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605B1 -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605B1
KR101312605B1 KR20120017924A KR20120017924A KR101312605B1 KR 101312605 B1 KR101312605 B1 KR 101312605B1 KR 20120017924 A KR20120017924 A KR 20120017924A KR 20120017924 A KR20120017924 A KR 20120017924A KR 101312605 B1 KR101312605 B1 KR 10131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deep
deep water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1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460A (ko
Inventor
전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해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해양
Priority to KR20120017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6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02F3/16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지의 수질을 개선시키는 폭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지 바닥에 위치하는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까지 끌어올려 수평분사시킴으로써 수면과의 마찰폭기로 용존산소의 공급을 유도하고 영양염이 풍부하고 밀도가 높은 심층수가 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직 대류되어 저수지 전체에서 혼합이 이루어져 저수지의 성층화 방지 및 수질개선을 이루며, 저수지 바닥 심층수의 상부로의 수직이동 및 수면에서의 수평분사에 있어 수직이동동력은 풍력을 이용하고, 수평분사동력은 태양광 전지를 각각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밀도가 높은 저수지 심층수를 수면에서 수평분사시킴에 있어 벤츄리관을 사용하여 공기를 미세기포 형태로 포함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기포 속의 산소가 물속에 용존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미세기포가 포함된 심층수는 밀도차에 의한 심층수의 연직 대류를 지연시켜 심층수의 표층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수질개선효율을 증대시키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An Hybrid A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저수지의 수질을 개선시키는 폭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지 바닥에 위치하는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까지 끌어올려 수평분사시킴으로써 수면과의 마찰폭기로 용존산소의 공급을 유도하고 영양염이 풍부하고 밀도가 높은 심층수가 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직 대류되어 저수지 전체에서 혼합이 이루어져 저수지의 성층화 방지 및 수질개선을 이루며, 저수지 바닥 심층수의 상부로의 수직이동 및 수면에서의 수평분사에 있어 수직이동동력은 풍력을 이용하고, 수평분사동력은 태양광 전지를 각각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밀도가 높은 저수지 심층수를 수면에서 수평분사시킴에 있어 벤츄리관을 사용하여 공기를 미세기포 형태로 포함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기포 속의 산소가 물속에 용존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미세기포가 포함된 심층수는 밀도차에 의한 심층수의 연직 대류를 지연시켜 심층수의 표층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수질개선효율을 증대시키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 우리나라 저수지의 표층(수면 근처) 수온은 평균 24℃까지 상승하며, 심층 수온은 4℃까지 내려간다. 이와 같이 저수지의 표층이 가열됨에 따라 심층과의 밀도차가 발생하며 밀도차가 크게 발생할수록 저수지 상부의 표층과 저수지 하부의 심층의 물은 서로 섞이지 않는 성층화 현상이 강하게 발생하여 순환하지 않고 햇볕을 많이 쬐게 되는 표층에서는 조류가 급격히 번식해 물이 오염되는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산소가 잘 공급되지 않는 심층의 저수지 바닥에서는 퇴적물에서 유기물뿐만 아니라 철, 망간 등 중금속이 녹아나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저수지의 수질오염을 개선시키기 위해 수질정화장치의 일환으로 수중폭기장치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중폭기장치는 주로 저수지의 바닥에 기포발생기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저수지 바닥의 심층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방울이 저층에서 표층으로 즉, 연직방향으로 공기방울이 상승하면서 용존산소를 수중에 공급하고 공기방울이 저층수를 밀어 올려 표층수와 혼합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식의 경우 저수지의 바닥 즉, 심층까지 공기를 주입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요됨은 물론, 공기방울은 심층에서 저층으로 즉, 연직방향으로만 상승하기 때문에 저층수가 저수지의 상부 즉, 표층수와 혼합되는 혼합범위 역시 수직방향으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순환되는 범위나 유량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를 안게 된다.
