20100122958A KR 20120061603 A KR20120061603 A KR 20120061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pipe
fountain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784B1 (ko
Inventor
남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12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7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분출로 물을 유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질을 정화하고, 특히 수중에 효과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도시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에 부력체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주연부에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물을 펌핑시키도록 수중으로 설치되는 수중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수중관(30)을 통해 산소를 수중으로 방출하도록 산소발생기(40)가 설치되고, 상기 수중관(30)은 내관(32)과 외관(36)으로 구성된 이중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관(32)은 하부가 개구된 채 상부가 상기 펌프(25)에 연결되고, 상기 외관(36)은 상기 내관(32)의 외측에 형성되고 표면에는 상부에 연결된 상기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산소를 수중으로 방출시키도록 다수개의 산소노즐(3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FOUNTAIN WITH WATER QUALITY PUR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에 관한 것으로, 강이나 호수의 수면에 부상되게 설치하여 물을 분출시키도록 하여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서 부패를 방지하여 수질을 정화하도록 한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수는 수중에 설치되어 펌프에 의한 강한 수압으로 노즐을 통해 물이 위로 뿜어지도록 만든 인공설비로써, 각종 공원이나 행사장 등에 주로 설치되어 환상적인 광경을 연출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시원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노즐의 수압을 조절하는 등의 조작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물기둥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분수대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들어서는 고정식 노즐에서 벗어나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식 노즐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수대는 수중에 설치됨에 따라 물이 부족한 경우 분수대가 수면위로 위치되어 짐으로써 분수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단순히 분수대의 기능만을 추구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설치비용에 비해 기대되는 효과가 적어 부족한 면이 많았다.
특히, 해상이나 강가 또는 항만이나 호숫가에는 비교적 공기가 맑고 풍경이 아름답기 때문에 정서적인 안정을 얻고자 많은 관광객들이 모여들고 있으나, 분수대만 선상에 고정되어 있어 분위기가 단조롭고 무미건조하여 관광객에게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 분출로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부패를 방지하여 수질을 정화함과 더불어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이디에 의한 조명효과를 통해 아름다운 경관을 조성할 수 있으며, 무게추에 의해 물의 유동시에도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이동관을 외관과 연결되게 설치함으로써 풍력날개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바람이동관을 통해 외관으로 유입되게 하여 대기중의 산소를 효과적으로 물속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는 강이나 호수에 부력체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주연부에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물을 펌핑시키도록 수중으로 설치되는 수중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수중관(30)을 통해 산소를 수중으로 방출하도록 산소발생기(40)가 설치되고, 상기 수중관(30)은 내관(32)과 외관(36)으로 구성된 이중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관(32)은 하부가 개구된 채 상부가 상기 펌프(25)에 연결되고, 상기 외관(36)은 상기 내관(32)의 외측에 형성되고 표면에는 상부에 연결된 상기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산소를 수중으로 방출시키도록 다수개의 산소노즐(3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풍력 또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전력발생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전력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에너지를 축적하는 축전지(5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전력발생수단 중 풍력발전을 위해 기둥(53)을 매개로 일정 높이로 풍력날개(52)가 설치되고, 상기 기둥(53)의 외측에는 상기 수중관(30)의 외관(36)과 연결되게 바람이동관(60)이 형성되며, 상기 바람이동관(60)의 상단에는 상기 풍력날개(52)의 하측에 이격되게 깔때기형상의 바람유도판(65)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중관(30)의 하단부에는 무게중심을 갖게 하여 유동을 최소화하도록 무게추(7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면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는 경관조명을 위해 엘이디(75)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 또는 수중관(30)에는 본체(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닻(8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유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질을 정화하고, 특히 수중에 효과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엘이디에 의한 경관조명으로 도시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로 하여금 정서적인 안정을 느끼도록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수대를 보인 상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의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본체의 상면을 보인 분수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이동관 및 바람유도판이 형성된 분수대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는 강이나 담수호에 부력체(15)에 의해 수면위로 부상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부력체(15)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주연부에 펌프(25)로부터 펌핑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20)과,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물을 펌핑시키도록 수중으로 설치되는 수중관(30)과, 상기 수중관(30)을 통해 산소를 수중으로 방출하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산소발생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평면에서 바라본 경우 원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물의 유동시에도 중심을 잡도록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력체(15)가 내부에 전체적으로 내장되거나 또는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진다.
