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129A -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129A
KR20120055129A KR1020100116657A KR20100116657A KR20120055129A KR 20120055129 A KR20120055129 A KR 20120055129A KR 1020100116657 A KR1020100116657 A KR 1020100116657A KR 20100116657 A KR20100116657 A KR 20100116657A KR 20120055129 A KR20120055129 A KR 20120055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wave film
qwf
hwf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춘
김기만
김형욱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5129A/ko
Priority to PCT/KR2011/008847 priority patent/WO2012070808A2/ko
Priority to TW100142504A priority patent/TW201227010A/zh
Publication of KR2012005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 위 편광자의 하부에 위치한 반파장 필름(HWF) 및 위 반파장 필름의 하부에 위치한 사분파장 필름(QWF)을 포함하고, 위 반파장 필름과 위 사분파장 필름은 그 지상축이 서로 40 내지 80°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위 반파장 필름 및 위 사분파장 필름의 굴절률비가 각각 독립적으로 0<NZHWF<1 및 0<NZQWF<1인 편광판을 포함함으로써 화면의 정면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에서도 반사 방지 특성이 우수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ANTIREFLECTIV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면의 정면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에서도 반사 방지 효과가 극대화된 편광판과 이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등의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한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을 생성시키는 디스플레이 관련 소재이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필름이 접착제에 의해 적층된 구조를 갖는데 투명 보호필름은 목적에 따라 위상차 보상 기능을 갖는 필름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조의 편광판은 화상표시장치에 널리 사용되는데, 예컨대 액정표시장치 (LCD)에서는 백라이트에서 출사된 빛의 양을 목적에 따라 조절하기 위해 두 장의 편광판이 사용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는 패널 입사광의 반사율을 조절하기 위해 한 장의 편광판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상표시장치에서 화면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의 휘도 차이를 나타내는 콘트라스트(contrast)를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해서 단순히 광원의 휘도를 높이는 것이 한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이는 LCD의 백라이트나 OLED의 발광 유기물이 발생시키는 소비 전력을 증가시켜 장치에 높은 스트레스를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상표시장치의 표면에 반사 방지막 등의 기능층을 적층시켜 외부광에 의한 반사율을 올리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다. 이 방법은 재료 선택에 한계가 있고 균일한 박막 제조가 용이하지 않으며 제조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특허공개 제2003-89500호에서는 편광자 하부에 중합되거나 유리화된 이방성 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반파장 필름 및 사분파장 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이 제안된 바 있었다. 이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등의 화상표시장치에 사용하면 정면 방향에서의 반사 방지 효과는 우수하였으나 경사 방향에서의 반사 방지 효과는 여전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화면의 정면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에서도 반사 방지 효과가 극대화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면의 정면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에서도 반사 방지 효과가 극대화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액정표시장치(LCD) 등의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편광자, 위 편광자의 하부에 위치한 반파장 필름(HWF) 및 위 반파장 필름의 하부에 위치한 사분파장 필름(QWF)을 포함하고, 위 반파장 필름과 위 사분파장 필름은 그 지상축들이 서로 40 내지 80°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위 반파장 필름 및 위 사분파장 필름의 굴절률비가 각각 독립적으로 0<NZHWF<1 및 0<NZQWF<1인 편광판.
2. 위 1에 있어서, 0.1≤NZHWF≤0.9인 편광판.
3. 위 1에 있어서, 0.25≤NZHWF≤0.75인 편광판.
4. 위 1에 있어서, 0.1≤NZQWF≤0.9인 편광판.
5. 위 1에 있어서, 0.25≤NZQWF≤0.75인 편광판.
6. 위 1에 있어서, 0.1≤NZHWF≤0.9 및 0.1≤NZQWF≤0.9인 편광판.
7. 위 1에 있어서, 0.25≤NZHWF≤0.75 및 0.25≤NZQWF≤0.75인 편광판.
8. 위 1에 있어서, NZHWF + NZQWF ≥0.75인 편광판.
9. 위 1에 있어서, NZHWF + NZQWF ≥1인 편광판.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반파장 필름의 정면 위상차(ROHWF)는 550 nm의 파장에서 200 내지 360 nm인 편광판.
11. 위 1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 필름의 정면 위상차(ROQWF)는 550 nm의 파장에서 80 내지 180 nm인 편광판.
12. 위 1에 있어서, 상기 반파장 필름은 그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혹은 흡수축에 대하여 5 내지 25°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분파장 필름은 그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혹은 흡수축에 대하여 65 내지 8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편광판.
