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277A -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277A
KR20120056277A KR1020127006544A KR20127006544A KR20120056277A KR 20120056277 A KR20120056277 A KR 20120056277A KR 1020127006544 A KR1020127006544 A KR 1020127006544A KR 20127006544 A KR20127006544 A KR 20127006544A KR 20120056277 A KR20120056277 A KR 20120056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base station
handover
terminal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기타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Abstract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무선기지국(100A)에 릴레이 노드(200)가 접속되고, 릴레이 노드(200)에 무선단말(300E∼300G)이 접속되고, 각각의 무선단말(300E∼300G)과 무선기지국(100A) 간의 통신이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의해 중계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인 기지국 부하가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릴레이 노드(200)가 그 접속처를 전환하는 릴레이 핸드오버 또는 무선단말(300E∼300G)들 중 어느 하나가 그 접속처를 전환하는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릴레이 핸드오버 지시를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는 릴레이 핸드오버를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는 단말 핸드오버 지시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제어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RADIO RELAY STATION, AND HANDOV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중계 전송이 적용가능한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handover)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제3세대 및 제3.5세대 무선통신시스템에 비해 더욱 고속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차세대 무선통신시스템으로서, 무선통신시스템의 표준화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표준화되어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가 있다.
상기 LTE의 기술 사양들은 3GPP Release 8로서 정해졌고, 현재는 Release 8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Release 9, 및 상기 LTE의 고도화 버전(sophisticated version)인 LTE Advanced의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LTE Advanced에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라고 불리우는 무선중계국을 사용하는 중계 전송의 채용이 예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상기 무선중계국은, 무선기지국(매크로 기지국)에 무선을 통해 접속되는 저출력 중계 기지국(low-output relay base station)이다. 상기 무선중계국에 접속되는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중계국을 거쳐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통신을 행한다. 무선기지국의 셀 엔드(cell end) 및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에 무선중계국을 설치함으로써, 무선단말이 무선중계국을 거쳐 무선기지국과 간접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무선단말이 무선기지국으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때에 비해 양호한 조건들 하에 통신이 행하여질 수 있다.
선행 기술문헌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 3GPP TR 36.814 V0.4.1, 9장 "Relaying functionality", 2009년 2월
무선중계국은 무선기지국과 무선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때문에, 상기 무선단말과 상기 무선기지국 간의 스루풋(throughput)은 무선기지국과 무선중계국 간의 스루풋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무선중계국이 접속하는 무선기지국의 부하가 높은 경우(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에 의해 취급되는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무선기지국과 무선중계국 간의 스루풋이 저하되어, 무선단말과 무선기지국 간의 스루풋도 저하된다.
그러므로, 무선중계국이 접속하는 무선기지국의 부하가 높은 경우에는, 무선단말과 무선중계국 간의 무선 품질이 우수한 경우에도 상기 무선중계국에 접속하는 상기 무선단말의 스루풋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한 부하 분산을 도모하는 것으로 무선단말의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무선기지국에 접속된 무선중계국(예를 들면, 릴레이 노드(200)); 및 무선단말과 상기 무선기지국 간의 통신을 상기 무선중계국이 중계하도록 상기 무선중계국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무선단말(예를 들면, 무선단말(300E 내지 300G))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기지국의 부하인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예를 들면, 문턱값 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이 접속처(connection destination)들을 전환하는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중계국이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중계국이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단말에 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예컨대, 무선통신시스템(1))으로 요약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것을 실행시킬 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가 실행될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될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보다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우선적으로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의 핸드오버처(handover destination)의 후보인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로부터,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하 통지를 토대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시킬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이 수신하는 신호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제1측정결과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측정결과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를 결정하며, 상기 무선기지국은, 결정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에 대하여, 상기 부하 통지의 송신을 요구하는 부하 통지 요구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중계국 및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 가하는 부하인 중계국 부하를 산출하고,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와 상기 중계국 부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이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를 예측하며, 예측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시킬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의 후보인 단말 핸드오버 후보로부터,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될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하 통지를 토대로, 상기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무선단말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무선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제2측정결과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측정결과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를 결정하며, 상기 무선기지국은, 결정된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에 대하여, 상기 부하 통지의 송신을 요구하는 부하 통지 요구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무선중계국에 가하는 부하인 단말부하를 산출하고, 상기 단말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에 송신하며,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와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하 통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와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상기 기지국 부하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와 예측된 상기 기지국 부하의 부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시키는 무선단말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무선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될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터리 통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될 무선단말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에 관한 통지를 상기 무선중계국 또는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에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된 후, 상기 기지국 부하가 제2문턱값(예를 들면, 임계값 2)보다 작아지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부하에 관한 통지를 상기 무선중계국 또는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 또는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로부터, 상기 핸드오버처의 부하에 관한 통지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예컨대, 무선단말(300E 내지 300G))과의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중계국(예컨대, 릴레이 노드(200))이 접속하는 무선기지국(예컨대, 무선기지국(100A))으로서, 상기 무선기지국의 부하인 기지국 부하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부(예컨대, 부하산출부(131)); 및 상기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국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예컨대, 송수신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기지국으로서 요약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중계국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예컨대, 무선단말(300E 내지 300G))과 무선기지국(예컨대, 무선기지국(100A))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중계국(예컨대, 릴레이 노드(200))으로서, 상기 무선중계국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예컨대, 송수신부(230));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핸드오버실행부(예컨대, 핸드오버실행부(253)); 및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예컨대, 송수신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중계국으로서 요약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제어방법은, 무선기지국에 무선중계국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중계국에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단말과 상기 무선기지국 간의 통신을 상기 무선중계국이 중계하는 단계; 상기 무선기지국의 부하인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국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하는 단계(예컨대, 단계 S610); 상기 무선중계국이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국이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예컨대, 단계 S670); 및 상기 무선중계국이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에 송신하는 단계(예컨대, 단계 S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오버제어방법으로서 요약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부하 분산을 도모하는 것으로 무선단말의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의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로 서브하는 무선단말의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제1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제2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9는 도 7 및 도 8의 단계 S490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단계 S550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1)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2) 무선통신시스템의 동작, (3) 실시예의 변형예, 및 (4) 그 밖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1)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1.1) 무선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 및 (1.2) 무선통신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1.1) 무선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은, 예를 들면 제4세대 휴대전화시스템으로서 위치설정되어 있는 LTE-Advanced에 기초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은,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00A), 및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00B)을 구비한다. 상기 셀(C1)은 무선기지국(100A)에 접속가능한 통신 지역이며, 상기 셀(C2)은 무선기지국(100B)에 접속가능한 통신 지역이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 및 100B)은, 예를 들면 반경이 대략 몇 백 m 정도의 셀(C1, C2)을 각각 형성하는 매크로 기지국들이다.
