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340A -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 Google Patents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340A
KR20150018340A KR1020130153058A KR20130153058A KR20150018340A KR 20150018340 A KR20150018340 A KR 20150018340A KR 1020130153058 A KR1020130153058 A KR 1020130153058A KR 20130153058 A KR20130153058 A KR 20130153058A KR 20150018340 A KR20150018340 A KR 20150018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ound
ear tip
earphon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은
윤은정
윤태림
Original Assignee
윤영은
윤태림
윤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은, 윤태림, 윤은정 filed Critical 윤영은
Priority to KR102013015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8340A/ko
Publication of KR2015001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한 이어폰 본체에 장착되는 이어팁이 개시된다. 이어팁은, 이어폰 본체의 유출구측에 결합되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음향이 이어팁을 착용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도록 하는 음향전송로를 제공하는 이어팁 본체, 및 이어팁 본체를 이어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이어팁 본체에는 이어팁 본체의 외부와 음향전송로를 연통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음향을 상기 음향전송로측으로 유입가능하게 하는 유입공이 형성된다. 또한, 유입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마련되어 유입공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외부의 음향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할 때 음향을 감상하면서도 외부 음향을 인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Eartip capable of allowing inflow of sound from outside}
본 발명은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이폰의 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귀에 이어폰을 장착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음향기기의 사용자는 음향기기를 외부에 들고 다니면서 음악이나 강의 등과 같은 음향 파일을 재생하여 듣는다. 휴대 상태에서 음악 등을 듣기 위해서 사용자는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과 같은 기기(이하, '이어폰'으로 통칭함)를 자신의 귀에 착용하며, 이를 통해 타인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도 8 은 일반적인 이어폰의 기구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어폰은 이어폰 본체(810)와 이어팁(820)으로 구성된다.
이어폰 본체(810)는 그 내부에 음향기기로부터의 음향출력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고, 그 단부에 유출구(816)가 형성되어 스피커로부터의 음향이 외부로 유출된다.
이어팁(820)은 이어팁 본체(821), 결합부(822), 및 착용부(823)를 구비한다. 이어팁 본체(821)는 유출구(816)로부터 유출되는 음향을 사용자의 귀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전송로(826)를 구비하며, 결합부(822)는 이어팁 본체(8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이어폰 본체(810)와 이어팁(820)간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착용부(823)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부위로서 귀 입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착용감을 높이고 출력 음향의 밀폐도를 높인다.
이러한 이어폰은 이어팁(820)의 구조에 의하여 사용 중 외부의 소리가 차단되는 효과를 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음향이나 소음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의 음향을 청취할 필요를 느끼게 된다. 예컨대 길을 걷는 중에 음악을 들을 때에는 이어폰을 귀에 착용시 이어팁(820) 밀폐적 착용 구조에 의해 외부의 음향이 차단되므로, 사용자는 외부 음향을 들을 수 없게 되는데, 이 상황에서는 자동차가 다가오는 소리 등을 못 듣게 되어 위험한 상황을 즉각 인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예컨대 산책 중에 음악 소리와 함께 외부의 새 소리 등을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어팁(820)에 의해 이러한 소리가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는 중에도 외부의 음향을 어느 정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외부의 음향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팁의 구조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한 이어폰 본체에 장착되는 이어팁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의 상기 유출구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음향이 상기 이어팁을 착용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도록 하는 음향전송로를 제공하는 이어팁 본체; 및 상기 이어팁 본체를 상기 이어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팁 본체에는 상기 이어팁 본체의 외부와 상기 음향전송로를 연통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음향을 상기 음향전송로측으로 유입가능하게 하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을 제안한다.
상기 유입공은 상기 이어팁 본체의 외측 둘레 구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이어팁 본체의 외주면에 또는 내주면에 끼워 결합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이어팁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유입공을 폐쇄시키는 폐쇄위치간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이어팁 본체에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유입공을 폐쇄시키는 폐쇄위치간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회전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공과 상기 관통공의 위치가 일치됨으로써 상기 유입공을 개방시킨다.
상기 이어폰 본체에는, 상기 이어팁 본체에 형성된 상기 유입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음향이 상기 이어폰 본체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어팁 본체를 상기 이어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이어팁 본체는 상기 유입공과 상기 연통공의 위치가 일치되는 개방위치와 상기 연통공이 상기 이어팁 본체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위치간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이동한다.
상기 이어폰 본체와 상기 이어팁 본체 사이에는 상기 이어폰 본체와 상기 이어팁 본체간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이드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이어팁 본체의 상기 음향전송로와 상기 유입공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어팁 본체의 상기 이어폰 본체에 대한 상대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유입공과 상기 연통공의 위치가 일치되는 개방위치와 상기 연통공이 상기 이어팁 본체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위치간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외부의 음향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할 때 음향을 감상하면서도 외부 음향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b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b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b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b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이어폰"이라는 용어는 통상적인 이어폰 외에도 헤드폰이나 기타의 명칭으로 지칭되는 모든 종류의 이어팁 장착 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제 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인용한다.