13.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상부에 보호필름, 위상차판 및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 추가 배치된 편광판.
14. 위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15. 위 14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또는 액정표시장치(LCD)인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의 굴절률비를 갖는 편광판은 역파장 분산 효과를 나타내며, 이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는 화면의 정면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에서도 낮은 반사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롤 형태의 반파장 필름 및 사분파장 필름을 편광자에 롤 대 롤 (Roll to Roll)로 접합시켜 제조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적층체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적층체의 방향각 Φ=45°, 입사각 θ=60°에서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구 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적층체의 시감도 전방위 투과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적층체의 방향각 Φ=45°, 입사각 θ=60°에서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구 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적층체의 시감도 전방위 투과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의 편광판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20은 실시예 2 내지 13 및 비교예 2 및 3의 적층체의 시감도 전방위 투과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편광자, 위 편광자의 하부에 위치한 반파장 필름(HWF) 및 위 반파장 필름의 하부에 위치한 사분파장 필름(QWF)을 포함하고, 위 반파장 필름과 위 사분파장 필름은 그 지상축이 서로 40 내지 80°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위 반파장 필름 및 위 사분파장 필름의 각 굴절률비가 0<NZHWF<1및 0<NZQWF<1인 편광판을 포함함으로써 화면의 정면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에서도 반사 방지 특성이 우수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그 하부에 위치한 반파장 필름(HWF), 그 하부에 위치한 사분파장 필름(QWF)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화상표시장치에서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을 얻을 수 있도록 제조된 통상의 것을 의미한다.
반파장 필름(HWF, 1/2 위상차판 또는 λ/2 필름) 및 사분파장 필름(QWF, 1/4 위상차판 또는 λ/4 필름)은 예컨대, 고분자 필름을 단축 방향으로, 양축 방향으로 또는 기타 적절한 방법으로 배향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고분자 필름을 구성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화상표시장치에 사용되기 적합하도록 투명도가 높은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화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화합물,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폴리술폰계 화합물, 폴리에테르 술폰계 화합물, 폴리스티렌계 화합물, 폴리올레핀계 화합물, 폴리비닐 알콜계 화합물, 셀룰로즈 아세테이트계 화합물,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염화 폴리비닐계 화합물, 폴리아크릴레이트 염화 폴리비닐계 화합물, 폴리아미드 염화 폴리비닐계 화합물 등이 있다.
반파장 필름(HWF) 및 사분파장 필름(QWF)은 동일 재료로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반파장 필름(HWF) 및 사분파장 필름(QWF)은 동일 반응계 중합에 의해 중합 가능한 네마틱 또는 스메틱, 바람직하게는 네마틱 액정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서 중합 가능한 물질을 기판 위에 코팅시키고 평면 배향으로 배향시키고 계속해서 열 또는 자외선에 노출시켜 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반파장 필름(HWF) 및 사분파장 필름(QWF)은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굴절률비(NZ)가 각각 독립적으로 0<NZ<1이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nx 및 ny는 면상 굴절률로서 nx ≥ ny이며,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 굴절률을 나타냄)
NZHWF는 0.1≤NZHWF≤0.9, 바람직하게 0.25≤NZHWF≤0.75이고, NZQWF는 0.1≤NZQWF≤0.9, 바람직하게 0.25≤NZQWF≤0.75이다. NZHWF 및 NZQWF가 동시에 위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즉 0.1≤NZHWF≤0.9 및 0.1≤NZQWF≤0.9인 경우가 더 바람직하고, 0.25≤NZHWF≤0.75 및 0.25≤NZQWF≤0.75인 경우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NZHWF + NZQWF≥0.75가 바람직하고, NZHWF + NZQWF≥1가 보다 바람직하다.
먼저, 반파장 필름은 하기 수학식 2로 정의되는 정면 위상차(ROHWF)가 위 NZ값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예컨대 550 nm의 파장에서 200 내지 360 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20 내지 260 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nx, ny는 면상 굴절률로서 nx ≥ ny이며, d는 필름의 두께를 나타냄)
반파장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사용되는 필름의 경우를 감안하여 예컨대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일 수 있다.
또한, 사분파장 필름(QWF)은 위 수학식 2로 정의되는 정면 위상차 (ROQWF)가 위 NZ값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예컨대 550 nm의 파장에서 80 내지 180 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 내지 130 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분파장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사용되는 필름의 경우를 감안하여 예컨대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일 수 있다.
