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377A - 볼트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볼트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377A
KR20120060377A KR1020100121842A KR20100121842A KR20120060377A KR 20120060377 A KR20120060377 A KR 20120060377A KR 1020100121842 A KR1020100121842 A KR 1020100121842A KR 20100121842 A KR20100121842 A KR 20100121842A KR 20120060377 A KR20120060377 A KR 20120060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opening
tubular body
way
screw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표
김내현
분이치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주)디모스텍
분이치로 마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모스텍, 분이치로 마스다 filed Critical (주)디모스텍
Priority to KR102010012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377A/ko
Publication of KR20120060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2개의 막대형 볼트를 연장하기 위한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2. 주요구성
본 발명이 일 태양에 따른 볼트 연결소켓은, 관체의 일측 개구와 근접한 위치의 내측면에서 관체의 타측 개구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일측 개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삽입된 제1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는 제1 일방향 걸림편과, 관체의 타측 개구와 근접한 위치의 내측면에서 관체의 일측 개구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타측 개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삽입된 제2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는 제2 일방향 걸림편을 포함한다.
3. 작용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막대형 볼트를 회전 방식이 아닌 밀어 넣는 푸시 방식으로 체결하여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트 연결소켓{PUSH TYPE SOCKET FOR CONNECTING TWO BOLTS}
본 발명은 2개의 볼트를 연결 또는 연장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체결이 아닌 푸시(push) 방식으로 간편하게 삽입?체결되는 볼트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막대형 볼트(10)는 대상물의 현수 및 그 길이 조절을 위한 수단, 그리고 마주하는 대상물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막대형 볼트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2개를 용접하여 연장하거나, 도 2와 같은 너트(20)를 이용하여 연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2개의 볼트(10a, 10b)가 너트(20)에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바, 전자의 용접 방식보다 선호된다.
그러나 후자와 같이 연장하기 위해서는 볼트와 너트를 수차례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대상물을 천정에 현수해야 하는 반복적인 작업환경이라면 작업자의 피로는 배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개의 막대형 볼트를 회전 방식이 아닌 밀어 넣는 푸시(push)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는 연결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개시된 볼트 연결소켓은, 양면이 개구된 관체와, 이 관체의 일측 개구와 근접한 위치의 내측면에서 타측 개구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일측 개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삽입된 제1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는 제1 일방향 걸림편과, 상기 관체의 타측 개구와 근접한 위치의 내측면에서 일측 개구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타측 개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삽입된 제2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는 제2 일방향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일방향 걸림편의 선단은 일측 개구를 통해 삽입된 제1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여, 제1 볼트가 삽입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지하고, 제2 일방향 걸림편의 선단은 타측 개구를 통해 삽입된 제2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볼트가 삽입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지한다.
본 발명의 볼트 연결소켓은, 제1 일방향 걸림편과 제2 일방향 걸림편 사이에 위치하되, 관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볼트 및 상기 제2 볼트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볼트 연결소켓을 이용하면 2개의 볼트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연결하여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막대형 볼트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너트를 이용하여 2개의 막대형 볼트가 연장됨을 예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볼트 연결소켓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볼트 연결소켓의 푸시 삽입?체결 방식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볼트 연결소켓의 평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볼트 연결소켓의 길이방향에 대한 종단면도.
도 8은 도 5의 제1 볼트가 제1 일방향 걸림편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도 5의 제2 볼트가 제2 일방향 걸림편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도 5의 제1 볼트 및 제2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이하, 다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볼트 연결소켓(100)은 양면이 개구된 관체(11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각 개구(101, 103)를 통해서 막대형 볼트(200, 30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삽입된 후 체결된다(도 5 참조).
본 발명의 특징은 2개의 볼트(200, 300)를 연장할 경우의 간편성에 있다. 여기서 '간편성'이란 볼트를 통상의 시계방향(CW: clockwise)으로 수차례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구를 통해 단순히 밀어 넣는 푸시(push) 방식의 삽입?체결을 의미한다. 볼트 연결소켓(100)에 체결된 볼트(200, 300)를 해체할 때는 풀(pull) 방식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는 통상의 볼트와 같이 반시계방향(CCW: counter clockwise)으로 회전시켜야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일방향 걸림편'에 의해 달성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한 관체(110)의 평면을 살펴보면, 양 개구(101, 103)에 의해 관체(110)는 통공되어 있다. 관체(110)는 강성의 금속 판재를 원통형으로 절곡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판재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112, 114)는 서로 엇갈리게 맞물릴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으로 절곡된 판재는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이른바 탄성복원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단부(112, 114)의 고리 결합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볼트 연결소켓(100)의 길이방향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상기한 관체(110)의 내측면에는 제1 일방향 걸림편(120)과 제2 일방향 걸림편(130)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일방향 걸림편(120)은 일측 개구(101)와 근접한 위치의 관체(110) 내측면에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내측면은 내주면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제1 일방향 걸림편(120)은 타측 개구(103)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그리고 타측 개구(103)와 인접한 관체(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일방향 걸림편(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복수개의 제2 일방향 걸림편(130)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일방향 걸림편(130)은 상기 일측 개구(101)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도 7에는 종단면의 특성상 3개의 일방향 걸림편(120, 130)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 6을 참조하면 총 4개로 2쌍이다(단, 도 6에서 제2 일방향 걸림편은 제1 일방향 걸림편에 가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의도하고 있는 일방향 걸림편(120, 130)의 기능은 1개,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면하는 2개(1쌍)만으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일방향 걸림편(120)과 제2 일방향 걸림편(130) 사이에 위치하되, 관체(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적어도 1개의 스토퍼(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스토퍼(140)는 볼트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스토퍼(140)의 기능은 2개의 볼트에 의해 자체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8은 제1 볼트(200)가 도 7의 일측 개구(101)를 통해 푸시(push) 방식으로 삽입되어 제1 일방향 걸림편(120)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1 일방향 걸림편(120)은 타측 개구(103)를 향해 소정 각도를 갖고 기울어져 있으므로, 제1 볼트(200)를 일측 개구(101)를 통해 타측 개구(103) 방향으로 밀면 넣으면, 제1 볼트(200)의 삽입선단(201)이 스토퍼(140)까지 삽입된다. 제1 일방향 걸림편(120)의 선단은 제1 볼트(200)의 나사골(V)에 삽입 및 접촉된다. 제1 일방향 걸림편(120)에 의해 체결된 제1 볼트(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풀(pull) 방식으로 빠지지 않는다. 이는 제1 일방향 걸림편(120)들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삼각 구조를 형성하고, 상각 구조의 정점이 타측 개구(103)를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9는 제2 볼트(300)가 도 7의 타측 개구(103)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삽입되어 제2 일방향 걸림편(130)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2 일방향 걸림편(130)은 일측 개구(101)를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제1 일방향 걸림편(120)과 마찬가지로 삼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2 볼트(300)는 타측 개구(103)을 통해 스토퍼(140)까지 푸시 방식으로 삽입되어 제2 일방향 걸림편(130)에 의해 견고하게 보지된다.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방향 걸림편(120, 130)의 선단들은 관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한 종단면을 기준으로 볼트(200, 300)의 나사골 간격 또는 나사골 형성 각도에 부합하는 높이차를 가진다.
도 10은 제1 볼트(200) 및 제2 볼트(300)가 체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각 볼트(200, 300)의 삽입 선단은 스토퍼(140)에 의해 삽입 깊이가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스토퍼(140)가 제거되더라도 각 볼트의 삽입 선단이 맞닿게 되므로 삽입 깊이는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볼트 연결소켓
110 : 관체
101 : 일측 개구
103 : 타측 개구
120 : 제1 일방향 걸림편
130 : 제2 일방향 걸림편
140 : 스토퍼