상기 셀(C1, C2)들은 중첩된 상태로 서로 인접하여 있고, 이하에서는 상기 무선기지국(100B)을 적절히 "무선기지국(100A)의 인접 기지국"이라고 칭한다. 도 1에서는 2개의 무선기지국들을 예시하고 있지만, 또다른 무선기지국들이 상기 2개의 무선기지국들에 인접하여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 및 무선기지국(100B)은, 유선통신망인 백홀(backhaul)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거쳐 접속되어 있고, 직접적으로 기지국들 간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LTE에 있어서는, 기지국들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X2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는 무선단말(300A∼300D)들과 릴레이 노드(200)가 무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무선단말(300A∼300D)들은 상기 무선기지국(100A)과 직접적으로 통신한다. 본 실시예의 무선단말들은 그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상기 셀(C1)의 단부이며, 상기 셀(C2)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는, 상기 무선단말(300E∼300G)이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무선단말(300E∼300G)과 무선기지국(100A) 간의 통신들을 중계하는 무선중계국이다.
상기 무선단말(300E∼300G)들은 상기 릴레이 노드(200)를 통해 상기 무선기지국(100A)과 간접적으로 통신을 행한다. 이러한 중계 전송의 결과로서, 상기 무선단말(300E∼300G)들은 상기 셀(C1) 외측에 있어서도 상기 무선기지국(100A)과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접속하는 무선단말(300E∼300G)을 적절히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이라 칭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00B)에는 무선단말(300H, 300I)들이 무선에 의해 접속하여 있다. 상기 무선단말(300H, 300I)들은 상기 무선기지국(100B)과 직접적으로 통신한다. 이하, 상기 무선기지국(100A, 100B)을 구별하지 않는다면, 단순히 "무선기지국(100)"이라고 칭하고, 상기 무선단말(300A∼300I)을 구별하지 않는다면, 단순히 "무선단말(300)"이라고 칭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인 기지국 부하를 정기적으로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하는 예를 들면 주파수 및 시간에 기초하여 규정되는 무선 리소스(리소스 블록)의 소비량, 또는 송수신되어야 하는 데이터량(트래픽량)을 말한다. 하지만, 간섭 소스(interference source)로부터 받는 간섭의 정도가 부하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 부하는, 업링크(uplink) 부하 또는 다운링크(downlink) 부하인 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무선기지국(100A)의 전체적인 부하이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있어서, 릴레이 핸드오버 또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것을 실행시킬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가 증가하고 있어, 상기 무선기지국(100A)이 양호한 통신을 제공하기 곤란한 상황인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릴레이 핸드오버(중계국 핸드오버)는 릴레이 노드(200)가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핸드오버이다. 도 2는 릴레이 노드(200)가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무선기지국(100B)으로의 핸드오버를 행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말 핸드오버는 무선단말(특히,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핸드오버이다. 도 3은 무선단말(300E)이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무선기지국(100B)으로의 핸드오버를 행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릴레이 핸드오버를 실행시킨다고 결정했을 경우에는, 무선기지국(100A)이 릴레이 핸드오버의 지시를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한다. 나아가, 무선기지국(100A)은,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시킨다고 결정했을 경우에,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한다. 핸드오버의 지시(이하, 적절히 "핸드오버 지시(handover command)"라고 칭함)는, 핸드오버시키는 노드(무선단말 또는 릴레이 노드)를 지정하는 정보와 핸드오버처를 지정하는 핸드오버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접속하는 무선단말(300A∼300D) 및 릴레이 노드(200)에 관한 핸드오버의 결정권, 및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에 관한 핸드오버의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핸드오버에 관한 처리들과 계산들을 주로 무선기지국(100A)에서 행함으로써, 상기 릴레이 노드(200)와 상기 무선기지국(100A) 간의 무선 구간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무선기지국(100B)은, 상기 무선기지국(100B)에 접속하는 무선단말(300H, 300I)에 관한 핸드오버의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릴레이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핸드오버 지시에 포함되는 핸드오버처 정보에 대응하는 핸드오버처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에 포함되는 핸드오버처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에 핸드오버 지시를 송신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부터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는 무선단말은, 상기 수신된 핸드오버 지시에 포함되어 있는 핸드오버처 정보에 대응하는 핸드오버처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즉,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200)에서 릴레이 핸드오버를 행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접속처가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무선기지국(100B)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들의 스루풋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 각각에 의해 가해지는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가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 부하가 현저하게 삭감되므로, 상기 무선기지국(100A)과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무선단말(300A∼300D)들의 스루풋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즉,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에서 핸드오버를 행함으로써, 무선단말(300E)의 스루풋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단말(300E)의 핸드오버로 인하여,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무선단말(300E)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로부터 해제되어, 기지국 부하가 삭감된다.
