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963A -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963A
KR20120060963A KR1020100093406A KR20100093406A KR20120060963A KR 20120060963 A KR20120060963 A KR 20120060963A KR 1020100093406 A KR1020100093406 A KR 1020100093406A KR 20100093406 A KR20100093406 A KR 20100093406A KR 20120060963 A KR20120060963 A KR 20120060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levator
position error
switch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643B1 (ko
Inventor
김승수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6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승강로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에 설치되어 카운트 웨이트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 하향 리미트 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하향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도록 하는 유효한 값이 입력되거나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 도착 시 제 2 캠과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로의 비접속에 의한 무효 값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VATOR OPERA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카(elevator-car)의 종단층 도착 시 승강로 천장 및 바닥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승강로의 종단층에는 엘리베이터-카가 최상층 또는 최하층의 한계 레벨을 벗어날 경우 더 이상의 동일 방향으로 운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충돌 방지용 리미트 스위치 또는 종단층 밴(vane)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리미트 스위치는 승강로 상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고 엘리베이터-카에 부착된 캠(CAM)에 의해 온/오프(ON/OFF) 상태가 변경되어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리미트 스위치들의 출력 값들은 별도의 전선을 통해 제어반으로 전송되며, 이러한 출력 값들에 의해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가 승강로 상에서 상향 종단층의 상부에 구성되며, 하향 종단층의 하부에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리미트 스위치가 승강로의 하층부에 설치되는 경우는 승강로 바닥까지 전선이 설치되어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유기 전압, 노이즈 등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서와 같이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에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는 경우 리미트 스위치 및 전성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 상층부와 하층부를 오가면서 상태를 점검하는데 따른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리미트 스위치를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설치하고 승강로의 내부 상에 캠을 설치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그런데, 리미트 스위치를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전선의 설치 비용을 일부 감소시킬 수 있으나, 주행 케이블의 용량 증가에 따른 비용 상승 문제 및 유도 전압 등의 요인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엘리베이터-카의 상향 또는 하향 종단층 도착 이후 동일 방향의 주행 지속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상향 또는 하향 충돌을 예방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출동 방지용 리미트 스위치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카와 카운트 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의 늘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승강로 상에서 상하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카; 와이어 로프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와 연결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카운트 웨이트; 승강로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에 설치되며, 카운트 웨이트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 중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 및 상기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도록 하는 상기 유효한 값이 입력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 도착 시 상기 제 2 캠과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로의 비접속에 의한 무효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카가 상향 또는 하향 종단층에 도착된 이후 동일 방향으로 운행을 지속할 경우 엘리베이터-카의 위치를 다단계로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주행을 감속 또는 정지하도록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카와 카운트 웨이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의 늘어짐에 따른 로프 위치 오류 발생을 감지하면 엘리베이터-카의 주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하향 종단층의 리미트 스위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 로프에 대한 로프 위치 오류 발생이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관리 단말로 와이어 로프의 늘어짐에 따른 오류 발생을 보고함으로써, 신속한 점검 및 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승강로의 상부에 엘리베이터-카의 상향 또는 하향 종단층의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전선의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의 상태 점검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엘리베이터-카의 최상층 충돌 방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가 엘리베이터-카의 최하층 충돌 방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엘리베이터-카의 최상층 충돌 방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가 엘리베이터-카의 최하층 충돌 방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이때, 도 1에서는 엘리베이터-카(111)가 승강로 상에서 최상층에 도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도 2에서는 엘리베이터-카(111)가 승강로 상에서 최하층에 도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카(111)와 카운트 웨이트(211)가 와이어 로프(113)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권상기 모터(114)의 구동에 의해 엘리베이터-카(111)가 승강로 상에서 상하 운행하면, 카운트 웨이트(211)는 엘리베이터-카(111)의 운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무게 균형을 유지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카(111)의 최상층 도착 시 상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상향 리미트 스위치들(101, 102, 103)과, 엘리베이터-카(111)의 최하층 도착 시 하향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하향 리미트 스위치들(201, 202, 203)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에 따른 로프 위치 오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의 동작 여부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을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위한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로서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승강로의 상층부의 일측면에는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제 2 상향 리미트 스위치(102) 및 제 3 리미트 스위치(103)가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 103)은 각각 엘리베이터-카(111)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캠(CAM)(112)에 접속할 수 있도록 승강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시 온(on)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의 