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575B1 - 기능성 핸디 퍼티 - Google Patents

기능성 핸디 퍼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575B1
KR100711575B1 KR1020040084496A KR20040084496A KR100711575B1 KR 100711575 B1 KR100711575 B1 KR 100711575B1 KR 1020040084496 A KR1020040084496 A KR 1020040084496A KR 20040084496 A KR20040084496 A KR 20040084496A KR 100711575 B1 KR100711575 B1 KR 100711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utty
handy
present
calcium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141A (ko
Inventor
홍사언
Original Assignee
프리바이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바이오(주) filed Critical 프리바이오(주)
Priority to KR102004008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5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3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독성 핸디 퍼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산칼슘과 도석, 납석 및 견운모로 이루어진 광석분말을 이용하여 내후성, 내부식성, 항균 및 탈취능이 우수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포름알데히드는 거의 배출하지 않는 핸디 퍼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325∼400 매쉬의 탄산칼슘 45∼55 중량%와; 325∼400 매쉬의 도석, 납석 및 견운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1개이상 선택된 광석분말 20∼25 중량%; 및 물 18∼23 중량%, 아크릴 에멀젼 수지 4∼7 중량%, 산성백토 0.3∼2 중량% 및 셀룰로오즈계 증점제 0.5∼1.2 중량%로 이루어지는 핸디 퍼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핸디 퍼티는 종래의 퍼티재 효과를 가지면서 새집증후군의 원인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배출량은 거의 없기 때문에, 새집증후군의 발생빈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항균 및 탈취능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기능성, 핸디 퍼티, 포름알데히드

Description

기능성 핸디 퍼티{A functional handy putty}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핸디 퍼티의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을 측정한 시험결과보고서.
본 발명은 무독성 핸디 퍼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산칼슘과 도석, 납석 및 견운모로 이루어진 광석분말을 이용하여 내후성, 내부식성, 항균 및 탈취능이 우수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포름알데히드는 거의 배출하지 않는 핸디 퍼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은 세계 보건기구(WHO)의 정의에 의하면, 일종의 화학 물질 과민증의 일종으로 현대 건축물에서 주로 사용하는 건축자재와 접착제에서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로 인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 증세로 크게 "자극반응"과 "알레르기반응"으로 나눌수 있는 데, 자극 반응은 눈과 코, 후두점막이 자극을 받아 일어나는 증상으로 목이 쉬고, 두통이 생기거나 심리적인 피로감을 느끼게 하고, 드물게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알레르기성 질환들로 두드러기, 아토피 피부염, 기관지 천식 등을 발병시키거나 악화시키는 데, 이런 제반 증상을 총칭하여 새집 증후군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을 신축한 후 6개월 때 가장 많이 배출되는 데, 벽지, 마룻바닥, 타일 등을 붙일 때 사용되는 접착제 등에서 시공 후 최장 10년까지 유해물질이 계속해서 방출되어 건강을 위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대기중 상온(섭씨 20도)에서 가스형태로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의 총칭으로, 밝혀진 숫자만도 수백 종에 달하고 대부분이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벤젠을 비롯해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스틸렌, 포름알데히드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근거로 최근에 환경부는 새집증후군 예방을 위해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 관리를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 질 관리법」에 대한 개정법을 시행하기로 하였는 데, 개정법에 따르면 2004년도 5월30일부터 공동주택, 다중이용시설 등을 건립할 때는 인체에 유해한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가 시간당 4㎍/㎡ 이상 뿜어져 나오는 접착제와 시간당 1.25㎍/㎡ 이상 배출되는 벽지ㆍ바닥재 등 일반자재를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건축자재에서 배출되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건축 마감재 중 퍼티는 움푹 패거나 갈라진 곳 또는 구멍 등을 메워 도장계의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도료로서, 대부분이 페이스트(풀) 상태로 되어 있으며, 시공하고 건조 시에는 건조가 잘 되고, 건조된 후에는 물로 갈 아낼 때 연마가 용이해야 하며, 다른 도료로 마무리칠을 할 때에는 번지거나 지장을 주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퍼티재들은 현재 상술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관리를 받지 않거나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퍼티재에 대해서는 퍼티에 칼라를 부여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0356호가 공지되어 있으나, 퍼티에 기능성을 첨가한 것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퍼티재는 