또한, 기존의 수중폭기방식은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저수지 저층까지 주입하는 방식으로 저수지의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보다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며, 압축공기를 저수지 바닥의 깊은 수심까지 주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수중폭기장치는 압축공기를 보다 깊은 수심까지 주입하지 못하여 저수지 바닥에 설치되는 기포발생장치가 수심에 의해 제한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수중폭기장치의 경우, 저수지 바닥에 고정되는 방식이거나 또는 저수지 수면에 부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중폭기장치가 저수지의 수위나 흐름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고 또한 저수지의 수위나 흐름변화로 인해 그 설치위치가 일정 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저수지 전체의 효율적인 수질정화를 위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중폭기장치가 정위치에서 벗어나게 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또는 저수지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지 못해 손상되는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심의 제한없이 저수지 바닥에 위치하는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까지 끌어올려 수평분사시킴으로써, 수면과의 마찰폭기로 용존산소의 공급을 유도하고 영양염이 풍부하고 밀도가 높은 심층수가 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직 대류되어 저수지 전체에서 혼합이 이루어져 저수지의 성층화 방지 및 수질개선을 이루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지 바닥 심층수의 상부로의 수직이동 및 수면에서의 수평분사에 있어 수직이동동력은 풍력을 이용하고, 수평분사동력은 태양광 전지를 각각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도가 높은 저수지 심층수를 수면에서 수평분사시킴에 있어 벤츄리관을 사용하여 공기를 미세기포 형태로 포함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기포 속의 산소가 물속에 용존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미세기포가 포함된 심층수는 밀도차에 의한 심층수의 연직 대류를 지연시켜 심층수의 표층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수질개선효율을 증대시키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면에 부유하는 부이가 수평순환류에 의해 회전 즉, 맴돌이 회전하지 않도록 부체의 외부에 날개판을 부착함은 물론, 상측에 풍력터빈과 태양관 모듈을 장착한 부이가 바람이나 유속에 의해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부체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부이의 수직통관 하측에 일정 중량을 갖는 중추를 형성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풍력터빈은 회전축을 임펠러에 직결하여 에너지 변환 없이 동력을 그대로 임펠러에 전달하고, 태양광 모듈의 태양전지모듈을 상측경사와 하측경사로 이루어진 단면이 마름모 형태의 원형으로 배치하여 태양광은 물론 수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에 의해서도 발전할 수 있게 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심층수가 유입되는 이동관의 하측 말단을 일정 중량을 갖으며 저수지 바닥에 고정되는 침추에 고정시켜 저수지 바닥의 심층수가 상부로 이동하도록 하며, 이동관의 말단부 주위에는 거름망을 형성하여 흡입되는 심층수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심층수의 이동통로가 되는 이동관이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저수지의 평균수면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하여 저수지의 수위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탄성을 갖는 탄성로프를 이용하여 부이와 상기 이동관의 일측을 연결하여 저수지의 평균수면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이동관이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흐트러지지 않게 하며, 아울러 계류로프를 이용하여 부이와 침추 간을 연결하여 수위변동이나 유속변화에도 부이가 설치지점에서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지 않게 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은 저수지 바닥으로부터 심층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유입된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으로 이동시키는 통로가 되는 이동관; 저수지 수면에 부유하며 상기 이동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부체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부이; 풍력을 이용하여 심층수를 상기 이동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시키는 임펠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풍력터빈; 태양광을 이용하여 심층수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중펌프에 동력을 제공하는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여, 저수지의 심층수를 수면으로 끌어올려 수면에서 수평분사함으로써, 저수지의 상하부를 대류순환시켜 수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이는 저수지 수면에 부유하는 부체와, 상기 부이를 상하로 관통하며 그 하단은 상기 이동관과 연결되는 수직통관을 포함하고, 상기 풍력터빈의 회전축은 상기 수직통관을 통해 상기 임펠러에 직결되어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중펌프는 상기 수직통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지관으로부터 심층수를 흡입하여 벤츄리관을 통해 심층수를 고압으로 수평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은 중앙부에 관의 직경이 감소되는 협경부와, 외부에서 상기 협경부 내로 관통하여 외부 공기가 협경부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로를 포함하여, 벤츄리관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심층수 내에 미세기포가 포함되어 기포 속의 산소가 물에 용존되는 효율을 높이며, 상기 벤츄리관 및 부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부체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심층수가 수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고르게 분사되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풍력터빈은 상기 수직통관의 최상단에 회전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은 상기 수직통관의 일측에 결합하며, 태양전지모듈이 중앙부 상측으로는 상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치되고 중앙부 하측으로는 하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치되는 단면이 마름모 형태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바람의 압력을 최소화하고 태양광은 물론 수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에 의해서도 발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직통관은 그 최하단에 일정 