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474B1 -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474B1
KR100591474B1 KR1020060033593A KR20060033593A KR100591474B1 KR 100591474 B1 KR100591474 B1 KR 100591474B1 KR 1020060033593 A KR1020060033593 A KR 1020060033593A KR 20060033593 A KR20060033593 A KR 20060033593A KR 100591474 B1 KR100591474 B1 KR 10059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xport
correction
cargo
im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윤갑
박진헌
손병조
김두기
김기영
태응렬
이대복
김도열
손정준
박재홍
오병태
김종호
최흥석
오태영
서윤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6003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통관시스템, 전자통관방법 및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출 혹은 수입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기술로서, 수입화물에 대해서는,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으면 적하목록에 대한 심사 처리를 실행하고 관리대상화물을 선별하며, 하선 혹은 하기 정보, 보세운송 신고 정보 혹은 화물 반출입 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신고 내용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처리한다. 그리고, 수입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신고서를 접수하고 심사결과를 등록하며 정정신청이 있는 경우 정정절차를 실행한다. 또, 수출화물에 대해서는, 수출 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수리하며, 정정신청이 있는 경우 신고 내역을 정정한다. 수출신고서 접수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으면, 적하목록에 대한 심사 처리를 실행하고, 적재전 검사대상 화물을 선별하여 수출화물 적재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업무의 일부분에 대한 전산화에 그치지 않고, 다자간에 이루어지는 관세 행정 업무 전체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SYSTEM AND METHOD FOR CUSTOMS CLEARANCE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THAT METHO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화물모듈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통관모듈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통관모듈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화물모듈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환급모듈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후심사모듈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항모듈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정보모듈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정보모듈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징수모듈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화물에 대한 전자통관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화물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통관절차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징수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후심사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화물에 대한 전자통관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통관절차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화물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환급흐름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입출항흐름도이다.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입출항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정보처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수출,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관세청의 관세 행정은 크게 수입 화물 관리 , 수입통관, 수출화물 관리, 수출통관, 관세환급, 사후심사, 여행자 정보 감시 및 휴대품 통관 등의 업무를 포함 한다. 즉 관세 행정은 수출입 무역 체계상에서 수출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등을 통해 국가간 무역을 조정하며, 국가 무역정책의 일반적인 수단이 되는 중요한 업무이다.
상술한 관세 행정은 관세청을 중심으로 선사, 항공사, 각종 금융기관, 국세청 및 해양수산부, 법무부등와 같은 정부 행정기관, 화주, 관세사, 수출입물류업체등 다자간에 이루어지는 복잡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종래 대부분의 프로세스들은 업무 주체들이 해당 문서등을 작성하여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발송등을 통해 처리되었다. 또는 일부 업무에 대해서 부분적인 전산화 시스템이 구축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이 전자 문서 결재 시스템 수준에 그치거나 행정의 다른 업무 영역과의 연계가 부족하여, 관세 행정 전체 업무 효율성 개선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한편, 국제 무역의 지속적인 증대와 WTO 체제에 의한 자유무역이 확산되고 있는 세계 경제의 흐름속에서 물류비 절감 및 업무의 효율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은 더욱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세 행정 업무 전체가 다자간에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통관 시스템은, 수출 혹은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시스템으로서, 수입화물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하선/하기 정보, 반출입정보, 보세운송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처리하고 반출입내역, 적하목록, 보세운송내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화물 모듈;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입 화물에 대한 수입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 조건에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 혹은 반입내역 정보를 전달받아, 신고서에 대한 검사, 결재, 정정처리를 수행하며,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통관 모듈; 및 상기 수입통관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를 기초로 사후 심사 대상에 대해 심사하고 결과를 등록하는 사후심사모듈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통관 시스템은, 수출 혹은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시스템으로서, 수출화물에 대한 수출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수출신고서에 대한 수리, 검사, 정정업무를 실행하며, 수리내역 혹은 선적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통관 모듈; 수출신고서 수리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적하목록을 심사하고 출항여부를 결정하며, 적하목록에 대한 정정업무를 실행하고, 적하목록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화물 모듈;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환급신청서 정보를 전달받은 후, 수출품목 또는 수입신고 수리 내역을 기초로 심사하여 환급 여부에 대한 결재 및 지급 결정을 처리하며, 환급 승인 내역 혹은 환급 내역을 외부에 제공하는 관세환급모듈; 및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 혹은 상기 관세환급모듈로부터 전송받은 환급승인 내역 정보를 기초로 사후 심사 대상에 대해 심사하고 결과를 등록하는 사후심사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통관시스템은, 수출 혹은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통관시스템으로서, 수입화물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하선/하기 정보, 반출입정보, 보세운송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처리하고 반출입내역, 적하목록, 보세운송내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화물 모듈;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입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 조건에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 혹은 반입내역 정보를 전달받아, 신고서에 대한 검사, 결재, 정정처리를 수행하며,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통관 모듈; 수출화물에 대한 수출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수출신고서에 대한 수리, 검사, 정정업무를 실행하며, 수리내역 혹은 선적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통관 모듈; 및 수출신고서 수리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적하목록을 심사하고 출항여부를 결정하며, 적하목록에 대한 정정업무를 실행하고, 적하목록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화물 모듈을 포함한다.
또,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 통관 방법은,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방법으로서, a)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으면 적하목록에 대한 심사 처리를 실행하고 관리대상화물을 선별하며, 하선 혹은 하기 정보, 보세운송 신고 정보 혹은 화물 반출입 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신고 내용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처리하는 단계; b)수입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신고서를 접수하고 심사결과를 등록하며 정정신청이 있는 경우 정정절차를 실행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에서의 수입 신고 내역을 기초로 사후 심사 자동 선별기준에 의해 선별된 사후 심사건 또는 선별자에 의해 직접 결정된 사후 심사건에 대해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를 지정하고, 심사 결과를 등록하며 심사결과에 다른 안내 메세지를 전송하 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통관방법은, 수출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방법으로서, a) 수출화물 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수리하며, 정정신청이 있는 경우 신고 내역을 정정하는 단계; b) 수출화물 신고서 수리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아, 심사 후 결과 통보 메세지 또는 자동 선별 기준에 따라 선별된 적재전 확인 대상에 대한 출무 확인 결과 메세지를 전송하며 수출화물 적재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c) 환급신청정보가 전송된 경우,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를 지정하고, 심사 결과에 따라 지급 결정 처리하여 해당 은행에 이체의뢰 통보 혹은 지급지시 통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수입 신고 내역 혹은 환급 내역을 기초로 사후 심사 자동 선별기준에 의해 선별된 사후 심사건 또는 선별자에 의해 직접 결정된 사후 심사건에 대해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를 지정하고, 심사 결과를 등록하며 심사결과에 다른 안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자통관방법은, 수출 혹은 수입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방법으로서, a)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으면 적하목록에 대한 심사 처리를 실행하고 관리대상화물을 선별하며, 하선 혹은 하기 정보, 보세운송 신고 정보 혹은 화물 반출입 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신고 내용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처리하는 단계; b) 수입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신고서를 접수하고 심사결과를 등록하며 정정신청이 있 는 경우 정정절차를 실행하는 단계; c) 수출화물 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수리하며, 정정신청이 있는 경우 신고 내역을 정정하는 단계; 및 d) 수출화물 신고서 접수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아, 심사 후 결과 통보 메세지 또는 자동 선별 기준에 따라 선별된 적재전 확인 대상에 대한 출무 확인 결과 메세지를 전송하며 수출화물 적재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저장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 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통관 시스템은, 수입화물모듈(100), 수입통관모듈(200), 수출화물모듈(300), 수출통관모듈(400), 사후심사모듈(600), 관세환급모듈(500), 조사정보모듈(900), 입출항모듈(700), 여행자정보모듈(800) 및 징수모듈(1000)을 포함한다.
수입화물모듈(100)은 화물을 운송하는 선사 혹은 항공사등으로부터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고, 차례로 하선/하기 정보, 반출입 정보, 보세 신고 정보등을 처리하며, 반출내역, 적하목록, 보세내역등을 타 모듈 혹은 외부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수입통관모듈(200)은 수입화물등에 대한 수입신고서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검사, 결재, 수납, 통관목록, 신고, 정정신청등의 업무를 처리하며, 수리내역 등을 타 모듈 혹은 외부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수출통관모듈(300)은 수출화물에 대한 수출신고서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수리, 검사, 정정 등의 업무를 처리하며, 수리내역 혹은 선적 내역등의 정보를 타 모듈 혹은 외부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수출화물모듈(400)은 선박회사, 항공사, 선박대리점, 복합운송 주선업체 등으로부터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적하목록을 심사, 확인 및 승인하며, 적하목록에 대한 정정업무등을 처리하며, 적하목록 내역등의 정보를 타 모듈 혹은 외부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관세환급모듈(500)은 환급신청서 정보를 전달받아 심사하고 환급 여부에 대한 결재 및 지급 결정등에 대한 업무를 처리하며, 환급승인 내역 혹은 환급 내역등 의 정보를 타 모듈 혹은 외부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사후심사모듈(600)은 수입통관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수리내역등의 정보, 관세환급모듈로부터 전달받은 환급승인내역등의 정보를 기초로 사후심사대상을 선별하여 심사 업무를 처리하고, 심사 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징수모듈(1000)은 제세의 고지를 생성하고 수납을 처리하며 세금 계산서를 교부할 수 있다. 또한 징수모듈(1000)은 미납관세의 체납을 관리할 수 있고, 선통관 후납부제를 위한 담보 관리를 실행하며, 징수보고 업무를 실행한다.
공항만모듈(700)은 선사, 항공사등으로부터 입출항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우범선박등을 선별하고 출무결과에 따라 입출항 여부를 승인할 수 있다.
조사정보모듈(900)은 수출화물모듈, 수츨통관모듈, 수입화물모듈 등으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수리내역, 선적내역, 적하목록, 반출입, 보세운송내역, 출항적하목록 등의 정보를 기초로 조사 혹은 보고 업무를 처리하고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세, 마약 사범, 지명수배자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행자정보모듈(800)은 출입국 여행자에 대해 우범성 여부를 판단하고, 여행자가 소지한 휴대품에 대한 검사를 통해 반출입 제한 물품의 적발 및 과세대상 통관물품에 대한 징수처리 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화물모듈(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입화물모듈(100)은 적하목록 처리부(110), 하선/하기 처리부(120), 반입신고 처리부(130), 보세운송 처리부(140), 반출신고 처리부(150) 및 화물관리부(160)를 포함한다.