릴레이 핸드오버는 단말 핸드오버보다도 기지국 부하의 삭감 효과가 더욱 크다. 나아가, 릴레이 노드(200)가 셀 단말과 커버리지 홀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무선단말들보다 높은 레벨의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므로, 핸드오버 이후에도 우수한 통신을 실현할 가능성이 높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이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의 핸드오버보다도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를 우선적으로 실행시킨다. 나아가,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릴레이 노드(200)에 접속하는 무선단말(300A∼300D)들의 핸드오버보다도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를 우선적으로 실행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릴레이 핸드오버는 핸드오버처에서의 부하를 급증시켜 버린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릴레이 핸드오버로 인하여 무선기지국(100B)의 부하가 급증한다. 따라서, 무선기지국(100A)은, 무선기지국(100B)의 부하가 높은 경우와 같은 상황 하에서는, 무선기지국(100B)으로의 릴레이 핸드오버 대신에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각각의 무선단말의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시킨다.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시키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가 소정값 이하가 되도록,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을 핸드오버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의 후보인 릴레이 핸드오버 후보(도 2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무선기지국(100B))로부터, 기지국들 간의 통신을 통하여, 릴레이 핸드오버 후보들의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통지를 수신한다. 릴레이 핸드오버 후보로부터 수신되는 부하 통지에 의거하여,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릴레이 핸드오버 또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것을 실행시킬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릴레이 핸드오버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릴레이 핸드오버에 관한 통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에 송신한다. 상기 릴레이 핸드오버에 관한 통지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으로의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를 촉진시키기 위한 통지이며, 예를 들면 상기 릴레이 노드(2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무선기지국(100A)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셀(C1) 안에 위치하는 릴레이 노드(200)는, 무선 품질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상기 무선단말이 핸드오버를 실행시켰을 경우에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이 단말 핸드오버에 관한 통지를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에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핸드오버에 관한 통지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으로의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를 촉진시키기 위한 통지이며, 예를 들면 상기 무선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무선기지국(100A)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릴레이 핸드오버가 실행된 후,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되돌아왔을 때에 얻어지는 부하를 상기 기지국 부하에 첨가하여 얻어진 값이 제2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에 관한 통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에 송신한다. 상기 제2문턱값은, 릴레이 노드(200)가 무선기지국(100A)에 되돌아갔을 경우에도, 제1문턱값에 필적할 만한 값 또는 제1문턱값보다도 작은 값이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에 관한 통지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으로의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를 촉진하기 위한 통지이며, 예를 들면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정보를 특정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에,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되돌아왔을 경우의 부하를 더하여 얻어진 값이 문턱값 2 보다도 작아진 취지의 정보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무선단말이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한 다음, 기지국 부하가 제2문턱값보다도 작아지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에 관한 통지를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에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릴레이 핸드오버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로부터 상기 핸드오버처의 부하에 관한 통지를 수신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의 부하에 관한 통지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의 부하의 정보, 또는 이러한 부하의 정보를 특정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무선단말이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의 부하에 관한 통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1.2) 무선통신시스템의 상세 구성
다음으로, 무선통신시스템(1)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1.2.1) 무선기지국의 구성, (1.2.2) 릴레이 노드의 구성, 및 (1.2.3) 무선단말의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1.2.1) 무선기지국의 구성
도 4는 무선기지국(10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무선기지국(100B)은 무선기지국(100A)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안테나부(110), 송수신부(120), 제어부(130), 백홀인터페이스(I/F)부(140), 및 기억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송수신부(120)는, 예를 들면 무선주파수(RF) 회로 및 베이스밴드(BB) 회로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부(110)를 통해 무선신호들의 송수신을 행한다. 나아가, 상기 송수신부(120)는 송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예를 들면 CPU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각종 기능들을 제어한다. 상기 기억부(150)는, 예를 들면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제어 등에 사용되는 각종 형태의 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백홀I/F부(140)는, 백홀 네트워크를 거쳐 또다른 무선기지국(100)과의 통신을 행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부하산출부(131) 및 핸드오버제어부(132)를 구비한다. 상기 부하산출부(131)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 및 또다른 무선기지국(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00B))의 부하를 산출한다.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릴레이 핸드오버 및 단말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핸드오버에 관한 다양한 형태의 처리들을 행하고, 핸드오버에 관한 메시지들을 생성한다.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의 기능들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120)는 릴레이 핸드오버 또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에 대응한다.