도 1a 내지 도 1c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어폰은 종래 기술에서의 이어폰과 마찬가지로 이어폰 본체(110)와 이어팁(120)으로 구성된다. 이어폰 본체(110)는 그 내부에 음향기기로부터의 음향출력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고, 그 단부에 유출구(116)가 형성되어 스피커로부터의 음향이 외부로 유출된다.
이어팁(120)은 이어팁 본체(121), 결합부(122), 및 착용부(123)를 구비한다. 이어팁 본체(121)는 유출구(116)로부터 유출되는 음향을 사용자의 귀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전송로(126)를 구비하며, 결합부(122)는 이어팁 본체(1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이어폰 본체(110)와 이어팁(120)간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착용부(123)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부위로서 귀 입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착용감을 높이고 출력 음향의 밀폐도를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팁(120)은 이어팁 본체(121)에 유입공(12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공(128)은 이어팁 본체(121)의 외측 둘레 구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공(128)은 이어팁 본체(120)의 외부와 음향전송로(126)를 연통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음향을 음향전송로(126)측으로 유입가능하게 한다. 즉, 도 1b 와 같이 이어폰 본체(110)에 이어팁(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면 착용부(123)에 의해 사용자의 귀 입구 내측에 이어폰이 고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음향이 유출구(116)와 음향전송로(126)를 통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된다. 이때 외부에서 발생된 음향은 유입공(128)을 통해 음향전송로(126)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악을 들으면서 외부의 소리를 인지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유입공(128)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다. 개폐수단은 이어팁 본체(120)의 외주면에 끼워 결합되는 링 형상(또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개폐부재(230)로 구성된다. 개폐부재(230)는 이어팁 본체(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공(128)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도 2b 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와 유입공(128)을 폐쇄시키는 폐쇄위치(도 2b 에서 실선으로 도시됨)간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개방위치에서는 외부 음향이 유입공(128)을 통해 음향전송로(126)로 유입될 수 있고 폐쇄위치에서는 외부 음향이 음향전송로(126)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폐부재(23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놓음으로써 외부 음향을 원하는 바에 따라 차단하거나 유입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는 개폐부재(230)의 위치가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229)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부재(330)가 이어팁 본체(121)의 외주면에 존재하는 점에서는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개폐부재(330)는 이어팁 본체(121)에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공(128)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유입공(128)을 폐쇄시키는 폐쇄위치간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복수 개의 유입공(128)에 대응되도록 개폐부재(330)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3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부재(330)가 개방위치로 회전 이동된 상태에서 유입공(128)과 관통공(332)의 위치가 일치됨으로써 유입공(128)을 개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도 이어팁 본체(121)에는 별도의 걸림돌기(3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돌기(339)는 개폐부재(330)의 회전 이동만을 허용하고 슬라이딩 이동은 허용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4a 내지 도 4b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회전이동 가능한 개폐부재(430)가 구비되며, 개폐부재(430)에는 유입공(128)에 대응되는 관통공(432)이 형성되어 개폐부재(43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유입공(128)이 개방 또는 폐쇄된다. 본 실시예가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은, 개폐부재(430)가 이어팁 본체(121)의 내주면에 끼워 결합된다는 점이다.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경우 개폐부재(230, 330)가 이어팁(120)의 착용부(123)에 의해 가려져 있어서 개폐부재(230, 330)를 위치이동 시키기 위해서는 착용부(123)를 뒤집어서 개폐부재(230, 330)를 사용자가 손조작할 수 있도록 노출시켜야 한다. 이어팁은 통상적으로 매우 얇은 연성 재질로 제작되므로 이러한 조작이 어려운 것은 아니나, 착용부(123)를 뒤집는 동작이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어팁 본체(121)의 내측면에 개폐부재(430)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번거로운 동작 없이 개폐부재(430)를 회전이동시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어팁(120)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나 이어폰 본체(110)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와 다소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이어폰 본체(110)에는, 이어팁 본체(120)에 형성된 유입공(128)에 대응되도록 연통공(5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공(528)은 유입공(128)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음향이 이어폰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 후 유출구(126)를 통해 유출되도록 연통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이어팁 본체(121)의 결합부(122)는 이어팁 본체(121)를 이어폰 본체(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어팁 본체(121)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유입공(128)과 연통공(528)의 위치를 일치시키거나(개방위치) 어긋나도록 위치시킬 수 있고(폐쇄위치), 이에 의하여 유입공(128)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어폰 본체(110)와 이어팁(620) 사이에 이어폰 본체(110)와 이어팁(620)간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이드부재(640)가 개재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어팁(620)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다소 상이하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유입공(626)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재(640)에는 이어팁(620)의 음향전송로(126)와 유입공(626)을 연통시키는 연통공(6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팁(620)의 이어폰 본체(110)에 대한 상대 회전 위치에 따라 유입공(626)과 연통공(646)의 위치가 일치되는 개방위치와 연통공(646)이 이어팁(620)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위치간을 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유입공(626)이 개폐된다.