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258A -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258A
KR20120055258A KR1020100116891A KR20100116891A KR20120055258A KR 20120055258 A KR20120055258 A KR 20120055258A KR 1020100116891 A KR1020100116891 A KR 1020100116891A KR 20100116891 A KR20100116891 A KR 20100116891A KR 20120055258 A KR20120055258 A KR 20120055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earphone
external noise
us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5258A/ko
Publication of KR2012005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본체의 실링부에 외부 소음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구성한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에 구비되는 실링부와, 상기 실링부에 구비되어 외부 소음을 사용자의 귀에 유입시킴과 아울러 청취하여 사용자에게 주변상항을 알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이어폰 사용자에게 외부의 위험 상황(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을 인식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이로인해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으며, 또한, 이어폰 본체의 실링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소음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의 왜곡 현상을 전자기기(예컨대 휴대용 통신 장치 및 MP3 플레이어등)에 구비된 음압 조절부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이어폰의 음질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이어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EXTERNAL NOISE INFLOWING APPARATUS FOR EARPHONE}
본 발명은 이어폰 본체의 실링부에 외부 소음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구성한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나 휴대용 라디오와 같은 메인출력장치의 보조출력수단으로서 이용되어 왔다. 또한, 최든 휴대용 통신 장치와 같은 휴대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자신의 음성을 녹음한 후, 재생할 수 있도록 구현된 휴대용 언어 학습기등이 등장하면서, 이어폰은 단순한 보조출력수단에 그치지 않고, 마이크를 부가하여 보조입력장치로서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어폰(1)은 사용자의 귀(2)에 삽입되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 내부에 내장되는 스피커 모듈(4)과, 상기 케이스(3)의 외부에 씌어지는 커버(5)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어폰(1)은 스피커 모듈(4)이 사용자의 귀(2)에 밀착하지 않으므로, 외부 소음(A1)의 청취는 가능하나 외부 소음으로 인해 스피커 모듈(4)의 음향(A2)을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어폰에 별도의 고무 및 실리콘 재질의 캡부(6)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귀(2)에 외부 소음(A1)을 차단하였다.
여기서, 길거리를 걸어 갈때에나 대중교통 이용시 휴대용 통신 장치 사용자가 상기 캡부가 구비된 이어폰을 통해 음악이나 영상의 음향을 청취하는 경우들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통신 장치 사용자가 귀에 캡부가 구비된 이어폰을 끼고 보행할 경우 갑자기 주위에서 위험 상항이 발생하게 되면 휴대용 통신 장치 사용자는 외부 소음(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등)을 전혀 들지 못하여 위험사항을 전혀 인지할 수 없게 되어 인사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출원된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2007-00114925호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 및 그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선택하는 키패드(20)와, 주위의 소음을 수집하여 출력하는 마이크(10)와, 마이크로부터 주위의 소음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위험요소가 측정될 경우 이에 따른 위험상항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소음측정기(30)와, 키패드로부터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른 위험알림 설정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외부 소음 측정기로부터 위험사항 알림신호를 입력받으면 위험 알림모드의 종류 및 방식에 맞취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제어부(40)의 제어하에 진동을 발행시키는 진동부(50) 및 제어부(40)의 제어하에 위험상항 경고 텍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는 마이크, 외부소음측정기, 제어부 및 진동부를 구비해야함으로 회로적이나 구성부품들이 필요하여 제품의 제조원가가 증가하고, 또한, 종래의 캡부가 구비된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구성부품들을 상기 이어폰내에 구비할 경우 이어폰의 크기가 켜져 소형화가 어렵고, 이로인해 사용자의 귀에 착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어폰 사용자에게 외부의 위험 상황을 인식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 소음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어폰 본체의 실링부에 외부 소음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구성함으로써, 이어폰 사용자에게 외부의 위험 상황(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을 인식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이로인해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본체의 실링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소음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의 왜곡 현상을 전자기기(예컨대 휴대용 통신 장치 및 MP3 플레이어등)에 구비된 음압 조절부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이어폰의 음질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에 구비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 구비되어 외부 소음을 사용자의 귀에 유입시킴과 아울러 청취하여 사용자에게 주변상항을 알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에 의하면,