(1.2.2) 릴레이 노드의 구성
도 5는 릴레이 노드(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안테나부(210, 220), 송수신부(230, 240), 제어부(250), 및 기억부(260)을 구비한다.
상기 송수신부(230)는, 예를 들면 RF 회로 및 BB 회로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기지국(100)과 무선 신호들의 송수신을 행한다. 나아가, 상기 송수신부(230)는 송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230)는 릴레이 핸드오버 또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에 대응한다.
상기 송수신부(240)는, 예를 들면 RF 회로 및 BB 회로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단말(300)과 무선 신호들의 송수신을 행한다. 나아가, 상기 송수신부(240)는 송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240)는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송수신부(230)가 수신하는 경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무선단말(3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에 대응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예를 들면 CPU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각종 기능들을 제어한다. 상기 기억부(260)는, 예를 들면 메모리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릴레이 노드(20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형태의 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무선품질측정부(251), 부하산출부(252), 및 핸드오버실행부(253)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품질측정부(251)는 상기 송수신부(230)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들의 무선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무선 신호의 무선 품질로서는, 각각의 무선기지국(100)이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있는 참조 신호의 수신신호강도표시자(RSSI),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반송파대간섭잡음비(CIN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하산출부(252)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 상에서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들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인 단말부하를 산출한다. 상기 핸드오버실행부(253)는, 릴레이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송수신부(230)가 수신하는 경우에 릴레이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1.2.3) 무선단말의 구성
도 6은 무선단말(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단말(300)은 안테나부(310), 송수신부(320), 제어부(330), 기억부(340), 및 배터리(350)를 구비한다.
상기 송수신부(320)는, 예를 들면 RF 회로 및 BB 회로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무선기지국 또는 릴레이 노드와 무선 신호들의 송수신을 행한다. 나아가, 상기 송수신부(320)는 송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320)는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릴레이 노드(20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예를 들면 CPU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단말(300)의 각종 기능들을 제어한다. 상기 기억부(340)는, 예를 들면 메모리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단말(300)의 제어 등에 사용되는 각종 형태의 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무선품질측정부(331) 및 핸드오버실행부(332)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품질측정부(331)는 상기 송수신부(320)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들의 무선 품질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신호의 무선 품질로서는, 각각의 무선기지국 또는 각각의 릴레이 노드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있는 참조 신호의 수신신호강도표시자(RSSI),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CINR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실행부(332)는,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송수신부(320)가 수신하는 경우에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상기 배터리(35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각 블록에 공급되는 전력으로 충전된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배터리(350)에 충전되고 있는 전력의 잔량(이하, 배터리 잔량)을 검출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2) 무선통신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무선통신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서, (2.1) 무선통신시스템 전체의 동작, (2.2) 핸드오버처 후보 결정 처리, (2.3) 핸드오버처 결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2.1) 무선통신시스템 전체의 동작
이하, 무선통신시스템(1) 전체의 동작예 1 및 2를 설명한다. LTE에서는, 무선단말들에 수신되는 신호들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따라 무선기지국이 무선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무선단말(300E∼300G) 및 릴레이 노드(200)는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을 무선기지국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제1동작예는, 특정 이벤트가 일어나는 경우, 무선단말(300E∼300G) 및 릴레이 노드(200)가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을 통지하는 동작예이다. 제2동작예는, 무선단말(300E∼300G) 및 릴레이 노드(200)가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을 정기적으로 통지하는 동작예이다.
(2.1.1) 제1동작예
도 7은 무선통신시스템(1)의 제1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산출부(131)는 기지국 부하를 산출한다. 단계 S35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부하산출부(131)에 의해 산출된 기지국 부하를 문턱값 1과 비교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가 문턱값 1 이상인 경우, 상기 처리가 추가로 진행된다.
단계 S37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송수신부(120)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있어서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의 통지를 요구하는 측정 결과 요구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30)는 상기 측정 결과 요구를 수신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무선품질측정부(251)는 무선기지국(100A) 및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인접 기지국(무선기지국(100B) 등)으로부터 상기 송수신부(230)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들의 무선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30)는 상기 무선품질측정부(251)에 의한 측정 결과들을 나타내는 측정결과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송신한다(단계 S430).
단계 S39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송수신부(120)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에 있어서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의 통지 요구, 및 상기 단말 부하의 통지 요구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30)는 상기 통지 요구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 부하의 통지 요구를 수신할 때,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부하산출부(252)는 상기 무선단말(300E∼300G) 각각에 관한 단말 부하를 산출한다.
단계 S410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40)는 상기 무선단말(300E∼300G)에 있어서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의 통지를 요구하는 측정 결과 요구를 상기 무선단말(300E∼300G)에 송신한다. 상기 무선단말(300E∼300G)의 송수신부(320)는 측정 결과 요구를 수신한다.
상기 측정 결과 요구를 수신할 때, 상기 무선단말(300E∼300G)의 무선품질측정부(331)는 릴레이 노드(200), 무선기지국(100A), 및 인접 기지국(무선기지국(100B) 등)으로부터 상기 송수신부(320)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무선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무선단말(300E∼300G)의 송수신부(320)는 상기 무선품질측정부(331)에 의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측정 결과 통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한다(단계 S450).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40)는 상기 측정 결과 통지를 수신한다.