반파장 필름(HWF) 및 사분파장 필름(QWF)의 두께방향 위상차값(Rth)은 NZ와 RO가 위와 같이 정해지면 하기 수학식 3의 관계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NZ는 굴절률비, Rth는 두께방향 위상차, RO는 정면 위상차임)
편광자, 반파장 필름(HWF) 및 사분파장 필름(QWF)은 낱장 형태로 된 것과 롤 형태로 권취된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반파장 필름(HWF)과 사분파장 필름(QWF)은 평면이 서로 평행하고 그 지상축이 40 내지 80°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 내지 6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로 평행하다는 것은 수학적으로 평행인 경우뿐만 아니라 편광판 제조 공정상 평행이라고 볼 수 있어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효과 구현에 있어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경우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반파장 필름(HWF)은 그 지상축이 편광자의 투과축 혹은 흡수축에 대하여 5 내지 2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분파장 필름(QWF)은 그 지상축이 편광자의 투과축 혹은 흡수축에 대하여 65 내지 8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80°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이 편광자, 그 하부에 반파장 필름 및 그 하부에 사분파장 필름의 순으로 배치될 때 편광자의 상부에 투명 보호필름, 추가의 위상차판, 하드코팅층, 터치패널 등이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디스플레이 장치, 구체적으로는 TN(꼬인 네마틱), HTN(매우 꼬인 네마틱) 또는 STN(과도하게 꼬인 네마틱) 모드 디스플레이, AMD-TN(활성 매트릭스 유도된 TN) 디스플레이, IPS(면상 스위칭) 모드 디스플레이, DAP(정렬된 상의 변형) 또는 VA(수직 정렬된) 모드 디스플레이, 예컨대 ECB(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복굴절), CSH(색 수퍼 호메오트로픽), VAN 또는 VAC(수직 정렬된 네마틱 또는 콜레스테릭) 디스플레이, MVA(멀티-도메인 수직 정렬된) 디스플레이, 굽힘 모드 디스플레이 또는 혼성형 디스플레이, 예컨대 OCB(광학적으로 보상된 굽힘 셀 또는 광학적으로 보상된 복 굴절), R-OCB(반사형 OCB), HAN(혼성 정렬된 네마틱) 또는 파이-셀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반사형 또는 투과형 LCD에서 광 향상 내지 반사 방지 특성 향상을 위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종래의 편광판 자리에 사용되는 점을 제외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액정표시장치(LCD) 등 화상표시장치의 다른 구성들은 종래 일반적인 구성을 그대로 채택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구비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에서의 반사 방지 작용에 대해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는 반사형 LCD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위에서부터 편광자, 반파장 필름, 사분파장 필름 및 OLED 패널의 금속 전극(반사층)의 순으로 적층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를 나타내는데,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에서는 입사광이 편광자를 거친 후 한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선 편광이 되고, 선 편광은 0<NZ<1인 반파장 필름 및 0<NZ<1인 사분파장 필름을 각각 순서대로 통과한 후에는 원 편광이 되며, 이 원 편광이 OLED 패널의 금속 전극을 만나 반사된 후 다시 0<NZ<1인 사분파장 필름 및 0<NZ<1인 반파장 필름을 각각 순서대로 통과한 후에는 처음 편광자를 통과한 선 편광과는 진동 방향이 다른 선 편광이 되도록 하여 편광자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반사 방지 특성이 개선되는 원리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LCD 광학시뮬레이터인 Techwiz 1D Polar(사나이시스템, 한국)에서 도 1과 같이 반사층(거울) 위에 사분파장 필름(제오노아, 제온), 반파장 필름(제오노아, 제온), 편광자(PVA편광자, 동우화인켐) 및 투명 보호필름(TAC, 코니카)을 위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 반파장 필름의 지상축(Slow Axis)이 서로 15°, 위 편광자의 흡수축과 사분파장 필름의 지상축(Slow Axis)이 75°가 되도록 적층한 후 반사 방지 효과를 계산하였다. 이 때 반파장 필름과 사분파장 필름의 NZ 계수는 0.5이었다.
위와 같은 적층체의 Φ=45°, θ=60°에서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구 상에 나타내었더니 도 2와 같았고, 위 적층체의 시감도 전방위 투과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확인하였더니 도 3과 같았다.
