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853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853A
KR20090048853A KR1020070114925A KR20070114925A KR20090048853A KR 20090048853 A KR20090048853 A KR 20090048853A KR 1020070114925 A KR1020070114925 A KR 1020070114925A KR 20070114925 A KR20070114925 A KR 20070114925A KR 20090048853 A KR20090048853 A KR 20090048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noise
notification
video
signal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노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70114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8853A/ko
Publication of KR2009004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보행중 휴대폰의 이어폰을 통해 음악 또는 비디오를 청취하고 있을 경우, 외부로부터 위험상황(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 등)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주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선택하는 키패드(100); 주위의 소음을 수집하여 출력하는 마이크(200); 마이크(200)부터 주위의 소음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위험요소가 측정될 경우 이에 따른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소음 측정기(300); 키패드(100)로부터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른 위험알림 설정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외부소음 측정기(300)로부터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입력받으면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에 맞춰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500); 및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위험상황 경고텍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0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외부소음 측정기, 위험상황 알림, MP3, DMB, 동영상 재생,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EXTERNAL NOISE WHILE PLAYING AUDIO OR VIDEO CONTENTS IN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Video)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보행중 휴대폰의 이어폰(Earphone)을 통해 음악 또는 비디오를 청취하고 있을 경우, 외부로부터 위험상황(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 등)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주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대인들에게 있어 이동통신단말기는 실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휴대폰에 기본적인 음성통화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시켜 가입자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멀티미디어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휴대폰에 MP3, 멀티미디어, DMB 재생 등과 같은 기능이 추가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이로써 휴대폰 사용자들은 별도의 MP3나 동영상 플레이어를 휴대할 필요없이 휴대폰 하나만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길거리를 걸어갈 때에나 대중교통 이용시 휴대폰 사용자가 이어폰을 통해 음악이나 영상을 청취하는 경우들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때 휴대폰 사용자가 귀에 이어폰을 끼고 보행할 경우 갑자기 주위에서 위험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휴대폰 사용자는 외부소음, 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 등과 같은 위험상황을 전혀 인지할 수 없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외부의 위험상황 발생에 따른 외부소음을 인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이 전혀 구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휴대폰 사용자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해 그만큼 서비스의 질이 떨어져 타사와의 차별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보행중 휴대폰의 이어폰을 통해 음악 또는 비디오를 청취하고 있을 경우, 외부로부터 위험상황(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 등)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줌으로써, 외부의 위험상황으로부터 사용자들의 안전을 보호해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그만큼 서비스의 질이 향상돼 타사와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는, 사용자가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설정하면 이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키패드;
주위의 소음을 수집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부터 주위의 소음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위험요소가 측정될 경우 이에 따른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소음 측정기;
상기 키패드로부터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른 위험알림 설정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로부터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입력받으면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에 맞춰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른 위험상황 경고텍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감지방법은, 키패드, 마이크, 외부소음 측정기, 제어부, 진동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가 이에 상응하도록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설정하는 제 101 단계;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가 상기 마이크부터 주위의 소음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 102 단계;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가 주위의 소음신호를 분석한 결과 위험요소가 측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3 단계;
상기 제 103 단계에서 위험요소가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가 다시 상기 제 10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측정되면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 104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로부터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입력받으면, 현재 음악 및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105 단계; 및
상기 제 105 단계에서 현재 음악 및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종료하는 한편, 작동중이면 현재 설정된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에 따라 상기 진동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한 진동 또는 경고텍스트를 발생시키는 제 106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행중 휴대폰의 이어폰을 통해 음악 또는 비디오를 청취하고 있을 경우, 외부로부터 위험상황(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 등)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줌으로써, 외부의 위험상황으로부터 사용자들의 안전을 보호해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그만큼 서비스의 질이 향상돼 타사와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는 키패드(Keypad)(100), 마이크(Mic)(200), 외부소음 측정기(300), 제어부(400), 진동부(500) 및 디스플레이(Display)부(6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키패드(100)는 사용자가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설정하면 이에 따른 선택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200)는 주위에서 발생한 소음을 입력받아 이를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3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300)는 상기 마이크(200)부터 주위의 소음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위험요소가 측정될 경우 이에 따른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300)가 외부 소음을 위험요소로 판별하는 기준은 70dB 이상인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키패드(100)로부터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른 위험알림 설정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300)로부터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입력받으면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에 맞춰 경보제어신호를 상기 진동부(500) 및 디스플레이부(6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키패드(100)의 선택신호에 따라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할 때, 도 3a와 같이 DMB, MP3, 게임 및 동영상 재생 중에서 어느 한 개 이상의 종류를 중복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전체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위험알림 모드의 방식을 설정할 때에는 도 3b와 같이 "1. 자동시작" 또는 "2. 사용자 확인 후 시작"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상기의 위험알림 모드 방식 중 "2. 사용자 확인 후 시작" 방식은 도 4a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진동부(500)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경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경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른 위험상황 경고텍스트, 예컨대, "위험!" 또는 "조심하세요" 등과 같은 멘트를 도 4b와 같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감지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상기에서 설명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와 동일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00)를 통해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이에 상응하도록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설정한다(S101). 이때,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키패드(100)의 선택신호에 따라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는 방법은 도 3a와 같이 DMB, MP3, 게임 및 동영상 재생 중에서 어느 한 개 이상의 종류를 중복하여 설정할 수도 있고, 전체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키패드(100)의 선택신호에 따라 위험알림 모드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은 도 3b와 같이 "1. 자동시작" 또는 "2. 사용자 확인 후 시작"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적으로 설정가능하다.