적하목록 처리부(110)는 선사/항공사등으로부터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고, 해당 적하목록에 대해 심사 처리한다. 이때 적하목록이란 선하증권 또는 항공 화물 운송장의 내역을 기재한 선박 또는 항공기의 화물적재목록을 가리키며, 화물운송주선업자가 작성한 경우에는 혼재화물적하목록이라고도 한다. 적하목록은 운송수단(선박, 항공기)에 적재된 화물의 총괄목록으로 하선->운송->보관->통관의 각 단계별로 화물의 총량관리를 위하여 최초로 생성된 화물정보를 가리키며, 화물 정보의 생성에서 소멸에 이르기까지 화물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적하목록 처리부(110)는 적하목록 정보가 접수되면, 화물선별 기준에 따라 우범화물을 자동 선별하고, 우범화물로부터 관리대상화물을 자동선별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하목록 처리부(110)는 사업자등록번호, 품명, 적재항, 원산지, 운송사, 포워더 정보등을 제1 선별기준으로 적용하여,우범화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는 제1 선별기준을 통과한 화물일지라도 포장용기, 입항일시, 선박계류장소, 특수화물, 우범선박, 우범선원등의 정보를 제2 선별기준으로 적용하여 우범화물을 필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선별기준을 통과한 화물일지라도 최초수입인지 여부, 사업자 번호 미기재화물 인지 여부 등을 제3 선별기준으로 적용하여 우범화물을 필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적하목록 처리부는 우범화물로 분류된 건들에 대해서 표준중량등과 같은 관리기준을 적용하여 중량에 이상이 있는 경우, 담당자를 선별하여 검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적하목록 처리부는 해당 화물에 대한 정보 를 관리대상화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하선/하기처리부(120)는 선사/용선사등으로부터 하선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접수 처리 혹은 오류 처리하며, 심사결과에 따른 하선 신고서 수리여부, 하선장소변경요구에 따른 승인여부를 처리할 수 있다.
반입신고처리부(130)는 화물의 반입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이상 유무에 따라 접수처리하며, 반출신고처리부(150)는 화물의 반출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이상 유뮤에 따라 접수 처리할 수 있다.
보세운송처리부(140)는 보세운송업자등으로부터 보세운송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화물이 자동수리 배제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해당 보세운송신고서 정보를 자동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역물, 위험물, 보세구역의 장치물품, 재보세운송물품, 관리대상화물등과 같은 정밀심사 대상의 경우, 자동수리배제업체로 등록된 경우, 환적화물인 경우, 수리거부건이 재신고된 경우, 화주 또는 관세사가 신고하는 경우, 입항전 보세운송 신고건 또는 세관별 자동 수리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수리 배제조건에 해당 될 수 있다. 그리고, 보세운송처리부(140)는 해당 화물이 자동수리 배제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담당자에 의한 심사가 집행되도록 처리한다.
화물관리부(160)는 화물이 국내에 들어와 내국물품이 되기까지의 처리, 즉 적하목록 제출부터 수입신고 수리, 반출까지의 전단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보세운송, 반출입, 수입신고등과 같은 다음 단계의 처리를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초 수입화물의 총량이 중간 과정 에서 불법 유출됨이 없어 적법하게 통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통관모듈(200)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통관모듈(200)은 수입신고처리부(210), 심사부(220), 결재부(230) 및 정정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입신고처리부(210)는 관세사 혹은 화주 등으로부터 수입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납부고지번호를 부여하고, 수입 신고 내용에 오류가 없는 경우 미리 등록된 검사 기준에 의해 검사대상여부를 결정하는 검사대상선별처리(C/S)를 수행할 수 있다. 수입 C/S(Cargo Selectively)에 따라 검사대상으로 선별되는 경우, 실물검사 등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수입신고처리부는 관세사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고서류에 대한 접수처리를 할 수 있으며, 자동배부기준에 따라 심사자등을 지정하여 신고서류에 대해 심사할 수 있다.
이 때, C/S란 신고자가 신고한 신고서에 대해, 시스템에 등록된 기준으로 신고물품의 우범성 여부를 체크하여 자동으로 검사대상 혹은 비검사대상을 선별하는 기술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수입 C/S의 경우, 세관별로 등록된 랜덤비율을 적용하여 검사대상을 선별할 수 있는데, 조합기준 개수, 검사율, 최근 등록일등을 포함하는 제1 선별기준을 기초로 검사 필수 대상을 선별할 수 있다. 또, 조합기준 개수, 검사율, 로컬(local)기준, 최근 등록일을 포함하는 제2 선별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기초로 검사대상을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최초 수입일을 기초로 제3 선별기준을 마련하여, 최초 수입 화물의 경우 관리대상 화물로 분류하여 검사대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수입신고처리부(210)는 신고서 유형별 심사자배부방법에 따라 심사자를 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류제출대상건에 대해서는 품목별, 장치장소별로 순차배정할 수 있고, 특송 신고건에 대해서는 특송 업체별로 배부할 수 있고, 보세 공장건에 대해서는 장치 장소별로 순차배부할 수 있다.
심사부(220)는 미리 저장된 검사 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실시된 검사 대상에 대한 검사 결과를 등록할 수 있고, 수입신고서등의 통관심사 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
결재부(230)는 심사부(220)에 저장된 검사 결과 혹은 심사 결과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신고 수리등을 위한 결재 사항을 저장하여 결재 담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결재부는 결재 담당자가 검사 결과, 심사 결과, 결재 사항등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신고서등에 대한 결재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결재부는 결재 후, 수입 신고건에 대해 신고 수리 처리하며, 신고 수리 후 신고자에게 수입신고 필증을 교부할 수 있다.
정정처리부(240)는 관세사등으로부터 결재 처리 후 수입 신고 혹은 납부 세액등에 대한 정정 신청을 접수하고, 신고후 정정 혹은 수리후 정정을 처리하여 당사자에게 결과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정처리부는 세액의 변동이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담당자에 의해 처리된 정정 결과를 담당자로부터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세액변동을 초래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보정, 수정, 경정 내역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정정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정정처리부는 오류점수 부과기준에 따라 관세사등에 대한 오류점수를 부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통관모듈(300)로서, 수출신고처리부(310), 심사부(320), 검사부(330) 및 정정처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출신고처리부(310)는, 화주로부터 수출통관의뢰를 받은 관세사 또는 화주직접신고업체로부터 수출신고서 정보를 전송받고, 수출신고서가 규칙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검토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항목의 위치 또는 오류 내용이 담긴 오류 통보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수출신고처리부(310)는 접수된 수출신고서를 수출신고 C/S기준에 따라 검사건, 서류제출건, 서류선별건, 화면심사건으로 분류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심사자 배부기준에 따라 각 심사자별로 해당건을 배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출신고처리부(310)는 검사건, 서류제출건, 서류 선별건, 화면심사건이 아닌 수출신고서에 대해서는 자동 수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출신고처리부(310)는 표준 중량, 최초수출인지 여부, 신고취하건인지 여부를 기초로 선별기준을 마련하여, 접수된 수출신고서에 따르는 적재물을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서 검사해야 하는 건이지, 혹은 서류제출건, 서류제출여부가 심사자에 의해 다시 결정되어야 하는 서류 선별건, 화면심사건 중 하나로 처리되어야 할 사항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출신고처리부(310)는 서류제출건, 검사대상건으로 분류된 수출신고건에 대해서는, 관세사별, 세번부호별, 업체별, 세관직원별 순차배부 등과 같은 심사자 배부 기준을 통해 심사자를 배정하고, 담당자를 통해 심사 혹은 검사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심사부(320)는 심사자 배부 기준을 통해 할당받은 건에 대한 심사자의 심사 결과를 등록할 수 있고, 심사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해당 신고건에 대해 수리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심사부(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담당자에게 심사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검사부(330)는 검사대상신고건에 대한 검사결과를 등록할 수 있고, 검사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해당 신고건에 대해 수리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부(3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담당자에게 검사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정정처리부(340)는 관세사등으로부터 정정신청을 접수받을 수 있고, 담당자는 정정신청 사유 및 정정 내역을 심사하여 정정 승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정처리부(340)는 정정신청 승인내역에 대해 정정 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화물모듈(400)로서, 적하목록처리부(410), 적하목록심사부(420) 및 정정처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하목록처리부(410)는, 선사, 항공사 혹은 포워드로부터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전달 결과에 따라 접수 통보 혹은 오류 통보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하목록처리부(410)는 수출적하목록이 작성규칙등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항목의 위치 혹은 오류 내용이 담긴 오류 통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적하목록 처리부(410)는 수출 C/S기준에 따라 접수된 수출 신고건 중 적재전 확인대상을 지정하여, 담당자가 적재전 확인 선별건에 대해 출무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적하목록심사부(420)는 접수된 적하목록을 심사하여 자동 승인후 수리 통보를 할 수 있고, 또는 담당자에 의해 직권 승인된 결과를 저장하고 결과통보 할 수 있다. 또, 적하목록심사부(420)는 적재전 확인 선별건에 대한 출무 확인 결과로서 적재승인 여부 및 확인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정처리부(430)는 선사 혹은 항공사 등으로부터 적하목록 정정신청을 전달받고, 정정신청 내용에 오류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오류 발생시 오류 통보할 수 있다. 정정처리부(430)는 담당자가 정정신청 사유 및 정정 내역을 심사하여 정정 승인한 경우, 정정신청 승인내역에 대해 정정이력을 생성할 수 있고, 정정신청 결과 통보 문서를 생성하여 정정신청 업체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세환급모듈(500)로서, 신청서처리부(510), 심사부(520), 결재부(530) 및 지급처리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청서처리부(510)는 사용자로부터 환급신청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수신된 환급신청서 전자문서의 내용이 규칙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여부 및 각 신청서의 기본적인 입력사항을 검증할 수 있다. 신청서처리부(510)는 검증 결과 오류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게 오류통보할 수 있다. 신청서처리부는 수신된 환급신청서 전자문서의 기본사항에 대한 검증후,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번호를 부여하고 심사자 배부기준에 따라 심사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청서처리부(510)는 세관, 신고서종류, 업체 통관 고유 부호별로 심사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
심사부(520)는 접수번호가 부여된 신청건에 대해 전산심사를 수행하며, 오류없는 건에 대해서는 해당 업체에게 접수번호와 심사담당자를 통보할 수 있다.