중량을 갖는 중추를 형성하여, 상측에 풍력터빈 및 태양광 모듈을 갖춘 부이의 바람이나 유속에 의한 동요를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이는 수면 내에 위치하는 부체의 하측에 판 형태로 일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날개판을 포함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부체가 수면의 수평순환류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은 일정 중량을 갖으며 저수지 바닥에 고정되는 침추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관의 하측 말단은 상기 침추에 고정되고, 침추에 고정된 이동관의 말단부 주위에는 흡입되는 심층수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거름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은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저수지의 평균수면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으며, 상기 부이는 탄성을 갖으며 부이와 상기 이동관의 일측을 연결하여 저수지의 평균수면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이동관이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흐트러지지 않게 하는 탄성로프와, 부이와 상기 침추를 연결하여 부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하는 계류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계류로프는 상기 탄성로프를 따라 부이와 이동관의 일측까지 연결된 다음 다시 이동관의 일측에서 이동관을 따라 침추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심에 제한없이 저수지 바닥에 위치하는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까지 끌어올려 수평분사시킴으로써, 수면과의 마찰폭기로 용존산소의 공급을 유도하고 밀도가 높은 심층수가 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직 대류되어 저수지 전체에서 혼합이 이루어져 저수지의 성층화 방지 및 수질개선을 이루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저수지 바닥 심층수의 상부로의 수직이동 및 수면에서의 수평분사에 있어 수직이동동력은 풍력을 이용하고, 수평분사동력은 태양광 전지를 각각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밀도가 높고 영양염이 풍부한 저수지 심층수를 수면에서 수평분사시킴에 있어 벤츄리관을 사용하여 공기를 미세기포 형태로 포함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기포 속의 산소가 물속에 용존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미세기포가 포함된 심층수는 밀도차에 의한 심층수의 연직 대류를 지연시켜 심층수의 표층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수질개선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하는 부이가 수평순환류에 의해 회전 즉, 맴돌이 회전하지 않도록 부체의 외부에 날개판을 부착함은 물론, 상측에 풍력터빈과 태양관 모듈을 장착한 부이가 바람이나 유속에 의해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부이의 수직통관 하측에 일정 중량을 갖는 중추를 형성하여 안정감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풍력터빈은 회전축을 임펠러에 직결하여 에너지 변환 없이 동력을 그대로 임펠러에 전달하고, 태양광 모듈의 태양전지모듈을 상측경사와 하측경사로 이루어진 단면이 마름모 형태의 원형으로 배치하여 태양광은 물론 수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에 의해서도 발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심층수가 유입되는 이동관의 하측 말단을 일정 중량을 갖으며 저수지 바닥에 고정되는 침추에 고정시켜 저수지 바닥의 심층수가 상부로 이동하도록 하며, 이동관의 말단부 주위에는 거름망을 형성하여 흡입되는 심층수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심층수의 이동통로가 되는 이동관이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저수지의 평균수면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하여 저수지의 수위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탄성을 갖는 탄성로프를 이용하여 부이와 상기 이동관의 일측을 연결하여 저수지의 평균수면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이동관이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흐트러지지 않게 하며, 아울러 계류로프를 이용하여 부이와 침추 간을 연결하여 수위변동이나 유속변화에도 부이가 설치지점에서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풍력터빈과 임펠러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2의 태양광 모듈의 단면도
도 5는 태양광과 반사광이 태양전지모듈에 입사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도 2의 벤츄리관에서의 수평분사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심층수의 수평분사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평균수면 높이에서의 이동관의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저수지 최고수위에서의 이동관의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물의 흐름을 따라 날개판이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은 일정 중량을 갖으며 저수지 바닥(1002)에 고정되는 침추(10); 저수지 바닥(1002)으로부터 심층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0)를 포함하며, 유입된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1001)으로 이동시키는 통로가 되는 이동관(20); 저수지 수면(1001)에 부유하며 상기 이동관(20)을 통해 상측으로(수면으로) 이동한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1001)에서 수평방향으로 분사하는 부이(30); 풍력을 이용하여 심층수를 상기 이동관(20)을 통해 상부로 이동시키는 임펠러(3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풍력터빈(40); 태양광을 이용하여 심층수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중펌프(340)에 동력을 제공하는 태양광 모듈(50);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상기 태양광 모듈(50)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추(10)는 일정 중량을 갖으며 저수지 바닥(1002)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저수지 전체의 수질개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을 일정 간격(하나의 폭기시스템이 물을 순환시키는 범위를 고려한 간격)으로 배치시키고 그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바, 상기 침추(10)는 일정 중량을 갖으며 저수지 바닥(1002)에 고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이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폭기시스템이 항상 처음 배치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침추(10)에는 저수지 바닥(1002)으로부터 심층수를 흡입하는 후술할 이동관(20)의 유입구(210)가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침추(10)에 고정된 이동관(20)의 유입구(210) 주위에는 흡입되는 심층수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거름망(110)이 형성되어 유입구(2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관(20)은 저수지 바닥(1002)으로부터 심층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0)를 포함하며, 유입된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1001)으로 이동시키는 통로가 되는 구성으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관(20)은 하측에 위치하는 유입구(210)가 상기 침추(10)에 고정되고, 상측은 후술할 부이(30)의 수직통관(320)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210)로부터 흡입된 저수지 바닥(1002)의 심층수는 상기 이동관(20)을 통해 상향 이동되어 부이(30)의 수직통관(320)을 통해 후술할 부체(310) 내부로 이동하여 수면 근처에서 수평방향으로 분사되게 된다. 