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106A -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106A
KR20190116106A KR1020190039591A KR20190039591A KR20190116106A KR 20190116106 A KR20190116106 A KR 20190116106A KR 1020190039591 A KR1020190039591 A KR 1020190039591A KR 20190039591 A KR20190039591 A KR 20190039591A KR 20190116106 A KR20190116106 A KR 20190116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
document
certificate
information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602B1 (ko
Inventor
박성만
Original Assignee
박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만 filed Critical 박성만
Publication of KR2019011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통일상품명과 부호체계와 자유무역협정(FTA)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에 의한 원산지 규정이 비교적 다양하고 복잡하며 변하기 때문에 작성하기 어려운 원산지 지위를 증명하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정보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에 의하여 작성된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변환되어 입력된 원산지증빙서류의 정보를 원본정보로 기록 관리하고,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오류 없이 작성 기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원산지진단검증서버, 원산지진단검증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국가의 관세행정시스템 그리고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생산, 제조, 수출입 기업의 업무시스템 그리고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무역업무를 대행하거나 지원하는 관세법인과 관세사무소의 업무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연계시스템, 원산지진단검증서버와 연계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각 접속하고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관세행정을 담당하는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 그리고 제조 또는 수출기업에서 관세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 그리고 무역업무를 대행하거나 또는 지원하는 관세법인과 관세사무소의 직원 또는 관세사가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컴퓨터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Diagnosis with verification system of documents proving FTA Origin}
본 발명은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제무역에서 거래되는 물품에 대한 통일상품명과 부호체계(HS부호,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와 자유무역협정(FTA)의 원산지 규정(Rules of Origin)이 비교적 다양하고 복잡하며 변하기 때문에 작성하기 어려운 원산지 지위를 증명하는 원산지증빙서류(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에 기재된 정보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유무역협정(FTA : Free Trade Agreement)은 회원국 간 상품, 서비스, 투자, 지적재산권, 정부조달 등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완화함으로써 상호간 교역증진을 도모하는 특혜무역협정을 의미한다.
수입자가 관세당국으로부터 수입물품에 대해 관세특혜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수출국과 체결한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에 의한 원산지증빙서류를 관세당국에 제출해야 한다.
이때, 수출국의 생산자가 제조자에게 재료를 판매하고, 제품을 생산한 제조자는 수출자에게 제품을 판매하고, 제품을 구매한 수출자는 상품을 수입국의 수입자에게 수출한다고 가정하면, 생산자와 제조자와 수출자와 수입자 사이의 거래에 활용되는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에 따라 원산지 지위를 증명하는 서류가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생산자는 제조자에게 제조자는 수출자에게 각각 원산지확인서를 수출자는 수입자에게 원산지증명서 또는 원산지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수입국의 관세당국은 수입자가 관세특혜를 정당하게 받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입자가 제출한 원산지증빙서류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원산지 진위여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원산지증빙서류에 오류가 있을 경우 수입자는 특혜 받은 관세를 관세당국에 반환해야 하며, 추가적으로 과징금과 함께 자유무역협정의 관세특혜 적용을 배제당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는 수입자가 의도적으로 요구한 바가 아니라면 수출국에 소재한 생산자, 제조자, 수출자가 원산지를 의도적으로 또는 실수로 부정확하게 관리한 결과이다. 따라서 부정확하게 관리한 주체까지 수입자는 자사의 손해를 수출자에게, 수출자는 제조자에게, 제조자는 생산자에게 구상 청구할 수 있다.
이에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받는 각 주체는 이에 대한 정확성을 보장받기 위해 해당 원산지증빙서류의 정확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의 기재항목이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형식적인 진단과 해당 물품에 적용되어야 하는 원산지 규정에 의해 정확하게 판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실질적인 검증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원산지 규정이 다양하고 복잡하여 개별적인 수기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문지식과 실무경험 필요하고, 원산지 소명을 위한 정보는 물품을 구성하는 재료, 소요량, 재료비 등의 기업비밀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구매자는 판매자로부터 이를 제공받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각각의 자유무역협정에 정의된 원산지 규정이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 하에서 형식적 진단과 실질적 검증을 통해 제공받은 원산지증빙서류가 정확하게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73462호(2010.08.02.) ‘에프티에이 표준 원산지 관리 시스템’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제정2005.12.31.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시행령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l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Singapor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EFTA States Framework Agreement on Comprehensive Economic Cooperation amo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Member Countries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Indi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of the one part, and the European Union and its Member States, of the Other Part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Peru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amework Agreement Establishing a free Trade Area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Turkey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AUSTRALI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ANAD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NEW ZEALAND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SOCIALIST REPUBLIC VIET NAM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Colombi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S OF CENTRAL AMERIC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자유무역협정의 관세혜택을 적용받기 위해 거래관계에 있는 기업들 간에 원산지증빙서류의 유통이 필요하며, 원활한 자유무역협정의 활용을 위해서는 유통되는 원산지증빙서류의 정확성이 담보되어야 하고, 원산지증빙서류의 발급주체가 작성하거나 수급주체가 수령하는 원산지증빙서류가 오류없이 정확하게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항목이 각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히 작성되었는지를 진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원산지를 소명하기 위한 물품명세와 원재료명세서와 부가적인 정보를 근거로 각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하게 계산되었는지를 검증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원산지증빙서류인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 정보와 물품의 품목분류 근거정보, 원산지소명서 근거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관리하는 증빙서류부와, 각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과 검증을 위한 기준을 관리하는 진단기준부와, 각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을 로직화하여 원산지증빙서류가 정확히 작성되었는지의 진단과 검증기능을 수행하는 서류진단부와,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 및 검증 결과를 관리하는 진단결과부와,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 및 검증 결과의 부인거부 방지를 위해 진단 및 검증 대상이 되는 원산지증빙서류를 보관하는 서류보관부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외부 시스템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각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증빙서류인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 정보와 물품의 품목분류 근거정보, 원산지소명서 근거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여 관리하는 증빙서류부와; 각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과 검증을 위한 기준을 관리하는 진단기준부와; 각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을 로직화하여 원산지증빙서류가 정확히 작성되었는지의 진단과 검증기능을 수행하는 서류진단부와;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 및 검증 결과를 관리하는 진단결과부와;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 및 검증 결과의 부인거부 방지를 위해 진단 및 검증 대상이 되는 원산지증빙서류를 보관하는 서류보관부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외부 시스템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은 원산지증빙서류를 작성하거나 제출하는 자 또는 제출받는 자에게 FTA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 및 검증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증빙서류부(300)는 서류진단요청서(310), 원산지증명서(320), 원산지신고서(330), 원산지확인서(340), 원산지소명서(350) 정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증명서(320), 원산지신고서(330), 원산지확인서(340), 원산지소명서(350) 등록 시 서류를 식별하는 역할을 하는 문서번호, 서류의 비밀번호 역할을 하는 참조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증명서(320), 원산지신고서(330), 원산지확인서(340), 원산지소명서(350)는 각각 서로의 근거서류로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증명서(320)는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서 정한 원산지증명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HS부호 6단위 이하의 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는 자의 소재국가, 원산지증명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신고서(330)는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서 정한 원산지신고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자유무역협정, HS부호 6단위, 물품명칭, 물품규격, HS부호 6단위 이하의 분류정보, 원산지결정기준, 원산지결정기준 충족여부, 원산지,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신고서를 제출하는 자의 소재국가, 원산지신고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확인서(340)는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서 정한 원산지확인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HS부호 6단위 이하의 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공급하는 자의 소재국가, 공급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소명서(350)는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서 정한 