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738A -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738A
KR20120058738A KR1020100120162A KR20100120162A KR20120058738A KR 20120058738 A KR20120058738 A KR 20120058738A KR 1020100120162 A KR1020100120162 A KR 1020100120162A KR 20100120162 A KR20100120162 A KR 20100120162A KR 20120058738 A KR20120058738 A KR 20120058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cosmetic composition
algae
fiber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491B1 (ko
Inventor
강현서
박우람
김영소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2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491B1/ko
Priority to CN201110387835.3A priority patent/CN102475664B/zh
Publication of KR2012005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조류 섬유가 가지는 피지 흡수 효능, 모공을 조여 주는 효과를 이용하여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ebum control and pore minimizing containing algae fabrics}
본 발명은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조류 섬유가 가지는 피지 흡수 효능, 모공을 조여 주는 효과를 이용하여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들을 광물이나 합성이 아닌 피부에 보다 안전할 수 있는 식물로 대체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피지 조절 및 흡수를 위한 파우더 성분은 대체할 수 있는 식물성 물질이 없어 아직까지 합성 혹은 광물에서 유래한 성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피지 조절 및 흡수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흡유 파우더 성분은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나일론 파우더, 보론 나이트라이드 파우더, 탈크, 티타늄 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등이 있다. 이상의 성분들은 합성 혹은 광물에서 유래한 성분으로 피지를 흡수하는 능력 외에 추가적인 효능은 기대하기 어렵다.
최근, 육상 자원의 부족 현상과 함께 새로운 영역인 해상 자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해조류를 이용한 펄프의 연구개발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해조류는 육상 식물인 목재에 비하여 그 조직이 부드럽고, 구성하고 있는 섬유질이 미세하며 육지에 비해 월등히 넓은 공간에서 특별한 관리가 없어도 양식이 가능하여 월등히 많은 바이오매스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생장 속도 또한 나무보다 빠르고, 재배를 위한 별도의 토양이 필요치 아니하며, 섬유질의 추출이 쉬워 펄프화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 시설이 저렴하여 해조류를 이용한 펄프의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046601호 및 제2007-0040555호). 또한 이 해조류 펄프를 이용해 피부 보습을 향상시키고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한국공개특허공보 제 2010-0015042 호).
해조류에 포함된 섬유 모양의 세포는 생리활성물질의 이동 통로로 사용되는 내강을 지니고 있다. 섬유질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공간들은 천연 다공성 소재로 섬유화 처리 공정을 통해 피지 흡수 등에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가치를 가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 섬유를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해조류 섬유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면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 능력이 극대화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물질을 사용하여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력을 향상시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조류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조절 또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공성 특징을 가지는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여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에 대한 능력을 향상시켜 화장료 제형의 기본 품질을 증진시키며, 또한 식물성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광물이나 