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651A - 안전 이어폰 - Google Patents

안전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651A
KR20160028651A KR1020140117382A KR20140117382A KR20160028651A KR 20160028651 A KR20160028651 A KR 20160028651A KR 1020140117382 A KR1020140117382 A KR 1020140117382A KR 20140117382 A KR20140117382 A KR 20140117382A KR 20160028651 A KR20160028651 A KR 20160028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xternal sound
sound
danger
enclos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서일
김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Priority to KR102014011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651A/ko
Publication of KR2016002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개별 동작으로 외부 소리를 감지하여 위험이 인지되는 특정 파형이 기설정된 외부 소리 파형치와 일치할 경우 이어폰의 좌,우측 어느 한쪽에 독립적으로 각각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이어폰은, 외부 소리를 감지하여 위험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안전 이어폰에 있어서,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일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소리를 재생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공간과 분리되는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타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외부 소리의 종류를 판별하여 이상 신호인 경우 위험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 신호는 이상 신호가 감지된 이어폰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제어부를 통해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어느 한쪽에 독립적으로 개별 구동하여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이어폰{Safety Earphone}
본 발명은 안전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개별 동작으로 외부 소리를 감지하여 위험이 인지되는 특정 파형이 기설정된 외부 소리 파형치와 일치할 경우 이어폰의 좌,우측 어느 한쪽에 독립적으로 각각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한 안전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Earphone)의 사용 목적은 해당 사용자만이 소리를 청취하도록 하여 청취하고자 하는 소리가 타인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어폰의 다른 사용 목적은 주변의 잡음을 차단함으로써, 자신이 청취하고자 하는 신호만을 깨끗하고 명확하게 듣고자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주변의 노이즈를 어느 정도 차단한 상태에서 원하는 음향신호를 비교적 큰 신호 크기로 청취할 수는 있으나, 이때 상기 노이즈와 함께 주변의 중요한 소리까지도 차단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클랙슨(klaxon) 또는 엔진 소리, 이어폰 착용자를 부르는 소리 등을 놓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어느 정도의 작은 노이즈만 차단하고 싶을 뿐, 주변의 중요한 소리까지 차단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더욱이 최근 스마트 폰, MP3, 아이팟 등을 많이 사용하는 젊은 층의 경우 이어폰 사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위험 상황에서 이어폰 착용자가 안전하게 소리를 청취하기 위한 이어폰의 보급은 미흡한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878호(2011.02.14. 공개)의 "안전 이어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안전 이어폰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기기(20)로부터 음향정보를 입력받는 음향입력단자(110); 상기 음향정보를 수신하여 이어폰(10)으로 전달하는 음향출력단자(120);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부(130); 및 상기 마이크부(130)에서 감지된 상기 외부 소리의 크기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음향출력단자(120)와 상기 음향입력단자(110) 간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한 마이크 블록(100)을 포함한 것을 특징부로 하여, 외부 소리의 크기가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이어폰(10)으로 전달되는 음향정보를 차단함에 따라 이어폰(10)의 착용 상태에서도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음향정보를 제공받는 도중에도 주변의 일정 크기 이상의 중요한 소리들을 이어폰(10)의 제거 없이도 편리하게 청취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이어폰, 헤드셋 등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간단하고 손쉽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이는 외부 소리의 크기가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면 이어폰(10)으로 전달되는 음향정보를 차단하여 외부 소리를 들을 수는 있으나, 사용자가 이어폰(10)을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어폰(10)의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에서 외부 소리가 나는지 인식하기가 어려우므로 이어폰 착용자가 외부의 위험을 좌,우 방향에 따라서 신속하게 대응하여 사고를 예방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878호(2011.02.1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이어폰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개별 동작으로 외부 소리를 감지하여 위험이 인지되는 특정 파형이 기설정된 외부 소리 파형치와 일치할 경우 이어폰의 좌,우측 어느 한쪽에 독립적으로 각각 위험을 알리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이어폰은, 외부 소리를 감지하여 위험을 경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통상의 안전 이어폰에 있어서,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일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소리를 재생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공간과 분리되는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타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외부 소리의 종류를 판별하여 이상 신호인 경우 위험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 신호는 이상 신호가 감지된 이어폰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제어부를 통해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어느 한쪽에 독립적으로 개별 구동하여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독립된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외부 소리의 파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이 인지되는 특정 파형이 기설정된 외부 소리 파형치와 일치할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에 상기 제어부의 알람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독립된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의 알람 신호를 받아 이어폰의 소리 재생 중에 위험을 경고하는 특정 신호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이어폰에 의하면, 이어폰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개별 동작으로 외부 소리를 감지하여 위험이 인지되는 특정 파형이 기설정된 외부 소리 파형치와 일치할 경우 이어폰의 좌,우측 어느 한쪽에 독립적으로 각각 위험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착용자는 위험을 알리는 외부 소리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하므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어폰의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에 소리 재생을 위한 진동판이 구비된 공간과 분리되게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외부 소리의 파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진동판으로 외부 소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안전 이어폰의 