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488A -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488A
KR20120058488A KR1020120046438A KR20120046438A KR20120058488A KR 20120058488 A KR20120058488 A KR 20120058488A KR 1020120046438 A KR1020120046438 A KR 1020120046438A KR 20120046438 A KR20120046438 A KR 20120046438A KR 20120058488 A KR20120058488 A KR 20120058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s
information
user
server
recog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583B1 (ko
Inventor
방완주
최연석
Original Assignee
(주) 유니콤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니콤티디 filed Critical (주) 유니콤티디
Priority to KR102012004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5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3Tax preparation or sub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관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입국 시 사용자들이 구입한 물품에 대하여 관세대상에 따른 관세를 부과하고자 할 때 관세 주요 대상자들을 확인하기 위한 세관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성한 세관신고서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여권번호, 탑승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인식하여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주요 대상자일 경우 검사관이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며, 인식된 사용자정보를 제공하는 인식기 및 상기 인식기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신규로 등록된 주요 대상자의 사용자정보나 상기 인식기로 실시간 제공하여 업데이트시켜주거나, 상기 인식기로부터 사용자정보 요구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제공하여 주는 세관관할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Custom inspecion method using the Custom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출/입국 시 관세 대상물품에 대하여 관세를 부가하고자 할 때 사용자들이 세관신고를 위해 자발적으로 작성하는 세관신고서를 자동적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정보 확인을 통해 정밀 세관 검사에 해당하는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선별하는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편이 이착륙하는 공항이나 항구 등에서 행해지는 출/입국 관리를 자동화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5-35935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 10-157352호 공보에 기재된 출/입국 관리 기술이 있다.
상기 일본 특개평5-35935호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독립형 출/입국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실제 출/입국 심사 시에, IC카드형 여권에 기억된 얼굴 사진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판독된 화상데이터와, 그 자리에서 촬영한 얼굴 사진의 화상 데이터를 대조하고, 그 일치 유무를 여권 소지 인물의 정당성의 판단 요소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출/입국 관리 시스템은 불법 출/입국자의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0-157352호에는 실제 출/입국 심사 시에, 국내/외 여권 관리 시스템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해당 시스템 내에 등록된 지문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 된 지문 정보와, IC카드형 여권에 기억된 지문 정보를 대조하고, 그 일치 유무를 여권 소지 인물의 정당성이 판단 요소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출/입국 자동화 시스템은 출/입국 심사에 관한 시스템, 즉 대상자들의 신분 확인절차에 관한 자동화 시스템에 치중되어 있을 뿐, 여행자들이 반입해오는 관세대상 여부를 결정하는 세관 시스템은 세관 검사관들의 노하우와 무차별한 임의적 선별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관세대상 물품을 구입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관세 부과없이 통과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현재 운영되는 출/입국 심사 시 동시에 이루어지는 세관 검사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입국자가 해외에서 물품을 구입하였을 경우 이를 신고하기 위해 세관신고서를 작성하면(S10), 이를 출/입국 심사 단계(S20)에서 제출한 후 출/입국 심사와 동시에 검사관(출/입국 관리 직원)이 확인을 한다(S30). 또는 출/입국 심사를 마치고 별도로 제출한다.