이때, 상기 본체(10)에는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분사관(20)은 상기 수중관(30)에 연결된 상태로 본체(10)의 주연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와 같이 동서남북 4군데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펌프(25)는 상기 본체(10)가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과 접촉되지 않게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분사관(20)의 끝단부는 펌핑된 물의 분사각도 및 분사량, 분사형태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분사관(20)의 내부에는 관로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도록 여과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수중에 존재하는 미생물개체수 등 수질분석을 위해 별도의 분석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 구성으로서 상기 수중관(30)은 내관(32)과 외관(36)으로 구성된 이중관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관(32)을 통해 물을 펌핑시키고, 상기 외관(36)을 통해 상기 산소발생기(40)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물속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상기 내관(32)은 상부에 상기 펌프(25)가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개구된 채 물이 유입되게 개구부(33)로 형성된다.
상기 외관(36)은 상기 내관(32)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채 표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산소노즐(37)이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산소발생기(4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산소를 상기 산소노즐(37)을 통해 방출하도록 펌프 등의 방출수단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산소는 상기 산소노즐(37)을 통해 물속으로 다방향으로 방출되어져 단시간내에 물과 혼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풍력 또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전력발생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전력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앙에는 축전지(55)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전력발생수단으로 태양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솔라모듈(50)이 구비될 수 있고, 풍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앙에 기둥(53)을 매개로 일정 높이로 풍력날개(5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솔라모듈(50)과 풍력날개(52) 모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풍력날개(52)의 회전시 발생되는 바람을 유도하여 상기 외관(36)을 통해 수중으로 방출시키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기둥(53)의 외측에는 상기 수중관(30)의 외관(36)과 연결되게 바람이동관(60)이 형성되고, 상기 바람이동관(60)의 상단에는 상기 풍력날개(52)의 하측에 이격되게 깔때기형상의 바람유도판(6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람유도판(65)을 통해 상기 바람이동관(6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외관(36)을 통해 산소노즐(37)에 의해 수중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람이동관(60)으로 유입된 공기는 산소발생기(40)의 작동시 외관(36)으로 방출되는 압력에 의해 끌려들어가게 되어 그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산소와 혼합되어져 상기 외관(36)을 통해 수중으로 방출되게 된다.
여기서, 흡입력이 약한 경우에는 상기 바람이동관(60)에 별도의 흡입수단(61)을 구비하여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외관(36)으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중관(30)은 상기 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중관(30)의 하단부에는 무게중심을 갖게 하여 본체(10)의 유동을 최소화하도록 무게추(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무게추(70)는 상기 수중관(30)의 하단부 외에도 하부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분수대는 미려한 경관을 위해 엘이디(75)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엘이디(75)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발광시 특정 형상을 나타내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프레임(76)을 매개로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수대를 담수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물의 흐름이 거의 존재하지 않아 자유자재로 이동되어 기슭 등에 부딪힐 경우가 극히 드물지만, 강 등 유속이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물의 흐름으로 인해 분수대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함으로써 분수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닻(8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닻(8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 또는 수중관(30)에 설치되게 하면 되고, 상기 닻(80) 대신에 별도의 고정구를 구비하여 수중바닥에 꽂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과 같이 상기 내관(32)을 통해 물을 펌핑시켜 분사관(20)을 통해 외부로 물을 분사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물은 상기 내관(32)이 구비된 부위 즉, 본체(10)의 하부 중앙으로 모여들게 되어 유속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물의 순환으로 인해 물이 부패되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관(36)을 통해 산소를 수중으로 불어넣음으로써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게 되며, 다방향으로 산소를 방출시킴에 따라 단시간내에 물과 혼합시킬 수 있게 되는 등 효율적으로 산소를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10: 본체 15: 부력체
20: 분사관 25: 펌프
30: 수중관 32: 내관
33: 개구부 36: 외관
37: 산소노즐 40: 산소발생기
50: 솔라모듈 52: 풍력날개
53: 기둥 55: 축전지
60: 바람이동관 61: 흡입수단
65: 바람유도판 70: 무게추
75: 엘이디 76: 프레임
80: 닻

Claims (5)