상층부 타측면에는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제 2 하향 리미트 스위치(202) 및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가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은 각각 카운트 웨이트(211)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212)에 접속할 수 있도록 승강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 시 온(on)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 103)와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각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출력은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로 전송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 103)의 최상단에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가 설치되고, 최하단에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최상단에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가 설치되고, 최하단에는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 103)의 설치 높이와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설치 위치는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향 및 하향 리미트 스위치들은 엘리베이터-카(111)의 상향 또는 하향 충돌 방지를 다단계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및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는 각각 엘리베이터-카(111)의 상향 및 하향 충돌 방지를 위한 최종점을 의미하고, 제 2 상향 리미트 스위치(102) 및 제 2 하향 리미트 스위치(202)는 각각 운행 방향 제한점을 의미하며,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3) 및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는 속도 검출점을 의미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가 각각 3개의상향 리미트 스위치와 하향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상향 및 하향에 대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최종점 리미트 스위치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운행 방향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시, 엘리베이터-카(111)의 운행이 중지된 후 수동 운전 등을 통해 역방향(상향 또는 하향) 운전이 가능하다. 반면, 최종점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회로가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전체의 운행이 불가능해 진다.
한편, 승강로의 상부 측면에는,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하부에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가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의 상부에 위치하며,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특히,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의 이격 거리는 승강로 상에서 엘리베이터-카의 최상층 도착 위치로부터 승강로 천장까지의 간격의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와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는 각각 카운트 웨이트(211)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212)와 접속할 수 있도록 승강로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접속 시 온(on)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와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의 각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출력은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승강로의 일측면에는 각 승강층의 정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랜딩 밴(vane)이 설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카(111)의 일면에는 랜딩 밴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랜딩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로 상에서 최하층의 승장 도어의 정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랜딩 밴(207-1)이 설치되어 있으며, 최상층의 승장 도어의 정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랜딩 밴(207-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카(111)의 일면에는 제 1 및 제 2 랜딩 밴(207-1, 207-2)와 대응되도록 랜딩 센서(206)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서는 랜딩 센서가 광 센서이며, 랜딩 밴이 차폐판 역할을 하여 랜딩 센서가 동작되는 방식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즉, 엘리베이터-카(111)가 해당 층에 착상하면, 랜딩 센서(206)의 발광부 및 수광부 사이에 랜딩 밴(207-1 또는 207-2)이 위치하게 되어 랜딩 센서(206)의 값이 온(on) 또는 오프(off) 값으로 변경되어 출력 값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랜딩 센서(206)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른 출력 값은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로 전송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는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 카 주행 제어모듈(503) 및 로프 위치 오류 알림모듈(504)을 포함한다.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103)와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카(111)의 출동 발생 오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엘리베이터-카(111)가 상향 종단층에 도착한 후 제 1 내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 102,103) 중 어느 하나가 온(on)되면, 각 리미트 스위치에 따른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
이때,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103)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속도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속도 오류 발생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
그리고,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2 상향 리미트 스위치(102)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가 상향으로 주행을 지속하는 운행 방향 제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운행 방향 제한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
또한,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101)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가 충돌 방지를 위한 최종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충돌 위험 발생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
한편,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도착한 후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 중 어느 하나가 온(on)되면, 각 리미트 스위치에 따른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
이때,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3)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속도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속도 오류 발생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
그리고,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2 하향 리미트 스위치(202)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가 상향으로 주행을 지속하는 운행 방향 제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운행 방향 제한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
또한,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은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2101)의 온(on)에 따른 출력 값이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가 충돌 방지를 위한 최종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충돌 위험 발생 오류 정보를 카 주행 제어모듈(503)로 전송한다.
