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344A - 건축용 실내 미장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실내 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344A
KR20120060344A KR1020100121799A KR20100121799A KR20120060344A KR 20120060344 A KR20120060344 A KR 20120060344A KR 1020100121799 A KR1020100121799 A KR 1020100121799A KR 20100121799 A KR20100121799 A KR 20100121799A KR 20120060344 A KR20120060344 A KR 2012006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uilding
titanium dioxide
mixture
bamb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계
김형태
신세영
김혁중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344A/ko
Publication of KR2012006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34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04B14/305Titanium oxide, e.g. tit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8Diatomaceous eart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5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68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from burning w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2Natural resins, e.g. ros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 마감재는 대나무 숯가루 1.0~1.5중량%, 이산화티타늄 25~30중량%, 죽초액 0.5~1.0중량%, 규조토 3.0~4.0중량%, 물과 증점제와 소포제와 분산제와 방회석과 아크릴수지의 혼합물 63.5~70.5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실내 미장재{Building interior decoration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용 실내 미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함과 동시에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유해 성분을 분해시키는 건축용 실내 미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시공되는 건축용 미장재로는 시멘트에 모래와 물을 적당량 섞어 만든 모르타르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시멘트 모르타르는 양성화되면서 장시간 발생되는 라돈가스로 인하여 인체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되고, 압축강도에 비해 초기 인장강도가 약하며, 시공시 접착성이 불량하고 가소성이 좋지 않아 흘림방지를 위하여 초벌, 재벌, 정벌 등의 순서로 여러 번 나누어 바름으로써 작업성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멘트 모르타르 이외의 미장재로는 수성 에멀션에 유무색 분말도료를 배합한 것이 있는가 하면 황토에 시멘트나 에폭시, 우레탄 등의 수지가 섞인 것, 시멘트에 규조토를 섞어 묽은 액상 수지에 타서 사용하도록 된 미장재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시멘트 모르타르, 시멘트 페이스트, 석고, 플라스틱, 합성수지 에멀션 등을 압축 성형 및 강화시켜 만든 미장 판재가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미장재는 새집 증후군 및 아토피성 질환을 유발하는 각종 인체 유해 물질을 배출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건축물에 곰팡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인체 유해 세균의 발생을 야기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이나 건축용 미장재의 접착제 등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등을 차단하기 못하는 경우, 포름알데히드에 의해 폐의염증, 피부질환, 비염 및 호흡기 만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포름알데히드의 분해가 필요하다.
또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인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스티렌 등의 경우에 사람이 장시간 지속해서 노출되면 백혈병, 혈액장애, 중추신경계통 마비 및 의식불명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건축용 실내 미장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인체에 무해함과 동시에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유해 성분을 분해시키는 건축용 실내 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 미장재는, 대나무 숯가루 1.0~1.5중량%, 이산화티타늄 25~30중량%, 죽초액 0.5~1.0중량%, 규조토 3.0~4.0중량%, 물과 증점제와 소포제와 분산제와 방회석과 아크릴수지의 혼합물 63.5~70.5중량%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실내 미장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인체의 유해성분인 포름알데히드를 흡착하여 실내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전체적으로 흡수하여, 실내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 마감재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 마감재는 대나무 숯가루 1.0~1.5중량%, 이산화티타늄 25~30중량%, 죽초액 0.5~1.0중량%, 규조토 3.0~4.0중량%, 물과 증점제와 소포제와 분산제와 방회석과 아크릴수지의 혼합물 63.5~70.5중량%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대나무 숯가루는 음이온 방출 기능과 탈취 기능, 제습 기능, 항균 기능, 원적외선 방사기능, 전자파 차폐 기능, 중금속 흡착 기능 등을 발휘하며, 특히 중금속과 같은 유해성분을 흡착하는 기능이 탁월하다. 또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인 칼슘, 나트륨, 규소 등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이러한 유익한 성분을 발산해 인체의 건강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광촉매로써 기능을 하며 아나타제형과 루틸제형 중 하하나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티타늄은 광부식이 없이 안정하며, 생물학적이나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아나타제형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타늄은 외벽용 최종 마감재(드라이비트)의 대용으로써 실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해물질의 흡착 및 유해물질의 분해 효과를 가진다.
죽초액은 국내산 대무로 대나무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연기를 받아내어 일정기간 정치한 후 자연숙성되면 얻어지는 액체의 일부 구성으로써, 자연숙성 후 얻어지는 액체의 중간층에 해당하는 경유층, 죽초액층, 타르층을 죽초액이라 한다. 이러한 죽초액은 대나무의 성분이 함유된 액체로써, 정확한 기능이 밝혀진 것은 아니나, 건조성 피부염을 비롯하여 만성습진, 옴 등의 피부질환이나 잘 완치되지 않는 무좀이나 아토피성 피부염 등에 도움을 준다.
규조토는 주로 규조껍질의 퇴적으로 생긴 연질의 암석 또는 토양을 말하며, 여과제, 흡수제, 연마제, 내화벽돌이나 내화보드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다공성인 규조토의 성질에 의해 실내외 유해물질의 흡착성이 우수하여 학교 수영장, 작은 급수시설 등에서 규조토 여과가 이용되고 있다.
증점제는 혼합물의 점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혼합물에 소포제와 분산제가 첨가된다. 또한 일반적인 아크릴수지가 첨가되며 바람직하게는 DA-1354S의 아크릴수지가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소량의 접착성 증가제와, 색감을 나타내는 도료가 더 첨가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 마감재의 구성을 표1에서 도시한다.