음질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 이어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마이크 블록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안전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이어폰의 구동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이어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안전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이어폰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소리를 감지하여 위험을 경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통상의 안전 이어폰에 있어서, 좌,우측 인클로저(L)(R) 내부의 일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소리를 재생하는 진동판(스피커 모듈)(110a)(110b)과, 상기 진동판(110a)(110b)의 공간과 분리되는 좌,우측 인클로저(L)(R) 내부의 타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120a)(120b) 및 상기 센서(120a)(120b)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외부 소리의 종류를 판별하여 이상 신호인 경우 위험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30a)(130b)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 신호는 이상 신호가 감지된 이어폰(100)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제어부(130a)(130b)를 통해 좌,우측 인클로저(L)(R) 내부의 어느 한쪽에 독립적으로 개별 구동하여 각각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 이어폰(100)은 기기(도시생략)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좌,우측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진동판(110a)(110b)을 통해 재생소리를 청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기는 일반적인 오디오 기기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Smart Phone), PC, MP3,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 Station Portable),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V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120a)(120b)는 좌,우측 인클로저(L)(R) 내부의 독립된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상기 진동판(110a)(110b)과 센서(120a)(120b)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격벽(140a)(140b)에 의해 상기 기기를 통하여 소리를 재생하는 진동판(110a)(110b)으로 외부 소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이어폰(100)의 음질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센서(120a)(120b)가 구비되는 공간으로 외부 소리가 통과되도록 좌,우측 인클로저(L)(R)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소리 유입 홀을 각각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30a)(130b)는 상기 센서(120a)(120b)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외부 소리의 파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이 인지되는 특정 파형이 기설정된 외부 소리 파형치와 일치할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위험이 인지되는 특정 파형은 예컨대 자동차의 클랙슨(klaxon) 또는 엔진 소리, 이어폰 착용자를 부르는 소리 등의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안전 이어폰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이어폰의 구성에, 상기 좌,우측 인클로저(L)(R) 내부에 상기 제어부(130a)(130b)의 알람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진동 모터(150a)(15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상기 센서(120a)(120b)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리 중에서 예컨대 자동차의 클랙슨(klaxon) 또는 엔진 소리, 비상벨, 비상방송, 주변 사람의 다급한 목소리 등을 포함하는 위험이 인지되는 특정 신호이거나, 예컨대 이어폰 착용자를 부르는 소리, 전화벨, 노크음 등을 포함하는 공지성 신호인 경우 제어부(130a)(130b)의 알람 신호를 받아 기기와 이어폰(200)의 진동판(110a)(110b)을 연결하는 전원으로 상기 진동 모터(150a)(150b)를 구동시켜 이어폰(200)의 좌,우에 각각 진동을 발생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이어폰 착용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 모터(150a)(150b)는 상기 좌,우측 인클로저(L)(R) 내부의 독립된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진동판(110a)(110b)과 센서(120a)(120b)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격벽(140a)(140b) 및 상기 센서(120a)(120b)와 진동 모터(150a)(150b) 사이에 구비되는 제3 및 제4 격벽(160a)(160b)에 의해 기기와 연결되어 소리를 재생하는 진동판(110a)(110b)으로 상기 진동 모터(150a)(150b)에 의한 진동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이어폰(200)의 음질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 모터(150a)(150b)를 통한 진동으로 위험을 알리는 수단 외에, 상기 제어부(130a)(130b)의 알람 신호를 받아 이어폰(100)(200)의 소리 재생 중에 위험을 경고하는 특정 신호를 상기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진동판(110a)(110b)을 통해 재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위험을 경고하는 특정 신호로는 예컨대 이어폰의 재생소리 감쇄, 이어폰의 재생소리 차단, 경고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100)(200)의 소리 재생 중에 진동 모터(150a)(150b)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기기와 연동하여 이어폰의 재생소리 감쇄, 이어폰의 재생소리 차단, 경고음 등을 포함하는 특정 신호를 재생시키는 것을 동시에 구현하여 이어폰(100)(200) 착용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이어폰의 구성을 상기에서 예시한 이어폰(Earphone) 외에, 헤드폰(Headphone)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이어폰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이어폰(100)(200)과 기기(도시생략)를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연결된 경우를 이어폰(100)(200)의 정상 동작 상태로 판단한다(S110).
이후, 이어폰(100)(200)이 정상 동작하면서 좌,우측 인클로즈(L)(R) 내부의 센서(120a)(120b)가 외부 소리를 감지하게 된다(S120).
상기 센서(120a)(120b)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리는 제어부(130a)(130b)로 각각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130a)(130b)에서는 상기 센서(120a)(120b)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외부 소리의 파형을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그 분석 결과, 상기 외부 소리가 위험이 인지되는 예컨대 자동차의 클랙슨(klaxon) 또는 엔진 소리, 이어폰(100)(200) 착용자를 부르는 소리 등의 특정 파형 중에서 기설정된 외부 소리 파형치와 일치할 경우 이상 신호로 확인하여(S130) 이상 신호가 감지된 이어폰(100)(200)의 좌,우 방향에서 진동이나 이어폰의 재생소리 감쇄, 이어폰의 재생소리 차단, 경고음 등을 포함하는 위험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S140).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a)(130b)에서 외부 소리 파형의 분석 결과, 기설정된 외부 소리 파형치와 일치하지 않을 때는 이어폰(100)(200)의 정상 동작 상태를 지속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좌,우측 인클로즈(L)(R) 내부의 센서(120a)(120b)를 통해 외부 소리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120a)(120b)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리를 이어폰(100)(200)의 정상 동작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계속하여 입력받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L : 좌측 인클로저 R : 우측 인클로저
100, 200 : 이어폰 110a, 110b : 진동판
120a, 120b : 센서 130a, 130b : 제어부
140a : 제1 격벽 140b : 제2 격벽
150a, 150b : 진동 모터 160a : 제3 격벽
160b : 제4 격벽

