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158A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158A
KR20160007158A KR1020140087429A KR20140087429A KR20160007158A KR 20160007158 A KR20160007158 A KR 20160007158A KR 1020140087429 A KR1020140087429 A KR 1020140087429A KR 20140087429 A KR20140087429 A KR 20140087429A KR 20160007158 A KR20160007158 A KR 2016000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ound wave
earphone
ear
communi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383B1 (ko
Inventor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이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민 filed Critical 이경민
Priority to KR102014008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3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이어폰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은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1음파로와, 귀 외부에서 발생한 음파를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2음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음파로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ear phone}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헤드폰의 한 종류로써, 사용자의 외이 안쪽에 삽입한 상태로 사용하는 인-이어(in-ear) 타입의 헤드폰을 가리킨다.
휴대가 간편한 이어폰은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피씨(tablet PC)와 같이 근래 들어 활성화되고 있는 모바일 기기와 함께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행중이나 운동 중에도 이어폰을 사용하는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어폰에 의해 귀가 막힌 상태에서는 주변에서 발생하게 되는 위험신호를 청각을 통해 감지하기 어렵게 때문에, 보행이나 운동 중 이어폰을 착용하는 이용자의 경우 사고를 당할 우려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착용자로 하여금 외부소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착용 중에 생길 수 있는 사고 발생 우려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이어폰들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878호는 외부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를 통해 외부 소리를 감지하고, 측정된 외부 소리의 크기에 따라 이어폰의 음향출력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이어폰 착용자가 외부 소리를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마련된 이어폰을 제시하고 있다.
또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5258호는 이어폰 본체에 결합되는 실링부를 외부소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이어폰 착용자로 하여금 외부 소음을 쉽게 들을 수 있도록 한 이어폰을 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87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5258호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878호에 개시된 이어폰의 경우, 소음감지 마이크 및 마이크 관련 제어구성이 추가됨에 따라 이어폰 제작비용이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고, 위험요소가 아닌 소리에도 반응하여 음향출력이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이어폰을 통해 듣고자 하는 음향 크기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5258호에 개시된 이어폰은 이어 팁에 마련된 소음 유입부를 통해 이어폰 착용시 항시 외부 소음이 착용자의 귀로 유입되도록 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도 외부 소음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상승할 필요가 없도록 하면서도 외부 소리의 유입 여부를 착용자가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아이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1음파로와, 귀 외부에서 발생한 음파를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2음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음파로는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이어폰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음파로는 상기 이어폰의 축심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음파로는 상기 제1음파로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음파로는 상기 제1음파로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이폰은 내부공간에 음향 발생 시스템이 마련되되 상기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생성된 음향을 상기 리시버 하우징 외부로 안내하도록 일측으로 음향관이 돌출 연장된 리시버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하우징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음파로는 상기 리시버 하우징을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마련되되, 복수의 상기 본체의 상대 회전 위치에 따라 상호 연이어지도록 일치되거나 상호 어긋나도록 상기 본체들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본체는 상기 음향관을 포함하는 전방의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의 제2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음향관의 내면과 외면 사이를 상기 음향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1본체에 마련된 제1연통로와, 상기 제1 및 제2본체의 상대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연통로와 일치되거나 어긋나도록 상기 제2본체에 마련된 제2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본체는 상기 음향관을 포함하는 전방의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대회전이 제한되도록 후방에 마련된 제2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본체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본체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3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음향관의 내면과 외면 사이를 상기 음향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1본체에 마련된 제1연통로와, 상기 제1연통로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본체에 마련된 제2연통로와, 상기 제1 및 제2본체와의 상대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연통로와 일치되거나 어긋나도록 상기 제3본체에 마련된 제3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은 복수의 상기 연통로들이 상호 일치되거나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들의 상대회전 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스위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폰은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1음파로와, 귀 외부에서 발생한 음파를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2음파로를 함께 구비하고, 제2음파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간단히 개폐되면서 제2음파로를 통한 음파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어폰은 큰 비용의 추가 없이도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착용자로 하여금 외부 소리의 유입여부를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의 사시도로,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을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을 절취선 B-B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2음파로가 개방된 상태와 폐쇄된 상태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요부를 단면처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1)은 내부공간에 음향 발생 시스템(100)이 마련되는 리시버 하우징(10)과, 이어 팁(20)을 구비한다.
리시버 하우징(10)에는 음향 발생 시스템(100)에서 생성된 음향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음향관(31)이 일측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이어 팁(20)은 음향관(31) 둘레에 장착되어 착용자가 이어폰(1)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 귓속(200)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리시버 하우징(10) 타측으로는 신호 및 전원 인가를 위한 케이블(w)이 연결된다.