도 2와 관련하여, 적층체의 외부에서 입사되어 반사층(거울)에 의해 반사된 빛이 편광자에 완전히 흡수되면 완벽한 반사 방지 효과를 나타내고, 이와 같이 반사광이 편광자에 완벽하게 흡수되는 편광 상태를 푸앙카레구 상에 나타내면 도 2의 P1에 해당된다. 도 2에서는 실시예의 적층체의 편광자를 통과하기 전의 편광 상태(6)가 P1에 근접하므로 상당히 우수한 반사 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2의 3은 자연광인 외광이 편광자를 지나 편광되어 반파장 필름(HWF)과 사분파장 필름(QWF)을 통과했을 때의 편광 상태, 4는 그 광이 반사되었을 때의 편광 상태, 5는 그 반사광이 사분파장 필름(QWF)을 통과했을 때의 편광 상태, 6은 그 반사광이 반파장 필름(HWF)을 통과했을 때의 편광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층으로 최대 반사율를 나타낼 수 있는 거울을 사용하였음에도 도 3과 같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거울보다 반사율이 낮은 금속 전극 등에 의해 반사가 발생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액정표시장치(LCD) 등 화상표시장치에서는 당연히 화면의 경사 방향에서의 반사 방지 특성이 현저히 우수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적층체를 제작하되, 반파장 필름과 사분파장 필름의 NZ 계수를 1.5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교예 1의 적층체의 Φ=45°, θ=60°에서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구 상에 나타내었더니 도 4와 같았고, 위 적층체의 시감도 전방위 투과도 시뮬레이션 결과를 확인하였더니 도 5와 같았다.
도 4와 관련하여,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반사광이 편광자에 완벽하게 흡수되는 편광 상태를 푸앙카레구 상에 나타내면 도 4의 P1에 해당되는데, 도 4에서는 비교예의 적층체의 편광자를 통과하기 전의 편광 상태(6)가 P1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참고로, 도 4의 3은 자연광인 외광이 편광자를 지나 편광되어 반파장 필름(HWF)과 사분파장 필름(QWF)을 통과했을 때의 편광 상태, 4는 그 광이 반사되었을 때의 편광 상태, 5는 그 반사광이 사분파장 필름(QWF)을 통과했을 때의 편광 상태, 6은 그 반사광이 반파장 필름(HWF)을 통과했을 때의 편광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이는 도 2의 편광 상태와 비교해 볼 때 명백한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비교예의 적층체는 실시예의 적층체에 비해 경사 방향에서의 반사 방지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내지 13 및 비교예 2 및 3
적층체의 반파장 필름 및 사분파장 필름의 NZ 계수를 다음 표와 같이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13 및 비교예 2 및 3의 적층체들을 제조하였다.
구분 NZHWF NZQWF
실시예 2 0.75 0.25
3 0.75 0.5
4 0.75 0.75
5 0.5 0.25
6 0.5 0.75
7 0.25 0.25
8 0.25 0.5
9 0.25 0.75
10 0.1 0.5
11 0.9 0.5
12 0.5 0.1
13 0.5 0.9
비교예 2 0 0
3 1 1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측정한 실시예 2 내지 13의 적층체들의 시감도 전방위 투과도 시뮬레이션 결과는 도 7 내지 18와 같았고, 비교예 2 및 3의 적층체들의 시감도 전방위 투과도 시뮬레이션 결과는 도 19 및 20과 같았다.
도 7 내지 18과 도 19 및 20을 비교해 보면, 본원의 실시예들이 비교예에 비해 전체적으로 반사 방지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적층체의 반파장 필름 및 사분파장 필름의 NZ 계수가 0.25≤NZHWF≤0.75 및 0.25≤NZQWF≤0.75인 경우, NZHWF + NZQWF≥1인 경우의 반사 방지 특성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하부에 위치한 반파장 필름(HWF) 및 상기 반파장 필름의 하부에 위치한 사분파장 필름(QWF)을 포함하고, 상기 반파장 필름과 상기 사분파장 필름은 그 지상축들이 서로 40 내지 80°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반파장 필름 및 상기 사분파장 필름의 굴절률비는 각각 독립적으로 0<NZHWF<1 및 0<NZQWF<1인 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0.1≤NZHWF≤0.9인 편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0.25≤NZHWF≤0.75인 편광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0.1≤NZQWF≤0.9인 편광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0.25≤NZQWF≤0.75인 편광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0.1≤NZHWF≤0.9 및 0.1≤NZQWF≤0.9인 편광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0.25≤NZHWF≤0.75 및 0.25≤NZQWF≤0.75인 편광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NZHWF + NZQWF ≥0.75인 편광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NZHWF + NZQWF ≥1인 편광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파장 필름의 정면 위상차(ROHWF)는 550 nm의 파장에서 200 내지 360 nm인 편광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 필름의 정면 위상차(ROQWF)는 550 nm의 파장에서 80 내지 180 nm인 편광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파장 필름은 그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혹은 흡수축에 대하여 5 내지 25°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분파장 필름은 그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혹은 흡수축에 대하여 65 내지 85°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편광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상부에 보호필름, 위상차판 및 터치패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 추가 배치된 편광판.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또는 액정표시장치(LCD)인 화상표시장치.