카 주행 제어부(503)는 카 위치 오류 감지모듈(501)로부터 입력되는 오류 정보에 따라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카 주행 제어부(503)는 속도 오류 발생 정보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111)의 속도를 감속 운행하도록 권상기 모터(114)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카 주행 제어부(503)는 운행 방향 제한 오류 정보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 동작이 멈추도록 권상기 모터(114)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카 주행 제어부(503)는 충돌 위험 발생 오류 정보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카(111)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 전체가 멈추도록 제어한다.
한편,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115)에 입력되는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의 출력 값은, 카운트 웨이트(211)에 설치된 제 2 캠(212) 이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에 접속될 때 발생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카(111)와 카운트 웨이트(211)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113)가 오랜 작동 및 주위 환경에 의해 늘어지게 되는 등 오류 상황이 발생될 경우,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의 정위치에 랜딩한 후 동일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운행하여도 카운트 웨이트(211)의 제 2 캠(212)이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지 못하게 되는 로프 위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 발생했을 경우,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랜딩한 상태에서, 카운트 웨이트(211)의 제 2 캠(212)이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 중 어느 하나가 아닌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에 따른 로프 위치 오류가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도착한 이후 동일 방향으로 주행을 지속하는 경우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는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에 따른 로프 위치 오류 발생을 감지하여 엘리베이터-카(111)의 주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카(111)의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이 입력된 상태에서,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가 온(on)될 수 있다. 즉, 도 3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13)가 늘어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랜딩하면, 카운트 웨이트(211)에 설치된 제 2 캠(212)이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에 접속되어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가 온(on)된다.
이때,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을 수신하고,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의 설정된 출력 값(온(on))을 수신한다.
그러면,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 발생되어 로프 위치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음으로 판단하고, 로프 위치 오류 가능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카(111)의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이 입력된 상태에서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적어도 하나가 온(on)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서는, 와이어 로프(113)가 늘어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랜딩한 후, 카운트 웨이트(211)에 설치된 제 2 캠(212)이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에 접속되어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가 온(on)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때,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을 수신하고,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된 출력 값(온(on))을 수신한다.
그러면,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이 발생하여 로프 위치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로프 위치 오류 발생 경고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카(111)의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와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값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3의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13)가 늘어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카(111)가 하향 종단층에 랜딩한 후, 카운트 웨이트(211)에 설치된 제 2 캠(212)이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어느 하나에도 접속되지 못하고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을 수신한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201, 202, 203)와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의 상태가 오프(off)인 것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랜딩 센서(206)로부터 설정된 출력 값(온(on) 또는 오프(off))을 수신한 이후, 기설정된 제한 시간 내에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 중 어느 하나의 온(on) 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오류 감시 스위치(204)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205)의 출력 값이 무효한 값(즉, 오프(off)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무효한 값은 타이머를 장착한 타모듈(미도시)로부터 입력되거나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이 자체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로프 위치 오류 감지모듈(502)은 와이어 로프(113)의 늘어짐 상태가 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정보를 카 주행 제어부(503)로 전송한다.
이때, 카 주행 제어부(503)는 로프 위치 오류 가능 정보를 수신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정상 운행하고, 로프 위치 오류 발생 경고 정보를 수신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관리 단말(예를 들어, 시공사 또는 수리 업체의 관리 단말)(미도시)에 엘리베이터 로프 위치 오류 경고를 전송하도록 로프 위치 오류 알림모듈(504)를 제어한다.
또한, 카 주행 제어부(503)는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정보를 수신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정지한다. 즉, 각 승강층에서 엘리베이터-카 호출이 수신되어도 엘리베이터-카를 구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카 주행 제어부(503)는 로프 위치 오류 알림모듈(504)을 통해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정보를 전송한다.