음향 발생 시스템(100)은 음향기기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음향 생성을 위한 진동판, 음질 향상을 위한 영구자석이나 전자석,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관(31)은 리시버 하우징(10)의 축심을 따라 리시버 하우징(10) 일측에 외부로 돌출 연장된 중공의 관 형태로 마련되며, 음향관(31) 내부는 음향 발생 시스템(100)을 통해 출력되는 음파를 착용자의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1음파로(a)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 팁(20)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소재를 통해 음향관(31) 둘레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중공축(21)과, 이어폰 착용 상태에서 귓구멍(200) 내면에 접촉되도록 중공축(21) 둘레에 중공축(21)과 이격되도록 마련된 접촉커버(22)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음향관(31)의 중도 외면과 이에 대응하는 중공축(21) 내면에는 이어 팁(20)과 음향관(31)의 조립을 상호 끼워지도록 마련된 조립턱(31a)과 조립홈(21a)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1) 착용상태에서 이어폰(1)에 연결된 음향기기를 동작시키게 되면, 리시버 하우징(10)에서 생성된 음파는 제1음파로(a) 및 이어 탭(20)의 중공축(21) 내부를 거쳐 착용자의 귓속(200)으로 안내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은 착용 중에 생길 수 있는 사고 발생 우려를 줄일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이어폰(1) 착용시 귀 외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음파를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2음파로(b)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2음파로(b)는 이어폰(1)이 착용자의 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외부 소음 등이 이어폰 착용자의 귓속(200)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이어폰 착용자로 하여금 주변에서 발생하게 되는 위험신호를 청각을 통해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이나 운동 중 당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음파로(b)는 외부 소리의 유입 여부를 착용자가 자신의 의지에 따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제2음파로(b)의 구조를 리시버 하우징(10)의 상세한 구조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시버 하우징(10)은 음향관(31)을 포함하는 전방의 제1본체(30)와, 상기 제1본체(3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의 제2본체(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본체(30)는 음향관(31) 후방 둘레에 외경이 확장된 몸체부(32)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2본체(40)는 내부의 공간부(40a)가 제1음파로(a)와 통하도록 전방은 개방되고 후방은 폐쇄된 원통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리시버 하우징(10)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시스템(100)은 공간부(40a) 안쪽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본체(30)의 몸체부(32) 후면 둘레의 제1결합면(33)은 제2본체(40)의 전방 둘레의 제2결합면(43)과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면(33)에는 제2본체(40) 쪽으로 돌출되도록 원통 형태의 결합돌기(33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2결합면(43)에는 결합돌기(33a)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홈(43a)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43a)에 대한 결합돌기(33a)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돌기(33a)에는 결합돌기(33a)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걸림돌기(33b)가 형성될 수 있고, 걸림돌기(33b)의 위치에 대응하는 결합홈(43a) 일측으로는 걸림돌기(33b)가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홈(43b)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기(33a)와 결합홈(43a)의 위치는 상호 반대로 뒤바뀔 수 있으며, 제1 및 제2본체(30,40)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결합구조 외의 다양한 결합구조를 통해서도 상호 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음파로(b)는 리시버 하우징(10)을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이어폰(1) 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파를 제1음파로(a)를 통해 안내되는 음파와 간섭됨이 없이 착용자의 귓속(200)으로 안내하도록 제2음파로(b)는 제1음파(a)로 둘레에 제1음파로(a)와 구획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파를 보다 고르게 착용자 귓속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제2음파로(b)는 제1음파로(a)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도록 제2음파로(b)는 제1 및 제2본체(30,40)의 상대 회전 위치에 따라 상호 연이어지도록 일치되거나 상호 어긋나도록 제1 및 제2본체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연통로(c1,c2)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제1연통로(c1)는 음향관(31)의 내면과 외면 사이를 통과하도록 제1음파로(a) 둘레에 제1본체(30)를 리시버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연통로(c2)는 공간부(40a) 둘레의 제2본체(30)를 리시버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음파로(b)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연통로(c1,c2)는 도 4의 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본체(30,40)의 상대 회전 동작에 의해 상호 연이어지도록 일치될 경우, 제2음파로(b)를 개방시켜 이어폰 착용상태에서 이어폰(1) 외부의 음파를 착용자의 귓속(200)으로 안내하게 되고, 도 4의 상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음파로(c1,c2)가 상호 어긋나도록 제1 및 제2본체(30,40)가 상대회전 할 경우 제2음파로(b)는 중도가 폐쇄된 상태가 되어 이어폰 외부의 음파가 귓속(200)으로 안내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 이어폰(1)은 제1 및 제2본체(30,40)의 상대회전 위치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스위치유닛(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제1 및 제2연통로(c1,c2)가 상호 일치되거나 어긋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유닛(50)은 제2음파로(b)의 반경반향 외측으로 제1결합면(33)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클릭돌기(51)와, 제1 및 제2본체(30,40)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면서 제1 및 제2본체(30,40) 간의 상대회전 동작시 클릭돌기(51)가 순간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클릭돌기(51)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결합면(43)에 마련된 복수의 클림홈(52)으로 마련될 수 있다.