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 6 실시예에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어팁(720)의 유입공(746)의 형상과 가이드부재(740)의 연통공(746)의 형상이 제 6 실시예와 비교할 때 다소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유입공(726)은 이어팁(720)의 전체 길이 구간에 걸쳐 그루브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부합되도록 연통공(746) 또한 그루브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외부 음향의 유입 통로가 조금 더 넓어지므로 개방위치로 회전이동된 상태에서 외부 음향의 효과적인 유입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음향이 이어폰 사용 중에도 사용자의 귀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할 때 음향을 감상하면서도 외부 음향을 인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한 이어폰 본체에 장착되는 이어팁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의 상기 유출구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음향이 상기 이어팁을 착용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도록 하는 음향전송로를 제공하며, 상기 이어팁 본체에는 상기 이어팁 본체의 외부와 상기 음향전송로를 연통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음향을 상기 음향전송로측으로 유입가능하게 하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이어팁 본체;
    상기 이어팁 본체를 상기 이어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이어팁 본체의 외주면에 또는 내주면에 끼워 결합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이어팁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을 개방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유입공을 폐쇄시키는 폐쇄위치간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4.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한 이어폰 본체에 장착되는 이어팁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본체의 상기 유출구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음향이 상기 이어팁을 착용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도록 하는 음향전송로를 제공하는 이어팁 본체; 및
    상기 이어팁 본체를 상기 이어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팁 본체에는 상기 이어팁 본체의 외부와 상기 음향전송로를 연통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음향을 상기 음향전송로측으로 유입가능하게 하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본체에는, 상기 이어팁 본체에 형성된 상기 유입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음향이 상기 이어폰 본체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도록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어팁 본체를 상기 이어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KR1020130153058A 2013-12-10 2013-12-10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KR20150018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058A KR20150018340A (ko) 2013-12-10 2013-12-10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058A KR20150018340A (ko) 2013-12-10 2013-12-10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529A Division KR101363989B1 (ko) 2013-06-04 2013-08-09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40A true KR20150018340A (ko) 2015-02-23

Family

ID=5304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058A KR20150018340A (ko) 2013-12-10 2013-12-10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83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519B1 (ko) * 2016-01-21 2017-02-07 주식회사 씨엔지 양방향 공기흐름 커널형 이어폰
CN107484100A (zh) * 2017-08-28 2017-12-15 歌尔股份有限公司 半入耳式耳塞、耳机及其制造方法
US20180367925A1 (en) * 2017-06-16 2018-12-20 Widex A/S Flexible ear piece for hearing aid
CN111630874A (zh) * 2018-01-23 2020-09-04 三瓶秀昭 耳塞及使用耳塞的耳机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519B1 (ko) * 2016-01-21 2017-02-07 주식회사 씨엔지 양방향 공기흐름 커널형 이어폰
US20180367925A1 (en) * 2017-06-16 2018-12-20 Widex A/S Flexible ear piece for hearing aid
US11838729B2 (en) * 2017-06-16 2023-12-05 Widex A/S Flexible ear piece for hearing aid
CN107484100A (zh) * 2017-08-28 2017-12-15 歌尔股份有限公司 半入耳式耳塞、耳机及其制造方法
CN107484100B (zh) * 2017-08-28 2023-11-28 歌尔股份有限公司 半入耳式耳塞、耳机及其制造方法
CN111630874A (zh) * 2018-01-23 2020-09-04 三瓶秀昭 耳塞及使用耳塞的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989B1 (ko)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US10200778B2 (en) Earpiece with ergonomic extension
US8311259B2 (en) In-ear earphone
US9307313B2 (en) Flexible earphone cover
US9338539B2 (en) In-ear-canal headset assembly
WO2017092149A1 (zh) 一种新型自适应耳套
US20070116309A1 (en) Earpiece with extension
WO2016103983A1 (ja) 骨伝導ヘッドホン
US20140112520A1 (en) Integrated earbuds and earplugs, and methods, systems, and kits associated therewith
US20080085030A1 (en) Inconspicuous communications assembly
US20070254725A1 (en) Cellular telephone cable assembly
WO2002054825A3 (en) Earring for a headset
KR20150018340A (ko)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KR101446597B1 (ko) 외부소음 조절용 커널이어폰
JP6621166B1 (ja) 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イヤホン
WO2006070229A2 (en) Earphone
KR100903606B1 (ko) 방수기능을 갖는 골전도 이어폰장치
JP2018191265A (ja) イヤーピース
MX2019015127A (es) Casco de proteccion con orejas.
KR102162383B1 (ko) 이어폰
US20160029115A1 (e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KR101485005B1 (ko)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및 이를 갖는 이어폰
US9282390B1 (en) Dual mode in-ear headphone
KR101154065B1 (ko) 이어폰의 머리착용시스템
KR20220078972A (ko) 착용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보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