합성 원료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피부 안정성이 높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해조류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해조류 섬유는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코토니, 스피노섬, 돌가사리, 김, 해인초, 풀가사리, 개우무, 새발, 꼬시래기,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석묵 및 지누아리를 포함하는 홍조류; 파래, 클로렐라, 장구말, 반달말, 청각 및 청태를 포함하는 녹조류; 또는 미역, 다시마, 모자반, 톳, 감태, 곰피 및 대항을 포함하는 갈조류 등이 사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중에서 형체를 유지하고 있는 대부분의 해조류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해조류 섬유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예, 페가서스 인터내셔널):
a) 해조류를 쪄 낸 후 한천을 제거하여 펄프화시키는 단계;
b) 해조류 섬유를 에틸 알코올 또는 주정에 분산하여 탈수하는 단계;
c) 혼합액을 원심 분리하여 알코올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건조 단계.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 섬유는 한천 겔을 용해시킬 수 있는 추출용매에 상기 해조류를 일정시간 침지하여 추출용매로 한천 겔을 용해시킨 다음, 상기 용해된 한천 겔을 반응용매와 반응시켜 섬유질로 변환시키고, 상기 섬유질을 경화제로 경화시킨 후, 상기 경화된 섬유질을 펄프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해조류 섬유는 상기 해조류를 초산과 같은 산성 용액에 침지시킨 다음, 물로 세척 후 탈수시키고, 상기 탈수된 해조류를 물과 같은 추출용매에 일정시간 침지시켜 한천 겔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된 잔사를 다단계로 표백 처리하고, 이를 수집하여 해조류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해조류 섬유는 별도의 조해 과정이 필요치 않아 유독성 화학물질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광물성 표백제가 없이도 백색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해조류 섬유를 제조할 경우에는 다음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해조류를 맑은 물에 세척하여 이물질을 1차 제거한 후 증기를 이용하여 쪄 낸다. 이후 초산 5%를 100중량부의 물에 혼합하여 한천(agar)을 제거하고, 남은 섬유질을 해조류 섬유의 원료로서 사용한다. 한천을 완전히 제거하고 에틸 알코올로 에틸알콜로 추출한다. 이 때 제거된 한천은 본래의 용도에 맞게 활용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40555호에 기재된 해조류 섬유의 제조방법에는 수돗물이나 수영장의 소독약으로서 쓰이고 있는 이산화염소를 이용하여 1차 표백 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2차 표백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재의 사용 목적에 따라 해조류의 질감을 살리고자 할 때에는 표백 공정을 진행하지 아니할 수 있다. 소재를 표백할 경우에는 인체에 적용이 가능한 이산화염소와 과산화수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얻어진 섬유는 원심분리를 통해 남아있는 패각류의 조각이나 흙,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고, 탈수 후 에틸 알코올 또는 주정(酒精)을 이용하여 탈수 과정을 거친다. 만약 에틸 알코올 또는 주정(酒精)을 이용한 탈수 과정을 거치지 아니할 경우 건조 과정에서 섬유의 응집 현상이 발생하여 분산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탈수 처리된 섬유는 원심분리 등을 이용하여 알코올 성분을 제거한 후 60℃에서 진공 건조한 후 믹서기로 분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해조류 섬유를 제조한다.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분말 형태의 해조류 섬유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섬유의 함량이 1중량% 미만에서는 흡유량이 적어 완성된 제형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하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질의 사용감이 부정적 영향을 미쳐 화장품으로써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해조류 섬유는 자체 중량의 1배 정도의 흡유량 수치를 나타냈으며, 본 흡유량은 일정량의 파우더를 칭량한 후 실제 피지와 비슷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를 조금씩 흡수시켜 파우더가 피지로 완전히 포화되어 엉기기 시작하는 시점에서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첨가량을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샴푸, 린스, 보디세정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해조류 섬유 제조