심사담당자는 접수통보를 받은 업체로부터 전달받은 서류와 기접수된 업무처 리화면의 신청내용을 대조하여 지급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재부(530)는 지급여부에 대한 결재 처리를 하여, 환급 결정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지급 처리부(530)는 해당업체에게 환급금 지급결정통지를 전송하고, 지급은행에 대해 환급금 이체 의뢰 및 지급 지시 통보를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후심사모듈(600)로서, 대상선별부(610), 심사부(620) 및 조치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선별부(610)는 사후심사 자동선별(C/S)기준에 따라 사후 심사 대상을 선별할 수 있고, 또한 자동선별 결과 심사대상에서 제외된 심사생략 리스트에서 선별자에 의해 결정된 심사대상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선별부(610)는 사후심사대상으로 선별된 건에 대해서, 사후 심사자 배부기준에 따라 사후 심사자를 배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선별부(610)는 수입신고건 중에서 사전세액심사 대상 수입신고서, 간이수입신고서 등과 필수제외조건에 해당되는 건과, 자율심사업체, 성실업체, 전략품목등과 같은 선별제외조건에 해당되는 신고건을 제외하고 랜덤비율을 적용하여 심사대상을 선별할 수 있으며, 사후 심사 요청이 들어온 건에 대해서도 심사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선별부(610)는 세관, 품목, 업체, 해외공급자, 원산지, 결제방법, 관세사부호, 무역대리점, 관세율, 거래구분, 단가, 수입종류, 과세가격, 운송수단, 운임, 인도조건, 보험료, 관세율 구분등과 같은 항목을 포함하는 조합기준을 통해, 사후 심사 대상을 선별할 수 있다. 이 때 대상 선별부는 최근에 등록된 것, 조항항목이 많은 것, 적용비율이 높은 것 등에 우선순위를 두고 조합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선별부(610)는 예를 들어 업체별, 업무단위별 또는 순차배부 방식 또는 심사자별 업무비중 등과 같은 심사자 배부기준을 통해 사후 심사대상건에 대해 심사자를 배정할 수 있다.
심사부(620)는 사후 심사 대상으로 배부받은 건에 대해 심사관련정보를 심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심사중 자료 보완요청, 분석의뢰, 심사대상 변경 처리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심사부(620)는 심사완료된 건에 대한 심사의견을 등록하고 타 모듈 혹은 외부 시스템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조치부(630)는 심사 결과에 따라 업체에게 정정안내통보를 할 수 있고, 해당 건에 대한 보정, 경정, 정정등의 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치부(630)는 조치 내용및 최종 조치 완료여부를 등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항 모듈(700)로서, 입출항보고처리부(710), 심사부(720) 및 정정처리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항보고처리부(710)는 선사등으로부터 입항보고서 또는 출항허가신청서 정보를 전송 받고, 전송받은 자료의 적합성을 검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입출항보고처리부(710)는 제출자에게 접수통보를 한 후, 검사대상선별기준(C/S)에 따라 출무대상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입출항보고 처리부(710)는 C/S 기준에 따라 출무대상으로 선별되지 않더라도, 우범정보등에 의해 출무대상으로 선별된 경우에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항보고처리부(710)는 우범선박으로서, 우범승무원이 일정 수 이상 탑승한 경우, 출항지나 경유지에 테러지원국 내지 테러우범국이 포함된 경우, 또는 내국인승무원과 외국인 승무원의 탑승비율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출무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심사부(720)는 담당자의 심사 결과 내역을 등록하고 업체에게 통보할 수 있으며, 출무결과에 이상이 없는 경우 승인내역을 등록하고, 업체에 대해 승인통보를 할 수 있다.
정정처리부(730)는 선사등으로부터 입항보고 또는 출항허가 신청 내용에 대한 정정신청을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정정처리부(730)는 정정신청에 대한 담당자의 심사 내역 및 정정신청 처리 내역을 등록할 수 있고, 담당자에 의해 정정신청이 타당성이 인정된 경우, 보고 또는 신청 내용에 대한 정정 또는 취소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 정보 모듈(800)로서, 여행자 관리부(810) 및 결과 등록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행자 관리부(81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여행자 관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소정의 우범여행자 선별 기준을 통해 검사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행자 관리부(810)는 항공사, 선사등으로부터 사전 승객 명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법무부등으로부터 출입국 정보등을 전달 받을 수 있으며, 공항만 모듈, 수입화물 모듈, 조사정보 모듈등로부터 검사대상건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검사대상자 선정시 참고할 수 있다.
여행자 관리부(810)는 출입국 실적, 휴대품 통관 실적 항목(국적, 직업, 목 적국가, 출입국횟수, 통관횟수, 과세가격등)의 단일 또는 조합 조건으로 우범 여행자 선별기준을 마련하여, 휴대품등에 대한 검사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다.
결과 등록부(820)는 검사 결과 또는 결과에 따른 조치 내역을 저장할 수 있으며, 여행자 관리부는 검사결과에 따라 해당 모듈에 의해 휴대품에 대한 통관절차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반송, 보세운송, 추징고지 등의 조치가 취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 정보 모듈(900)로서, 조사정보 처리부(910), 조사정보 등록부(920) 및 정보 조회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사정보 처리부(91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조사 정보들을 처리하며, 예를 들어 법무부로부터 출입국 정보, 한국은행으로부터 외환정보, 해양수산부로부터 선원/선박정보, 외교통상부로부터 여권정보, 국세청으로부터 세적자료등을 전송받는다.
조사정보 등록부(92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조사 정보들의 내역, 관세범, 외환사범, 마약사범, 지명수배자등의 정보를 결재 등을 통해 등록하고, 정보 조회부(930)는 등록된 조사 정보들을 사용자 요청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거나, 외부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징수모듈(1000)로서, 고지 생성부(1010), 수납처리부(1020), 세금계산서 생성부(1030) 및 보고부(10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지 생성부(1010)는 제세 고지를 생성하여 납부대상자의 단말기에 고지 내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입신고와 관련된 일반고지, 수정, 분납 , 경 정(추징), 수입대체경비, 세외수입, 체화제세, 정보보관금 등에 관한 고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수납 처리부(1020)는 수입통관모듈(200)로부터 전송받은 수입신고내역에 기초한 고지 내역에 대해 수납처리한다. 이 때, 수납 처리부(1020)는 수납한 은행등으로부터 영수필을 통지받은 때, 해당 고지 내역에 대해 수납처리할 수도 있고, 납부 대상자로부터 직접 수납 후 수납 내역을 기록하여 수납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수납 처리부(1020)는 미수납시 발생하는 체납을 관리할 수 있는데, 체납 발생시 가산금을 부여하고 해당 체납내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수납, 고지취소, 결손처분등이 있는 경우 납부자에 대한 체납 기록을 취소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처리부(1020)는 담보를 관리할 수 있는데, 선통관 후납부제와 같이 신속한 수입통관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수납 처리부(1030)는 신용담보인 경우, 업체의 수출입통관, 환급실적, 연간체납사실등에 기초한 담보기한, 담보액 설정등을 할 수 있다. 또, 수납 처리부(1030)는 개별담보의 경우, 업체가 제출한 현금, 보증보험증권등을 담보로 설정할 수 있고, 신용담보와 개별담보를 함께 이용하여 포괄담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세금계산서 생성부(1030)는 세금 계산서를 생성하여 납부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금계산서 생성부(1030)는 부가세의 과표가 있는 수입신고가 수납 또는 수리되었을 때, 또는 과오납 환급 중 부가세가 있는 환급의 지급이 이루어을 때 세금 계산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고부(1040)는 고지, 수납, 환급실적등에 대한 징수보고를 생성하여 징수보 고 내역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 세입징수액 계산서 보고, 환급금 결정액 보고 혹은 지급액 보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방법의 전체 흐름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사 혹은 항공사를 통해 화물을 수입하는 경우, 선사 혹은 항공사로부터 접수된 적하목록을 기초로 하선 혹은 하기, 반입신고, 보세운송, 반출신고등과 같은 수입화물에 대한 처리 절차가 실행된다(S10). 이 때, 반출내역등에 대한 정보는 입출항 모듈 등에 제공될 수 있고, 입출항 모듈 내의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은 후술할 도 21a 및 도 21b를 통해 설명한다.
다음, 관세사등으로부터 수입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등을 통해 신고서를 접수하고, 심사결과를 등록하며 정정신청 처리를 하는 수입신고 처리 절차를 실행한다(S20). 이 때의 수리내역은 조사정보 모듈 등에 제공되어 관세범 등의 정보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사후심사건에 해당되는 경우, 신속한 통관절차 실행후, 사후 심사 절차가 실행될 수 있다(S60).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절차의 보다 구체적인 흐름은 이하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화물 처리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플로우이다.
우선 선사 혹은 항공사로부터 입항보고 및 적하목록관련 정보를 전달받으면, 해당 적하목록에 대해 심사 처리할 수 있다.이 때, 적하목록 정보가 접수되면, 우범화물 선발 기준에 따라 우범화물을 자동 선별하고, 우범화물로부터 관리대상화물을 자동선별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담당자를 선별하여 관리대상 화물을 검사하도록 할 수 있다(S100).
다음, 선사나 항공사들은 하역업체에게 화물 화역을 의뢰하게 되는데, 선사나 항공사들로부터 하선 혹은 하기 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오류 발생시 오류 통보하며, 심사 결과에 따라 하선 신고서등에 대한 수리 여부, 하선 장소 변경요구에 따른 승인 여부를 처리한다(S110). 이 때, 하역업체등으로부터 하선결과 이상 보고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필요 조취를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항지 보세구역의 하선 장소로부터 화물의 반입 혹은 반출 신고 정보를 전달받아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처리하며, 반입 예정 정보 혹은 반출 허가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S120, S130).