단계 S470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30)는 상기 부하산출부(252)에 의해 산출된 각 단말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통지, 및 상기 송수신부(240)가 상기 무선단말(300E∼300G)로부터 수신하는 측정 결과 통지에 대응하는 측정 결과 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송신한다. 상기 부하 통지 및 측정 결과 통지는 1개의 메시지로서 또는 개별 메시지들로서 컴파일링(compiled)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송수신부(120)는 부하 통지 및 측정 결과 통지를 수신한다.
단계 S49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송수신부(120)가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부터 수신하는 측정 결과 통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200) 및 무선단말(300E∼300G) 각각에 대해서, 핸드오버처의 후보로서의 역할을 하는 무선기지국(이하, 후보기지국)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기지국(100B)이 후보기지국으로서 결정된다. 단계 S490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51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백홀I/F부(140)는, 후보기지국(무선기지국(100B))의 부하의 통지를 요구하는 부하 통지 요구를 상기 무선기지국(100B)에 송신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00B)의 백홀I/F부(140)는 부하 통지 요구를 수신한다.
단계 S53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B)의 부하산출부(131)는 상기 무선기지국(100B)의 부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송신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백홀I/F부(140)는 부하 통지를 수신한다.
단계 S55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 및 무선단말(300E∼300G)로부터, 핸드오버시키는 노드(무선단말 또는 릴레이 노드) 및 상기 핸드오버처의 무선기지국을 결정한다. 여기서는, 상기 무선기지국(100B)이 핸드오버처의 무선기지국으로서 결정된다. 단계 S550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57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백홀I/F부(140)는, 핸드오버처의 무선기지국(무선기지국(100B))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요구(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하고, 핸드오버를 접수하는 취지의 응답(핸드오버 요구 응답)을 상기 무선기지국(100B)으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S61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송수신부(120)는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30)는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한다. 나아가,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백홀I/F부(140)는 핸드오버시키는 노드에 어드레싱되는 미송신 데이터를, 상기 핸드오버처의 무선기지국(무선기지국(100B))에 전송한다(단계 S650).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30)가 수신하는 핸드오버 지시가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핸드오버 지시인 경우(단계 S630; NO), 단계 S640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40)는 대응하는 무선단말에 대하여 핸드오버 지시를 송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송수신부(230)가 수신하는 핸드오버 지시가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대한 핸드오버 지시인 경우(단계 S630; YES), 단계 S670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실행부(253)는 상기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상기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상기 무선기지국(100B)으로의 핸드오버를 행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산출부(131)는 기지국 부하를 재산출한다. 이러한 경우의 기지국 부하는 핸드오버시킨 노드의 부하가 더해지는 값일 수도 있고, 또는 현재의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일 수도 있다. 단계 S69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부하산출부(131)에 의해 재산출된 기지국 부하를 문턱값 2와 비교한다. 상기 기지국 부하가 문턱값 2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710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백홀I/F부(140)는 상기 부하산출부(131)에 의해 재산출된 기지국 부하에 관한 부하 통지를 상기 핸드오버처의 무선기지국(무선기지국(100B))에 송신한다.
상기 무선기지국(100B)이 상기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부하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무선기지국(100B)이 상기 무선기지국(100A)로부터 핸드오버된 노드에 대하여, 상기 무선기지국(100A)으로의 핸드오버 지시를 송신하게 된다.
대안적으로는, 무선기지국(100B)이 무선기지국(100A)으로부터 부하 통지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기지국(100B)은 무선기지국(100B)에 핸드오버된 노드의 현재의 부하를 나타내는 정보를 리턴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시지 송수신부가 수행되므로, 핸드오버시킨 노드가 상기 무선기지국(100B)으로부터 상기 무선기지국(100A)으로 핸드오버되어, 원래의 상태가 복원될 수도 있게 된다. 원래의 상태가 무선 품질의 관점에서 최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가 작아지는 시점에 원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최적인 상태가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핸드오버처의 무선기지국(무선기지국(100B))은,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무선기지국(100A))에 대하여, 자(自)기지국의 부하에 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통지하거나, 또는 변화들이 있을 때마다 부정기적으로 통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에 대하여, 핸드오버시킨 노드를 그 소스로 리턴시킬 것인 지의 여부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2.1.2) 제2동작예
도 8은 무선통신시스템(1)의 제2동작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들은 정기적으로 무선 품질을 송신하고, 정기적으로 상기 측정 결과 통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한다(단계 S310). 나아가,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정기적으로 무선 품질을 측정하고, 정기적으로 상기 측정 결과 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송신한다(단계 S330).
제2동작예에 있어서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에 있어서의 무선 품질을 항상 파악하고 있고, 상기 무선기지국(100A)이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있어서의 무선 품질을 항상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동작예에서 설명되는 단계 S370 등의 처리가 생략된다.
