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406A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406A
KR20120054406A KR1020100115762A KR20100115762A KR20120054406A KR 20120054406 A KR20120054406 A KR 20120054406A KR 1020100115762 A KR1020100115762 A KR 1020100115762A KR 20100115762 A KR20100115762 A KR 20100115762A KR 20120054406 A KR20120054406 A KR 20120054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selection
items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420B1 (ko
Inventor
박세현
허정아
방효상
김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420B1/ko
Priority to US12/979,590 priority patent/US8698936B2/en
Publication of KR2012005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설정 항목과 그 설정값의 설정 상황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촬영 및/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사항들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설정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이 표시되는 선택 영역, 및 상기 설정 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설정값들과 함께 표시되는 조절 영역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설정 항목들이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후보 항목들로 지정되고,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후보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의 촬영 및/또는 다른 작동에 필요한 설정 상황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필름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입력 또는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서 이미지 프로세싱하고 이를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그 이미지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 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표시장치에 표시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설정 항목과 그 설정값의 설정 상황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촬영 및/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사항들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설정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이 표시되는 선택 영역, 및 상기 설정 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설정값들과 함께 표시되는 조절 영역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설정 항목들이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후보 항목들로 지정되고,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후보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항목들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표시 순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표시 항목들 중에서 상기 표시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표시 개수만큼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상기 후보 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후보 항목들 중에서 상기 표시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 모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별로 상기 표시 항목들이 디폴트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후보 항목들이,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고정되는 표시 고정 항목, 및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사용자 설정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영역에, 설정된 설정 항목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선택바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설정 항목들 중에서 디폴트로 지정된 또는 선택된 선택 항목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과 함께 일렬로 배열되는 조절바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항목들 중에서 상기 선택 항목이 다른 설정 항목들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택바에 상기 설정 항목들과 각각의 상기 설정 항목의 현재 설정값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바에, 상기 선택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설정값의 설정 범위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되고, 상기 설정 범위와 함께 상기 현재 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바에, 상기 선택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설정값의 설정 범위가 그 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택바가 상기 표시부의 상측 또는 하측 끝단부에 상기 표시 항목들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도록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조절바가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선택바와 나란히 표시될 수 있다.
메뉴 설정 또는 지정된 버튼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선택바가 표시되고,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조절바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렌즈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렌즈 모듈에 복수의 설정 항목들 중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선택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부가 설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그 조작에 의하여 상기 선택 항목의 설정값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가 버튼, 슬라이딩 스위치, 회전 절환 스위치, 및 링 타입의 선택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가 상기 렌즈 배럴에 링 타입으로 설치되는 조절링이 될 수 있다.
상기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설정값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작동될 수 있다.
입력 영상이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설정값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이 입력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입력 영상이 라이브 뷰로 표시될 수 있다.