다음, 입항지등에 하역된 수입화물을 보세운송하는 경우, 보세운송업자등으로부터 보세운송 신고 정보를 전달받고, 해당 화물이 자동수리 배제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해당 보세운송신고서를 자동수리할 수 있다. 자동수리 배제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S140).
화물이 목적지 보세구역에 도착한 경우, 해당 구역의 세관에 대한 반출입 신고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접수처리 후 반입 예정 정보 혹은 반출 허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S150, S160).
또한, 수입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절차 중 어느 때라도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수입화물에 대한 적하목록 제출부터 수입신고 수리, 반출 등의 전단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최초 수입화물의 총량이 적법하게 통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입통관 절차를 상술한다.
우선, 관세사등이 화주로부터 의뢰를 받아 화물 수입에 따른 수입 신고 정보를 전송하면, 수신한 전자 문서 내용에 오류 여부를 확인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통보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류가 없는 경우, 검사대상 선별처리(C/S)를 통해 실물검사 대상 및 검사 생략 대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시스템은 신고납부 건에 대해 납부고지서 번호를 부여하고, 자동배부기준에 의해 신고서류에 대한 심사 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S200). 검사대상 선별 처리 및 심사 담당자 자동 배부 기준 역시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다음, 관세사등으로부터 신고 서류가 접수되면, 담당자에 의해 실물 검사 대상건에 대한 실물 검사가 실행되고 검사 결과가 등록되며, 수입 신고서에 대한 통관 심사가 실행되고 심사 결과가 결재등을 통해 등록된다(S210, S220).
그리고, 수입 신고 수리 내역에 대한 결재를 통해 수입 신고가 최종적으로 수리 처리되며 신고자에게 수리결과가 통보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신고가 수리 전 납부 건인 경우에는 납부 비용 등에 대한 징수가 이루어진 후에 신고 수리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S230). 이 때 납부 비용등에 대한 징수 절차는 도 15를 통해 후술한다.
이 후, 관세사등으로부터 수입 신고 혹은 납부 세액등에 대한 정정 신청이 접수된 경우, 해당 정정 신청이 타당한 경우 정정 처리하고 신청자에게 정정처리 결과 통보를 할 수 있다(S240).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징수 절차의 구체적 프로세스이다.
우선, 수입신고와 관련된 제세 고지를 생성하여 납부대상자의 단말기에 고지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입신고와 관련된 일반고지, 수정, 분납 , 경정(추징), 수입대체경비, 세외수입, 체화제세, 정보보관금 등에 관한 고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1000).
다음, 수입통관모듈(200)등으로부터 전송받은 수입신고 내역에 기초한 고지 내역에 대해 수납처리하는데, 수납한 은행등으로부터 영수필 통지를 받은 때, 혹은 납부 대상자로부터 직접 수납 후 수납내역을 기록하여 수납처리할 수도 있다(S1001). 또는 미수납시 발생하는 체납을 관리하여, 체납 발생시 가산금을 부여하고 해당 체납내역을 업데이트 하거나, 수납, 고지취소, 결손처분등이 있는 경우 납부자에 대한 체납 기록을 취소할 수도 있다. 또는 담보를 관리하여 신속한 수입통관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용담보의 경우 업체의 수출입통관, 환급실적, 연간체납사실등에 기초하여 담보기한, 담보액 설정등을 할 수 있으며, 개별 담보의 경우 업체가 제출한 현금, 보증보험증권등을 담보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신용담보와 개별담보를 함께 이용한 포괄담보를 설정할 수도 있음을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수납처리가 종료된 후, 세금 계산서를 생성하여 납부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S1003). 예를 들어 부과세의 과표가 있는 수입신고가 수납 또는 수리된 때, 또는 과오납 환급 중 부가세가 있는 환급의 지급이 이루어진 대 세금계산서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지,수납, 환급실적등에 대한 징수 보고를 생성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세입징수액 계산서 보고, 환급금 결정액 보고, 혹은 지급액 보고 정보등을 생성할 수 있다(S1005).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후심사 절차의 구체적 프로세스이다.
우선, 사후 심사 자동 선별 기준에 따라 사후 심사 대상을 선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입통관모듈로부터 전송받는 수입신고내역을 기초로 혹은 후술할 관세환급내역을 기초로 사후 심사 대상을 선별할 수 있다(600). 이 때, 자동선별 결과 심사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선별자에 의해 직접 결정된 건도 심사대상으로 선별될 수 있다.
다음, 사후 심사 대상 건으로 선별된 건들에 대해 심사자 배부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가 배정되며, 심사자에 의한 심사가 실행된 후 심사 결과가 등록된다(S610, S620, S630). 사후 심사 자동 선별 기준 및 심사자 배부 기준 역시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심사 결과에 따라 업체등에 대한 정정 안내 통보 메세지가 전송되며, 업체등으로부터 정정 신청이 접수된 경우 해당 건에 대한 보정, 경정, 정정등의 처리를 실행하고 결과를 등록할 수 있다(S640. S650).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방법의 전체 흐름을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세사등으로부터 수출 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등을 통해 신고서를 수리하고, 심사결과를 등록하며나 정정신청 처리를 하는 수출신고처리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S30). 이 때 수출신고 수리 내역 등은 조사 정보 모듈등에 제공되어 관세범등에 대한 정보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다음, 선사 혹은 항공사들을 통해 화물을 수출하는 경우, 선사 혹은 항공사로부터 접수된 적하목록을 기초로 심사, 승인, 수리 통보 또는 출무확인 등과 같은 수출 화물에 대한 절차를 실행한다(S40). 이 때, 입출항 모듈등으로부터 출항내역 정보를 전달받아, 적하목록 심사시 참고로 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건에 대한 환급신청이 있는 경우(S45), 환급절차가 실행될 수 있다(S50). 그리고, 사후 심사 대상건인 경우, 환급승인 내역등의 정보를 기초로 사후 심사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S60).
수출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절차의 보다 구체적인 흐름은 이하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 통관 절차의 구체적 프로세스이다.
우선, 관세사등으로부터 수출신고서 정보가 전송되면, 수출신고서가 규칙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오류 검증이 실행된다. 그리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항목의 위치 또는 오류 내용이 담긴 오류 통보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신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접수된 수출신고서에 대해 예를 들어 수출신고 C/S 기준에 따라 검사건 서류제출건, 서류선별건, 화면심사건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각 심사자별로 해당 건을 배부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 서류제출, 서류 선별, 화면심사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수출신고서에 대해서는 자동수리 처리할 수 있다(S300).
수출신고 C/S기준 및 심사자 배부 기준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다음, 서류 제출건의경우, 서류제출통보를 받은 신고자로부터 관련 서류를 직접 제공받을 수 있고, 제출된 서류를 기초로 한 판단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시스템상에서 접수처리한다(S310).
그리고, 서류제출 선별건의 경우, 담당자에 의해 자동 수리할지 혹은 서류제출대상으로 할지 여부가 결정되며, 결과에 따라 신고자에게 수리 통보 혹은 서류제출 통보를 전송할 수 있다.수출 신고서가 서류제출 검사 생략일 경우, 심사담당자에 의한 심사 내역이 시스템에 등록되고 수리 처리된다(S320).
실물검사대상건의 경우, 담당자에 의한 검사결과가 시스템에 등록되면 검사결과 이상이 없을 겨우 시스템은 수리처리를 하며, 신고자에게 수리통보 메세지가 전송되고, 신고처리가 끝난 경우 신고필증이 교부되도록 할 수 있다(S330, S340).
이 후, 관세사 등으로부터 정정신청을 접수받을 수 있고, 담당자는 사유등의 정정 신청 내역을 심사하여 정정 승인할 수 있다. 이 때 정정신청 승인 내역등에 대해 정정 이력을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S350, S360).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출 화물 처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플로우이다.
우선 선사, 항공사 혹은 포워드 등으로부터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으면, 수신된 전자문서의 내용이 수출적하목록 작성규칙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오류 발생시, 오류 항목의 위치 및 오류 내용이 담긴 오류 통보 메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수출 C/S 기준에 따라 접수된 수출 신고건 중 적재전 확인 대상을 지정할 수 있고, 접수된 적하목록이 마감 전송건으로 기간내 미제출건이 아니면 자동 승인처리하여, 처리 결과 통보를 전송할 수 있다(S400).
다음, 접수된 적하목록이 마감 전송건이 아니거나 기간내 미제출건으로 승인되지 않은 건인 경우, 담당자에 의한 심사 후 승인 처리되고 처리 결과 통보를 전송할 수 있다(S410).
그리고, 적재전 확인 대상인지 여부에 대한 선별/생략통보가 전송되고, 적재전 확인 건의 경우, 담당자가 직접 출무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결과가 등록된 후, 선사 또는 항공사등에 대해 확인 결과 통보 메세지가 전송될 수 있다(S420, S430, S440).
이 후, 선사등으로부터 적하목록 정정 신청이 접수되면, 정정신청 내용에 대한 심사가 실행되고 정정 승인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정정 신청 승인 내역에 대한 정정 이력을 생성할 수 있고, 정정 신청 결과 통보 메세지를 생성하여 신청 업체에게 전송할 수 있다(S450).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급 절차의 구체적 프로세스이다.
우선, 수입 통관 절차 혹은 수출 통관 절차등에서 납부된 세액 등에 대한 환 급 신청이 있는 경우, 수신된 환급신청서 전자문서의 내용이 규칙에 맞게 작성되었느지 여부 및 신청서 기본 입력사항등에 오류 검증이 실행된다. 검증 결과 오류 발생시 신청자에게 오류통보가 전달되며,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접수번호가 부여되고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가 지정된다(S500).
다음 서류 제출 대상으로 선별된 건의 신청자에게는 서류제출통보가 전송되는데, 심사자는 제출된 관련 서류를 심사하고, 신청건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전산심사가 수행된다(S510, S520). 심사시에는 시스템의 수출화물 모듈, 수입화물 모듈, 수입통관 모듈등으로부터 수출신고내역, 선적내역, 수입신고내역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심사 내용에 대한 결재 절차 및 지급 결정이 실행되는데, 전산 심사건에 대해서는 오류 검증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오류 발생시 신청자에에 오류 통보 메세지가 전송된다. 전산 심사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신청건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결재처리를 통해 지급 결정 절차가 실행된다(S530, S540).