이어폰 본체의 실링부에 외부 소음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구성함으로써, 이어폰 사용자에게 외부의 위험 상황(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을 인식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이로인해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으며, 또한, 이어폰 본체의 실링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소음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의 왜곡 현상을 전자기기(예컨대 휴대용 통신 장치 및 MP3 플레이어등)에 구비된 음압 조절부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이어폰의 음질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이어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캡부를 구비한 이어폰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외부소음알림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 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A-A' 선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 장치의 구성 중 차단 방지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7의 B-B' 선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 장치의 구성 중 차단 방지부에 형성된 경사진 가이드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는 스피커 모듈(101)을 내장한 이어폰 본체(100)와, 실링부(1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12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링부(110)는 사용자의 귀(2)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이어폰 본체(100)를 사용자의 귀(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어폰 본체(100)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소음 유입부(120)들은 외부 소음(A1)(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등)을 사용자의 귀(2)에 유입시킴과 아울러 청취하여 사용자에게 주변상항을 알리도록 상기 실링부(110)에 구비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음 유입부(120)는 상기 외부 소음(A1)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유입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입홀의 둘레에는 상기 유입홀의 형상을 유지함과 아울러 지지하도록 지지부(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21)는 단단한 성질의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121)는 상기 유입홀의 형상에 맞게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1)에는 사용자의 귀(2)에 이어폰 본체(100)를 착용시 상기 실링부(110) 또는 사용자의 귀(2)의 신체일부가 상기 소음 유입부(120)를 눌려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 방지부(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 방지부(122)는 상기 소음 유입부(120)의 내,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상기 차단 방지부(122)는 상기 소음 유입부(120)의 내.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 방지부(122)에는 상기 외부 소음(A1)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경사진 가이드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음 유입부(120)는 원형, 타원 및 사각형상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음 유입부는 상기 원형, 타원 및 사각형상이외에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예컨대 마름모 형상 및 삼각 형상등)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본체(100)는 전자 기기(미도시 됨)에 구비된 음압 조절부(200)(예컨대 이퀄라이저(equalizer)등)를 이용하여 상기 소음 유입부(120)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의 왜곡현상을 보상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어폰의 외부 소음 유입 장치은 대표적인 적용예로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전자 기기는 반드시 휴대용 이통신 장치 및 MP3 플레이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어폰을 적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 및 MP3 플레이어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게임기, 노트북, 광고판, 티브이(TV),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는 스피커 모듈을 내장한 이어폰 본체(100)와, 상기 이어폰 본체(100)에 구비되는 실링부(1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소음 유입부(120)들은 유입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음 유입부(120)들은 상기 실링부(110)에 형성되며, 상기 소음 유입부(120)들의 둘레에는 상기 소음 유입부(120)들의 형상을 유지함과 아울러 지지하는 지지부(121)가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1)는 단단한 성질의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본체(100)을 사용자의 귀(2)에 착용하여 상기 이어폰 본체(100)의 스피커 모듈(101)을 통해 음향을 청취할 경우 상기 이어폰 본체(100)의 실링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귀(2)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 모듈(101)의 음향(A2)과 상기 실링부(110)에 구비된 소음 유입부(120)를 통해 외부 소음(A1)을 동시에 청취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소음 유입부(120)들을 통해 외부 소음(A1)을 청취하여 주변상항을 알고, 위험상항시 바로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2)고막에 전달되는 음향(A2)의 주파수가 상기 소음 유입부(120)들에 의한 누수현상이 발생되어 주파수별로 왜곡이 발생된다. 특히 음향(A2)의 저음 부분의 손실이 커지게 된다. 