원산지소명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HS부호 6단위 이하의 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생산자의 소재국가, 수출자의 소재국가, 품목분류 근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소명서(350)는 원재료명세서의 재료(a)를 생산하거나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재료(b) 중 원산지소명서 발급자가 판매한 부품의 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소명서(350)는 완전생산기준이 충족할 수 있는지는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직접운송이 되었는지 또는 자유무역협정 체약당사국이 아닌 제3국의 관세당국의 감독 아래 물품이 관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역외가공 거래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기준부(400)는 원산지증빙서류를 진단 및 검증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의 원산지 규정, HS부호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세계 HS부호(410), 원산지증빙서류 진단항목(420), 원산지결정기준 표시부호(430),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계 HS부호(410)는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HS부호 명칭, HS부호 해설, HS부호 6단위 이하 물품 분류, HS부호 기준년도, HS부호의 적용기간, HS부호의 적용시작시점 또는 HS부호의 적용종료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증빙서류 표시부호(430)는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적용기간 정보와 원산지증빙서류를 진단할 수 있도록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분류, 원산지증빙서류 종류, 원산지증빙서류 표시부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440)는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적용기간 정보와 원산지증빙서류를 검증할 수 있도록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분류,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류진단부(500)는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가 각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하게 작성되었는지의 형식적인 사항을 점검하는 진단모듈(510)과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가 각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하게 계산되었는지의 내용적인 사항을 점검하는 검증모듈(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단모듈(510)은 원산지증빙서류가 작성된 시점 또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이 제조되거나 생산된 시점 또는 FTA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및 검증 시스템 사용자가 정의한 시점을 기준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진단모듈(510)은 각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개별 물품의 제조 또는 생산에 소요되는 모든 재료 가운데 원산지증빙서류를 확보한 재료의 수 또는 비율과, 물품(A)은 물품(A)을 구성하는 물품(B) 그리고 그 물품(B)을 구성하는 물품(C)과 같이 물품의 구성은 여러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개별 물품에 대해 하위 몇 단계까지 원산지증빙서류가 확보되거나 보관되어 있는지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520)은 원산지증빙서류가 작성된 시점 또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이 제조되거나 생산된 시점 또는 FTA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및 검증 시스템 사용자가 정의한 시점을 기준으로 검증할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520)은 원산지소명서(350) 정보를 사용하여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단결과부(600)는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형식적인 점검결과를 관리하는 진단결과(610)와, 내용적인 점검결과를 관리하는 검증결과(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단결과(610)는 진단을 수행한 자가 진단을 요청한 자에게 진단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조회권한을 받은 진단을 요청한 자가 진단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점검결과(620)는 진단을 수행한 자가 진단을 요청한 자에게 점검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조회권한을 받은 진단을 요청한 자가 점검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단결과(610)와 점검결과(620) 그리고 진단 및 점검 대상이 되는 원산지증빙서류를 해당 원산지증빙서류의 문서번호와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은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 의하여 작성된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변환되어 입력된 원산지증빙서류의 정보를 원본정보로 기록 관리하고, 정의된 기준정보 또는 판전결과와 비교하여 오류 없이 작성 기재되었는지를 판단하므로 진단과 검증하는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 상기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관세행정시스템 그리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생산, 제조, 수출입 기업의 업무시스템 그리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무역업무를 대행하거나 지원하는 관세법인과 관세사무소의 관세업무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연계시스템(110); 상기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와 연계시스템(110)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각 접속하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관세행정을 담당하는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 그리고 제조 또는 수출기업에서 관세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 그리고 무역업무를 대행하거나 또는 지원하는 관세법인과 관세사무소의 직원 또는 관세사가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컴퓨터(12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진단검증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물품의 원재료 생산 기업과 제조 기업과 수출입 기업이 작성하고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내용이 데이터로 변환된 원산지증빙서류의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며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에 의한 기준정보 또는 판정정보와 비교 판단함으로써 특정 기업이 제공하여 입력된 해당 원산지증빙서류가 올바르게 기재되었는지를 설치된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검증 프로그램에 의하여 진단하며 검증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인터페이스부(20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원산지증빙서류를 분석 진단하고 검증을 수행하는 비교판단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진단기준부(40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각 항목의 형식적인 정확성을 판단하고 원산지 지위의 정확성이 기준정보 또는 판정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서류진단부(5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진단검증서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며, 사용자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원산지증빙서류를 원본정보 상태로 기록 저장 관리하며 해당 요청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는 증빙서류부(30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서류진단부가 판단한 진단결과 정보와 검증결과 정보를 입력하고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진단결과부(60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증빙서류부의 원본정보와 상기 진단결과부의 진단결과와 검증결과 정보를 각각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서류보관부(7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빙서류부(3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원산지증빙서류를 분석하여 원산지의 진단과 검증을 요청하는 서류진단요청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분리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서류진단요청서(310);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원산지증빙서류를 분석하여 원산지의 진단과 검증 대상이 되는 물품의 원산지증명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분리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증명서(320);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원산지증빙서류를 분석하여 자유무역협정에 적합하게 정의되어 있는 원산지신고서 양식에 관련된 각 항목의 원본정보를 분리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신고서(33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확인서를 제출하는 자의 소재국가, 원산지확인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확인서(34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생산자의 소재국가, 수출자의 소재국가 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고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소명서(35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품목분류 적용기간 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품목분류(36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기준부(4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HS부로를 비교하여 판단하기 위한 기준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하는 HS부호(41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항목에 기재된 해당 정보신호를 분류하고 비교 판단하여 진단과 검증할 대상 정보로써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하는 원산지증빙서류 진단항목(42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의 대상 물품에 적용되는 각 원산지증빙서류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 항목정보를 비교 판단하는 기준 정보로써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하는 원산지결정기준 표시부호(43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내용을 분석하고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과 검증에 적용되는 해당 계산방법과 계산절차의 기준 유형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하는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44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류진단부(5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 표시되는 것으로써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를 포함하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각 항목의 정보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에 의한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하게 작성되었는지의 형식적인 정확성을 해당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진단모듈(51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 표시되는 것으로써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가 포함되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정보가 원산지 지위의 실질적인 정확성을 해당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 의한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하게 계산되고 기재되었는지의 내용적 사항을 해당 기준 정보 또는 판정정보와 비교하므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검증모듈(520);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모듈(51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분류된 것으로, 자유무역협정, HS부호, 원산지결정기준, 원산지 항목에 기재된 정보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 부합하게 작성 기재되었는지의 여부를 해당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허용된 범위에 포함되는 상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52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분류된 원산지소명서와 해당 부가정보를 