상기 이동관(20)은 PE(폴리에틸렌)와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저수지의 수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그 길이는 저수지의 평균수위 높이보다 길게, 바람직하게는 저수지의 최고 수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저수지의 수위가 상기 이동관(20)의 전체 길이보다 낮은 높이의 수위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관(20)이 물의 흐름에 따라 퍼지지 않고 항상 연직방향으로 정돈된 상태를 유지(도 8 참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부이(30)는 저수지 수면(1001)에 부유하며 상기 이동관(20)을 통해 상측으로(수면으로) 이동한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1001)에서 수평방향으로 분사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의 중심 골격이 되는 구성이다. 도 2 등을 참조하면, 상기 부이(30)는 전체적으로 저수지 수면 위에서 부유하는 부체(310)와, 상기 부체(310)를 상하 연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부는 저수지 수면 위에, 하부는 저수지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수직통관(320)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통관(320)의 상부에는 후술할 풍력터빈(40), 태양광 모듈(50), 제어부(60), 축전지(70) 등이 장착되고, 수직통관(320)의 하부에는 부이(30)의 동요를 방지하는 무게중심 역할을 수행하는 중추(370)가 장착되고, 수직통관(320)의 내부에는 심층수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임펠러(330)가 위치하며, 부체(310)의 내부에는 상부로 이동된 심층수를 수평분사시키기 위한 수중펌프(340), 벤츄리관(35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직통관(320)은 상기 부체(310)를 상하 연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부는 저수지 수면 위에, 하부는 저수지 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관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구성으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통관(320)의 최상단에는 후술할 풍력터빈(40)이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회전날개(4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20)이 상기 수직통관(320)의 내부 관로를 따라 후술할 임펠러(330)에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통관(320)의 상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풍력터빈(40)의 아래측에는 후술할 태양광 모듈(50)이 부착되어 태양광 또는 수면에 반사되는 반사광으로부터 발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통관(320)의 상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태양광 모듈(50)의 아래측에는 후술할 제어부(60) 내지 축전지(7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통관(320)의 하부 즉, 저수지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하측 말단은 상기 이동관(2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관(2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심층수가 상기 수직통관(320)을 통해 부이(30)(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체(310))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수직통관(320)과 이동관(20)이 연결되는 수직통관(320)의 말단 부위에는 일정 무게를 갖는 중추(370)가 부착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면 위로 돌출된 상기 수직통관(320)의 상부에 풍력터빈(40), 태양광 모듈(50), 축전지(70) 등의 여러 구성들이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직통관(320) 내지 부체(310)가 바람이나 수면의 일렁임 등에 의해 중심을 잡지 못하고 좌우로 심하게 요동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수직통관(320)의 최하측 말단에 일정한 무게(바람직하게는 상기 풍력터빈(40), 태양광 모듈(50), 축전지(70) 등의 무게에 상응하는 무게)를 갖는 중추(370)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중추(370)가 상기 수직통관(320)의 최하측 말단에서 무게중심 역할을 하게 되어 수직통관(320) 내지 부체(310)가 바람이나 수면의 일렁임 등에 의해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통관(32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의 관로 상에는 상기 풍력터빈(40)의 회전축(420)에 직결되어 풍력터빈(40)의 회전날개(4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임펠러(330)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임펠러(330)는 풍력터빈(40)의 회전날개(410)와 회전축(420)에 의해 직결되어 있어 바람에 의한 회전날개(4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관(20) 및 수직통관(320)을 통해 심층수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 동력 즉, 흡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은 저수지 바닥(1002)이 심층수를 수면 가까이 상측으로 끌어올리는 수직동력으로 바람에 의한 풍력터빈(40)의 회전력을 에너지 변환 없이 바로 임펠러(330)에 직결시켜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상기 부체(310)는 저수지 수면 위에서 부유할 수 있는 부력을 갖는 구성으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통관(32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부체(310)의 외부는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경량으로 부력을 증대시키면서도 탄성 및 강성을 가져 외력에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체(310)의 내부 공간은 빈 공간으로 공기가 채워지도록 형성되어 부체(310)의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체(310)는 여러 부분으로 분리,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부체(310)가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설치 및 이동이 자유로워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된다.