경화시 수축률에 변화가 거의 미미한 탄산칼슘을 주재로 하여 사용하여 왔지만, 탄산칼슘 이외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게 되면 수축률에 변화가 생기면서 크랙(crack)이 발생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기준에 부합되면서, 항균, 탈취능 및 원적외선 방출 등의 기능성을 부여한 기능성 퍼티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새집증후군을 발생시키는 유독성 유기 화합물의 배출량이 미미하고, 크랙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핸디 퍼티재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산칼슘과 도석, 납석 및 견운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1개이상 선택된 광석분말, 그리고 물, 아크릴 에멀젼 수지, 산성백토 및 셀룰로오즈계 증점제로 이루어지는 핸디 퍼티를 제공하여, 내장 벽체, 청정, 바닥의 부 분 또는 전면을 바르거나 콘크리이트 및 몰탈면의 평활작업, 균열부분의 충진 또는 석고보드 중 연결부위를 충진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25∼400 매쉬의 탄산칼슘 45∼55 중량%와; 325∼400 매쉬의 도석, 납석 및 견운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1개이상 선택된 광석분말 20∼25 중량%; 및 물 18∼23 중량%, 아크릴 에멀젼 수지 4∼7 중량%, 산성백토 0.3∼2 중량% 및 셀룰로오즈계 증점제 0.5∼1.2 중량%로 이루어지는 핸디 퍼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핸디 퍼티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탄산칼슘은 무기충전재로 사용되는 주성분으로 물과 함께 포졸란 반응을 유도하여 강도를 부여하고, 소음이나 수분을 흡수하며, 내수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제공하고, 경화 후 수축되지 않는 특성으로 균열 및 들뜸 등의 크랙(crack) 현상을 억제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탄산칼슘으로 경질탄산칼슈이나 중질탄산칼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중 중질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산칼슘 이외에 몸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및 탈취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석, 납석 및 견운모로 이루어진 광석분말을 핸디 퍼티의 무기 충전재로 사용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도석과 납석 및 견운모가 도자기 원료의 주원료가 되는 점토질, 규산질, 장석질을 포함하고 있는며, 이 중 과반수 이상의 산화규소와 이 외에 소량으로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등이 이루어짐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 배출하고, 이로부터 항균 및 탈취의 기능이 있는 광물로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광석분말은 탄산칼슘과 함께 핸디 퍼티에 알카리성을 부여하여 내부식성 및 내후성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무기 충전재는 탄산칼슘 45∼55 중량%과 광석분말 20∼25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데, 이는 상기와 같은 배합비율로 제조된 퍼티는 경화된 후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탄산칼슘을 45 중량% 미만, 광석분말을 25 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면, 경화 후 수축률이 커지게 되어 균열이나 들뜸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탄산칼슘을 60 중량% 초과, 광석분말을 20 중량 미만 사용하면 광석분말의 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산칼슘과 광석분말은 325∼400 매쉬의 평균 입경을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325매쉬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에서 흘러내릴 수 있고 경화된 후에는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평활성이 떨어지고, 400 매쉬를 초과한 경우에는 제조원가는 증가된 반면 이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핸디 퍼티는 실내 공기에 있는 수분을 조절하고, 악취나 불순물을 흡착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독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4∼7 중량%를 혼합하여, 초기 접착성 및 경화촉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데, 이는 4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초기 결합력이 저하되고, 7 중량%를 초과하면 초과사용량에 대한 효율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목적의 취지에 맞게 포름알데히드와 기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이 적은 무독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산성 백토는 점토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를 주성분으로 하는 극히 미세한 분말로 이루어진 점토로서 인체에 해(害)가 되는 물질을 방출하지 않으며,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및 산화마그네슘 등으로 구성되어, 요변성(thixotropy)을 부여하고 고분자 수지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백토는 구성성분의 유무 및 함량 차이에 의해 흰색, 노랑·파랑 색을 띄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백토는 0.3∼2 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0.3 중량%미만으로 사용하면 요변성(thixotropy) 및 고분자 수지 의 분산 효과가 미미하고, 2 중량%를 초과하면 초과 사용량에 비하여 효율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성분들의 원활한 혼합과 본 발명의 완성품에 대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 18∼23 