이때 검사관에 의해 정밀 세관 검사(엑스레이 검사, 직접적인 검사)가 필요할 경우 세관 검사관에게 통신수단을 통해 인지시켜 상세한 검사를 수행하거나 세관 검사관들이 임의적으로 정밀 세관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세관 검사 방법은 검사관이 일일이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우며 체계적이고 정확한 세관 검사를 달성할 수 없고 과세물품 소지자들의 통과율이 높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일본특개평 5-35935호 일본특개평 10-15735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출/입국자)들이 관세대상 물품에 대해 자발적으로 세관 신고를 하고자 할 때 작성하는 사용자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세관신고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주요 대상자를 선별하여 효과적인 세관 검사를 달성시키고, 인식된 세관신고서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체계적인 세관 검사를 달성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입국 시 사용자들이 구입한 물품에 대하여 관세대상에 따른 관세를 부과하고자 할 때 관세 주요 대상자들을 확인하기 위한 세관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성한 세관신고서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여권번호, 탑승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인식하여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주요 대상자일 경우 검사관이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며, 인식된 사용자정보를 제공하는 인식기 및 상기 인식기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신규로 등록된 주요 대상자의 사용자정보나 상기 인식기로 실시간 제공하여 업데이트시켜주거나, 상기 인식기로부터 사용자정보 요구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제공하여 주는 세관관할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기는, 사용자가 작성한 성명, 주민번호, 여권번호, 탑승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주요 대상자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관관할서버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기 저장된 세관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기 저장된 세관정보를 상기 세관관할서버로 업데이트 시켜주거나 상기 세관관할서버에서 요청이 있을 경우 세관정보를 제공해주는 세관본부서버, 사용자의 방문국가, 여행목적, 체류기간, 탑승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정보를 제공해주는 출/입국관리기관서버 및 사용자의 결제내역을 제공해주는 금융기관서버와 연결되어 이에 해당하는 세관정보, 사용자정보,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기는, 사용자이 작성하여 삽입된 세관신고서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모듈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정보를 가지고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주요 대상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인식처리부,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정보를 상기 세관관할서버로 제공하거나 신규 주요 대상자가 있는지 여부를 요청하여 있을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업데이트 하며, 상기 인식처리부에 의해 주요 대상자로 결정되었을 때 세관 검사관이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시켜주는 정보처리부/표시부 및 상기 인식모듈을 통과한 상기 세관신고서를 인식실패 또는 인식성공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분류모듈의 결과에 따라 인식성공 시 상기 세관신고서가 보관부로 배출되며, 인식실패 시 배출부로 다시 배출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입국 시 사용자들이 구입한 물품에 대하여 관세대상에 따른 관세를 부과하고자 할 때 관세 주요 대상자들을 확인하기 위한 세관 검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정보와 물품정보를 작성하는 세관신고서 작성단계, 작성된 상기 세관신고서를 인식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세관신고서에 작성된 사용자정보를 인식하고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주요 대상자로 확인되면 인식기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세관 검사관들에 의해 정밀 세관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사용자정보를 인식한 후 해당 사용자의 세관정보를 세관관할서버에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출/입국관리기관서버와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사용자정보와 결제내역 정보도 함께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작성한 세관신고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전에 등록된 주요 대상자를 선별하거나, 의도적으로 세관 검사를 통과하려는 주요 대상자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보다 정확한 세관 검사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식기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세관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보다 체계적인 세관 검사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관세수입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함으로써,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세관신고에 대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관 검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관 검사 시스템의 세관 신고서 인식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관신고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세관 검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관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관 검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관 검사 시스템의 세관 신고서 인식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관신고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세관 검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관 검사 시스템은 입국자가 세관 대상물품을 소지함에 따라 세관 신고를 위해 자발적으로 작성하는 세관신고서를 입력받아 사용자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주요 대상자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인식기(300)와, 상기 인식기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외부기관이나 신규 등록된 주요 대상자 정보를 상기 인식기로 업데이트 시켜주는 세관관할서버(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식기(300)는 사용자가 작성한 세관신고서를 인식하여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세관신고서에는 사용자가 사용자정보와 물품정보를 작성하게 되는데, 상세하게는 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항공편명, 방문국가 등이 포함된 사용자정보를 작성하고, 사용자가 구입한 물품에 대한 물품정보를 작성한다.
상기 인식기(300)는 사용자가 투입한 세관신고서에 기재된 사용자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모듈(310)과 상기 인식모듈로부터 인식된 인식결과를 처리하여 주요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는 인식 처리부(320)와 세관신고서가 인식모듈을 거친 후 인식이 완료되었을 경우 보관부(332)로 분류하며, 인식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배출부(331)를 통해 다시 배출시키는 분류모듈(3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처리부(320)는 별도의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저장부에는 주요 대상자 리스트가 기 저장되어 있다.