상기 부체(310)의 내부를 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통관(320)이 부체(310)의 상하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되는데, 이때 부체(310)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통관(320)의 일측(바람직하게는 수직통관(320) 내에 위치하는 임펠러(330)의 하측)에는 측면으로 분기되어 수직통관(320)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한 심층수가 수평분사되기 위해 빠져나오는 통로가 되는 지관(321)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상기 지관(321)의 말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층수의 수평분사를 위한 수중펌프(340)가 설치되며, 상기 수중펌프(340)에서 분사되는 출구에는 특히, 심층수를 고압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벤츄리관(35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통관(320)의 일측에서 분기된 지관(321)에 수중펌프(340)를 설치하여 가동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관(20) 및 수직통관(320)을 통해 저수지 바닥으부터 상향 이동해온 심층수는 상기 지관(321)을 통해 수중펌프(340)로 빨려들어가 상기 벤츄리관(350)을 통해 수면 근처에서 수평으로 고압 분사되면서 저수지 수면(1001) 근처의 표층수와 혼합하게 된다. 상기 지관(321), 수중펌프(340), 벤츄리관(350) 및 벤츄리관(350)의 관말이 위치하는 지점을 따라 부체(310)의 외주면에 관통형성되는 배출구(311)는 각각 부체(310)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층수가 저수지 수면(1001)에서 폭기시스템()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도 7에서는 3방향을 예시하고 있으나,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으로 고르게 분사되어 넓은 면적에서 폭넓게 표층수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수중펌프(340) 및 벤츄리관(350)을 통한 심층수의 미세기포를 포함한 고압분사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상기 수중펌프(340)의 분사되는 출구에 연결된 상기 벤츄리관(350)은 관로 내부의 중앙부에 관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협경부(351)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협경부(351)에서 관로의 직경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 벤츄리관(350)을 관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로(352)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벤츄리관(350)을 통해 수중펌프(340)에서 분사되는 심층수가 배출되게 되면, 먼저 수중펌프(340)에서 나온 심층수는 벤츄리관(350)의 관로를 따라 흐르다가 관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상기 협경부(351)를 만나게 되면서 속도는 점차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협경부(351)의 관로의 직경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는 관로 속 압력이 최소가 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로(352)를 통해 외부공기는 저압이 형성된 상기 협경부(351) 내로 빨려오게 되면서 공기가 초미세 입자 형태 즉, 초미세 기포가 되어 협경부(351)를 지나는 심층수와 함께 포함되어 상기 배출구(311)를 통해 수면 근처에서 수평방향으로 분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분사되는 심층수 내에 초미세 기포 형태로 공기방울이 포함되게 되면, 초미세 기포는 공기방울이 심층수 및 혼합된 표층수 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증대시켜 기포 속의 산소가 물속에 용존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게 되며 아울러 초미세 기포는 표면적이 극대화되어 물속 공기의 용존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수지 바닥(1002) 근처에서 올려진 심층수는 저수지 수면(1001) 근처의 표층수에 비해 밀도가 크기 때문에 심층수가 수면 근처에서 수평분사되게 되면 밀도가 큰 심층수는 다시 저수지 바닥(1002)을 향하여 하향하게 되는데, 위와 같이 수평분사되는 심층수에 초미세 기포의 공기방울을 다향 함유하여 분사시키게 되면 포함된 공기방울에 의해 수평분사된 심층수의 밀도가 가벼워져 심층수가 수면 근처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이는 곧 수평분사된 심층수가 수면 근처에서 공기와 접촉하는 시간을 증대시켜 용존효율을 증대시키고 표층수와의 혼합효율 및 수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수평분사된 심층수는 종국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지 바닥(1002)을 향해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폭기시스템이 설치된 주변에서는 심층수가 저수지 바닥(1002)과 수면(1001) 사이에서 연직대류(도 1에 도시된 ①방향)하게 되므로 단지 저수지 바닥(1002)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등의 종래의 방식에 비해 근원적으로 저수지 전체의 대류현상을 증대시켜 저수지의 성층화 방지 및 수질개선에 향상된 효과를 거두게 된다.