Claims (6)

  1. 외부 소리를 감지하여 위험을 경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통상의 안전 이어폰에 있어서,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일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소리를 재생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공간과 분리되는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타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외부 소리의 종류를 판별하여 이상 신호인 경우 위험을 알리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 신호는 이상 신호가 감지된 이어폰의 좌,우 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제어부를 통해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어느 한쪽에 독립적으로 개별 구동하여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독립된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외부 소리의 파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험이 인지되는 특정 파형이 기설정된 외부 소리 파형치와 일치할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어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에 상기 제어부의 알람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어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좌,우측 인클로저 내부의 독립된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어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알람 신호를 받아 이어폰의 소리 재생 중에 위험을 경고하는 특정 신호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이어폰.
KR1020140117382A 2014-09-04 2014-09-04 안전 이어폰 KR20160028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382A KR20160028651A (ko) 2014-09-04 2014-09-04 안전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382A KR20160028651A (ko) 2014-09-04 2014-09-04 안전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51A true KR20160028651A (ko) 2016-03-14

Family

ID=5554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382A KR20160028651A (ko) 2014-09-04 2014-09-04 안전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86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629A3 (ko) * 2016-07-29 2018-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CN108833675A (zh) * 2018-05-18 2018-11-16 出门问问信息科技有限公司 外界语音信息的提示方法及装置
CN109493884A (zh) * 2018-12-06 2019-03-19 江苏满运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外部声源安全提醒方法、系统、设备以及介质
US11190884B2 (en) 2019-06-20 2021-11-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erminal with hearing aid setting, and method of setting hearing aid
KR20240002747A (ko) 2022-06-30 2024-01-08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Anc 자동 차단 기능을 갖는 이어폰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878A (ko) 2009-08-06 2011-02-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이어폰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878A (ko) 2009-08-06 2011-02-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이어폰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629A3 (ko) * 2016-07-29 2018-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CN108833675A (zh) * 2018-05-18 2018-11-16 出门问问信息科技有限公司 外界语音信息的提示方法及装置
CN109493884A (zh) * 2018-12-06 2019-03-19 江苏满运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外部声源安全提醒方法、系统、设备以及介质
US11190884B2 (en) 2019-06-20 2021-11-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erminal with hearing aid setting, and method of setting hearing aid
KR20240002747A (ko) 2022-06-30 2024-01-08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Anc 자동 차단 기능을 갖는 이어폰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1744B2 (en) Intelligent ambient sound monitoring system
KR101756674B1 (ko) 보청기 기능의 능동 소음 제거 헤드셋 장치
US81948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ound detection and audio control
CN202551297U (zh) 一种智能调音的安全型耳机装置
EP2430753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of a sound via an audio device
KR20160028651A (ko) 안전 이어폰
CN109151698B (zh) 麦克风堵孔检测方法及相关产品
EP2293589B1 (en) Electronic circuit for a headset and method thereof
US20090232325A1 (en) Reactive headphones
CN103581786A (zh) 用于耳机的安全设备和方法
JP2018060403A (ja) 音出力装置及び携帯装置
JP2004173018A (ja) ヘルメット用通信装置
JP2016528855A (ja) 通孔部及びノイズ除去機能を備えた個人用音響機器
WO2022227655A1 (zh) 一种声音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6268033B2 (ja) 携帯端末
US20090296948A1 (en) MPD custom ear communication device
CN103051994A (zh) 耳机
US8213625B2 (en) Intercom headset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detection
CN102892057A (zh) 一种耳机和一种可震动耳机的实现方法
EP4024895A1 (en) A binaural hearing device with monaural ambient mode
JP2005304014A (ja) 音情報を伝搬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10014878A (ko) 안전 이어폰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137290A (ko) 헤드셋의 하울링 및 에코 제거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53398B1 (ko) 헬멧용 블루투스 헤드셋
JP2016006925A (ja) ヘッド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