분석하므로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원산지 정보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용에 의한 원산지 판정결과와 일치하게 기재되었는지의 여부를 해당 기준정보 또는 판정정보와 비교하고 허용된 범위에 포함되는 상태로 일치하는지 확인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단결과부(6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서류진단부의 진단모듈에서 수행한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형식적인 점검에 의한 진단결과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진단결과(61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서류진단부의 검증모듈에서 수행한 내용적인 점검에 의한 검증 결과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검증결과(62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류보관부(7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서류진단요청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서류진단요청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서류진단요청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서류진단요청서(71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원산지증명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원산지증명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원산지증명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증명서(72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원산지신고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원산지신고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원산지신고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신고서(73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원산지확인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원산지확인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원산지확인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확인서(74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원산지소명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원산지소명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원산지소명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소명서(75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품목분류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품목분류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품목분류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품목분류(76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산지증명서(320)와 원산지신고서(330)와 원산지확인서(340)와 원산지소명서(350)가 각각 저장하는 원본정보에는 해당 서류를 식별하는 기능을 하는 문서번호와 해당 서류의 비밀번호 기능을 하는 참조번호 정보가 각각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산지증명서(320)와 원산지신고서(330)와 원산지확인서(340)와 원산지소명서(35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각각 기재된 근거서류 정보에 의하여 상호 연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산지증명서(32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증명서 양식 정보와 함께 HS부호 6 단위 이하의 물품에 대한 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는 자의 소재국가, 생산자의 소재국가, 수출자의 소재국가, 원산지증명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산지신고서(33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증명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자유무역협정, HS부호 6단위, 물품명칭, 물품규격,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원산지결정기준, 원산지결정기준 충족여부, 원산지,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신고서를 제출하는 자의 소재국가, 원산지신고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산지확인서(34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확인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물품을 공급하는 자의 소재국가, 물품을 공급받는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산지소명서(35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소명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물품 생산자의 소재국가, 물품 수출자의 소재국가, 품목분류 근거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산지소명서(35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물품을 생산하거나 제조하는데 사용된 원재료 중 원산지소명서 발급자가 판매한 재료의 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의 완전생산기준이 충족함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직접운송 되었는지 또는 자유무역협정 체약당사국이 아닌 제3국 세관의 감독 아래 물품이 관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보, 역외가공 거래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HS 부호(4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명칭, HS부호 해설,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HS부호 기준년도, HS부호 적용기간, HS부호 적용시작시점 또는 HS부호 적용종료시점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산지결정기준 표시부호(4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을 근거로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원산지증빙서류의 종류, 원산지증빙서류 표시부호, 적용기간이 포함되어 비교 판단할 수 있는 해당 기준정보가 기록 저장 갱신 관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4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적용기간 정보와 함께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의 원산지를 판정하고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항목을 검증하기 위한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원산지증빙서류의 종류, 원산지증빙서류 표시부호,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가 포함되어 비교 판단할 수 있는 해당 기준정보를 기록 저장하고 갱신 관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단모듈(51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가 작성된 시점 또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이 제조되거나 생산된 시점 또는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진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단모듈(51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개별 물품의 제조와 생산에 사용된 모든 재료 가운데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재료의 수 또는 비율과, 각 개별 물품과 하위단계 물품에 대한 각각의 원재료 구성 비율을 각각 계산하여 원산지 지위가 적합한지를 진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52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가 작성된 시점 또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이 제조되거나 생산된 시점 또는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검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증모듈(52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소명서에 기록된 원본정보를 사용하여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검증을 진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단결과(6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받아 진단을 진행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는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하여 진단을 요청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에게 진단결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증결과(62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받아 검증을 진행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는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하여 검증을 요청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에게 검증결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단결과(610)와 상기 검증결과(62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진단과 검증 대상이 되는 원산지증빙서류의 해당 문서번호와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진단결과 정보와 검증결과 정보를 각각 조회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우리나라에 소재하는 수출기업, 제조기업이 FTA 활용을 위해 작성하여 발급한 원산지증빙서류가 각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였는지를 쉽고 빠르게 진단과 검증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체약상대국에 소재한 수입자와의 분쟁, 피해보상, 거래중단, 향후 FTA 활용의 제약 등의 손해와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의 기능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의 세부 기능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터페이스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증빙서류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단기준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서류진단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단결과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서류보관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 전체 기능블록 구성도,
도 10 은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법령에 의하여 규정된 원산지소명서 양식 도시도,
도 11 은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법령에 의하여 규정된 원산지확인서 양식 도시도,
그리고
도 12 는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법령에 의하여 규정된 원산지증명서 양식 도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연결과 접속은 같은 의미이며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정보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전송 가능 상태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비교 판단에는 허용된 오차 범위가 주어질 수 있으며, 기재는 입력과 같은 의미이고, 분리와 분류와 추출은 각각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원산지증빙서류에는 원산지증명서와 원산지신고서와 원산지확인서와 원산지소명서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이해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의 기능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의 세부 기능블록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터페이스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증빙서류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단기준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서류진단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진단결과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서류보관부의 상세 기능블록 구성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 전체 기능블록 구성도 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에프티에이(FTA)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은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와 네트워크와 연계시스템(110)과 사용자 컴퓨터(1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는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 의하여 작성된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변환되어 입력된 원산지증빙정보를 원본정보로써 기록 관리하고, 정의된 기준과 비교 판단하여 오류 없이 작성 기재되었는지를 판단하므로 진단과 검증한다.