또한, 상기 부체(310)의 외부의 경우, 도 2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체(310)의 하측 즉, 수면(1001) 내에 위치하는 부체(310)의 하측에 판 형태로 일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날개판(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수면(1001)에 부유하고 있는 상기 부체(3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저수지 물의 흐름에 따라 원통형의 부체(310)가 수시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부체(310)가 수시로 회전하게 되면 그에 부착된 다른 구성들의 작동이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날개판(360)은 수면(1001) 내에 위치하는 부체(310)의 하측에 판 형태로 일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날개판(360)이 물의 흐름 방향을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부체(310)가 제자리에서 계속 회전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판(360)은 물의 흐름 방향에 순응하여 물의 흐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위치(도 10의 (1) 및 (2) 참조)되므로, 부체(310) 자체가 제자리에서 자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관(20)은 PE(폴리에틸렌)와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저수지의 수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그 길이는 저수지의 평균수위 높이보다 길게, 바람직하게는 저수지의 최고 수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저수지의 수위가 상기 이동관(20)의 전체 길이보다 낮은 높이의 수위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긴 길이의 상기 이동관(20)이 물의 흐름에 따라 퍼지지 않고 항상 연직방향으로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탄성로프(3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로프(380)는 탄성을 갖으며 일측은 상기 부체(310)(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판(36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관(20)의 일측에 연결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지 수위가 상기 이동관(20)의 전체 길이보다 낮은 높이의 수위(일 예로, 저수지 평균수면 높이)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탄성로프(380)가 상기 이동관(20)의 일측을 탄성에 의해 당긴 상태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상기 이동관(20)은 연직방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한 번 말아 올려진 상태로 정돈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지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날개판(360)과 이동관(20)의 일측 사이의 간격이 길어짐에 따라 탄성을 갖는 상기 탄성로프(380)는 늘어나게 되면서 상기 이동관(20)은 연직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길게 나열되는 상태로 정돈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탄성로프(380)는 저수지의 수위 변동에도 불구하고 항상 상기 이동관(20)이 수면 내에서 꼬이거나 늘어지지 않고 연직방향으로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관(20)이 배나 다른 장비나 기구에 걸려 파손되는 경우 등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면(1001) 위에 부유하는 상태로 존재하는 상기 부이(30)가 처음 설치된 지점에서 이탈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부이(30)와 침추(10)를 연결하여 부이(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계류로프(3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계류로프(390) 역시 상기 부이(30)와 침추(10) 사이를 연결함에 있어서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이(30)(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체(310) 하측의 날개판(360))와 이동관(20)의 일측 사이는 상기 탄성로프(380)를 따라 탄성로프(380)와 병렬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이동관(20)의 일측에서 침추(10) 사이는 이동관(20)을 따라 이동관(20)의 측면에 부착되어 위치함으로써, 계류로프(390)가 꼬이거나 늘어지지 않고 연직방향으로 정돈된 탄성로프(380) 및 이동관(20)과 함께 연직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부이(30)의 위치가 침추(10)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넓은 면적의 저수지 수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저수지 곳곳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폭기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폭기시스템()의 작용반경을 고려한 일정 간격 배치가 항상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상기 계류로프(390)의 기능이 중요하다.
상기 풍력터빈(40)은 풍력을 이용하여 심층수를 상기 이동관(20)을 통해 상부로 이동시키는 임펠러(3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풍력터빈(40)은 상기 수직통관(320)의 가장 상부에 위치하여 저수지 수면(1001) 근처에서 부는 바람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생성하게 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풍력터빈(40)의 회전날개(410)는 저수지 수면(1001) 근처에서 부는 바람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바람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410)의 중심에 위치하는 회전축(420) 역시 회전날개(4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420)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관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수직통관(320)의 관로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수직통관(320)의 관로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임펠러(330)에 직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회전축(420)의 회전력은 그대로 상기 임펠러(33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풍력터빈(40)은 바람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410)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에너지 변환과정 없이 바로 상기 임펠러(330)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되도록 함으로써 친환경 그린에너지를 효율성 있게 활용하게 