(2.2) 핸드오버처 후보 결정 처리
다음으로, 상기 핸드오버처 후보 결정 처리, 즉 도 7 및 도 8의 단계 S49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수신하는 신호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 통지(제1측정결과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송신한다(도 7의 단계 S430 및 도 8의 단계 S330). 상기 핸드오버처 후보 결정 처리에서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이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부터 수신된 측정 결과 통지에 의거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의 후보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의 후보가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고, 릴레이 핸드오버 후의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우수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무선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 통지(제2측정결과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송신한다(도 7 및 도 8의 단계 S470).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부터 수신된 측정 결과 통지에 의거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핸드오버처의 후보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핸드오버처의 후보가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고, 단말 핸드오버 이후의 상기 무선단말(300)의 우수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단계 S490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491에 있어서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무선기지국(100A) 이외의 무선기지국들 가운데 가장 무선 품질이 양호한 무선기지국을 핸드오버처의 제1후보기지국(릴레이 핸드오버 후보)으로서 결정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무선기지국(100A) 이외의 무선기지국에 대해서 무선 품질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또는 측정할 수는 있어도 소정의 품질 이하인 경우에는, 제1후보기지국은 없다는 결정이 이루어진다.
단계 S492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들로부터, 각 무선단말의 핸드오버 후보기지국(단말 핸드오버 후보)을 특정하여 열거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무선단말에 대해서 가장 무선 품질이 좋은 각 무선기지국을 핸드오버 후보 기지국이라고 한다. 무선기지국에 관한 무선 품질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측정할 수는 있어도 소정의 품질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후보 기지국은 없다는 결정이 이루어진다.
단계 S493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단계 S492에서 열거된 핸드오버 후보 기지국에 대하여 무선 품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2후보, 제3후보, ..., 및 제N후보의 형태로 우선순위를 할당한다. 단계 S491 내지 단계 S493의 처리들을 기초로 하여, 제1후보기지국 내지 제N후보기지국이 결정된다.
(2.3) 핸드오버처 결정 처리
다음으로, 핸드오버처 결정 처리, 즉 도 7 및 도 8의 단계 S550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릴레이 노드(200) 및 무선단말(300E∼300G)이 무선기지국(100A) 상에서 가하는 부하인 중계국 부하를 산출하고, 상기 릴레이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 및 중계국 부하에 의거하여,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릴레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릴레이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를 예측한 다음, 상기 예측된 릴레이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에 의거하여,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릴레이 핸드오버를 실행시킬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릴레이 핸드오버 이후의 부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고, 릴레이 핸드오버 이후의 부하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면 릴레이 핸드오버를 실행시키고, 릴레이 핸드오버 이후의 부하가 허용가능하지 않은 범위 내에 있다면 릴레이 핸드오버를 실행시키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릴레이 핸드오버를 실행시키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부터 통지된 단말부하 및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이 단말 핸드오버를 행하는 경우의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 및 무선단말이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기지국 부하를 예측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예측된 부하, 및 상기 기지국 부하의 예측된 부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시키는 무선단말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단말 핸드오버 이후의 자(自)기지국의 부하와 핸드오버처의 부하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각 부하들의 밸런스가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핸드오버시키는 무선단말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단계 S550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551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산출부(131)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이하, 릴레이 노드 부하)를 산출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 부하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을 포함하는 전체 목표 릴레이 노드(200)의 부하이다.
단계 S552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산출부(131)는, 단계 S470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부터 수신된 부하 통지로부터,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이하, 단말부하)를 산출한다. 상기 단말부하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 내에서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 각각의 부하이다.
단계 S553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산출부(131)는, 단계 S530에서 수신된 부하 통지에 대응하는 제1후보기지국의 부하 및 단계 S551에서 산출된 릴레이 노드(200)의 부하(릴레이 노드 부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제1후보기지국에 대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제1후보기지국의 부하를 산출한다.
단계 S554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단계 S553에서 산출된 핸드오버처의 부하를 기초로 하여, 제1후보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핸드오버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단계 S553에서 산출된 제1후보기지국의 부하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핸드오버가 가능하다고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들에는 핸드오버가 불가하다고 판정한다.
상기 제1후보기지국에 대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제1후보기지국을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로서 결정한다. 상기 제1후보기지국에 대한 핸드오버가 불가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를 포기하고, 단계 S555 이후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가 각각의 무선단말마다 핸드오버를 판정한다.
단계 S555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산출부(131)는 후보기지국을 나타내는 n을 2로 결정한다.
단계 S556에 있어서, 상기 부하산출부(131)는, 제n후보기지국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의 단말부하 및 단계 S530에서 수신된 부하 통지에 대응하는 제n후보기지국의 부하를 기초로 하여, 제n후보기지국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이 상기 제n후보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되는 경우의 제n후보기지국(여기서는, 제2후보기지국)의 부하를 산출한다.
단계 S557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단계 S556에서 산출된 제n후보기지국의 부하를 기초로 하여, 제n후보기지국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이 제n후보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단계 S556에서 산출된 제n후보기지국의 부하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핸드오버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들에는 핸드오버가 불가한 것으로 판정한다.