이하에서 ‘법령’과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 그리고 ‘에프티에이 원산지 규정’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필요에 의하여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연계시스템(1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에 접속하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관세행정시스템,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생산, 제조, 수출입 기업의 업무시스템 그리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무역업무를 대행하거나 지원하는 관세법인과 관세사무소의 업무시스템이 포함된다.
이하에서 생산, 제조, 수출입하는 기업이 포함되는 각 기업에서 각각 운영되고 에프티에이 원산지 관리에 관련된 해당 업무가 처리되는 시스템을 기업업무시스템이라 하며,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관세행정시스템과 해당 국가의 각 관세법인 그리고 각 관세사무소에서 각각 운영되며 에프티에이 원산지 관리에 관련된 해당 업무가 처리되는 시스템을 관세업무시스템이라 하고 문맥상 구분하여 기재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원산지증빙서류에는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 물품의 품목분류 근거 서류(정보), 원산지소명서 근거 서류가 포함되고, 시스템에 기재 또는 입력되는 경우에는 원산지증빙정보로 기재 또는 입력된다. 그러므로 원산지증빙서류와 원산지증빙정보는 같은 의미로 기재하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연계시스템(110)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비특허문헌에 기재된 각종 법률(법령)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고 갱신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정보에는 원산지를 증명하는 해당 판단기준, 해당 양식, 해당 일자와 시간, 기간 등의 각종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컴퓨터(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와 연계시스템(110)에 각각 연결되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관세행정을 담당하는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 제조 또는 수출기업에서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 그리고 무역업무를 대행하거나 또는 지원하는 관세법인과 관세사무소의 직원 또는 관세사가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가 포함된다.
연계시스템(110)은 독자적으로 운용되거나 또는 사용자컴퓨터(12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종속적으로 운용되어 필요한 해당 정보를 생성, 저장, 관리와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연계시스템(110)이 사용자컴퓨터(120)에 종속적으로 운용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각의 기업업무시스템과 관세행정시스템과 관세업무시스템과 단말용 컴퓨터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수 서버와 일반적인 개인컴퓨터 또는 퍼스널 컴퓨터(P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과 작용을 하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또는 데이터 단말 또는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각 구성은 운용에 필요한 해당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매우 당연하고, 해당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잘 알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는 인터페이스부(200), 증빙서류부(300), 진단기준부(400), 서류진단부(500), 진단결과부(600), 서류보관부(700)의 모듈(module)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계시스템(110)과 사용자컴퓨터(120)와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외부 시스템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시스템에는 연계시스템(110)과 사용자컴퓨터(120)가 포함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생산 기업과 제조 기업과 수출입 기업이 포함되는 각 기업의 해당 기업업무시스템 또는 관세법인이거나 관세사무소의 해당 관세행정업무시스템과 접속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이러한 각 기업이 작성한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내용이 정보신호 데이터로 변환된 원산지증빙정보의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법률(법령)에 의한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므로 특정 기업이 제공하여 입력된 해당 원산지증빙정보가 올바르게 기재되었는지를 진단하며 검증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각 기업의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내용은 연계시스템(110) 또는 사용자컴퓨터(120)에 의하여 데이터 정보 신호로 변환된 원산지증빙정보로 제공되며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에 입력되어 기록 저장되고 관리되며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부(200)는 전송되어 입력받은 원산지증빙정보를 분석하고 분류하며 해당 기준정보와 비교 진단하고 검증한 결과의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며, 연계시스템(110)을 구성하는 각 기업업무시스템과 관세행정업무시스템 또는 사용자 컴퓨터(120)에 전송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설치되어 운용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검증 프로그램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를 분석 분류 비교하므로 원산지증빙정보가 해당 에프티에이 원산지 규정 등에 적합하게 기재되었는지를 진단하고 검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검증 프로그램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과 상기 법에 관련되는 모든 시행령, 시행규칙, 규정 등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의 신호를 분석 분류하고 비교 판단하여 진단과 검증하는 프로그램이며, 이미 개발되어 일반적으로 알 수 있거나 앞으로 개발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므로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검증 프로그램에 대하여는 더 이상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그 기능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의 전체 구성에 의한 각 모듈 또는 기능부의 운용을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하고 감시한다.
증빙서류부(300)는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각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증빙서류인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 서류(정보), 물품의 품목분류 근거 서류(정보), 원산지소명 근거 서류를 각각 입력받아 기록 저장 관리한다.
증빙서류부(300)의 모듈 또는 기능부는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며, 사용자 또는 사용자컴퓨터(1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원산지증빙서류 또는 원산지증빙정보를 원본 상태로 기록 저장 관리하며 해당 요청신호에 의하여 출력 제공하는 구성이다.
증빙서류부(300)는 서류진단요청서(310)와 원산지증명서(320)와 원산지신고서(330)와 원산지확인서(340)와 원산지소명서(350)와 품목분류(360)의 모듈(기능부)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원산지증명서(320)와 원산지신고서(330)와 원산지확인서(340)와 원산지소명서(350)가 각각 저장하는 원본정보에는 해당 서류를 식별하는 기능을 하는 문서번호와 해당 서류의 비밀번호 기능을 하는 참조번호 정보가 각각 포함된다.
상기의 해당 서류를 식별하는 기능을 하는 문서번호와 참조번호 등은 각 서류를 상호 연계시키게 된다.
원산지증명서(320)와 원산지신고서(330)와 원산지확인서(340)와 원산지소명서(35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각각에 기재된 근거서류 정보에 의하여 상호 연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각각에 기재된 근거서류는 해당 문서번호, 참조번호 등으로 확인되고 이러한 근거서류에 의하여 상호 연계된다.
즉, 원산지증명서(320), 원산지신고서(330), 원산지확인서(340), 원산지소명서(350)는 각각의 개별적인 근거서류에 의하여 서로 연계된다.
증빙서류부(300)는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입력된 원산지증빙정보를 원본 상태로 기록 저장 관리하되, 분석하여 각각 분류된 원본정보를 해당 기능부(모듈)의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 저장하고 관리한다.
서류진단요청서(310) 모듈은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하여 입력된 원산지증빙정보(원산지증빙서류 정보)를 분석하여 원산지의 진단과 검증을 요청하는 서류진단요청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분리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관리한다.