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5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심층수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중펌프(34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통관(320)의 일측에 결합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50)의 전체적인 단면 형성구조는 태양전지모듈이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으로는 상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치되는 제1태양전지모듈(510)과, 하측으로는 하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치되는 제2태양전지모듈(520)이 맞닿아 형성되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태양광 모듈(50)의 상하 단면이 마름모 형태의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이 일출하여 일몰되는 시간 동안 상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치된 상기 제1태양전지모듈(510)은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②)을 직접 받아 발전을 하게 되며, 상기 제2태양전지모듈(520)은 태양광이 저수지 수면(1001)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반사광(③)을 받아 발전을 하게 되므로, 직접 입사되는 태양광(②)은 물론 저수지의 특성상 수면(1001)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반사광(③)에 의해서도 발전을 하게 되어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태양광 모듈(50)의 마름모 형태의 구조는 측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압력을 최소화시키는 데에 있어서도 효율적인 구조가 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50)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상하로 연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필요로 하는 발전량에 따라) 보다 많은 개수가 연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태양광 모듈(50), 수중펌프(340) 등의 온오프 및 작동시간 등을 필요에 따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축전지(70)는 상기 태양광 모듈(50)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축전지(70)에 저장된 전기는 상기 제어부(60) 및 수중펌프(340)의 작동을 위해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은 특히, 저수지 바닥에 위치하는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까지 끌어올려 수평분사시킴으로써 수면과의 마찰폭기로 용존산소의 공급을 유도하고 밀도가 높은 심층수가 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직 대류되어 저수지 전체에서 혼합이 이루어져 저수지의 성층화 방지 및 수질개선을 이루며, 저수지 바닥 심층수의 상부로의 수직이동 및 수면에서의 수평분사에 있어 수직이동동력은 풍력을 이용하고 수평분사동력은 태양광 전지를 각각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밀도가 높은 저수지 심층수를 수면에서 수평분사시킴에 있어 벤츄리관을 사용하여 공기를 미세기포 형태로 포함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기포 속의 산소가 물속에 용존되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밀도차에 의한 심층수의 연직 대류를 지연시켜 심층수의 표층 체류시간을 연장하여 수질개선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수면에 부유하는 부이의 맴돌이 회전을 방지하고 상측에 풍력터빈과 태양관 모듈 등을 장착한 부이의 바람이나 유속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며, 수중에 위치하는 이동관이 저수지의 수위변화에 대응하면서도 흐트러지지 않고 항상 연직방향으로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계류로프를 이용하여 부이와 침추 간을 연결하여 수위변동이나 유속변화에도 부이가 설치지점에서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지 않게 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침추 110: 거름망
20: 이동관 30: 부이
310: 부체 311: 배출구
320: 수직통관 321: 지관
330: 임펠러 340: 수중펌프
350: 벤츄리관 351: 협경부 352: 공기유입로
360: 날개판 370: 중추
380; 탄성로프 390: 계류로프
40: 풍력터빈 410: 회전날개 420: 회전축
50: 태양광 모듈 510: 제1태양전지모듈 520: 제2태양전지모듈
60: 제어부 70: 축전지
1001: 저수지 수면 1002: 저수지 바닥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저수지 바닥으로부터 심층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유입된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으로 이동시키는 통로가 되는 이동관과; 저수지 수면에 부유하며 상기 이동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 심층수를 저수지 수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분사하는 부이와; 풍력을 이용하여 심층수를 상기 이동관을 통해 상부로 이동시키는 임펠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풍력터빈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심층수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수중펌프에 동력을 제공하는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여, 저수지의 심층수를 수면으로 끌어올려 수면에서 수평분사함으로써 저수지의 상하부를 대류순환시켜 수질을 개선하며,
    상기 부이는 저수지 수면에 부유하는 부체와, 상기 부이를 상하로 관통하며 그 하단은 상기 이동관과 연결되는 수직통관을 포함하고, 상기 풍력터빈의 회전축은 상기 수직통관을 통해 상기 임펠러에 직결되어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중펌프는 상기 수직통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지관으로부터 심층수를 흡입하여 벤츄리관을 통해 심층수를 고압으로 수평분사시키고,
    상기 벤츄리관은 중앙부에 관의 직경이 감소되는 협경부와, 외부에서 상기 협경부 내로 관통하여 외부 공기가 협경부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로를 포함하여, 벤츄리관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심층수 내에 미세기포가 포함되어 기포 속의 산소가 물에 용존되는 효율을 높이며, 상기 벤츄리관 및 부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는 부체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심층수가 수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고르게 분사되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터빈은 상기 수직통관의 최상단에 회전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은 상기 수직통관의 일측에 결합하며, 태양전지모듈이 중앙부 상측으로는 상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치되고 중앙부 하측으로는 하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치되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되어, 바람의 압력을 최소화하고 태양광은 물론 수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에 의해서도 발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통관은 그 최하단에 일정 중량을 갖는 중추를 형성하여, 상측에 풍력터빈 및 태양광 모듈을 갖춘 부이의 바람이나 유속에 의한 동요를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는 수면 내에 위치하는 부체의 하측에 판 형태로 일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날개판을 포함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부체가 수면의 수평순환류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시스템은