제n후보기지국에 대한 핸드오버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제n후보기지국을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로서 결정한다. 따라서, 단계 S558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핸드오버처(제n후보기지국)에 대한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로 인하여,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가 소정값 이하가 될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지국 부하가 소정값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무선단말을 핸드오버시키는 노드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n후보기지국을 핸드오버처로서 결정하여,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n후보기지국에 대한 핸드오버가 불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단계 S559에 있어서 n = n + 1을 결정하고, 다음 후보기지국의 판정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560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모든 후보기지국에 대해서 처리가 완료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후보기지국이 존재한다면, 상기 처리가 단계 S556으로 되돌아간다. 모든 후보기지국에 대해서 상기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단계 S560; NO), 그때까지의 처리에서 핸드오버처가 결정되었다면,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결정된 핸드오버처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을 핸드오버시키는 노드로서 결정한다. 모든 후보기지국에 대해서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단계 S560; NO), 그때까지의 처리에서 핸드오버처가 결정되지 않았다면, 핸드오버처가 없다는 것에 관하여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S558이 YES인 경우에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면,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가 소정값 이하가 되지만, 단계 S560이 NO인 경우에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면,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는 소정값 이하가 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 이외의 릴레이 노드들에 대하여 유사한 처리를 행할 수도 있어,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가 소정값 이하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접속하는 무선단말(300A∼300D)을 핸드오버시킴으로써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300E∼300G)을 무선기지국(100A)에 대해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면, 그리고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부하가 저감된 경우에 상기 릴레이 노드(200)를 또다른 무선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시킬 수 있다면, 이러한 동작들이 수행될 수도 있다.
(3) 실시예의 변형예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을 고려하여, 핸드오버 시키는 무선단말(300)이 결정된다.
상기 무선단말(300)은, 자(自)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통지를 상기 릴레이 노드(200)에 송신한다.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배터리 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릴레이 노드(200)는, 도 7의 단계 S470에서 배터리 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100A)에 추가로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핸드오버제어부(132)가, 상기 무선기지국(100A)의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시킨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가,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부터 수신된 배터리 통지를 기초로 하여,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시키는 무선단말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핸드오버제어부(132)는, 도 9의 단계 S493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을 토대로 핸드오버의 후보기지국들에 우선순위를 매길 수도 있다. 배터리 잔량이 적은 무선단말(300)의 상기 무선기지국(100A)보다 더 근접한 릴레이 노드(200)에 대한 접속은 송신 전력을 낮춰서, 배터리 잔량이 적은 무선단말(300)의 배터리 절감을 유도하게 된다.
(4) 그 밖의 실시예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들에 의해 기술되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설명들과 도면들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로부터,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안예, 실시예 및 운용 기술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고정형 타입이지만, 이는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100A)은 핸드오버처의 후보를 측정 결과 통지에 따라 결정한다. 하지만,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고정형인 경우에는, 상기 핸드오버처의 후보가 미리 결정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이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부터 무선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릴레이 노드(200)로 서브되는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는 무선기지국으로 제한되지 않고, 릴레이 노드일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릴레이 노드(200)가 무선기지국들 간에 핸드오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릴레이 노드(200)의 핸드오버처는 무선기지국으로 제한되지 않고, 릴레이 노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개시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정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본특허출원 제2009-208423호(2009년 9월 9일에 출원됨)의 전문들이 인용참조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제어방법은 적절한 부하 분산을 통해 무선단말의 스루풋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이동통신 등의 무선통신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6)

  1. 무선통신시스템으로서,
    무선기지국에 접속된 무선중계국; 및
    무선단말과 상기 무선기지국 간의 통신을 상기 무선중계국이 중계하도록 상기 무선중계국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무선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기지국의 부하인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중계국이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중계국이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단말에 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것을 실행시킬 지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가 실행될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될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보다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우선적으로 실행시키는 무선통신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의 핸드오버처의 후보인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로부터,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하 통지를 토대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시킬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통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이 수신하는 신호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제1측정결과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측정결과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를 결정하며,
    상기 무선기지국은, 결정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에 대하여, 상기 부하 통지의 송신을 요구하는 부하 통지 요구를 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국 및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무선기지국에 가하는 부하인 중계국 부하를 산출하고,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와 상기 중계국 부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이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를 예측하며,
    예측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시킬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통신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의 후보인 단말 핸드오버 후보로부터,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될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하 통지를 토대로, 상기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무선단말을 결정하는 무선통신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무선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무선 품질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제2측정결과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측정결과통지 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를 결정하며,
    상기 무선기지국은, 결정된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에 대하여, 상기 부하 통지의 송신을 요구하는 부하 통지 요구를 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무선중계국에 가하는 부하인 단말부하를 산출하고, 상기 단말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에 송신하며,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와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부하 통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와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상기 기지국 부하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단말 핸드오버 후보의 부하와 예측된 상기 기지국 부하의 부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단말 핸드오버를 실행시키는 무선단말을 결정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국은, 상기 무선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통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 부하가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될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터리 통지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될 무선단말을 결정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에 관한 통지를 상기 무선중계국 또는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에 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된 후, 상기 기지국 부하가 제2문턱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부하에 관한 통지를 상기 무선중계국 또는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에 송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상기 기지국 부하의 결과로서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단말 핸드오버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중계국 또는 상기 무선단말의 핸드오버처로부터, 상기 핸드오버처의 부하에 관한 통지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4.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과의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중계국이 접속하는 무선기지국으로서,
    상기 무선기지국의 부하인 기지국 부하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부; 및
    상기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국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이 상기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기지국.
  15.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과 무선기지국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중계국으로서,
    상기 무선중계국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핸드오버실행부; 및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중계국.
  16. 핸드오버제어방법으로서,
    무선기지국에 무선중계국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중계국에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이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단말과 상기 무선기지국 간의 통신을 상기 무선중계국이 중계하는 단계;
    상기 무선기지국의 부하인 기지국 부하가 제1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국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중계국 핸드오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이 접속처들을 전환하는 단말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중계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중계국이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중계국이 상기 중계국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중계국이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핸드오버의 지시를 상기 무선중계국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오버제어방법.