성분 26019g기준 (26Kg기준) 조성비율(중량%)
대나무 숯가루 340g 1.3
이산화티타늄 6,788g 26.1
2,950g 11.34
증점제 66g 0.25
소포제 20g 0.07
분산제 20g 0.07
점착성 증가제 30g 0.11
죽초액 200g 0.76
아크릴수지(DA-1354S) 2,000g 7.69
실리카(방회석) 12,425g 47.78
규조토 1,000g 3.84
도료 180g 0.69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실내 마감재는 실내의 유해물질 차단능력이 탁월해진다. 본 발명의 건축용 실내 마감재를 사용한 경우 실험결과를 표2에서 나타낸다.
항목 실내마감재미시공(㎍/㎥) 실내마감재시공(㎍/㎥) 변화량(㎍/㎥)
포름알데히드 157.3 123.5 33.8 감소
벤젠 1.9 0 1.9 감소
톨루엔 4.765 391 4,374 감소
에틸벤젠 31.9 7.7 24.2
자일렌 30.8 9 21.8
스티렌 132.9 17 115.9
[표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실내 미장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름알데히드가 33.8㎍/㎥만큼 감소되여 21.5% 감소되었다. 또한, 톨루엔의 경우에는 4,374㎍/㎥만큼 감소되어 91.8%가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밖에 벤젠, 에틸벤전, 자일렌, 스티렌 등 전체적으로 모든 VOCs가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주는 복합악취의 경우에도 실내마감재 미시공의 경우 14.4의 계측값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건축용 실내 미장재를 사용한 후에는 3.7의 계측값을 나타내어 10.7 계측값 만큼 줄어 들게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은 한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대나무 숯가루 1.0~1.5중량%, 이산화티타늄 25~30중량%, 죽초액 0.5~1.0중량%, 규조토 3.0~4.0중량%, 물과 증점제와 소포제와 분산제와 방회석과 아크릴수지의 혼합물 63.5~70.5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한 건축용 실내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숯가루는 1.3중량%인 건축용 실내 마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26.1중량%인 건축용 실내 마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죽초액은 0.76중량%인 건축용 실내 마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조토는 3.84중량%인 건축용 실내 마감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는 소량의 접착성 증가제가 더 첨가되는 건축용 실내 마감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는 소량의 색감을 나타낼 수 있은 도료가 더 첨가되는 건축용 실내 마감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아나타제형인 건축용 실내 마감재.
KR1020100121799A 2010-12-02 2010-12-02 건축용 실내 미장재 KR20120060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799A KR20120060344A (ko) 2010-12-02 2010-12-02 건축용 실내 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799A KR20120060344A (ko) 2010-12-02 2010-12-02 건축용 실내 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344A true KR20120060344A (ko) 2012-06-12

Family

ID=4661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799A KR20120060344A (ko) 2010-12-02 2010-12-02 건축용 실내 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3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2519A (zh) * 2014-11-07 2015-03-11 桂林新竹大自然生物材料有限公司 微晶竹炭复合陶器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606700A (zh) * 2019-10-17 2019-12-24 霍邱县方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以硅土质淤泥为基体内墙环保壁材
CN113929354A (zh) * 2021-10-26 2022-01-14 浙江欧思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水性硅藻泥发泡素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2519A (zh) * 2014-11-07 2015-03-11 桂林新竹大自然生物材料有限公司 微晶竹炭复合陶器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606700A (zh) * 2019-10-17 2019-12-24 霍邱县方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以硅土质淤泥为基体内墙环保壁材
CN113929354A (zh) * 2021-10-26 2022-01-14 浙江欧思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水性硅藻泥发泡素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9799B (zh) 以硅酸钾为成膜物质的无机多功能涂料及其制备方法
CN106242459B (zh) 一种室内装饰用的长效泥
KR101033205B1 (ko)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미장 도료용조성물
KR20120060344A (ko) 건축용 실내 미장재
KR101529857B1 (ko) 건축 자재용 소금 모르타르 조성물
KR101343940B1 (ko) 천연접착제, 상기 천연접착제를 포함하는 천연내장재 접착제, 천연페인트, 이러한 천연내장재 접착제 및 천연페인트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 시공방법
CN101628795A (zh) 一种环保型活性炭装饰材料
KR100884087B1 (ko) 천연토를 이용한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2348168A (ja) 早硬型調湿性無機質珪藻土系仕上塗材及び仕上げ塗工法
KR20130019603A (ko) 환경 친화적으로 공기 질 개선효과를 갖는 건축물의 도장용 조성물
KR20120136629A (ko) 건축용 실내 마감재
CN103351658A (zh) 一种节能环保的房屋装饰涂料
CN103803865A (zh) 一种环保型建筑表面装饰材料
KR100951322B1 (ko) 황토석파우더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없는 건물의바닥과 벽면 및 천정면 시공방법
CN104860624A (zh) 一种多功能环保型硅藻工艺品材料
KR20050119781A (ko) 건축물 내외장용 코팅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628778A (zh) 一种多功能室内装修材料的制备工艺
KR100720812B1 (ko) 시멘트 제품의 표면 마감용으로서 항균, 항곰팡이 및 탈취기능을 갖는 바이오 무기질 코팅제 조성물
CN107640933A (zh) 一种多功能室内装修材料
CN103351779A (zh) 一种绿色环保建筑装饰涂料
KR100642757B1 (ko) 대나무 숯가루를 함유한 건축용 실내 미장재
KR100711575B1 (ko) 기능성 핸디 퍼티
KR20190072914A (ko) 방균기능을 갖춘 건축용 마감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CN105461261A (zh) 一种多功能环保型硅藻泥壁材及其施工方法
CN103351659A (zh) 一种环保装饰涂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