    일정 중량을 갖으며 저수지 바닥에 고정되는 침추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관의 하측 말단은 상기 침추에 고정되고, 침추에 고정된 이동관의 말단부 주위에는 흡입되는 심층수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거름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은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저수지의 평균수면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으며,
    상기 부이는 탄성을 갖으며 부이와 상기 이동관의 일측을 연결하여 저수지의 평균수면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이동관이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흐트러지지 않게 하는 탄성로프와, 부이와 상기 침추를 연결하여 부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하는 계류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계류로프는 상기 탄성로프를 따라 부이와 이동관의 일측까지 연결된 다음 다시 이동관의 일측에서 이동관을 따라 침추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KR20120017924A 2012-02-22 2012-02-22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KR10131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7924A KR101312605B1 (ko) 2012-02-22 2012-02-22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7924A KR101312605B1 (ko) 2012-02-22 2012-02-22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460A KR20130096460A (ko) 2013-08-30
KR101312605B1 true KR101312605B1 (ko) 2013-09-30

Family

ID=4921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17924A KR101312605B1 (ko) 2012-02-22 2012-02-22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929B1 (ko) * 2014-11-21 2016-02-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산염 제거를 위한 심층수 산포용 공기 분무장치
KR101636336B1 (ko) * 2014-11-27 2016-07-05 주식회사 앤픽스 회전형 수질정화장치
CN105776595A (zh) * 2016-04-26 2016-07-20 北京东方利禾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生态景观型演艺曝气喷泉
CN107487824B (zh) * 2017-08-26 2020-09-29 启尚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污水处理中的喷淋出药设备及喷淋出药方法
CN107739100B (zh) * 2017-12-01 2021-07-13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混合充氧‐人工浮岛集成水质修复装置
KR101980335B1 (ko) * 2018-09-03 2019-05-20 전웅식 수질개선을 위한 전층순환 분사장치
CN109095630B (zh) * 2018-09-17 2024-02-27 浙江明烁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外部滤网的曝气机
CN111825226A (zh) * 2020-07-31 2020-10-27 华川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液力传送的内源生态修复组合装置
CN112811760A (zh) * 2021-02-25 2021-05-1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太阳能的对淤泥氧化分解的移动装置
CN114105329A (zh) * 2021-10-26 2022-03-01 北京爱尔斯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四周喷射纳米气泡的太阳能涌泉曝气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13U (ko) * 1996-09-06 1998-06-25 김백기 무동력 저수지 수질개선 장치
JP2009202038A (ja) * 2008-02-26 2009-09-10 Kyuuyama:Kk 太陽光発電による浮体式水循環ろ過エアレーション水質浄化装置
KR20100001068U (ko) * 2010-01-11 2010-02-01 코스맥 주식회사 솔라 물 순환장치
KR101048970B1 (ko) 2011-02-16 2011-07-12 (주)에코코 공원 및 호수에 설치되는 물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13U (ko) * 1996-09-06 1998-06-25 김백기 무동력 저수지 수질개선 장치
JP2009202038A (ja) * 2008-02-26 2009-09-10 Kyuuyama:Kk 太陽光発電による浮体式水循環ろ過エアレーション水質浄化装置
KR20100001068U (ko) * 2010-01-11 2010-02-01 코스맥 주식회사 솔라 물 순환장치
KR101048970B1 (ko) 2011-02-16 2011-07-12 (주)에코코 공원 및 호수에 설치되는 물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460A (ko)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605B1 (ko) 하이브리드 폭기시스템
JP5242135B2 (ja) 水流発電装置
US20070257492A1 (en) Submersible electrical power generating plant
JP5688764B2 (ja) 水上発電装置
KR101794207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
KR101175896B1 (ko) 어류 산란장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CN110949632A (zh) 半潜型漂浮式风机基础、风机及其施工方法
CN109329150A (zh) 可移动的深水网箱承托装置
KR101345225B1 (ko) 파력 발전 시스템
KR101219784B1 (ko)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분수대
CN201962132U (zh) 一种增氧活水机
KR101606398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수질 개선장치
CN201563489U (zh) 动态固泊网箱
KR101334600B1 (ko) 태양광 발전용 수상 플로트
CA1262052A (en) Water circulator device
JP2011196361A (ja) 水上発電装置
KR20150003965A (ko) 태양광 발전과 자립식 수면 교반장치를 이용한 용승류 발생장치
CN202941290U (zh) 自动化风光混合能增氧水处理机
CN214648859U (zh) 利用太阳能、风能和海流能互补发电供能的海洋浮标
JP5371081B2 (ja) 水車および該水車を使用する波エネルギー利用装置
EP4336996A1 (en) Free flow artificial upwelling system and method
CN208732749U (zh) 管道曝气输水混合装置
KR101469955B1 (ko) 파력 에너지를 이용한 양식장의 물 순환 구조
JP2011083667A (ja) 環境浄化装置
CN204907558U (zh) 一种重力射流式景观增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