한편,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300)는 상기 마이크(200)부터 주위의 소음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함으로(S102), 주위의 소음에서 위험요소(예컨대, 자동차의 경적소리 등)가 측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3). 여기서,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300)가 외부 소음을 위험요소로 판별하는 기준은 70dB 이상인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별한다.
이때, 상기 제 103 단계(S103)에서 위험요소가 측정되지 않으면(NO) 상기 외 부소음 측정기(300)는 다시 상기 제 102 단계(S102)로 진행하는 한편, 측정되면(YES)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상기 제어부(400)로 출력한다(S104).
그러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300)로부터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음악 및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105).
이때, 상기 제 105 단계(S105)에서 현재 음악 및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중이 아니면(NO) 상기 제어부(400)는 종료하는 한편, 작동중이면(YES) 현재 설정된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에 따라 상기 진동부(500) 및 디스플레이부(600)를 제어하여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한 진동 또는 경고텍스트를 사용자에게 발생시킨다(S106). 도 4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표시되는 경고텍스트의 일례로 "위험!"이라고 표시된 멘트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 다수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3a는 본 발명에서 위험알림 종류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서 위험알림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서 위험알림 방식 중 "사용자 확인 후 시작"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서 음악 및 비디오 재생중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키패드 200 : 마이크
300 : 외부소음 측정기 400 : 제어부
500 : 진동부 6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사용자가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설정하면 이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키패드;
    주위의 소음을 수집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부터 주위의 소음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위험요소가 측정될 경우 이에 따른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소음 측정기;
    상기 키패드로부터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 선택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른 위험알림 설정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로부터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입력받으면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에 맞춰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른 위험상황 경고텍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가 상기 마이크부터 입력받은 소음신호를 위험요소로 판별하는 기준은, 70dB 이상인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할 때, DMB, MP3, 게임 및 동영상 재생 중에서 어느 한 개 이상의 종류를 중복설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위험알림 모드의 방식을 설정할 때, "1. 자동시작" 또는 "2. 사용자 확인 후 시작"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설정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장치.
  5. 키패드, 마이크, 외부소음 측정기, 제어부, 진동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가 이에 상응하도록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을 설정하는 제 101 단계;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가 상기 마이크부터 주위의 소음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 102 단계;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가 주위의 소음신호를 분석한 결과 위험요소가 측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3 단계;
    상기 제 103 단계에서 위험요소가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가 다시 상기 제 10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측정되면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 104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로부터 위험상황 알림신호를 입력받으면, 현재 음악 및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105 단계; 및
    상기 제 105 단계에서 현재 음악 및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종료하는 한편, 작동중이면 현재 설정된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 및 방식에 따라 상기 진동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위험상황을 알리기 위한 진동 또는 경고텍스트를 발생시키는 제 106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감지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1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키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위험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는 방법은, DMB, MP3, 게임 및 동영상 재생 중에서 어느 한 개 이상의 종류를 중복설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1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키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위험알림 모드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은, "1. 자동시작" 또는 "2. 사용자 확인 후 시작"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설정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3 단계에서 상기 외부소음 측정기가 상기 마이크부터 입력받은 소음신호를 위험요소로 판별하는 기준은, 70dB 이상인 경우 위험상황으로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 알림방법.
KR1020070114925A 2007-11-12 2007-11-1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48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25A KR20090048853A (ko) 2007-11-12 2007-11-1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25A KR20090048853A (ko) 2007-11-12 2007-11-1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53A true KR20090048853A (ko) 2009-05-15

Family

ID=4085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925A KR20090048853A (ko) 2007-11-12 2007-11-12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88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6281A1 (en) * 2014-12-26 2016-06-30 Intel Corporation Noise cancellation with enhancement of danger sounds
US9961294B2 (en) 2014-07-28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display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subtitles based on ambient noise
KR101899021B1 (ko) * 2017-09-06 2018-09-14 이종민 이어폰을 이용한 필터링된 외부 소리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1294B2 (en) 2014-07-28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display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subtitles based on ambient noise
WO2016106281A1 (en) * 2014-12-26 2016-06-30 Intel Corporation Noise cancellation with enhancement of danger sounds
US9513866B2 (en) 2014-12-26 2016-12-06 Intel Corporation Noise cancellation with enhancement of danger sounds
KR101899021B1 (ko) * 2017-09-06 2018-09-14 이종민 이어폰을 이용한 필터링된 외부 소리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2705B2 (ja) アクセサリに関連するサウンド出力の選択
KR100672484B1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US8548175B2 (en) Method for recognizing ear phon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20080085741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signal
JP2006211365A (ja) ハンズフリー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割り込み着信通知方法
JP2007081460A (ja) 携帯電話装置
KR2009004885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악 및 비디오 청취시 외부소음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09770A (ko) 음향 기기의 사운드 출력 제어 방법
WO2018035868A1 (zh) 输出音频的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JP3791474B2 (ja) 音声出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70020B1 (ko) 특정음 인식ㆍ통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00095U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경고 장치
JP2007251745A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JP2008277935A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報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27329B2 (ja) 携帯通信端末、接近通知プログラムおよび接近通知方法
JP2002314633A (ja) 携帯端末装置
JP2008104045A (ja) 電話装置
CN113507678B (zh) 助听器的蓝牙接听方法及装置
JP2012065133A (ja) 携帯電話機、着信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12097A (ko)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 폰에서의 스피커패스 자체검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55764B1 (ko) 고성 통화 억제기능을 갖는 단말기
KR100662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신호 알림 방법
JP2005143051A (ja) 携帯電話機
KR10066413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US200901115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dible Indication of an Active Wireless 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