상기 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세관신고서에서 주요 대상자로 인식되었을 경우 상기 인식 처리부(320)는 정보 처리부/표시부(340)로 신호를 주어 세관 검사관이 인지할 수 있도록 벨이나 경고등 등의 방식으로 표시하여 준다.
주요 대상자란 사전에 관세에 관련하여 주요 검사 대상자 즉, 수시로 관세대상물품을 반입하려고 하는 자, 불법으로 반입하려다 적발된 자 등 세관신고를 올바르게 이행하지 않는 대상자를 말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를 일치하지 않도록 작성하는 불법 반입을 목적으로 하는 의심자로써, 예를 들어 여권번호와 탑승정보를 일치하지 않게 작성하여 의도적으로 세관을 통과하려는 자에 대해서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인식하여 주요 대상자로 선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부/표시부(340)는 상기 인식모듈(310)을 통해 인식한 세관신고서를 저장부에 저장시키도록 하며, 후술한 세관관할서버로 해당 세관신고서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DB)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인식된 사용자정보와 함께 세관신고서를 스캐닝(scanning)된 파일형식으로 전송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성한 물품정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어 추후 참고자료(검증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인식에 실패하여 상기 배출부(331)로 세관신고서가 배출되었을 경우에는 재 작성하거나, 검사관에 의해 시각적으로 확인절차를 다시 거친다.
상기 인식모듈(310)은 세관신고서에 작성된 글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세관신고서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는 상기 인식기(300)와 대응할 수 있도록 OMR(optical mark reader)기록지 등과 같은 전자마킹방식으로 작성하는 세관신고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세관신고서가 OMR기록지 방식으로 제공되면 이에 따라 사용자정보와 물품정보를 마킹 방식으로 기재하고 이와 대응되게 상기 인식기가 인식하면 좀 더 높은 인식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세관신고서 작성란에서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문자별로 작성하도록 작성란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세관신고서에 작성되는 작성항목은 대한민국의 일예로 관세법등과 같은 세관 관련 제도나 법률 근거하여 해당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세관관할서버(100)는 외부기관이나 사전에 기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즉, 주요 대상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새로 주요 대상자가 등록되었을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상기 인식기(300)에 업데이트시킴으로써 상기 인식기는 입력된 세관신고서의 사용자정보를 인식하여 주요 대상자를 선별한다.
또한, 인식기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세관정보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준다. 예를 들어 인식기에 인식된 사용자정보가 주요 대상자로 판정되었더라도 그 대상자에 대한 최근 세관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세관관할서버(100)에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이것은 세관관할서버에서 인식기로 사용자에 대한 세관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 하지만, 누락되거나 재확인 절차를 거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세관관할서버(100)는 인식기로부터 제공받은 세관신고서 정보를 저장하면서 사용자가 신고한 물품정보 및 신상정보(주소 및 주민번호)를 DB화하였다가 사용자의 주요 정보(주소 및 구입물품정보 등)를 관리함으로써 추가적인 정밀 세관 검사에 있어 참고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기를 통해 주요 대상자로 확인되면 정보처리부/표시부(340)에서 안내신호(경보음, 경보등)를 출력하여 세관 검사관이 세관 신고없이 불법으로 반입하려는 물품을 소지하고 있는지를 정밀 검사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세관관할서버(100)는 관세를 담당하는 기관의 서버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인식기를 관할하는 별도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관정보와 관련되는 사용자정보(주요 대상자)나 관세대상 물품정보 등 세관에 관련된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관관할서버(100)를 지역본부의 세관관할기관 서버라고 하면 이를 관할하는 세관본부서버(200)와 연동할 수 있다. 즉, 대한민국의 일예를 살펴보면, 세관관할서버(100)가 각 지역 세관서버(서울세관, 인천공항세관, 인천세관, 부산세관, 대구세관 등)에 해당한다면, 상기 세관본부서버(200)는 관세청 서버 또는 본부세관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시스템 연동을 위한 구축은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세관 검사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그 설계가 변경 가능하다.