클릭돌기(51)와 클릭홈(52)은 클릭돌기(51)가 클릭홈(52)에 걸린 상태에서 제1 및 제2본체(30,40)의 상대 회전이 일시적으로 제한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게 될 경우에는 제1 및 제2본체(30,40) 사이의 상대 회전이 다시금 허용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클릭돌기(51) 및 클릭홈(52)의 위치는 상호 반대로 뒤바뀔 수 있다.
또 제1 및 제2연통로(c1,c2)가 일치된 상태에서는 물론 상호 어긋난 상태에서도 스위칭유닛(50)을 통해 제1 및 제2본체(30,40) 사이의 상대회전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클릭돌기(51) 및 클릭홈(52)들은 제1 및 제2연통로(c1,c2)와 대응하는 위치는 물론 제1연통로(c1)들이나 제2연통로(c2)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어폰(1)은 이용자가 제1본체(30)와 제2본체(40) 사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2음파로(b)가 개방되거나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어폰 착용자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외부 소리의 유입여부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5와 같이, 리시버 하우징(10′)은 음향관(31)을 포함하는 전방의 제1본체(60)와, 제1본체(60)와 상대회전이 제한되도록 후방에 마련된 제2본체(70)와, 제1 및 제2본체(60,70) 사이에 제1 및 제2본체(60,7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3본체(80)를 포함하여 3개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제2음파로(b′)는 음향관(31)의 내면과 외면 사이를 통과하도록 제1본체(60)를 관통하는 제1연통로(d1)와, 제1연통로(d1)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본체(70)를 관통하는 제2연통로(d2)와, 제1 및 제2본체(60,70)와의 상대회전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연통로(d1,d2)와 일치되거나 어긋나도록 제3본체(80)를 관통하는 제3연통로(d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마련되는 이어폰은 리시버 하우징(10) 중앙에 마련된 제3본체(80)의 회전에 의해 제2음파로(b′)가 간단히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게 되므로, 이어폰 착용상태에서 제2음파로(b′)의 개폐동작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본체(60,70) 사이는 중앙의 연결부(61)를 통해 상호 상대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3본체(80)는 링 형태로 마련되어 연결부(6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61)는 걸림구조나 접촉방식을 통해 제1 및 제2본체(60,70) 사이를 상대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음향발생시스템(100)은 연결부 (61) 내부나 제2본체(7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도 제3연통로(d3)가 제1 및 제2연통로(d1,d2)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제1 및 제2본체(60,70) 사이의 결합면(63,83)과, 제2 및 제3본체(70,80) 사이의 결합면(74,8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전술한 상기 스위칭유닛(50)이 동일한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다.
a: 제1음파로 b: 제2음파로
1: 이어폰 10: 리시버 하우징
20: 이어 탭 30: 제1본체
31: 음향관 32: 몸체부
33: 제1결합면 33a: 결합돌기
33b: 걸림돌기 40: 제2본체
40a: 공간부 43: 제2결합면
43a: 결합홈 43b: 걸림홈
50: 스위칭유닛 51: 클릭돌기
52: 클릭홈 100: 음향 발생 시스템

Claims (7)

  1.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1음파로와, 귀 외부에서 발생한 음파를 귓속으로 안내하는 제2음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음파로는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이어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파로는 상기 이어폰의 축심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음파로는 상기 제1음파로 둘레에 마련된 이어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파로는 상기 제1음파로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된 이어폰.
  4. 제 1항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음향 발생 시스템이 마련되되 상기 음향 발생 시스템에서 생성된 음향을 상기 리시버 하우징 외부로 안내하도록 일측으로 음향관이 돌출 연장된 리시버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하우징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음파로는 상기 리시버 하우징을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마련되되, 복수의 상기 본체의 상대 회전 위치에 따라 상호 연이어지도록 일치되거나 상호 어긋나도록 상기 본체들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연통로를 포함하는 이어폰.