Claims (6)

  1. 양면이 개구된 관체;
    상기 관체의 일측 개구와 근접한 위치의 내측면에서 상기 관체의 타측 개구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일측 개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삽입된 제1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는 제1 일방향 걸림편; 및
    상기 관체의 타측 개구와 근접한 위치의 내측면에서 상기 관체의 일측 개구를 향해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타측 개구를 통해 푸시 방식으로 삽입된 제2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는 제2 일방향 걸림편
    을 포함하는 볼트 연결소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방향 걸림편의 선단은 상기 일측 개구를 통해 삽입된 제1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볼트가 삽입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지하는 볼트 연결소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일방향 걸림편의 선단은 상기 타측 개구를 통해 삽입된 제2 볼트의 나사골과 접촉하여, 상기 제1 볼트가 삽입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지하는 볼트 연결소켓.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종단면 상으로 상기 제1 일방향 걸림편의 선단들은 상기 제1 볼트의 나사골 간격 또는 나사골의 형성 각도에 부합하는 높이차를 가지는 볼트 연결소켓.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종단면 상으로 상기 제2 일방향 걸림편의 선단들은 상기 제2 볼트의 나사골 간격 또는 나사골의 형성 각도에 부합하는 높이차를 가지는 볼트 연결소켓.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방향 걸림편과 상기 제2 일방향 걸림편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관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볼트 및 상기 제2 볼트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볼트 연결소켓.
KR1020100121842A 2010-12-02 2010-12-02 볼트 연결소켓 KR20120060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42A KR20120060377A (ko) 2010-12-02 2010-12-02 볼트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42A KR20120060377A (ko) 2010-12-02 2010-12-02 볼트 연결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377A true KR20120060377A (ko) 2012-06-12

Family

ID=4661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842A KR20120060377A (ko) 2010-12-02 2010-12-02 볼트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3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517B1 (ko) 연결용 커플러
KR200474814Y1 (ko) 커플링 장치
JP2010523845A5 (ko)
US9829026B2 (en) Anchor bolt
AU771176B2 (en) Fasten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two parts
JP2019153497A5 (ko)
JP5135276B2 (ja) パイプ連結機構
EP3617417A1 (en) Reinforcing bar coupler
EP1735876B1 (de) Elektrischer winkelförmiger steckverbinder mit einem ersten winkelschenkel und mit einem zweiten winkelschenkel
US11965563B2 (en) Elastic short-pin type universal joint
CN104936747B (zh) 具有双稳态的张力机构的挤压工具
KR20120060377A (ko) 볼트 연결소켓
JP6778953B2 (ja)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JP5178943B1 (ja) 鉄筋など棒状部材の連結具
BR102013009943B1 (pt) montagem de pino de retenção para um sistema de elevação
JP2009264072A (ja) 取付け具
US1960405A (en) Connection or coupling for tubular bodies
JPWO2015107962A1 (ja) センサ固定装置
KR20180051034A (ko) 부재 연결 장치
US2494826A (en) Coupling for pipes, piles, and like elements
CN107636237B (zh) 空间结构
JP6584890B2 (ja) 逆転防止機構付きアンカーボルト
JP6479635B2 (ja) 配線ボックス固定装置、及び配線ボックス固定具
JP6819992B2 (ja) 連結具を備える仕切り
KR200466226Y1 (ko)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