상기 세관본부서버(200)와 연결되면 각 지역본부의 세관관할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세관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지역본부에 해당하는 세관관할서버로 실시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세관관할서버(100)는 금융기관서버(4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용카드 결제내역 정보를 통해 좀 더 정확한 세관 대상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관서버(400)는 일반적으로 신용카드사의 서버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해외에서 결제한 카드 결제내역 정보를 세관관할서버(100)에 전송한다. 이것은 세관신고서에 관세대상물품을 구입함에도 불구하고 물품정보를 작성하지 않고 반입하려는 사용자들을 색출하기 위하여 상기 금융기관서버(400)를 통해 사용자의 결제내역 정보를 전송받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출/입국자들이 결제내역 정보를 통해 관세대상물품을 구입하였을 경우에는 세관신고서에 누락하여 작성하고 불법으로 반입하려고 할 때 해당 사용자는 상기 금융기관서버(400)의 결제내역을 통해 주요 대상자로 선별하여 세관 검사관들에 의한 검사를 이행한다.
세관신고서를 작성하지 않고 관세대상 물품을 반입하려고 할 때 앞서 언급한 금융기관서버(400)와 연동하여 관세대상 물품, 관세대상 금액의 물품을 구입하였을 경우에는 출/입국 심사 단계에서 주요 대상자로 선별하여 세관 검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관관할서버(100)는 출/입국 심사를 관여하는 출/입국관리기관서버(110)와 연동할 수 있다. 이것은 법무부나 관할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시스템과 연결되는 것으로, 출/입국자의 상세한 사용자정보나 탑승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이것은 사용자의 방문국가, 여행목적, 체류기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세한 사용자정보를 통해 면밀한 세관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관 검사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출/입국자들이 출국 또는 입국 시에 세관 신고 물품이 있을 경우 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체류국가, 주소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와 구입한 물품정보를 작성하는 세관신고서를 작성한다(S100).
그 후 사용자는 작성된 세관신고서는 세관 검사대 통과 전에 인식기(300)에 투입하고(S200), 상기 인식기(300)는 투입된 세관신고서를 통해 사용자정보를 인식한 후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300). 세관신고서를 인식기에 투입한 사용자는 세관통과 절차에 따라 통관절차를 받는다(S400).
상기 인식기는 인식모듈과 인식처리부를 통해 주요 대상자 인지 여부를 검색하고 해당정보가 없을 경우 세관관할서버에 사용자에 대한 최신 세관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요청에 그에 따라 결정한다.
세관신고서에 오기입이나 인식 불가능한 글자로 기재되어 있을 때에는 배출부를 통해 세관신고서가 배출된다. 이럴 경우 세관신고서를 다시 작성하여야 하거나, 검사관에 의해 의심자 즉, 주요 대상자로 판단하여 정밀 검사를 실시한다.