중량%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하는 물은 황변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철분 성분을 제거시킨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공성 및 점도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셀룰로오즈계 증점제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 히드록시 에틸 세룰로오즈, 히드록시에틸 메틸 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메틸 셀룰로오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셀룰로오즈계 증점제는 0.5∼ 1.2 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데, 이는 0.5 중량% 미만을 사용하면 효과가 미미하고 1.2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증가하여 시공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필수구성성분 이외에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1개이상 선택된 다가알콜 0.2∼0.5 중량%를 더 포함하여 퍼티시공 후 건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완성된 본 발명의 핸디 퍼티는 건축물 내부의 벽체 및 천정에 약 2∼3㎜ 정도의 두께로 평탄작업을 하거나 이음새나 틈새를 채워 미관을 유지시켜주고, 갈라진 벽 틈이나 물이 새는 곳에 충진하여 밀폐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핸디 퍼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내수성 및 원적외선 방출
도석, 납석 및 견운모를 탄산칼슘과 최적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 조건에 따라 수분을 흡수 또는 방출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악취나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2) 친환경성
인체에 치명적인 접착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해가 적은 성분으로만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해물질인 중금속, 발암물질, 환경 호르몬을 거의 방출하지 않고 특히 새집증후군의 지표성분인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이 인체에 해가 전혀 없을 정도로 미미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핸디 퍼티 제조
본 발명의 핸디 퍼티는 하기 표 1과 같이 배합비율로 5㎏을 제조하였다.
이때, 물은 철분 설분을 제거한 증류수 물을 사용하였으며, 산성백토는 미누겔(Floridin Company, 미국), 광석분말은 도석, 증점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를 사용하고, 이외에 통상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탄산칼슘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평균 입도가 350매쉬인 중질탄산칼슘과 도석 및 아크릴 에멀젼 수지(S사)를 준비하였다.
구성성분 배합비(중량%) 중량(g)
20 1,000
아크릴 에멀젼 수지 7 350
산성 백토 2 100
탄산칼슘 45 2,250
광석분말 25 1,250
증점제 1 50
합계 100 5,000
그런다음, 먼저 상기 표 1의 중량으로 물, 무독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산성백토를 혼합기에 투여하고 10분간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탄산칼슘과 도석을 투여하고 다시 교반하고, 마지막으로 증점제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10분간 교반하고 시공성 및 점도를 확인한 다음, 일정 규격의 용기에 포장하여 본 발명의 핸디퍼티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시공
시공 대상의 콘크리트 소지 0.5×0.5×0.5 m 를 준비한 다음, 소지면의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홈, 크랙과 같은 부위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핸디 퍼티로 면을 평활하게 만들었다.
이의 결과, 본 발명의 마감재에 의해 형성된 도막이 종래 마감재에 의해 형성된 도막과 비교하여, 물리적인 특성(시각, 촉각 등의 관능적 테스트)이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미도시).
[실험예]
본 실험예는 본 발명에 따른 퍼티가 배출하는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을 확인하고자, (사) 일본도료검사협회에 의뢰하여 이를 측정하였다.
이때, 실험방법은 상기 실시예 1의 마감재 700g을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JIS K 5601-4-1 : 2003(도료성분시험방법- 제4부: 도막으로부터 방산성분분석- 제1절 포름알데히드3 .디씨 케타법)에 따라 수행하였다(도 1 참조).
이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 방출 농도와 7일 후 방출농도가 일본의 포름알데히드 방출 기준인 0.12㎎/ℓ(별 4등급: 일본 포름알데히드 방출기준 최상위등급)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기준은 퍼티재에 관한 기준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서는 퍼티재에 대한 포름알데히드 방출 기준을, 최초로 본 발명의 완성품에 대한 품질규격(QC)로 적용할 예정이다.
시험항목 성적 시험방법
포름알데히드 방산량(㎎/ℓ) 7일 후 1회목 0.10 2회목 0.06 평균 0.08 JIS K 5601-4-1 : 2003의 방법에 준함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핸디 퍼티는 종래의 퍼티재 효과를 가지면서 새집증후군의 원인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배출량은 인체에 해를 줄 정도 이하로 미미하여 새집증후군의 발생빈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항균 및 탈취능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

  1. 325∼400 매쉬의 탄산칼슘 45∼55 중량%와;
    325∼400 매쉬의 도석, 납석 및 견운모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1개이상 선택된 광석분말 20∼25 중량%; 및
    물 18∼23 중량%, 아크릴 에멀젼 수지 4∼7 중량%, 산성백토 0.3∼2 중량% 및 셀룰로오즈계 증점제 0.5∼1.2 중량%로 이루어지는 핸디 퍼티.