원산지증명서(320) 모듈은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하여 입력된 원산지증빙정보(원산지증빙서류 정보)를 분석하여 원산지의 진단과 검증 대상이 되는 물품의 원산지증명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분리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관리한다.
원산지증명서(320) 또는 원산지소명서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법령이 정한 원산지증명서 양식의 기재항목 정보와 함께 원산지증빙정보로부터 HS부호 6 단위 이하의 물품(원료, 상품, 제품 등에 의하여 거래되는 물품 포함)에 대한 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는 자(개인, 회사, 기업, 단체 등이 포함)의 소재국가, 생산자의 소재국가, 수출자의 소재국가, 원산지증명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분류(추출)하고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 등록,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원산지신고서(330) 모듈은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하여 입력된 원산지증빙정보(원산지증빙서류 정보)를 분석하여 자유무역협정에 적합하게 정의되어 있는 원산지신고서 양식에 관련된 각 항목의 원본정보를 분리(분류)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며 관리한다.
원산지신고서(330) 모듈은 검증 대상이 되는 해당 각 항목에 기재된 정보의 진단과 검증은 진행하지 않는다.
원산지신고서(330) 모듈은 원산지증빙서류의 원산지신고서 양식이 시기, 일자, 품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유무역협정 또는 관련 법령 등의 개정에 따른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 관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원산지신고서(330)는 자유무역협정 관련 법령의 개정 등에 따라 원산지신고서 양식의 각 항목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새로운 양식 정보로 갱신되어 관리된다.
원산지신고서 양식이 포함되는 본 발명에서의 모든 양식은 엑셀파일을 이용한 일괄등록을 위한 표준양식으로 제공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컴퓨터(120)가 표준양식을 이용 작성하므로 일괄등록 되도록 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양식은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컴퓨터(120)이고, 사용자 컴퓨터(120)는 연계시스템(110)과 연동되거나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표준양식은 연계시스템(110)의 관세행정업무시스템이 제공하는 갱신된 양식이 포함된다.
원산지신고서(330) 모듈은 자유무역협정에 정의된 양식상 진단 및 검증 대상이 되는 항목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진단 및 검증을 위해 원산지확인서에 기재하는 항목에 준하는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산지신고서(330)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법령이 정한 원산지신고서 양식의 기재항목 정보와 함께 원산지증빙정보로부터 자유무역협정, HS부호 6단위, 물품명칭, 물품규격,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원산지결정기준, 원산지결정기준 충족여부, 원산지,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신고서를 제출하는 자의 소재국가, 원산지신고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분리)하고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 등록,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원산지확인서(340)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법령이 정한 원산지확인서 양식의 기재항목 정보와 함께 원산지증빙정보로부터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물품을 공급하는 자의 소재국가, 물품을 공급받는 자 소재국가 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고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 등록,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원산지 확인서의 양식이 도 11로 첨부되어 있으며, 이러한 양식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원산지소명서(350)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부터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물품 생산자의 소재국가, 물품 수출자의 소재국가 정보, 물품의 품목분류 근거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며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 등록,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원산지소명서(350)에 저장된 원본정보에는 해당 물품을 생산하거나 제조하는데 사용된 원재료 중 원산지소명서 발급자(제조자와 생산자와 수출자 포함)가 판매한 재료 또는 판매한 부분의 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한다.
원산지소명서(35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해당 물품의 완전생산기준이 충족함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직접운송 되었는지 또는 자유무역협정 체약당사국이 아닌 제 3 국 세관의 감독 아래 물품이 관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보, 역외가공 거래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원산지소명서(350)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부터 텍스트 문서 정보, JPG 또는 TIF 또는 PDF에 의한 이미지 문서 정보로 이루어지고 물품의 원산지를 소명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여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 등록,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품목분류(360)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부터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품목분류 적용기간 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고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 등록,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진단기준부(400)는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과 검증을 위한 기준을 기록 저장하고 갱신 관리한다.
진단기준부(400)는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에 의한 원산지증빙정보를 분석 진단하고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비교판단의 기준 자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구성이며, HS부호(410), 원산지증빙서류 진단항목(420), 원산지결정기준 표시부호(430),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440) 모듈(기능부)을 포함한다.
HS부호(410)의 모듈은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 지위를 비교하여 판단하기 위한 기준 자료 또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한다.
HS부호(410)는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명칭, HS부호 해설,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를 위한 자료정보를 포함하며, HS부호는 시기(일자)에 따라 달라지므로 HS부호가 적용되는 기준년도, HS부호가 적용되는 기간, HS부호 적용시작시점 또는 HS부호 적용종료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 저장하고 갱신 관리한다.
원산지증빙서류 진단항목(420)의 모듈은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항목에 기재된 해당 정보신호를 분리(분류) 추출하고 비교 판단하여 진단과 검증할 기준 정보로 데이터베이스 구축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한다.
일반적으로 시기(일자)에 따라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되는 항목이 추가되거나 삭제되거나 변경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가 정확하고 일관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자료로써 원산지증빙서류의 종류, 적용기간, 진단항목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산지결정기준 표시부호(430)의 모듈은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에 대상 물품의 원산지결정기준을 나타내는 부호 정보가 비교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정보로써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다.
원산지결정기준 표시부호(430)는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원산지증빙서류의 종류, 원산지증빙서류 표시부호, 적용기간이 포함되어 비교 판단할 수 있는 해당 기준 정보가 기록 저장 갱신 관리된다.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440)의 모듈은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내용을 분석하고 원산지를 결정하는 진단과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적용되는 해당 계산방법과 계산절차의 기준 유형을 데이터베이스로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한다.
이러한 계산방법과 계산절차의 기준 유형은 프로그램으로 기록 저장되고 갱신 관리될 수 있다.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440)는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원산지판정절차 유형부호, 적용기간을 포함하여 기록 저장 관리하고 제공한다.
서류진단부(500) 모듈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에 의한 원산지 규정을 로직화하여 원산지증빙서류가 정확히 작성되었는지를 진단하고 검증한다.
서류진단부(500)의 모듈은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 표시되는 것으로써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를 포함하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각 항목의 정보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하게 작성되었는지의 형식적인 정확성을 해당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진단모듈(510)과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가 포함되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정보가 원산지 지위의 실질적인 정확성을 해당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하게 계산되고 기재되었는지의 내용적 사항을 해당 기준 정보와 비교하므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검증모듈(520)을 포함한다.