로프 위치 오류 알림모듈(504)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관리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엘리베이터 로프 위치 오류 경고 및 로프 위치 오류 발생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제 1 상향 리미트 스위치 102: 제 2 상향 리미트 스위치
103: 제 3 상향 리미트 스위치 201: 제 1 하향 리미트 스위치
202: 제 2 하향 리미트 스위치 203: 제 3 하향 리미트 스위치
204: 로프 위치 오류 감시 스위치 205: 로프 위치 오류 발생 스위치
206: 랜딩 센서 207: 랜딩 밴
111: 엘리베이터-카 112: 제 1 캠
211: 카운트 웨이트 212: 제 2 캠
113: 와이어 로프 114: 권상기 모터
115: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

Claims (7)

  1.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승강로 상에서 상하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카;
    와이어 로프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카와 연결되며,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카운트 웨이트;
    승강로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에 설치되며, 카운트 웨이트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
    상기 승강로의 상부 타측면 중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캠에 접속되면 유효한 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 및
    상기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도록 하는 상기 유효한 값이 입력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 도착 시 상기 제 2 캠과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로의 비접속에 의한 무효 값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의 최하단과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의 최하단 간의 이격 거리는, 승강로 상에서 엘리베이터-카의 상향 종단층 위치로부터 승강로 천장까지의 간격 미만으로 설정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는 승강로의 상부 일면상에 일렬로 설치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의 랜딩을 감지하고, 상기 랜딩이 감지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한 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의 출력이 상기 무효한 값으로 유지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 구동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향 종단층의 랜딩을 감지하고, 상기 랜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로프 위치 오류 감지 스위치의 출력이 무효한 값으로 유지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 관리 단말로 로프 위치 오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는 각각 최종점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점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유효한 값은 엘리베이터-카의 운행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향 리미트 스위치는 각각 운행 방향 제한 스위치 및 속도 검출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최종점 스위치가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KR1020100093406A 2010-09-27 2010-09-27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KR101283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06A KR101283643B1 (ko) 2010-09-27 2010-09-27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06A KR101283643B1 (ko) 2010-09-27 2010-09-27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963A true KR20120060963A (ko) 2012-06-12
KR101283643B1 KR101283643B1 (ko) 2013-07-15

Family

ID=4661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406A KR101283643B1 (ko) 2010-09-27 2010-09-27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518B1 (ko) * 2012-11-06 2014-08-13 (주)성우에스람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CN106586756A (zh) * 2015-10-14 2017-04-26 界首市迅立达电梯有限公司 电梯极限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219A (ja) * 1993-12-01 1995-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3355913B2 (ja) * 1996-03-28 2002-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408936B2 (ja) * 1996-12-16 2003-05-1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油圧エレベータの異常診断装置
KR100351279B1 (ko) * 1999-09-09 2002-09-09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518B1 (ko) * 2012-11-06 2014-08-13 (주)성우에스람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CN106586756A (zh) * 2015-10-14 2017-04-26 界首市迅立达电梯有限公司 电梯极限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643B1 (ko)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751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時安全装置
KR100302557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US8230977B2 (en)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system
JP5602613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9371210B2 (en) Elevator safety system having multiple buses
US20180162691A1 (en)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KR1023613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US20130299282A1 (en) Multi-car elev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1837870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N103818794B (zh) 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的保护装置
EP3365260A1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KR10150226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N110950203A (zh) 电梯系统
JP2009120370A (ja) エレベータ
EP2546182A1 (en) Suspension body supporting device for elevator
KR101545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985686B1 (ja) エレベータ
EP3434634B1 (en) Elevator safety device
JP2020026327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1283643B1 (ko)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JP2015134681A (ja) 自己診断機能を有する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機能の自己診断方法
JP5449127B2 (ja) エレベータ
JP2012162342A (ja) エレベータ安全装置、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6471202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CN103282298B (zh) 电梯的终端层强制减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