KR1020100116657A 2010-11-23 2010-11-23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120055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657A KR20120055129A (ko) 2010-11-23 2010-11-23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PCT/KR2011/008847 WO2012070808A2 (ko) 2010-11-23 2011-11-18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TW100142504A TW201227010A (en) 2010-11-23 2011-11-21 Antireflectiv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657A KR20120055129A (ko) 2010-11-23 2010-11-23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129A true KR20120055129A (ko) 2012-05-31

Family

ID=4614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657A KR20120055129A (ko) 2010-11-23 2010-11-23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20055129A (ko)
TW (1) TW201227010A (ko)
WO (1) WO2012070808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983A1 (ko) * 2013-09-27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US9583543B2 (en) 2014-12-08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66384B2 (en) 2014-12-08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10082700B2 (en) 2014-12-26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45022A (ko) * 2017-10-23 2019-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US10317595B2 (en) 2015-02-11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circular polarizing plate having retardations corresponding to pixels
US10989850B2 (en) 2013-09-27 2021-04-27 Lg Chem, Ltd. Optical film having a liquid crystal layer including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compoun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7426B (zh) 2013-03-28 2015-09-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偏光片及显示装置
PL3254656T3 (pl)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EP3064969A4 (en) 2013-10-28 2017-07-05 Zeon Corporation Multilayer film, optically anisotropic laminate, circular polarize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2422556B1 (ko) * 2014-09-26 2022-07-1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원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광대역 λ/4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132A (ja) * 1998-02-12 1999-08-27 Nitto Denko Corp 1/4波長板、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276392B2 (ja) * 2001-07-25 2009-06-10 龍男 内田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
JP4109914B2 (ja) * 2002-06-24 2008-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4997591B2 (ja) * 2007-03-30 2012-08-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983A1 (ko) * 2013-09-27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US10989850B2 (en) 2013-09-27 2021-04-27 Lg Chem, Ltd. Optical film having a liquid crystal layer including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compounds
US9583543B2 (en) 2014-12-08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66384B2 (en) 2014-12-08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10082700B2 (en) 2014-12-26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317595B2 (en) 2015-02-11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circular polarizing plate having retardations corresponding to pixels
KR20190045022A (ko) * 2017-10-23 2019-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US11809044B2 (en) 2017-10-23 2023-11-07 Samsung Sdi Co., Ltd. Liquid crystal phase difference film, polarizing plate for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0808A3 (ko) 2012-09-27
TW201227010A (en) 2012-07-01
WO2012070808A2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5129A (ko)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TWI240128B (en) In-planes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compensation film for angular field of view using +A-plate and +C-plate
JP5248546B2 (ja) 液晶表示装置
JP4792545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30007220A (ko) 광학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5259824B2 (ja) 液晶表示装置
JP2020098340A (ja) 位相差層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
KR101314480B1 (ko) 면상 스위치 모드 lc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치 모드 lcd
JPWO2009125515A1 (ja) 液晶表示装置
JP6925588B2 (ja) 反射防止用光学フィルタ及び有機発光装置
WO2012133137A1 (ja) 液晶表示装置
KR20190138598A (ko)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11149047B (zh) 层合体和包括其的液晶显示装置
KR102513842B1 (ko) 편광판
WO2013111867A1 (ja) 液晶表示装置
KR20030007215A (ko) 원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TWI639031B (zh) 抗反射光學濾波器及有機發光裝置
JP2004177951A (ja) 液晶表示装置
US20020130997A1 (en) Optical film, polarizer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2020046667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TW20042643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machine
KR102442853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이의 용도
JP2019066531A (ja) 液晶モジュール
WO2021060247A1 (ja) 位相差板、並びに、それを備えた円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JP2008299290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