즉, 검증모듈(520)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 준수하여 원산지 지위가 판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진단모듈(510)은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부터 분류된 것으로, 자유무역협정, HS부호, 원산지결정기준, 원산지를 포함한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항목이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과 자유무역협정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을 준수하여 작성요령에 부합하게 작성 기재되었는지의 여부를 해당 기준 정보와 비교하고 허용된 범위에 포함되는 상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 판단하므로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진단모듈(510)은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가 작성된 시점 또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이 제조되거나 생산된 시점 또는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진단한다.
진단모듈(510)은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개별 물품의 제조와 생산에 사용된 모든 재료 가운데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재료의 비율과, 각 개별 물품과 하위단계 물품에 대한 각각의 원재료 구성 비율을 각각 계산하여 원산지 지위가 적합한지를 진단한다.
검증모듈(520)은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부터 분류된 원산지소명서와 해당 부가정보를 근거로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원산지 정보가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과 자유무역협정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을 준수하여 원산지 지위의 정보와 비교하고 허용된 범위에 포함되는 상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자유무역협정의 원산지 규정에 의하여 작성된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변환되어 입력된 원산지증빙정보는 증빙서류부(300)에서 각 항목 별로 분류되어 기록 관리하고, 진단기준부(400)에서 정의된 기준에 의하여 서류진단부(500)의 진단모듈(510)과 검증모듈(520)에서 비교 판단하여 정확하게 오류없이 작성 기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므로 진단과 검증한다.
검증모듈(520)은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가 작성된 시점 또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이 제조되거나 생산된 시점 또는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검증하며,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소명서에 기록된 원본정보를 사용하여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검증을 진행한다.
즉, 상기 검증모듈(52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분류된 원산지소명서와 해당 부가정보를 분석하므로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원산지 정보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동 시행령, 동 시행규칙용에 의한 원산지 판정결과와 일치하게 기재되었는지의 여부를 해당 기준정보 또는 판정정보와 비교하고 허용된 범위에 포함되는 상태로 일치하는지 확인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단결과부(600)는 원산지증빙서류를 진단하고 검증한 결과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관리하며, 진단결과(610) 모듈과 검증결과(620)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진단결과(610) 모듈은 서류진단부(500)의 진단모듈(510)에서 수행한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형식적인 점검에 의한 진단결과 정보를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고 요청신호에 의하여 제공한다.
검증결과(620) 모듈은 서류진단부(500)의 검증모듈(520)에서 수행한 내용적인 점검에 의한 검증결과 정보를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고 요청 신호에 의하여 제공한다.
진단결과(610)는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받아 진단을 진행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가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하여 진단을 요청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에게 진단결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여 제공한다.
검증결과(620)는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받아 검증을 진행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가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하여 검증을 요청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에게 검증결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여 제공한다.
진단결과(610)와 검증결과(620)는 인터페이스부(200)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진단 또는 검증 대상이 되는 원산지증빙서류를 해당 문서번호와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진단결과 정보 또는 검증결과 정보를 각각 조회한다.
서류보관부(700) 모듈은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과 검증 결과의 부인 또는 거부를 방지하기 위해 진단과 검증의 대상이 되는 원산지증빙서류의 원본과 진단결과와 검증 결과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한다.
서류보관부(700) 모듈은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300) 모듈과 진단결과부(600) 모듈에서 각각 기록 저장 관리하는 해당 정보를 제공받아 각각 할당된 영역에 다시 기록 저장하고 관리한다.
서류보관부(700) 모듈은 원산지증빙서류의 정보를 비교 판단에 의하여 진단하고 검증한 결과를 수행자 또는 요청자 또는 사용자컴퓨터(120)에 의하여 인정하지않거나 부인하거나 거부하는 결과를 예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서류보관부(700) 모듈은 원산지의 진단과 검증을 위하여 제출된 원산지증빙서류(원산지증빙정보)와 진단과 검증된 결과에 의한 해당 모든 부가정보를 모두 동시에 연관된 상태로 기록 저장하여 보관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0 은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법령에 의하여 규정된 원산지소명서 양식 도시도이고, 도 11 은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법령에 의하여 규정된 원산지확인서 양식 도시도이며, 도 12 는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법령에 의하여 규정된 원산지증명서 양식 도시도이다.
원산지소명서와 원산지확인서와 원산지증명서와 원산시신고서 양식은 각 항목에 기재해당 정보를 기재하여야 되고, 이와 같이 기재된 정보는 이미 잘 알려진 문자인식 기술 등에 의하여 해당 장치를 이용하므로 자동으로 데이터 처리화하거나 또는 수작업으로 해당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원산지소명서와 원산지확인서와 원산지증명서와 원산시신고서 양식은 시기, 각 국가 사이에 체결된 에프티에이 원산지 규정의 차이 등에 의하여 변경되거나 서로 다를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그리고 이러한 원산지소명서와 원산지확인서와 원산지증명서와 원산시신고서 양식에는 원산지결정기준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네트워크에 연결된 연계시스템(110)과 사용자컴퓨터(120)와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는 상호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1 내지 2 Mbps 의 전송속도로 송신과 수신하되, 20 Mbps 의 데이터 마다 프레임으로 구분하여 전송하면서, 각 프레임에는 시작 영역으로 100 비트, 종료 영역으로 100 비트, 오류검증 영역으로 100 비트의 영역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Mbps 이하의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는 해당 데이터 송수신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효율적이지 못하고, 2 Mbps 이상의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는 전송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주변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잡음과 생활환경 주변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기기계류에서 발생되는 잡음, 펄스신호 등에 의하여 데이터에 전송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시작 영역에는 데이터가 시작하는 위치정보, 해당 정보를 보내는 발송지에 대한 정보로써 인터넷망에서의 각 노드를 구별하는 식별번호, 발송시간이 포함되는 정보가 기재되고, 종료영역에는 해당 정보가 도착하는 착신지에 대한 정보로써 인터넷망에서의 각 노드를 구별하는 식별번호, 프레임 단위에 기재된 전에 데이터의 숫자, 프레임의 일련번호가 포함되는 정보가 기재되고, 오류검증영역에는 CRC와 해밍코드 체크에 의하여 중복 체크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오류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해당 공식 또는 프로그램이 기재되고, 착신지 또는 수신측에서는 CRC와 해밍코드 검사에 의한 중복 체크에 의하여 전송오류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발신지 측에 해당 프레임 번호를 통보하여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출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 구비된다. 이러한 시작영역, 종료영역, 오류검증영역의 구성과 기능과 작용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또는 알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원산지진단검증서버
110 : 연계시스템 120 사용자컴퓨터
200 : 인터페이스부 210 : 원산지증명서
220 : 원산지신고서 230 : 원산지확인서
240 : 원산지소명서 250 : 진단결과
260 : 검증결과 300 : 증빙서류부
310 : 서류진단요청서 320 : 원산지증명서
330 : 원산지신고서 340 : 원산지확인서
350 : 원산지소명서 360 : 품목분류
400 : 진단기준부 410 : HS부호
420 : 원산지증빙서류 진단항목 500 : 서류진단부
430 : 원산지결정기준 표시부호 510 : 진단모듈
440 :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
520 : 검증모듈 600 : 진단결과부
610 : 진단결과 620 : 검증결과
700 : 서류보관부 710 : 서류진단요청서
720 : 원산지증명서 730 : 원산지신고서
740 : 원산지확인서 750 : 원산지소명서
760 : 품목분류

Claims (27)

  1.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 의하여 작성된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변환되어 입력된 원산지증빙서류의 정보를 원본정보로 기록 관리하고, 정의된 기준정보 또는 판정결과와 비교하여 오류 없이 작성 기재되었는지를 판단하므로 진단과 검증하는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
    상기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관세행정시스템 그리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생산, 제조, 수출입 기업의 업무시스템 그리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무역업무를 대행하거나 지원하는 관세법인과 관세사무소의 관세업무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연계시스템(110);