상기 인식기에 세관신고서를 투입한 후 입국자는 세관통과절차를 받게 되며, 인식기의 인식 결과에 따라 주요 대상자가 아닌 경우 인식기가 표시하지 않고 주요 대상자로 결정되면 정보처리부/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세관 검사관에 의한 정밀 세관 검사를 실시한다(S600).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세관신고를 자동적으로 처리하여 보다 정확한 세관 검사를 달성하며 세관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검사관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세관관할서버
200 : 세관본부서버
300 : 인식기
400 : 금융기관서버
500 : 출/입국관리기관서버

Claims (1)

  1. 출/입국 시 사용자들이 구입한 물품에 대하여 관세대상에 따른 관세를 부과하고자 할 때 관세 주요 대상자들을 확인하기 위한 세관 검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성한 세관신고서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성명, 주민번호, 여권번호, 탑승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인식하여 수시로 관세대상물품을 반입하려고 하는 자, 불법으로 반입하려다 적발된 자를 포함하는 세관신고를 올바르게 이행하지 않는 사전에 확인된 대상자, 성명, 주민번호, 여권번호, 탑승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인식처리부와 인식모듈을 통해 주요 대상자로 인식하되, 인식실패 또는 인식성공에 따라 분류모듈을 통해 분류하고, 인식실패 시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인식기를 통해 세관신고서를 인식하여 사용자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인식기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정보를 세관관할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세관관할서버에서 제공받은 사용자정보를 세관본부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출/입국관리기관서버와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방문국가, 여행목적, 체류기간, 탑승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정보와, 사용자의 결제내역을 제공받아 세관신고서에 작성된 사용자정보를 통해 주요 대상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신규로 등록된 주요 대상자의 사용자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인식기로 실시간 제공하여 업데이트시켜주거나 상기 인식기로부터 사용자정보 요구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제공하여 주고,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기 저장된 세관정보를 세관관할서버로 업데이트 시켜주거나 상기 세관관할서버에서 요청이 있을 경우 세관정보를 세관본부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주요 대상자로 결정되었을 때 세관 검사관이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시켜주는 정보처리부/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세관 검사 방법.
KR1020120046438A 2012-05-02 2012-05-02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KR10131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438A KR101314583B1 (ko) 2012-05-02 2012-05-02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438A KR101314583B1 (ko) 2012-05-02 2012-05-02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225A Division KR20100029433A (ko) 2008-09-08 2008-09-08 세관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488A true KR20120058488A (ko) 2012-06-07
KR101314583B1 KR101314583B1 (ko) 2013-10-14

Family

ID=4661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438A KR101314583B1 (ko) 2012-05-02 2012-05-02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124A (ko) * 2018-04-27 2019-11-06 (주) 케이씨넷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행자 및 동행자 패턴분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035A (ko) * 2000-08-10 2002-02-20 김광백 여권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국 관리 방법
KR20040096613A (ko) * 2002-02-25 2004-11-16 퍼블릭 웨어하우징 컴패니 케이에스씨 관세 정보의 웹-기반 프로세싱용 시스템 및 방법
KR100591474B1 (ko) * 2006-04-13 2006-06-20 대한민국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124A (ko) * 2018-04-27 2019-11-06 (주) 케이씨넷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행자 및 동행자 패턴분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583B1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5675A1 (en) Identification scan in compliance with jurisdictional or other rules
CN103688526B (zh) 通过多个网站注册、验证和监控用户的系统和方法
CN101763662B (zh) 电子车辆识别的系统和方法
US201502428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refundable taxes
US20040078335A1 (en) Transporta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at supports international travel
JP2018524755A (ja) 払戻し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70198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allowing individuals to enroll into a known group, dispense tokens, and rapidly identify group members
AU2018200785B2 (en) Transport system user inspection
US20170076082A1 (en)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2256259B1 (ko)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KR102469607B1 (ko) 안전한 거래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1314583B1 (ko)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GB2536003A (en) Ticketing system & Method
RU2534430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длинности товаров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контрол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и,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и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покупки товаров
KR20100029433A (ko) 세관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KR101875342B1 (ko) 부동산 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인중개사의 등록 및 관리방법과 공인중개사의 신분식별방법
JP72741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ing et al. Unregistered medical products detected by Malaysia’s pharmacy enforcement division during routine inspection: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selected mainstream medicines’ retailers in the state of Sarawak
GB2574454A (en) Vehicle registration plate method
JP2022030675A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COMBO products and services
KR20070016826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부동물의 전자상거래 관리모델
KR20170020191A (ko) 고객에 대한 성인 서약을 생성하는 전자 서약 생성 장치와 시스템
SA112330373B1 (ar) تحكم آلي متكامل في الاستشعار والوصو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