지급 결정이 되면, 신청자에게 지급결정통보 메세지가 전송되며, 해당 은행에 이체의뢰통보 또는 지급지시통보가 전달된다(S550).
사후 심사 방법에 대한 구체적 프로세스는 도 16을 참고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도 21a, 도 21b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출항 모듈내의 프로세스 및 여행자 정보 모듈 내의 프로세스를 상술한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입출항 프로세스이다.
선사 등으로부터 입출항 보고서가 전송되면, 전송받은 자료의 적합성을 검증 한 후 등록할 수 있고, 제출자에게 접수 통보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검사대상선별기준(C/S)에 따라 출무대상을 선별할 수 있고, 검사대상선별기준에 대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출무 대상으로 선별된 경우, 출무 결과에 따라 입출항 승인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S710, S740).
또 출무 선별대상으로 분류된 경우, 담당자의 판단에 따라 출무대상으로 선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C/S기준에 따르는 경우 출무대상으로 선별되지 않더라도, 우범정보등에 의해 출무대상으로 선정될 수 있다(S710, S720). 다음, 출무 결과 내용이 등록되고, 출무결과에 따라 입출항 승인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S730, S740).
다음, 선사등으로부터 입항보고 또는 출항허가 신청 내용에 대한 정정 신청이 전송된 경우, 정정신청에 대한 담당자의 심사 내역 및 정정 신청 처리 내역이 등록되고, 담당자에 의해 정정신청의 타당성이 인정된 때, 보고 또는 신청 내용이정정 또는 취소 처리된다(S750).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입출항 프로세스이다.
항공사등으로부터 입출항 보고서가 전송되면, 전송받은 자료의 논리적 적합성을 검증한 후 등록할 수 있고, 제출자에게 접수통보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세관장 등에 의해 입항보고가 수리되거나 혹은 출항 허가된 경우, 입항보고자 혹은 출항신청자에게 통보메세지가 전송될 수 있다(S701, S703).
이 후, 항공사등으로부터 입항보고 또는 출항 허가 신청 내용에 대한 정정신 청이 전송된 경우, 정정신청에 대한 담당자의 심사 내역 및 정정 신청 처리 내역이 등록되고 ,담당자에 의해 정정신청의 타당성이 인정된 때, 보고 또는 신청 내용이 정정 또는 취소 처리된다(S705).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 정보 모듈내의 프로세스이다.
우선, 법무부 등으로부터 일단위 출입국자료 또는 실시간 출입국자료를 전송받고, 항공사 혹은 선사 등으로부터 사전 승객 명부 정보를 전송받아, 사전 여행자 정보 및 실시간 여행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800, S810).
또, 공항만 모듈, 수입화물 모둘 및 조사정보 모듈등과 같은 외부 모듈로부터 관세, 마약사범, 지명수배자정보 등을 전송받을 수도 있는데(S820), 사전 여행자 정보, 실시간 여행자 정보 및 관세범 등의 정보를 참고하여 검사 대상 여행자를 선별할 수 있다(S830).
검사 대상 여행자에 대해서는 휴대품 검사, 휴대품 반출입, 외화 반출입등에 대한 검사가 실시되며, 검사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S840). 그리고, 검사결과에 따라, 해당 휴대품에 대한 반송, 보세운송, 휴대품 체화, 추징고지등과 같은 조치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조치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S850).
이상 설명한 바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에 의해 확정된 것이 아님을 자명한 사실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 및 그 균등범위로 해석되는 모든 기술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업무의 일부분에 대한 전산화에 그치지 않고, 다자간에 이루어지는 관세 행정 업무 전체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Claims (50)

  1. 수출 혹은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시스템에 있어서,
    수입화물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하선/하기 정보, 반출입정보, 보세운송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처리하고 반출입내역, 적하목록, 보세운송내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화물 모듈;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입 화물에 대한 수입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 조건에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 혹은 반입내역 정보를 전달받아, 신고서에 대한 검사, 결재, 정정처리를 수행하며,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통관 모듈; 및
    상기 수입통관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를 기초로 사후 심사 대상에 대해 심사하고 결과를 등록하는 사후심사모듈을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은,
    적하목록 정보가 접수되면, 미리 저장된 화물 선별 기준에 따라 관리대상 화물을 자동선별하고, 담당자를 배정하여 검사하도록 하는 적하목록처리부;
    하선/하기 정보를 전달받아 접수 처리하고, 심사 결과에 따른 하선 신고서 수리여부를 처리하는 하선/하기처리부;
    화물 반입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이상 유무에 따라 접수처리하는 반입신고처리부;
    보세운송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자동수리 배제조건을 기준으로 자동수리 혹은 담당자에 의한 직접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세운송처리부;
    화물 반출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이상 유무에 따라 접수처리하는 반출신고처리부; 및
    상기 적하목록처리부, 상기 하선/하기처리부, 상기 반입신고서처리부, 상기 보세운송처리부 및 상기 반출신고처리부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입화물의 국내 처리 단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에 제공하는 화물관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통관모듈은
    수입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수입신고 내용에 오류가 없는 경우 미리 등록된 검사 기준에 의해 검사 대상 여부를 결정하는 검사대상선별처리를 수행하여 실물검사대상을 선별하고, 신고서류에 대한 접수처리를 수행하며, 자동배부기준에 따라 신고서류에 대한 심사자를 지정하는 수입신고처리부;
    신고서류에 대한 심사 결과 및 실물검사대상에 대한 실물검사결과를 저장하는 심사부;
    결재처리를 하며, 수입신고 수리처리 및 수입신고필증 교부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결재부; 및
    수입신고 혹은 납부 세액에 대한 정정 신청을 접수하고, 정정처리 및 정정처리결과를 통보하는 정정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심사모듈은,
    사후심사 자동선별 기준에 따라 사후심사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자에 의해 결정된 심사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선별자에 의해 결정된 심사대상도 사후 심사대상으로 등록하고, 사후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사후 심사자를 배부하는 대상선별부;
    심사관련정보 제공, 심사중 자료보완요청, 분석의뢰, 심사대상변경 처리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고, 심사 완료건에 대한 심사의견 등록을 실행하는 심사부; 및
    심사결과에 따라 해당 업체에 대한 정정 안내통보 전송, 보정처리, 경정처리, 정정처리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며, 조치 내용 혹은 조치 완료 여부를 등록하는 조치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입신고서 정보를 기초로 제세 고지 생성 및 수납을 관리하여, 상기 수입통 관모듈이 수입신고수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징수보고정보를 생성하는 징수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 모듈은,
    제세 고지 정보를 생성하여 고지 내역을 전송하는 고지 생성부;
    은행으로부터 영수필통지를 전송받은 때 혹은 직접 수납 내역을 기초로 상기 고지 내역에 대해 수납 처리하는 수납 처리부;
    수납 내역을 기초로 세금 계산서 정보를 생성하는 세금 계산서 생성부; 및
    고지, 수납, 환급, 징수액, 환급금 결정액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보고 정보를 생성하는 보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출화물에 대한 수출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수출신고서에 대한 수리, 검사, 정정 업무를 실행하며, 수리내역 혹은 선적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통관 모듈; 및
    수출신고서 수리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적하목록을 심사하고 출항여부를 결정하며, 적하목록에 대한 정정업무를 실행하고, 적하목록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화물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통관 모듈은
    수출신고서 정보를 전송받아, 수출신고 선별기준에 따라 검사건, 서류제출건, 서류 선별건, 화면심사건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여, 선별되지 않은 신고건에 대해서는 자동 수리 처리하고, 심사자 배부기준을 통해 심사자를 배정하여 서류 제출건 혹은 검사 대상건으로 분류된 신고건에 대해 심사 혹은 검사 처리 되도록 하는 수출신고처리부;
    심사자의 심사결과를 등록하고, 심사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해당 신고건을 수리처리하는 심사부;
    검사대상신고건에 대한 검사결과를 등록하고, 검사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해당 신고건에 대해 수리처리하는 검사부; 및
    정정신청을 접수받고, 정정신청심사를 통해 정정승인 여부를 결정하며, 정정신청 결과에 따른 정정 이력을 생성하는 정정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화물 모듈은,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선별기준에 따라 적재전 확인 대상을 지정하여 담당자가 출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적하목록처리부;
    접수된 적하목록에 대한 자동 심사 및 승인 후 수리통보, 담당자에 의한 직권 승인에 따른 결과 통보, 출무 확인 결과에 따른 적재승인 여부에 대한 결과 통보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적하목록심사부; 및
    적하목록 정정신청을 전달받고, 정정신청 심사를 통해 정정 승인된 경우, 정정신청 승인내역에 대한 정정이력을 생성하고, 정정신청자의 단말기에 정정신청 결과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정정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화물에 대한 적재 승인 이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환급신청서 정보를 전달받은 후, 수출 품목 또는 수입신고 수리 내역을 기초로 심사하여 환급여부에 대한 결재 및 지급 결정을 처리하며, 환급승인 내역 혹은 환급 내역을 외부에 제공하는 관세환급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로부터 수입화물 반출내역을 전달받거나, 상기 수입화물 모듈 혹은 수출화물모듈에 입항 내역 혹은 출항 내역 정보를 전달하며, 선사 혹은 항공사로부터 입출항 보고 정보를 전달받아 입출항여부를 승인하는 입출항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항공사 또는 선사로부터 전송받는 사전 승객명부, 법무부로부터 전송받는 출입국정보, 상기 공항만 모듈로부터 전송받는 승객명부, 상기 수입화물모듈로부터 전송받는 반출내역, 상기 조사정보모듈로부터 전송받는 범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받고, 미리 등록된 우범여행자 선별기준을 통해 검사대상자를 선별하여 검사가 실행되도록 하고 검사 결과 또는 결과에 따른 조치내역을 저장하는 여행자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화물모듈, 상기 수출통관모듈, 상기 수입화물모듈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송받은 수리 내역, 선적내역, 적하목록, 반출입, 보세운송내역, 출항적하목록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초로, 우범자에 대한 조사 혹은 보고 업무 처리 및 관련 정보 저장을 실행하는 조사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14. 수출 혹은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시스템에 있어서,
    수출화물에 대한 수출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수출신고서에 대한 수리, 검사, 정정업무를 실행하며, 수리내역 혹은 선적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통관 모듈;
    수출신고서 수리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적하목록을 심사하고 출항여부를 결정하며, 적하목록에 대한 정정업무를 실행하고, 적하목록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화물 모듈;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환급신청서 정보를 전달받은 후, 수출 품목 또는 수입신고 수리 내역을 기초로 심사하여 환급 여부에 대한 결재 및 지급 결정을 처리하며, 환급 승인 내역 혹은 환급 내역을 외부에 제공하는 관세환급모듈; 및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 혹은 상기 관세환급모듈로부터 전송받은 환급승인 내역 정보를 기초로 사후 심사 대상에 대해 심사하고 결과를 등록하는 사후심사모듈을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통관모듈은,