    상기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와 연계시스템(110)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각 접속하고 우리나라 또는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관세행정을 담당하는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 그리고 제조 또는 수출기업에서 관세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 그리고 무역업무를 대행하거나 또는 지원하는 관세법인과 관세사무소의 직원 또는 관세사가 사용하는 단말용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컴퓨터(120); 를 포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물품의 원재료 생산 기업과 제조 기업과 수출입 기업이 작성하고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내용이 데이터로 변환된 원산지증빙서류의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며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 의한 기준정보 또는 판정정보와 비교 판단함으로써 특정 기업이 제공하여 입력된 해당 원산지증빙서류가 올바르게 기재되었는지를 설치된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검증 프로그램에 의하여 진단하며 검증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인터페이스부(20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원산지증빙서류를 분석 진단하고 검증을 수행하는 비교판단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진단기준부(40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각 항목의 형식적인 정확성을 판단하고 원산지 지위의 정확성이 판정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서류진단부(500); 를 포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진단검증서버(1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원산지증빙서류를 원본정보 상태로 기록 저장 관리하며 해당 요청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는 증빙서류부(30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서류진단부가 판단한 진단결과 정보와 검증결과 정보를 입력하고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진단결과부(60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증빙서류부의 원본정보와 상기 진단결과부의 진단결과와 검증결과 정보를 각각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서류보관부(700); 를 더 포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빙서류부(3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원산지증빙서류를 분석하여 원산지의 진단과 검증을 요청하는 서류진단요청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분리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서류진단요청서(310);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원산지증빙서류를 분석하여 원산지의 진단과 검증 대상이 되는 물품의 원산지증명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분리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증명서(320);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원산지증빙서류를 분석하여 자유무역협정에 적합하게 정의되어 있는 원산지신고서 양식에 관련된 각 항목의 원본정보를 분리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신고서(33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확인서를 제출하는 자의 소재국가, 원산지확인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확인서(34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생산자의 소재국가, 수출자의 소재국가 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고 할당된 영역에 각각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소명서(35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품목분류 적용기간 정보가 포함되는 원본정보를 분류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품목분류(360); 를 포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기준부(4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HS부호를 비교하여 판단하기 위한 기준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하는 HS부호(41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항목에 기재된 해당 정보신호를 분류하고 비교 판단하여 진단과 검증할 기준정보로써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하는 원산지증빙서류 진단항목(42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의 대상 물품에 적용되는 각 원산지증빙서류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 항목정보를 비교 판단하는 기준 정보로써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하는 원산지결정기준 표시부호(43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내용을 분석하고 원산지증빙서류의 진단과 검증에 적용되는 해당 계산방법과 계산절차의 기준 유형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하는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440); 를 포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류진단부(5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 표시되는 것으로써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를 포함하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각 항목의 정보가 각 자유무역협정과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하게 작성되었는지의 형식적인 정확성을 해당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진단모듈(51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정보로 표시되는 것으로써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가 포함되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정보가 원산지 지위의 실질적인 정확성을 해당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 의한 원산지 규정을 준수하여 정확하게 계산되고 기재되었는지의 내용적 사항을 해당 판정정보와 비교하므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검증모듈(520); 을 포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듈(51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분류된 것으로, 자유무역협정, HS부호, 원산지결정기준, 원산지 항목에 기재된 정보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 부합하게 작성 기재되었는지의 여부를 해당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허용된 범위에 포함되는 상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모듈(52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로부터 분류된 원산지소명서와 해당 부가정보를 분석하므로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정보가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에 의한 원산지 판정결과와 일치하게 기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정보와 비교하고 허용된 범위에 포함되는 상태로 일치하는지 확인 판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부(6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서류진단부의 진단모듈에서 수행한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형식적인 점검에 의한 진단결과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진단결과(61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서류진단부의 검증모듈에서 수행한 내용적인 점검에 의한 검증 결과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검증결과(620); 를 포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류보관부(7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서류진단요청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서류진단요청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서류진단요청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서류진단요청서(71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원산지증명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원산지증명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원산지증명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증명서(72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원산지신고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원산지신고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원산지신고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신고서(73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원산지확인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원산지확인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원산지확인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확인서(74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원산지소명서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원산지소명서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원산지소명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원산지소명서(750);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증빙서류부의 품목분류에서 분리한 원본정보의 품목분류 정보와 진단결과부에서 진단하고 검증한 품목분류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하는 품목분류(760); 를 포함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증명서(320)와 원산지신고서(330)와 원산지확인서(340)와 원산지소명서(350)가 각각 저장하는 원본정보에는 해당 서류를 식별하는 문서번호와 해당서류의 비밀번호 기능을 하는 참조번호 정보가 각각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증명서(320)와 원산지신고서(330)와 원산지확인서(340)와 원산지소명서(35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각각 기재된 근거서류 정보에 의하여 상호 연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증명서(32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증명서 양식 정보와 함께 HS부호 6 단위 이하의 물품에 대한 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는 자의 소재국가, 생산자의 소재국가, 수출자의 소재국가, 원산지증명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신고서(33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증명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자유무역협정, HS부호 6단위, 물품명칭, 물품규격,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원산지결정기준, 원산지결정기준 충족여부, 원산지, 물품의 제조일자, 원산지신고서를 제출하는 자의 소재국가, 원산지신고서를 제출받는 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확인서(34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확인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물품을 공급하는 자의 소재국가, 물품을 공급받는자의 소재국가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소명서(35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에서 정한 원산지소명서 양식의 기재항목과 함께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물품의 제조일자, 물품 생산자의 소재국가, 물품 수출자의 소재국가, 품목분류 근거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소명서(350)에 저장된 원본정보는