  1. 강이나 호수에 부력체에 의해 부유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주연부에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물을 펌핑시키도록 수중으로 설치되는 수중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수중관(30)을 통해 산소를 수중으로 방출하도록 산소발생기(40)가 설치되고,
    상기 수중관(30)은 내관(32)과 외관(36)으로 구성된 이중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관(32)은 하부가 개구된 채 상부가 상기 펌프(25)에 연결되고, 상기 외관(36)은 상기 내관(32)의 외측에 형성되고 표면에는 상부에 연결된 상기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산소를 수중으로 방출시키도록 다수개의 산소노즐(3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풍력 또는 태양열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전력발생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전력발생수단을 통해 발생된 에너지를 축적하는 축전지(5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전력발생수단 중 풍력발전을 위해 기둥(53)을 매개로 일정 높이로 풍력날개(52)가 설치되고,
    상기 기둥(53)의 외측에는 상기 수중관(30)의 외관(36)과 연결되게 바람이동관(60)이 형성되며, 상기 바람이동관(60)의 상단에는 상기 풍력날개(52)의 하측에 이격되게 깔때기형상의 바람유도판(6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관(30)의 하단부에는 무게중심을 갖게 하여 유동을 최소화하도록 무게추(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면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는 경관조명을 위해 엘이디(75)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하부 또는 수중관(30)에는 본체(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닻(8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KR1020100122958A 2010-12-03 2010-12-03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KR101219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958A KR101219784B1 (ko) 2010-12-03 2010-12-03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958A KR101219784B1 (ko) 2010-12-03 2010-12-03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603A true KR20120061603A (ko) 2012-06-13
KR101219784B1 KR101219784B1 (ko) 2013-01-09

Family

ID=4661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958A KR101219784B1 (ko) 2010-12-03 2010-12-03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7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3672A (zh) * 2013-06-09 2013-09-11 占行波 水塘净化增氧喷水机
KR101498659B1 (ko) * 2013-03-15 2015-03-09 권소현 녹조제거장치
KR101539855B1 (ko) * 2013-10-11 2015-07-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나노 산소 살포 로봇
CN105384266A (zh) * 2015-12-08 2016-03-09 泉州师范学院 一种水体生态增氧设备
CN109488056A (zh) * 2018-12-25 2019-03-19 深圳雅居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景观水体波纹形成装置
KR20200116220A (ko) * 2019-04-01 2020-10-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357B1 (ko) 2019-12-11 2020-10-30 변민혁 물사용 시설 수질 개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185B1 (ko) * 2000-07-20 2003-04-14 소용호 수질개선용 풍차식 산소공급기
JP2005334835A (ja) * 2004-05-31 2005-12-08 Yokogawa Electric Corp 気体溶解装置
KR20090079119A (ko) * 2008-01-16 2009-07-21 윤양일 부유식 수질정화장치
KR100964461B1 (ko) * 2008-05-30 2010-06-16 김효상 회전식 수상분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59B1 (ko) * 2013-03-15 2015-03-09 권소현 녹조제거장치
CN103283672A (zh) * 2013-06-09 2013-09-11 占行波 水塘净化增氧喷水机
KR101539855B1 (ko) * 2013-10-11 2015-07-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나노 산소 살포 로봇
CN105384266A (zh) * 2015-12-08 2016-03-09 泉州师范学院 一种水体生态增氧设备
CN109488056A (zh) * 2018-12-25 2019-03-19 深圳雅居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景观水体波纹形成装置
KR20200116220A (ko) * 2019-04-01 2020-10-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신재생플랜트에 기반한 미세먼지 저감용 해무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784B1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784B1 (ko)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KR101312605B1 (ko)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US20200096213A1 (en) Humidifier with a top water-feeding structure
CN202588098U (zh) 一种浮球式太阳能深水增氧装置
US20140262737A1 (en) Wave piston desalinator
CN106246453A (zh) 一种月池内振荡水柱式波能发电装置
CN107973412A (zh) 一种水泵-生态浮岛集成水处理系统
CN109876989A (zh) 一种喷泉装置
CN215365107U (zh) 一种太阳能净化式组合生态浮岛
CN205756611U (zh) 一种气泡式节能鱼塘增氧机
JP2011196361A (ja) 水上発電装置
KR100986618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이동형 자연친화적 수질정화장치
JP2678170B2 (ja) 水上浮塔
CN201844341U (zh) 一种太阳能景观灯
CN204769369U (zh) 水池泡沫收集装置
KR101245951B1 (ko) 염전용 분수장치
CN101671080B (zh) 太阳能引导植物净化水体的装置
CN112761124A (zh) 一种蓝藻打捞拦截收集兼景观长廊装置
CN203902109U (zh) 大型园林景观影壁墙
CN210792646U (zh) 一种喷泉机芯和采用该喷泉机芯的漂浮喷泉
KR20150037258A (ko) 수질정화장치
CN209944191U (zh) 一种基于风与光发电的水域景观区灯塔式增氧与灭虫系统
CN104718879B (zh) 水面漂浮植物粉碎设备的制造方法
KR20130058151A (ko) 자연동력을 이용한 수질 개선장치
KR100814505B1 (ko) 이동식 분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