대한민국 동해바다에서 채취된 우뭇가사리를 맑은 물에 세척하여 부착된 패각류나 이물질을 1차 제거한 후 증기를 이용하여 2시간 동안 쪄 내었다. 이후 100중량부의 물에 초산을 5% 혼합하여 한천(agar)을 제거하고, 남은 섬유질을 해조류 섬유의 원료로서 사용하였다. 한천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3회 반복하고 한천을 60℃에서 에틸알콜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잔사는 이산화염소로 1차 표백하고 과산화수소수로 2차 표백처리하였다. 얻어진 섬유는 원심분리를 통해 남아있는 패각류의 조각이나 흙,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고, 탈수 후 에틸 알코올을 이용하여 탈수 과정을 진행하였다. 탈수 처리된 섬유는 원심분리 등을 이용하여 알코올 성분을 제거한 후 60℃에서 진공 건조한 후 믹서기로 분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조류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수중유 에센스 제형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배합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참고예 1의 해조류 섬유 1 5 10 -
EDTA-2Na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5 5 5 5
부틸렌 글리콜 5 5 5 5
식물성 경화유 1.5 1.5 1.5 1.5
스테아린산 0.6 0.6 0.6 0.6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 1 1 1
세테아릴 알콜올 2 2 2 2
아라키딜/베헤닐 알코올&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 1 1 1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2 2 2 2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2 12 12 12
카보머 0.05 0.05 0.05 0.05
트리에탄올아민 0.05 0.05 0.05 0.05
방부제, 향,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1] 전문패널에 의한 피지흡수 효과 사용성 시험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을 사용하고 난 후 각각에 대한 선호도와 도포 후 번들거림이 나타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패널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40대 여성 15명(지성 피부타입 5명, 복합성 피부타입 10명)과 30~40대 남성 5명(지성 피부타입 3명, 복합성 피부타입 2명)을 대상으로 기초화장 단계의 마지막에 양쪽 얼굴에 첫째날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둘째날은 실시예 2 와 실시예 3을 각각 도포하여 양쪽을 비교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타입 선호도 실시예 사용 후 번들거림이 나타날 때까지 걸린 시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패널1(여) 지성 실시예 2 3 3.5 3.5 1.5
패널2(여) 지성 실시예 2 2.5 4 4 2
패널3(여) 지성 실시예 1 3.5 4 4.5 3.5
패널4(여) 지성 실시예 2 3 3.5 3.5 2
패널5(여) 지성 실시예 3 4 6 6 3
패널6(여) 복합성 실시예 1 4 5 5 4
패널7(여) 복합성 비교예 1 5.5 6 5.5 5
패널8(여) 복합성 실시예 2 5 5 6 4
패널9(여) 복합성 실시예 2 4 8 8 4
패널10(여) 복합성 실시예 2 3 4.5 4.5 2.5
패널11(여) 복합성 실시예 1 4 5.5 6 3.5
패널12(여) 복합성 비교예 1 5 6 6 5
패널13(여) 복합성 실시예 2 4.5 6 6 4.5
패널14(여) 복합성 실시예 1 4 8 8 4
패널15(여) 복합성 실시예 1 5.5 6.5 6.5 5
패널16(남) 지성 실시예 2 2 2.5 3 1.5
패널17(남) 지성 실시예 3 5 6 6 5
패널18(남) 지성 실시예 2 4 6 6.5 4
패널19(남) 복합성 실시예 2 5 8 8 5
패널20(남) 복합성 실시예 2 3.5 5 5.5 3
종합 -   평균 4.00시간 평균 5.45시간 평균 5.60시간 평균 3.60시간
상기 표 2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해 번들거림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피지 흡착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선호도의 평가의 경우 실시예 2가 20건 중 11건으로 가장 선호하는 조성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실시예 1이 5건, 실시예 3이 2건, 비교예 1이 2건 으로 해조류 섬유를 사용했을 때 상대적 선호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모공수축 효과
20~30대의 모공이 넓은 피험자 40명을 선정하여 4그룹으로 나누고 해조류 섬유가 함유된 상기의 실시예 1~3 및 해조류 섬유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의 제형을 각 그룹의 피험자에게 1주 3회, 4주간 사용하도록 한 후 모공 수의 감소를 DM-3 Facial Sta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기의 측정은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경과 후, 그리고 제품 사용 4주 경과 후에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으며, 결과의 값은 각 군의 평균값이다.