    수출신고서 정보를 전송받아, 수출신고 선별기준에 따라 검사건, 서류제출건, 서류 선별건, 화면심사건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여, 선별되지 않은 신고건에 대해서는 자동 수리 처리하고, 심사자 배부기준을 통해 심사자를 배정하여 서류 제 출건 혹은 검사 대상건으로 분류된 신고건에 대해 심사 혹은 검사 처리 되도록 하는 수출신고처리부;
    심사자의 심사결과를 등록하고, 심사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해당 신고건을 수리처리하는 심사부;
    검사 대상 신고건에 대한 검사결과를 등록하고, 검사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해당 신고건에 대해 수리처리하는 검사부; 및
    정정신청을 접수받고, 정정신청심사를 통해 정정승인 여부를 결정하며, 정정신청 결과에 따른 정정 이력을 생성하는 정정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화물모듈은,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선별기준에 따라 적재전 확인 대상을 지정하여 담당자가 출무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적하목록 처리부;
    접수된 적하목록에 대한 자동심사 및 승인 후 수리통보, 담당자에 의한 직권 승인에 따른 결과 통보, 출무 확인 결과에 따른 적재승인 여부에 대한 결과 통보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적하목록 심사부; 및
    적하목록 정정신청을 전달받고, 정정신청 심사를 통해 정정승인된 경우, 정정신청 승인 내역에 대한 정정이력을 생성하고, 정정신청자의 단말기에 정정신청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정정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세환급모듈은,
    환급신청서 정보를 전달받아 신청서 전자문서 기본사항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번호를 부여하고, 심사자 배부기준에 따라 심사담당자를 지정하는 신청서처리부;
    접수번호가 부여된 건에 대해 전산심사를 수행하며, 소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환급신청자의 단말기에 접수번호 또는 심사담당자를 통보하는 심사부;
    지급 여부에 대한 결재처리를 통해 환급 여부 결정을 하는 결재부; 및
    환급신청자의 단말기에 환급금 지급결정통지를 전송하고, 지급은행에 대해 환급금 이체 의뢰 혹은 지급지시통보를 전송하는 지급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심사모듈은,
    사후심사 자동선별 기준에 따라 사후심사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자에 의해 결정된 심사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선별자에 의해 결정된 심사대상도 사후 심사대상으로 등록하고, 사후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사후 심사자를 배부하는 대상선별부;
    심사관련정보 제공, 심사중 자료보완요청, 분석의뢰, 심사대상변경 처리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고, 심사 완료건에 대한 심사의견 등록을 실행하는 심사부; 및
    심사결과에 따라 해당 업체에 대한 정정 안내통보 전송, 보정처리, 경정처리, 정정처리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며, 조치 내용 혹은 조치 완료 여부를 등록하는 조치부를 포함하는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입화물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하선/하기 정보, 반출입정보, 보세운송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처리하고 반출입 내역, 적하목록, 보세내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화물 모듈 및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입신고서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 조건에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 혹은 반입내역 정보를 전달받아, 신고서에 대한 검사, 결재, 정정처리를 수행하며,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통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은,
    적하목록 정보가 접수되면, 미리 저장된 화물 선별 기준에 따라 관리대상 화물을 자동선별하고, 담당자를 배정하여 검사하도록 하는 적하목록처리부;
    하선/하기 정보를 전달받아 접수 처리하고, 심사 결과에 따른 하선 신고서 수리여부를 처리하는 하선/하기처리부;
    화물 반입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이상 유무에 따라 접수처리하는 반입신고처리부;
    보세운송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자동수리 배제조건을 기준으로 자동수리 혹은 담당자에 의한 직접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세운송처리부;
    화물 반출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이상 유무에 따라 접수처리하는 반출신고처리부; 및
    상기 적하목록처리부, 상기 하선/하기처리부, 상기 반입신고서처리부, 상기 보세운송처리부 및 상기 반출신고처리부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입화물의 국내 처리 단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에 제공하는 화물관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통관 모듈은,
    수입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수입신고 내용에 오류가 없는 경우 미리 등록된 검사 기준에 의해 검사 대상 여부를 결정하는 검사대상선별처리를 수행하여 실물검사대상을 선별하고, 신고서류에 대한 접수처리를 수행하며, 자동배부기준에 따라 신고서류에 대한 심사자를 지정하는 수입신고처리부;
    신고서류에 대한 심사 결과 및 실물검사대상에 대한 실물검사결과를 저장하 는 심사부;
    결재처리를 하며, 수입신고 수리처리 및 수입신고필증 교부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결재부; 및
    수입신고 혹은 납부 세액에 대한 정정 신청을 접수하고, 정정처리 및 정정처리결과를 통보하는 정정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수입신고서 정보를 기초로 제세 고지 생성 및 수납을 관리하여, 상기 수입통관모듈이 수입신고수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징수보고정보를 생성하는 징수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항공사 또는 선사로부터 전송받는 사전 승객명부, 법무부로부터 전송받는 출입국정보, 상기 공항만모듈로부터 전송받는 승객명부, 상기 수입화물모듈로부터 전송받는 반출내역, 상기 조사정보모듈로부터 전송받는 범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받고, 미리 등록된 우범여행자 선별기준을 통해 검사대상자를 선별하여 검사가 실행되도록 하고 검사 결과 또는 결과에 따른 조치내역을 저장하는 여행자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로부터 수입화물 반출내역을 전달받거나, 상기 수입화물 모듈 혹은 수출화물모듈에 입항 내역 혹은 출항 내역 정보를 전달하며, 선사 혹은 항공사로부터 입출항 보고 정보를 전달받아 입출항여부를 승인하는 입출항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25. 수출 혹은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시스템에 있어서,
    수입화물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하선/하기 정보, 반출입정보, 보세운송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처리하고 반출입내역, 적하목록, 보세운송내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화물 모듈;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입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 조건에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로부터 상기 적하목록 정보 혹은 반입내역 정보를 전달받아, 신고서에 대한 검사, 결재, 정정처리를 수행하며,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입통관 모듈;
    수출화물에 대한 수출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수출신고서에 대한 수리, 검사, 정정업무를 실행하며, 수리내역 혹은 선적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통관 모듈; 및
    수출신고서 수리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적하목록을 심사하고 출항여부를 결정하며, 적하목록에 대한 정정업무를 실행하고, 적하목록 내역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수출화물 모듈;
    을 포함하는
    전자 통관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은
    적하목록 정보가 접수되면, 미리 저장된 화물 선별 기준에 따라 관리대상 화물을 자동선별하고, 담당자를 배정하여 검사하도록 하는 적하목록처리부;
    하선/하기 정보를 전달받아 접수 처리하고, 심사 결과에 따른 하선 신고서 수리여부를 처리하는 하선/하기처리부;
    화물 반입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이상 유무에 따라 접수처리하는 반입신고처리부;
    보세운송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자동수리 배제조건을 기준으로 자동수리 혹은 담당자에 의한 직접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세운송처리부;
    화물 반출 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이상 유무에 따라 접수처리하는 반출신고처리부; 및
    상기 적하목록처리부, 상기 하선/하기처리부, 상기 반입신고서처리부, 상기 보세운송처리부 및 상기 반출신고처리부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입화물의 국내 처 리 단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에 제공하는 화물관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통관 모듈은,
    수입신고서 정보를 전달받아 수입신고 내용에 오류가 없는 경우 미리 등록된 검사 기준에 의해 검사 대상 여부를 결정하는 검사대상선별처리를 수행하여 실물검사대상을 선별하고, 신고서류에 대한 접수처리를 수행하며, 자동배부기준에 따라 신고서류에 대한 심사자를 지정하는 수입신고처리부;
    신고서류에 대한 심사 결과 및 실물검사대상에 대한 실물검사결과를 저장하는 심사부;
    결재처리를 하며, 수입신고 수리처리 및 수입신고필증 교부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결재부; 및
    수입신고 혹은 납부 세액에 대한 정정 신청을 접수하고, 정정처리 및 정정처리결과를 통보하는 정정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통관 모듈은
    수출신고서 정보를 전송받아, 수출신고 선별기준에 따라 검사건, 서류제출 건, 서류 선별건, 화면심사건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여, 선별되지 않은 신고건에 대해서는 자동 수리 처리하고, 심사자 배부기준을 통해 심사자를 배정하여 서류 제출건 혹은 검사 대상건으로 분류된 신고건에 대해 심사 혹은 검사 처리 되도록 하는 수출신고처리부;
    심사자의 심사결과를 등록하고, 심사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해당 신고건을 수리처리하는 심사부;
    검사 대상 신고건에 대한 검사결과를 등록하고, 검사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해당 신고 건에 대해 수리처리하는 검사부; 및
    정정신청을 접수받고, 정정신청심사를 통해 정정승인 여부를 결정하며, 정정신청 결과에 따른 정정 이력을 생성하는 정정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화물 모듈은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아 선별기준에 따라 적재전 확인 대상을 지정하여 담당자가 출무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적하목록 처리부;
    접수된 적하목록에 대한 자동심사 및 승인 후 수리통보, 담당자에 의한 직권 승인에 따른 결과 통보, 출무 확인 결과에 따른 적재승인 여부에 대한 결과 통보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적하목록 심사부; 및
    적하목록 정정신청을 전달받고, 정정신청 심사를 통해 정정승인된 경우, 정 정신청 승인 내역에 대한 정정이력을 생성하고, 정정신청자의 단말기에 정정신청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정정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30. 제25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입신고서 정보를 기초로 제세 고지 생성 및 수납을 관리하여, 상기 수입통관모듈이 수입신고수리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징수보고정보를 생성하는 징수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환급신청서 정보를 전달받은 후, 상기 수입통관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수입신고 수리 내역을 기초로 심사하여 환급 여부에 대한 결재 및 지급 결정을 처리하며, 환급승인 내역 혹은 환급 내역을 외부에 제공하는 관세 환급 모듈; 및
    상기 수입통관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수입신고 수리 내역 정보 혹은 상기 관세환급모듈로부터 전송받은 환급승인 내역 정보를 기초로 사후 심사 대상에 대해 심사하고 결과를 등록하는 사후심사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모듈은,
    제세 고지 정보를 생성하여 고지 내역을 전송하는 고지 생성부;
    은행으로부터 영수필통지를 전송받은 때 혹은 직접 수납 내역을 기초로 상기 고지 내역에 대해 수납 처리하는 수납 처리부;
    수납 내역을 기초로 세금 계산서 정보를 생성하는 세금 계산서 생성부; 및
    고지, 수납, 환급, 징수액, 환급금 결정액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보고 정보를 생성하는 보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세 환급 모듈은,
    환급신청서 정보를 전달받아 신청서 전자문서 기본사항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번호를 부여하고, 심사자 배부기준에 따라 심사담당자를 지정하는 신청서처리부;