주파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음향(A2)의 주파수 성분 중 저음부분을 강화시키기 위해 전자 기기(미도시 됨)에 구비된 음압 조절부(200)를 이용하여 음향(A2)의 저음 부분을 강화하여 음압 손실을 보상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음압 조절부(200)를 이용하여 외부 소음(A1)에 의한 음질변형을 막아 양질의 음향(A2)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1)에는 상기 사용자의 귀(2)에 이어폰 본체(100)를 착용시 상기 실링부(110) 또는 사용자의 귀(2)속내의 신체 일부가 접촉에 따라 상기 소음 유입부(120)들을 눌려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 방지부(122)가 돌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 방지부(122)는 상기 실링부(110)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실링부(110) 또는 사용자의 귀(2)속내의 신체 일부가 상기 소음 유입부(120)와 접촉시 소정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소음 유입부(120)들을 통해 외부 소음(A1)의 유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 방지부(122)는 상기 소음 유입부(120)의 내,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 방지부(122)는 상기 소음 유입부(120)의 내,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 방지부(122)에는 상기 외부 소음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경사진 가이드부(122a)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어폰 본체 : 100 실링부 : 110
소음 유입부 : 120

Claims (7)

  1.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에 구비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 구비되어 외부 소음을 사용자의 귀에 유입시킴과 아울러 청취하여 사용자에게 주변상항을 알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음 유입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유입부는 상기 외부 소음을 통과시키는 유입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홀의 둘레에는 상기 유입홀의 형상을 유지함과 아울러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입홀의 형상에 맞게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이어폰을 착용시 상기 실링부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소음 유입부들을 눌려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방지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방지부는 상기 소음 유입부의 내,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차단 방지부는 상기 소음 유입부의 내,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단 방지부에는 상기 외부 소음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경사진 가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유입부는 원형, 타원 및 사각 형상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는 전자 기기에 구비된 음압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소음 유입부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의 왜곡현상을 보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KR1020100116891A 2010-11-23 2010-11-23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KR20120055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91A KR20120055258A (ko) 2010-11-23 2010-11-23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91A KR20120055258A (ko) 2010-11-23 2010-11-23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58A true KR20120055258A (ko) 2012-05-31

Family

ID=4627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891A KR20120055258A (ko) 2010-11-23 2010-11-23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52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158A (ko) 2014-07-11 2016-01-20 이경민 이어폰
KR102004360B1 (ko) * 2018-06-19 2019-07-29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모듈과 진동모듈이 결합된 2way 튜브형 음향 기기
KR101972516B1 (ko) * 2018-04-18 2019-08-16 부전전자 주식회사 2 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158A (ko) 2014-07-11 2016-01-20 이경민 이어폰
KR101972516B1 (ko) * 2018-04-18 2019-08-16 부전전자 주식회사 2 way 튜브형 이어폰 구조
KR102004360B1 (ko) * 2018-06-19 2019-07-29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모듈과 진동모듈이 결합된 2way 튜브형 음향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706B1 (ko) 이동 단말기
US9538283B2 (en) Ear microphone
US10034112B2 (en) Mass port plug for customizing headphone drivers, and related methods
US9532123B2 (en) Bone conduction speaker unit
CN101573949A (zh) 三段壳体式无线通信设备
JP2015186072A (ja) 音声信号出力装置
KR102161962B1 (ko) 오디오 출력 생성을 위한 디바이스
US10063975B2 (en) Mobile terminal
US9432773B2 (en) Speaker and audio-visual system
KR101694424B1 (ko) 휴대 단말기의 시분할 다중 접속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14165692A (ja) 音声出力装置
CN105915715A (zh) 来电提醒方法及其装置、佩戴式音频设备和移动终端
KR20120055258A (ko)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US948533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175776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60028651A (ko) 안전 이어폰
CN106657621B (zh) 一种声音信号自适应调节装置及方法
JP2007096843A (ja) 携帯端末装置
KR20220101834A (ko) 마이크로폰 모듈 및 상기 마이크로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553398B1 (ko) 헬멧용 블루투스 헤드셋
KR102020330B1 (ko) 이어폰 어셈블리
JP5255391B2 (ja) 電子機器
KR100770020B1 (ko) 특정음 인식ㆍ통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4885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36406A (ko) 휴대용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