    상기 물품을 생산하거나 제조하는데 사용된 원재료 중 원산지소명서 발급자가 판매한 재료의 판매가격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의 완전생산기준이 충족함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직접운송 되었는지 또는 자유무역협정 체약당사국이 아닌 제3국 관세당국의 감독 아래 물품이 관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보, 역외가공 거래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HS 부호(4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명칭, HS부호 해설,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HS부호 기준년도, HS부호 적용기간, HS부호 적용시작시점 또는 HS부호 적용종료시점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 저장 갱신 관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1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결정기준 표시부호(4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을 근거로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원산지증빙서류의 종류, 원산지증빙서류 표시부호, 적용기간이 포함되어 비교 판단할 수 있는 해당 기준정보가 기록 저장 갱신 관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2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4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각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시행령/시행규칙의 원산지 규정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적용기간 정보와 함께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의 원산지를 판정하고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항목을 검증하기 위한 자유무역협정, 국가, HS부호 6단위, HS부호 6단위 이하의 물품분류, 원산지증빙서류의 종류, 원산지증빙서류 표시부호, 원산지결정절차 유형부호가 포함되어 비교 판단할 수 있는 해당 기준정보를 기록 저장 갱신 관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2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듈(51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가 작성된 시점 또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이 제조되거나 생산된 시점 또는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진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2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듈(51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개별 물품의 제조와 생산에 사용된 모든 재료 가운데 원산지증빙서류에 확보된 재료의 수 또는 비율과, 각 개별 물품과 하위단계 물품에 대한 각각의 원재료 구성 비율을 각각 계산하여 원산지 지위가 적합한지를 진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2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모듈(52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가 작성된 시점 또는 원산지증빙서류에 기재된 물품이 제조되거나 생산된 시점 또는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검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2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모듈(52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소명서에 기록된 원본정보를 사용하여 원산지증명서, 원산지신고서, 원산지확인서, 원산지소명서의 검증을 진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2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6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받아 진단을 진행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는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하여 진단을 요청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에게 진단결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2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결과(62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받아 검증을 진행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는 원산지증빙서류를 제공하여 검증을 요청한 원산지진단검증서버에게 검증결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2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610)와 상기 검증결과(62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해당 제어와 감시 신호에 의하여 진단과 검증 대상이 되는 원산지증빙서류를 해당 문서번호와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진단결과 정보와 검증결과 정보를 각각 조회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KR1020190039591A 2018-04-04 2019-04-04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KR102212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8925 2018-04-04
KR1020180038925 2018-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106A true KR20190116106A (ko) 2019-10-14
KR102212602B1 KR102212602B1 (ko) 2021-02-05

Family

ID=6817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91A KR102212602B1 (ko) 2018-04-04 2019-04-04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01053A (zh) * 2022-12-16 2023-01-13 山东浪潮质量链科技有限公司(Cn) 一种背对背原产地证明安全可信防护方法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474B1 (ko) * 2006-04-13 2006-06-20 대한민국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KR100946650B1 (ko) * 2009-09-18 2010-03-12 대한민국 관세행정 자율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0973462B1 (ko) 2010-01-13 2010-08-02 대한민국 에프티에이 표준 원산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474B1 (ko) * 2006-04-13 2006-06-20 대한민국 관세 전자 통관 시스템, 전자 통관 방법 및 방법이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KR100946650B1 (ko) * 2009-09-18 2010-03-12 대한민국 관세행정 자율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0973462B1 (ko) 2010-01-13 2010-08-02 대한민국 에프티에이 표준 원산지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India
Framework Agreement Establishing a free Trade Area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Turkey
Framework Agreement on Comprehensive Economic Cooperation amo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Member Countries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EFTA States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AUSTRALI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l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Peru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Singapor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ANAD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NEW ZEALAND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SOCIALIST REPUBLIC VIET NAM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Colombi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S OF CENTRAL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of the one part, and the European Union and its Member States, of the Other Part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시행령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제정2005.12.31.
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01053A (zh) * 2022-12-16 2023-01-13 山东浪潮质量链科技有限公司(Cn) 一种背对背原产地证明安全可信防护方法及设备
CN115601053B (zh) * 2022-12-16 2023-08-22 浪潮云洲工业互联网有限公司 一种背对背原产地证明安全可信防护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602B1 (ko)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3024B (zh)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171911B2 (en) Unified electronic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US11436613B2 (en) Computer-guided corporate governance with document generation and execution
US11769573B2 (en) Team-based tele-diagnostics blockchain-enabled system
CN108922012B (zh) 基于区块链技术不泄露原始信息的发票查验方法
US8825530B2 (en) Tax liability and deductions verification system
US10453058B2 (en) E-signature
US20180268491A1 (en) Cognitive regulatory compliance automation of blockchain transactions
US201000234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port/Export Transactions
MXPA05011245A (es) Realizacion de contratos de negocio obligatorios legalmente a traves de modelos de manejos de servicio.
KR20180046930A (ko) 블록체인 기반 원산지증명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N102216926A (zh) 远程基于web的文件生成系统和方法
US20080201157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software utilizing xbrl to electronically link the accounting records of multi-period contracts and multi-period loans and grants for management
CN105827643A (zh) 开放平台管理系统及方法
CN110727580A (zh) 响应数据生成、全流程接口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7376708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he establishment of EDI trading partner relationships
CN111210321B (zh) 一种基于合同管理的风险预警方法及系统
CN114219596B (zh) 一种基于决策树模型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20190116106A (ko)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검증 시스템
CN113139168A (zh) 用于处理从客户端发送的数据请求的装置和方法
KR102304231B1 (ko) 계층 구조를 이용한 컴플라이언스 관리 체계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248849A1 (en) Blockchai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of the blockchain,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nd quering the blockchain
US20190026661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rtifact tracking
KR20180042181A (ko) 에프티에이 원산지증빙서류 진단 및 검증 시스템
KR102327227B1 (ko) 사용자 요구사항을 활용한 기능점수 자동 측정과 검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