모공 수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후
실시예 1 357 289 257
실시예 2 348 307 299
실시예 3 332 287 253
비교예 1 349 334 340
상기 표 3을 보면,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을 사용한 그룹의 경우에는 모공 수의 감소 효과가 거의 없으나,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실시예 1~3을 사용한 그룹의 경우에는 우수한 모공 수축 효과를 얻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해조류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2. 해조류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섬유는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코토니, 스피노섬, 돌가사리, 김, 해인초, 풀가사리, 개우무, 새발, 꼬시래기,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석묵 및 지누아리를 포함하는 홍조류; 파래, 클로렐라, 장구말, 반달말, 청각 및 청태를 포함하는 녹조류; 및 미역, 다시마, 모자반, 톳, 감태, 곰피 및 대항을 포함하는 갈조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해조류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섬유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20162A 2010-11-30 2010-11-30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62A KR101825491B1 (ko) 2010-11-30 2010-11-30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CN201110387835.3A CN102475664B (zh) 2010-11-30 2011-11-29 含有海藻类纤维的皮脂调节或毛孔收缩用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62A KR101825491B1 (ko) 2010-11-30 2010-11-30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738A true KR20120058738A (ko) 2012-06-08
KR101825491B1 KR101825491B1 (ko) 2018-02-06

Family

ID=4608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162A KR101825491B1 (ko) 2010-11-30 2010-11-30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5491B1 (ko)
CN (1) CN1024756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157A (ko) 2017-11-28 2019-06-05 (주)아모레퍼시픽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2256238B1 (ko) * 2021-01-14 2021-05-27 주식회사 씨앤에스테크 우수한 수중경화성능 및 고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고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0621B (zh) * 2013-12-24 2015-10-21 上海海洋大学 一种浒苔水煮藻泥面膜及其制备方法
FR3034780B1 (fr) 2015-04-10 2018-10-19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Procede d'obtention de culture de cellules de l'algue rouge acrochaetium moniliforme, methode d'obtention d'un extrait de sa biomasse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CN104825373A (zh) * 2015-06-03 2015-08-12 刘沛溢 一种温和的植物提取物组合物在化妆品中的应用及其制备方法
FR3056907B1 (fr) * 2016-09-30 2019-11-01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Procede pour empecher ou ralentir l'apparition des signes inesthetiques generes par les agents polluants presents dans l'atmosphere sur la peau, le cuir chevelu, les cheveux ou les muqueuses
CN107375047A (zh) * 2017-07-03 2017-11-24 李剑峰 白藜芦醇‑环糊精包合物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69641B1 (ko) 2018-06-04 2020-01-23 주식회사 익스플즌 해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CN108904340B (zh) * 2018-08-13 2021-11-02 烟台新时代健康产业日化有限公司 一种具有控油功效的海藻组合物及其化妆品
CN111297759B (zh) * 2020-03-26 2022-07-22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控油收敛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化妆品
CN113876651B (zh) * 2021-09-26 2023-07-21 湖北省麦诗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缩小毛孔功效脂质体的精华乳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3528A (ja) 1998-08-10 2000-02-22 Lion Corp 皮膚貼付剤組成物
JP2003238384A (ja) 2002-02-14 2003-08-27 Fancl Corp 皮膚外用剤
JP2005047910A (ja) * 2003-07-17 2005-02-24 Rohto Pharmaceut Co Ltd 皮脂分泌抑制用組成物
TW200836755A (en) 2007-03-14 2008-09-16 Univ Nat Taiwan Ocean Marine algae extract comprising low degree of polymerization marine algae polysaccharide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and uses thereof
CN101361700A (zh) * 2007-08-08 2009-02-11 秦益民 一种含海藻酸纤维的面膜材料、制备方法和应用
KR101040393B1 (ko) * 2008-08-04 2011-06-09 (주)아모레퍼시픽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157A (ko) 2017-11-28 2019-06-05 (주)아모레퍼시픽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US11672753B2 (en) 2017-11-28 2023-06-13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sebum control and pore minimizing
KR102256238B1 (ko) * 2021-01-14 2021-05-27 주식회사 씨앤에스테크 우수한 수중경화성능 및 고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고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491B1 (ko) 2018-02-06
CN102475664A (zh) 2012-05-30
CN102475664B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491B1 (ko)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0393B1 (ko)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646B1 (ko)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727151A (zh) 一种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20110110995A (ko)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CN106309259A (zh) 一种利用澳洲坚果壳制备天然摩擦剂的方法
KR20100000081A (ko)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7915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
KR102227916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0134A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7171B1 (ko) 아피오스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5340B1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6395B1 (ko) 화장품 원료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25648B1 (ko)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패치
KR102238800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2239893B1 (ko) 김치 발효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298449B1 (ko)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7855B1 (ko) 천연물 재료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발 세정제(샴푸 또는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9616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7590B1 (ko) 피부 상태 개선 기능성 유색 세정제 조성물
KR20150047354A (ko) 밤 과실, 밤 속껍질 및 밤 꽃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9892B1 (ko) 김치 발효 마스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