    접수번호가 부여된 건에 대해 전산심사를 수행하며, 소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환급신청자의 단말기에 접수번호 또는 심사담당자를 통보하는 심사부;
    지급 여부에 대한 결재처리를 통해 환급 여부 결정을 하는 결재부; 및
    환급신청자의 단말기에 환급금 지급결정통지를 전송하고, 지급은행에 대해 환급금 이체 의뢰 혹은 지급지시통보를 전송하는 지급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후 심사 모듈은,
    사후심사 자동선별 기준에 따라 사후심사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자에 의해 결정된 심사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선별자에 의해 결정된 심사대상도 사후 심사대 상으로 등록하고, 사후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사후 심사자를 배부하는 대상선별부;
    심사관련정보 제공, 심사중 자료보완요청, 분석의뢰, 심사대상변경 처리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고, 심사 완료건에 대한 심사의견 등록을 실행하는 심사부; 및
    심사결과에 따라 해당 업체에 대한 정정 안내통보 전송, 보정처리, 경정처리, 정정처리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며, 조치 내용 혹은 조치 완료 여부를 등록하는 조치부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항공사 또는 선사로부터 전송받는 사전 승객명부, 법무부로부터 전송받는 출입국정보, 상기 공항만 모듈로부터 전송받는 승객명부, 상기 수입화물모듈로부터 전송받는 반출내역, 상기 조사정보모듈로부터 전송받는 범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받고, 미리 등록된 우범여행자 선별기준을 통해 검사대상자를 선별하여 검사가 실행되도록 하고 검사 결과 또는 결과에 따른 조치내역을 저장하는 여행자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통관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입화물 모듈로부터 수입화물 반출내역을 전달받거나, 상기 수입화물 모듈 혹은 수출화물모듈에 입항 내역 혹은 출항 내역 정보를 전달하며, 선사 혹은 항공사로부터 입출항 보고 정보를 전달받아 입출항여부를 승인하는 입출항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통관 시스템.
  35. 수입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방법에 있어서,
    a)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으면 적하목록에 대한 심사 처리를 실행하고 관리대상화물을 선별하며, 하선 혹은 하기 정보, 보세운송 신고 정보 혹은 화물 반출입 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신고 내용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처리하는 단계;
    b)수입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신고서를 접수하고 심사결과를 등록하며 정정신청이 있는 경우 정정절차를 실행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에서의 수입 신고 내역을 기초로 사후 심사 자동 선별기준에 의해 선별된 사후 심사건 또는 선별자에 의해 직접 결정된 사후 심사건에 대해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를 지정하고, 심사 결과를 등록하며 심사결과에 다른 안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통관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적하목록 정보가 전송되면, 적하목록 심사를 통해 접수하고, 소정 기준에 따라 관리대상화물을 자동선별하여, 담당자에 의해 해당 화물이 직접 검사되도록 하는 단계;
    a-2) 적하목록이 접수되고 수입화물에 대한 하역 의뢰 후, 하선 혹은 하역 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심사결과에 따라 하선 혹은 하역 신고서에 대한 수리 여부 또는 하선 장소 변경 요구에 따른 승인 여부를 처리하는 단계;
    a-3) 하선 혹은 하역 신고 정보 접수후, 화물에 대한 반입 혹은 반출 신고정보가 전송되면, 신고서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처리 하는 단계; 및
    a-4) 보세운송신고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화물이 자동수리 배제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자동수리하고, 자동수리 배제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담당자에 의해 직접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수입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오류 여부를 검사하여 오류가 없는 경우, 검사대상 선별처리를 통해 실물 검사 대상과 검사 생략 대상으로 구분하는 단계;
    b-2) 자동배부기준에 기초하여 심사담당자를 지정하고, 수입 신고 내용에 대한 심사 결과 및 검사 대상에 대한 실물 검사 결과를 등록하는 단계;
    b-3) 수입신고 수리 내역에 대한 결재를 통해 수입 신고 내용이 최종적으로 수리되면, 신고자의 단말기에 수리 통보 혹은 수리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b-4) 정정신청이 접수된 경우, 심사결과에 따라 정정처리하고, 정정신청자의 단말기에 정정처리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수입신고 내역을 기초로 사후심사 자동선별 기준에 따라 사후 심사 대상을 선별하는 단계;
    c-2)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사후 심사 대상에 대한 담당심사자를 배정하는 단계;
    c-3) 심사결과를 등록하고, 심사 결과에 따른 정정 안내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4) 정정 신청 정보가 접수된 경우, 해당 신고 내역을 정정하고 조치 결과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39. 수출 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방법에 있어서,
    a) 수출화물 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수리하며, 정정신청이 있는 경우 신고 내역을 정정하는 단계;
    b) 수출화물 신고서 수리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아, 심사 후 결과 통보 메세지 또는 자동 선별 기준에 따라 선별된 적재전 확인 대상에 대한 출무 확인 결과 메세지를 전송하며 수출화물 적재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c) 환급신청정보가 전송된 경우,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를 지정하고, 심사 결과에 따라 지급 결정 처리하여 해당 은행에 이체의뢰 통보 혹은 지급지시 통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수입 신고 내역 혹은 환급 내역을 기초로 사후 심사 자동 선별기준에 의해 선별된 사후 심사건 또는 선별자에 의해 직접 결정된 사후 심사건에 대해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를 지정하고, 심사 결과를 등록하며 심사결과에 다른 안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수출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수출신고 자동 선별 기준에 따라 자동수리 대상 혹은 심사대상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심사자 배부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를 지정하는 단계;
    a-2) 자동수리 대상인 경우 자동수리하고, 심사 대상인 경우 심사자의 심사 결과를 등록하며 심사 결과 수리 대상인 때 수리 처리한 후, 수리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a-3) 정정신청 정보가 전송되면, 정정신청에 대한 심사 결과 승인된 경우 신고내역을 정정하고, 정정내역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대상은 검사대상, 서류제출대상, 서류제출선별대상 및 화면심사 대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으면 자동선별기준에 따라 적재전 확인 대상을 지정하는 단계;
    b-2) 접수된 적하목록이 적재전 확인 대상이 아니며, 마감 전송건으로 기간내 미제출건이 아닌 경우 자동승인하며, 마감 전송건이 아니거나 기간내 미제출건은 담당자에 의한 심사후 승인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
    b-3) 접수된 적하목록이 적재전 확인 대상인 경우, 담당자에 의한 출무확인 후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b-4) 정정 신청이 접수된 경우, 정정신청 내용에 대한 심사 결과 승인된 경우, 정정 신청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고 정정이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 방법.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환급신청 정보가 전송되면 오류 여부 검사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가 지정되는 단계;
    c-2) 서류제출대상을 선별하여 신청자의 단말기에 서류제출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c-3) 환급신청 내용에 대한 심사로서, 서류제출대상인 경우 제출된 서류 내용도 심사도 포함된 심사 결과를 등록하는 단계; 및
    c-4) 심사 결과를 기초로 지급결정하여 신청자의 단말기에는 지급결정통보메세지를 전송하고, 은행의 전산 시스템에 이체의뢰 혹은 지급 지시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수입신고 내역 혹은 환급 내역을 기초로 사후심사 자동선별 기준에 따 라 사후 심사 대상을 선별하는 단계;
    d-2) 심사자 배부 기준에 따라 사후 심사 대상에 대한 담당심사자를 배정하는 단계;
    d-3) 심사결과를 등록하고, 심사 결과에 따른 정정 안내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4) 정정 신청 정보가 접수된 경우, 해당 신고 내역을 정정하고 조치 결과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45. 수출 혹은 수입화물에 대한 전자 통관 방법에 있어서,
    a)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으면 적하목록에 대한 심사 처리를 실행하고 관리대상화물을 선별하며, 하선 혹은 하기 정보, 보세운송 신고 정보 혹은 화물 반출입 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신고 내용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처리하는 단계;
    b) 수입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신고서를 접수하고 심사결과를 등록하며 정정신청이 있는 경우 정정절차를 실행하는 단계;
    c) 수출화물 신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전송되면, 자동 수리 혹은 심사를 통해 수리하며, 정정신청이 있는 경우 신고 내역을 정정하는 단계; 및
    d) 수출화물 신고서 접수 후 적하목록 정보를 전송받아, 심사 후 결과 통보 메세지 또는 자동 선별 기준에 따라 선별된 적재전 확인 대상에 대한 출무 확인 결과 메세지를 전송하며 수출화물 적재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적하목록 정보가 전송되면, 적하목록 심사를 통해 접수하고, 소정 기준에 따라 관리대상화물을 자동선별하여, 담당자에 의해 해당 화물이 직접 검사되도록 하는 단계;
    a-2) 적하목록이 접수되고 수입화물에 대한 하역 의뢰 후, 하선 혹은 하역 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심사결과에 따라 하선 혹은 하역 신고서에 대한 수리 여부 또는 하선 장소 변경 요구에 따른 승인 여부를 처리하는 단계;
    a-3) 하선 혹은 하역 신고 정보 접수후, 화물에 대한 반입 혹은 반출 신고정보가 전송되면, 신고서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접수처리 하는 단계; 및
    a-4) 보세운송신고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화물이 자동수리 배제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자동수리하고, 자동수리 배제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담당자에 의해 직접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수입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오류 여부를 검사하여 오류가 없는 경우, 검사대상 선별처리를 통해 실물 검사 대상과 검사 생략 대상으로 구분하는 단계;
    b-2) 자동배부기준에 기초하여 심사담당자를 지정하고, 수입 신고 내용에 대한 심사 결과 및 검사 대상에 대한 실물 검사 결과를 등록하는 단계;
    b-3) 수입신고 수리 내역에 대한 결재를 통해 수입 신고 내용이 최종적으로 수리되면, 신고자의 단말기에 수리 통보 혹은 수리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b-4) 정정신청이 접수된 경우, 심사결과에 따라 정정처리하고, 정정신청자의 단말기에 정정처리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수출신고 정보가 전송되면 수출신고 자동 선별 기준에 따라 자동수리 대상 혹은 심사대상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심사자 배부기준에 따라 담당 심사자를 지정하는 단계;
    c-2) 자동수리 대상인 경우 자동수리하고, 심사 대상인 경우 심사자의 심사 결과를 등록하며 심사 결과 수리 대상인 때 수리 처리한 후, 수리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c-3) 정정신청 정보가 전송되면, 정정신청에 대한 심사 결과 승인된 경우 신고내역을 정정하고, 정정내역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적하목록 정보를 전달받으면 자동선별기준에 따라 적재전 확인 대상을 지정하는 단계;
    d-2) 접수된 적하목록이 적재전 확인 대상이 아니며, 마감 전송건으로 기간내 미제출건이 아닌 경우 자동승인하며, 마감 전송건이 아니거나 기간내 미제출건은 담당자에 의한 심사후 승인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
    d-3) 접수된 적하목록이 적재전 확인 대상인 경우, 담당자에 의한 출무확인 후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4) 정정 신청이 접수된 경우, 정정신청 내용에 대한 심사 결과 승인된 경우, 정정 신청 결과 통보 메세지를 전송하고 정정이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통관방법.