KR1020040084496A 2004-10-21 2004-10-21 기능성 핸디 퍼티 KR100711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496A KR100711575B1 (ko) 2004-10-21 2004-10-21 기능성 핸디 퍼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496A KR100711575B1 (ko) 2004-10-21 2004-10-21 기능성 핸디 퍼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141A KR20060035141A (ko) 2006-04-26
KR100711575B1 true KR100711575B1 (ko) 2007-04-27

Family

ID=3714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496A KR100711575B1 (ko) 2004-10-21 2004-10-21 기능성 핸디 퍼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5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15B1 (ko) * 2011-05-19 2013-07-29 유한회사 에코인 다기능 수용성 퍼디
CN106084971A (zh) * 2016-08-26 2016-11-09 蒋小军 一种具有防虫功能的内墙腻子粉
CN106084972A (zh) * 2016-08-26 2016-11-09 樊之雄 一种内墙用防霉耐水腻子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272A (ko) * 2002-01-08 2002-03-28 조태봉 바이오 몰탈 내장 마감재
KR20030018026A (ko) * 2003-01-27 2003-03-04 (주) 채널링크 천연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 페인트
KR20030026784A (ko) * 2001-09-28 2003-04-03 석 봉 최 세라믹 방청 페인트 제조방법
KR20040052974A (ko) * 2004-05-19 2004-06-23 주식회사 하이드 원적외선방사 맥반석 미장 퍼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784A (ko) * 2001-09-28 2003-04-03 석 봉 최 세라믹 방청 페인트 제조방법
KR20020023272A (ko) * 2002-01-08 2002-03-28 조태봉 바이오 몰탈 내장 마감재
KR20030018026A (ko) * 2003-01-27 2003-03-04 (주) 채널링크 천연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 페인트
KR20040052974A (ko) * 2004-05-19 2004-06-23 주식회사 하이드 원적외선방사 맥반석 미장 퍼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141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43B1 (ko) 건축물 내외장재 투명마감재용 조성물
KR101867864B1 (ko) 기능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슬래브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마감 시공 방법
KR101142035B1 (ko) 구조물 표면을 수분산성 세라믹도료로 표면처리하는 방법
KR101731887B1 (ko) 타일 접착제 겸 줄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2314657B1 (ko) 고강도 친환경적 무기계 폴리머 모르타르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KR101777267B1 (ko) 방수성 타일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1168246B1 (ko) 기능성 도료
KR1011800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ㆍ보강재
KR100977707B1 (ko) 라돈 방출 방지를 위한 페인트
KR101180054B1 (ko) 건축물 내ㆍ외벽용 기능성 방수 몰탈
KR100803170B1 (ko) 친환경성 석회 도료 조성물
KR20110048756A (ko) 황토와 백토석 함유 붙임용 모르타르 조성물
KR101310324B1 (ko) 건물 내ㆍ외벽 단열 시공방법
KR101832339B1 (ko) 환경친화형 경량 건축 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3940B1 (ko) 천연접착제, 상기 천연접착제를 포함하는 천연내장재 접착제, 천연페인트, 이러한 천연내장재 접착제 및 천연페인트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 시공방법
KR20100017003A (ko)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벽체 코팅 및 바름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100711575B1 (ko) 기능성 핸디 퍼티
KR101197732B1 (ko) 건축물 옥상 단열ㆍ방수 시공방법
KR20080104770A (ko) 라돈 방사선 차단 도장방법과 그 도장층
KR100676899B1 (ko) 무공해 황토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16977A (ko) 세라믹 도료용 조성물
KR102227053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및 벽체 마감용 친환경 기능성 도료 조성물
CN1624053A (zh) 负离子腻子
KR20160018897A (ko) 친환경 바닥 마감재용 조성물
KR20060035145A (ko) 건출물 내·외장재용 무독성 마감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