  5.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본체는 상기 음향관을 포함하는 전방의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의 제2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음향관의 내면과 외면 사이를 상기 음향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1본체에 마련된 제1연통로와, 상기 제1 및 제2본체의 상대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연통로와 일치되거나 어긋나도록 상기 제2본체에 마련된 제2연통로를 포함하는 이어폰.
  6.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본체는 상기 음향관을 포함하는 전방의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대회전이 제한되도록 후방에 마련된 제2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본체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본체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3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음향관의 내면과 외면 사이를 상기 음향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1본체에 마련된 제1연통로와, 상기 제1연통로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본체에 마련된 제2연통로와, 상기 제1 및 제2본체와의 상대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연통로와 일치되거나 어긋나도록 상기 제3본체에 마련된 제3연통로를 포함하는 이어폰.
  7.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통로들이 상호 일치되거나 어긋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들의 상대회전 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스위치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어폰.
KR1020140087429A 2014-07-11 2014-07-11 이어폰 KR10216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29A KR102162383B1 (ko) 2014-07-11 2014-07-11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29A KR102162383B1 (ko) 2014-07-11 2014-07-11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158A true KR20160007158A (ko) 2016-01-20
KR102162383B1 KR102162383B1 (ko) 2020-10-06

Family

ID=5530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429A KR102162383B1 (ko) 2014-07-11 2014-07-11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3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9853A (zh) * 2016-06-20 2016-09-21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WO2019124783A1 (ko) * 2017-12-20 2019-06-27 최남식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KR102336438B1 (ko) * 2020-10-12 2021-12-07 부전전자 주식회사 개선된 노즐과 이어팁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375A (ko) * 2004-06-14 2005-12-19 엠엠기어 주식회사 이어폰의 귀삽입구
JP2010157814A (ja) * 2008-12-26 2010-07-15 Yamaha Corp イヤホン構造体、挿入部材及びイヤホン
KR20110014878A (ko) 2009-08-06 2011-02-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이어폰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55258A (ko) 2010-11-23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KR101363989B1 (ko) * 2013-06-04 2014-02-18 윤영은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375A (ko) * 2004-06-14 2005-12-19 엠엠기어 주식회사 이어폰의 귀삽입구
JP2010157814A (ja) * 2008-12-26 2010-07-15 Yamaha Corp イヤホン構造体、挿入部材及びイヤホン
KR20110014878A (ko) 2009-08-06 2011-02-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이어폰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55258A (ko) 2010-11-23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의 외부소음 유입장치
KR101363989B1 (ko) * 2013-06-04 2014-02-18 윤영은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9853A (zh) * 2016-06-20 2016-09-21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WO2019124783A1 (ko) * 2017-12-20 2019-06-27 최남식 개폐 전환 조절 구조를 갖는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KR102336438B1 (ko) * 2020-10-12 2021-12-07 부전전자 주식회사 개선된 노즐과 이어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383B1 (ko)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8697B (zh) 主动噪声消除耳机、耳机系统及垫子
EP2071867B1 (en) Headset
KR101446597B1 (ko) 외부소음 조절용 커널이어폰
US9608356B2 (en) Cover component for connection port
US7889881B2 (en) Ear canal speak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2574835B1 (ko) 음향 출력 장치
US20150055810A1 (en) Soundproof housing for earset and wired and wireless earset comprising same
JP2010157814A (ja) イヤホン構造体、挿入部材及びイヤホン
KR101363989B1 (ko)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US9473842B2 (en) Earset
JP6621166B1 (ja) 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イヤホン
WO2016067754A1 (ja) 音響出力装置
KR20160007158A (ko) 이어폰
KR101460677B1 (ko) 반자동 외부음 개폐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1089115B1 (ko) 음향 조리개를 갖는 스피커 유닛
KR20150018340A (ko)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KR101562129B1 (ko) 이어폰의 청력 보호 장치
KR101702004B1 (ko) 통기 구조를 갖는 이어폰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팁
KR102163066B1 (ko) 이어 팁 및 이를 갖춘 이어폰
JP6731652B2 (ja) 補聴器及びイヤーチップ
JP2008109599A (ja) 骨伝導受話器と気道受話器の複合動作をする受話器
JP6595370B2 (ja) ヘッドバンド付きイヤホン
KR20150095170A (ko) 이어폰 전자 기기
US9665129B1 (en) Water-proof module
KR20110064236A (ko)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