  50. 제35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KR1020060033593A 2006-04-13 2006-04-13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KR10059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93A KR100591474B1 (ko) 2006-04-13 2006-04-13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93A KR100591474B1 (ko) 2006-04-13 2006-04-13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474B1 true KR100591474B1 (ko) 2006-06-20

Family

ID=3718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593A KR100591474B1 (ko) 2006-04-13 2006-04-13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474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52B1 (ko) * 2009-12-17 2010-07-29 대한민국 전자 통관 시스템 장애 복구를 위한 조기 경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1650B1 (ko) * 2009-12-17 2010-07-29 대한민국 전자 통관 시스템 장애 복구를 위한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984799B1 (ko) 2007-12-06 2010-10-04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해상화물 인도인수 전자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14230A2 (ko) * 2009-03-31 2010-10-07 Park Jung-Lim 내국세 환급관리 시스템
KR100990846B1 (ko) * 2010-05-10 2010-11-01 대한민국 세관장확인대상 화학물질 검색프로그램을 적용시킨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화학물질 검색방법
WO2010147360A2 (ko) * 2009-06-19 2010-12-23 비씨카드 주식회사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세금 환급 방법 및 시스템
KR101102875B1 (ko) * 2009-06-30 2012-01-10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수출입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14583B1 (ko) * 2012-05-02 2013-10-14 (주) 유니콤티디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KR101693770B1 (ko) 2016-04-06 2017-01-06 주식회사 케이엘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미널을 가진 항만에서의 터미널 간 환적을 검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7135640A1 (ko) *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케이티스 세금환급을 위한 자동반출을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CN107945095A (zh) * 2018-01-03 2018-04-20 王丽萍 一种基于冠字号的涉案人民币布控侦查方法
KR20190116106A (ko) * 2018-04-04 2019-10-14 박성만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KR20200091561A (ko) 2019-01-23 2020-07-31 이현아이티연구소(주) 세관신고를 위한 신고기재 오류 방지 시스템
KR20200091559A (ko) 2019-01-23 2020-07-31 이현아이티연구소(주) 세관신고 자동화를 위한 문서 내 텍스트 영역 자동 그리드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1558A (ko) 2019-01-23 2020-07-31 이현아이티연구소(주) 세관신고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1560A (ko) 2019-01-23 2020-07-31 이현아이티연구소(주) 세관신고 자동화를 위한 문서 내 텍스트 자동 추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30023906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루다소프트 엑셀 문서 인공 지능 변환 시스템
KR20230023904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루다소프트 Bom 데이터를 이용한 수책 관리 시스템
CN116757583A (zh) * 2023-08-17 2023-09-15 浙江菜鸟供应链管理有限公司 物流信息的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99B1 (ko) 2007-12-06 2010-10-04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해상화물 인도인수 전자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14230A2 (ko) * 2009-03-31 2010-10-07 Park Jung-Lim 내국세 환급관리 시스템
WO2010114230A3 (ko) * 2009-03-31 2010-11-25 Park Jung-Lim 내국세 환급관리 시스템
WO2010147360A2 (ko) * 2009-06-19 2010-12-23 비씨카드 주식회사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세금 환급 방법 및 시스템
WO2010147360A3 (ko) * 2009-06-19 2011-03-24 비씨카드 주식회사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세금 환급 방법 및 시스템
KR101184685B1 (ko) * 2009-06-19 2012-09-20 비씨카드(주)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세금 환급 방법 및 시스템
KR101102875B1 (ko) * 2009-06-30 2012-01-10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수출입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71652B1 (ko) * 2009-12-17 2010-07-29 대한민국 전자 통관 시스템 장애 복구를 위한 조기 경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1650B1 (ko) * 2009-12-17 2010-07-29 대한민국 전자 통관 시스템 장애 복구를 위한 조기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990846B1 (ko) * 2010-05-10 2010-11-01 대한민국 세관장확인대상 화학물질 검색프로그램을 적용시킨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화학물질 검색방법
KR101314583B1 (ko) * 2012-05-02 2013-10-14 (주) 유니콤티디 세관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세관 검사 방법
WO2017135640A1 (ko) *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케이티스 세금환급을 위한 자동반출을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KR101693770B1 (ko) 2016-04-06 2017-01-06 주식회사 케이엘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미널을 가진 항만에서의 터미널 간 환적을 검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945095A (zh) * 2018-01-03 2018-04-20 王丽萍 一种基于冠字号的涉案人民币布控侦查方法
KR20190116106A (ko) * 2018-04-04 2019-10-14 박성만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KR102212602B1 (ko) * 2018-04-04 2021-02-05 박성만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KR20200091560A (ko) 2019-01-23 2020-07-31 이현아이티연구소(주) 세관신고 자동화를 위한 문서 내 텍스트 자동 추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00091558A (ko) 2019-01-23 2020-07-31 이현아이티연구소(주) 세관신고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1559A (ko) 2019-01-23 2020-07-31 이현아이티연구소(주) 세관신고 자동화를 위한 문서 내 텍스트 영역 자동 그리드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1561A (ko) 2019-01-23 2020-07-31 이현아이티연구소(주) 세관신고를 위한 신고기재 오류 방지 시스템
KR20230023906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루다소프트 엑셀 문서 인공 지능 변환 시스템
KR20230023904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루다소프트 Bom 데이터를 이용한 수책 관리 시스템
KR102563961B1 (ko) 2021-08-11 2023-08-07 주식회사 루다소프트 엑셀 문서 인공 지능 변환 시스템
CN116757583A (zh) * 2023-08-17 2023-09-15 浙江菜鸟供应链管理有限公司 物流信息的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757583B (zh) * 2023-08-17 2023-11-24 浙江菜鸟供应链管理有限公司 物流信息的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474B1 (ko)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Hinkelman Dictionary of international trade
CN112997205A (zh) 用于实时在线货运管理的方法、系统、设备及程序
AU2006254632B2 (en) Management and analysis of cargo shipments
US200302367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unding of trade
CN112101861A (zh) 一种石化物流水路运输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终端
KR20110097731A (ko)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US8099371B1 (en) Electronically enabled clearance methodology for improved processing at border crossings
Jones et al.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Trade facilitation, enforcement, and security
JP2006244196A (ja) 国際輸送リスク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KR20200048966A (ko) 무역 관련 업체 인증 시스템 및 방법
Grainger Trade and customs compliance costs at ports
Hulstijn et al. Integrity of supply chain visibility: Linking information to the physical world
KR102054251B1 (ko) 수출입 물류정보 관리를 위한 업무수행 관리장치
KR102035209B1 (ko) 선사/운송사의 수출입 물류정보 관리를 위한 업무수행 관리장치
Hoffman et al. Quantifying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customs, trade and ports to cargo time delays.
Permata et al. Approaching Time Service Information System Planning As an Effort to Reduce National Port Logistic Cost
US20040068426A1 (en) Sh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Veenstra Ocean transport and the facilitation of trade
Haileyesus Introducing electronic bill of lading in foreign trade: empirical assessment of the practical need in Ethiopia
Braxton et al. A Human-Centered Approach to Modeling Security Information and its Impact on Cargo Operations for Guidance in the Design of Interventions in the Information Sharing Environment
Varga On the experience of the first five years of the Electronic Road Traffic Control System
Negus et al. The Impact of Border Clearance Procedures on the Cost of Doing Business in Ethiopia
Sirajuddin Five Key Strategies for Reducing Dwelling Time in the Ports of Indonesia
Kipkoech Effect of Customs procedures on the performance of clearing and forwarding agents operating at Customs Entry Points: a case of Inland Container Depot Nairob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