KR1020127006544A 2009-09-09 2010-09-09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제어방법 KR20120056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8423A JP5399830B2 (ja) 2009-09-09 2009-09-09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中継局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JP-P-2009-208423 2009-09-09
PCT/JP2010/065559 WO2011030836A1 (ja) 2009-09-09 2010-09-09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中継局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277A true KR20120056277A (ko) 2012-06-01

Family

ID=4373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544A KR20120056277A (ko) 2009-09-09 2010-09-09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7501B2 (ko)
EP (1) EP2477433A1 (ko)
JP (1) JP5399830B2 (ko)
KR (1) KR20120056277A (ko)
CN (1) CN102484798A (ko)
WO (1) WO2011030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8644B2 (ja) * 2008-04-24 2012-08-01 京セラ株式会社 中継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800024B2 (ja) 2011-09-30 2015-10-28 富士通株式会社 リレーノード、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143222B2 (en) 2011-10-27 2015-09-22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y station
WO2013109171A1 (en) * 2012-01-16 2013-07-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laying
CN102572973A (zh) * 2012-02-02 2012-07-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ue网络切换的信息处理方法和基站
JP6062420B2 (ja) 2012-03-23 2017-01-18 京セラ株式会社 制御方法、リレー局、基地局及びプロセッサ
CN103384392B (zh) 2012-05-04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接入无线接入点的方法和无线接入点
US20140016537A1 (en) * 2012-05-04 2014-01-16 Qualcomm Incorporated Associating terminal user equipment with user equipment relays
US9544782B2 (en) * 2012-11-02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US20140376517A1 (en) * 2013-06-25 2014-12-25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activation of relays in cloud radio access networks
CN104936247B (zh) * 2014-03-20 2019-04-2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于重选中继终端的方法、基站和系统
WO2018020292A1 (en) 2016-07-25 2018-0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centralized base station load balancing and power
US10292095B1 (en) * 2017-03-14 2019-05-14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Donor Access Node selection
WO2018173461A1 (ja) * 2017-03-23 2018-09-27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無線中継局、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19110869A1 (en) * 2017-12-04 2019-06-13 Nokia Technologies Oy Link monitoring with self-backhauling for wireless networks
WO2020202341A1 (ja) * 2019-03-29 2020-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中継装置、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11438820B2 (en) * 2019-09-16 2022-09-06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determination between relays
CN113825183A (zh) * 2020-06-19 2021-12-2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US11540192B1 (en) 2020-08-03 2022-12-27 T-Mobile Innovations Llc Handover of wireless devices based on resource availability
WO2022087208A1 (en) * 2020-10-21 2022-04-28 Idac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reconfiguration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CN116935519B (zh) * 2023-09-15 2023-12-12 四川金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近距离无线通信技术的智能锁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627A (ja) * 1998-10-29 2000-05-16 Hitachi Ltd 無線電話中継装置
JP2001128208A (ja) * 1999-10-25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JP3788577B2 (ja) * 2000-12-22 2006-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WO2006066631A1 (en) * 2004-12-24 2006-06-29 Telecom Italia S.P.A. Network call management in case of low battery condition of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JP4717775B2 (ja) * 2005-10-17 2011-07-06 三星電子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8140077B2 (en) * 2006-04-19 2012-03-20 Nokia Corporation Handover or location update for optimization for relay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CN101064911B (zh) * 2006-04-28 2012-08-22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无线接入系统的切换控制方法、中继站和基站
JP2007300369A (ja) * 2006-04-28 2007-11-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接続制御方法
US20070264933A1 (en) * 2006-05-15 2007-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relay station in data delivery rout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110766A (ko) 2006-05-15 200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간 경로 변경 장치 및 방법
US20080081623A1 (en) * 2006-09-29 2008-04-03 Motorola, Inc. Priority handoff based on battery charge level
CN101175304B (zh) * 2006-11-02 2010-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中继系统的切换方法
CN101287268B (zh) 2007-04-13 2012-05-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中继站连接关系更新的方法
CN101384073B (zh) * 2007-09-07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终端通过信道借用中继接入网络的方法
WO2009050794A1 (ja) * 2007-10-16 2009-04-23 Fujitsu Limited 中継局装置、端末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負荷分散方法
JP2009208423A (ja) 2008-03-06 2009-09-17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記録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61453A (ja) 2011-03-24
EP2477433A1 (en) 2012-07-18
CN102484798A (zh) 2012-05-30
JP5399830B2 (ja) 2014-01-29
US20120202503A1 (en) 2012-08-09
US9237501B2 (en) 2016-01-12
WO2011030836A1 (ja)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6277A (ko)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 무선중계국, 및 핸드오버제어방법
JP5562663B2 (ja) 無線中継局及び制御方法
JP565465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無線端末、及びプロセッサ
WO2011093324A1 (ja) 無線中継局及び制御方法
JP564745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中継局、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JP5709962B2 (ja) 無線基地局
JP5801973B2 (ja) 無線中継局及び制御方法
JP5564273B2 (ja) 無線中継局及び制御方法
JP5564274B2 (ja) 無線中継局及び制御方法
JP5749379B2 (ja) 無線中継局、無線基地局、及び制御方法
JP5706013B2 (ja) 方法、リレーノード、及び無線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