조리개, 셔터 스피드, 및 노출값을 포함하는 설정 항목들에 대하여, 하나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다른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상호 연관되어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입력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이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선택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조절 영역에 상기 설정 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설정값들과 함께 표시되는 단계;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설정 항목들이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후보 항목들로 지정되고,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후보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 항목들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표시 순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표시 항목들 중에서 상기 표시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표시 개수만큼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상기 후보 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후보 항목들 중에서 상기 표시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 모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별로 상기 표시 항목들이 디폴트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후보 항목들이,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고정되는 표시 고정 항목, 및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사용자 설정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영역에 설정된 설정 항목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선택바가 표시되고,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설정 항목들 중에서 디폴트로 지정된 또는 선택된 선택 항목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상기 후보 설정값들과 함께 일렬로 배열되는 조절바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선택바에 상기 설정 항목들과 각각의 상기 설정 항목의 현재 설정값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조절바에, 상기 선택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설정값의 설정 범위가 그 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메뉴 설정 또는 지정된 버튼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선택바가 표시되고,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조절바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설정 항목과 그 설정값의 설정 상황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촬영 및/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사항들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앞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본체로부터 분리된 렌즈 모듈과 렌즈 모듈에 포함되는 조절링의 조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과 렌즈 모듈에 포함되는 조절링의 조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아이 펑션(i-Function, iFn) 메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아이 펑션(i-Function, iFn) 메뉴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아이 펑션 메뉴 표시를 위하여, 후보 항목들 중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표시 항목들을 선택하기 위한 iFn 옵션 메뉴 표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각각의 작동 모드에 대하여 구분되는 표시 고정 항목과 사용자 설정 항목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0)의 앞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10)의 뒷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0)는 본체(10a); 및 렌즈 모듈(1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a)는 디지털 카메라(10)의 메인 바디가 될 수 있다. 본체(10a)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는 디지털 카메라(10)의 작동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100)은 본체(10a)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렌즈 모듈(100)은 본체(10a)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교환 렌즈 모듈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렌즈 모듈(100)이 교환 렌즈가 아닌 고정식 렌즈가 될 수도 있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100a), 조절링(110), 및 선택 버튼(120)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배럴(100a)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들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렌즈 배럴(100a)에는 조절링(110) 및/또는 선택 버튼(120)이 설치될 수 있다.
조절링(110)은 그 조작에 의하여 특정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변경 또는 조절할 수 있다. 조절링(110)은 그 조작에 의하여 선택된 선택 항목의 설정값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부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조절링(110)은 렌즈 모듈(100)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값을 용이하게 변경 및/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택 버튼(120)은 그 조작에 의하여 아이 펑션 메뉴(i-Function menu)를 호출하거나,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선택 버튼(120)은 복수의 설정 항목들 중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선택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부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절링(110)과 선택 버튼(120) 모두 렌즈 모듈(100)에 설치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조절링(110) 및/또는 선택 버튼(120)이 본체(10a)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한편, 교환식 렌즈 모듈의 경우에는 포커스, 줌, 조리개 등을 렌즈 모듈에서 조정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환식 렌즈 모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렌즈 모듈을 조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포커스, 줌, 조리개 등을 조작하기 위한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별도의 조작 링을 다양한 설정을 위한 선택부 및/또는 조절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부 및/또는 조절부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촬영 및/또는 다른 다양한 작동에 필요한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에서는, 통상적으로 본체(10a)에서 설정하던 설정값을 렌즈 모듈(100)에서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의 촬영 또는 기타 다양한 작동을 위한 설정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카메라(10)에 의한 촬영 또는 기타 다양한 작동을 위하여 여러 가지 설정 항목의 설정값들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조절링(110)이 조작되면 그에 따라 지정된 설정 항목의 설정값들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조절링(110)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 항목은, 촬영 모드, 화이트 밸런스, 노출 보정, 컬러 보정, 플래시 광량 조정, 감도 조정, 전자 줌, 및 초점 영역 변경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조절링(110)의 조작에 의하여 전자 줌(digital zoom)의 줌 배율이 변경되도록 지정되는 경우에, 단초점 렌즈의 경우에도 전자 줌(digital zoom)을 사용하여 화각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선택부로 버튼 타입의 선택 버튼(120)이 적용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버튼, 슬라이딩 스위치, 및 회전 절환 스위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선택부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링(110)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항목들이 지정되고, 각각의 설정 항목들에 순서가 지정되고, 선택부가 선택되는 회수에 따라 조절링(110)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 항목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선택부는 렌즈 배럴에 링 타입으로 설치되는 선택링이 될 수 있다. 선택링은 도 4의 조절링과 같이 렌즈 배럴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될 수 있다. 또는 선택링은 도 5의 조절링과 같이 렌즈 배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다. 또는, 선택링이 회전 작동 및/또는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선택부는 본체(10a)에 설치되는 모드 다이얼(13)과 같은 타입의 회전 절환 스위치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선택부(120)는 본체(10a)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5)에 표시되는 메뉴 시스템이 될 수 있다.
한편, 조절링(110)은 렌즈 배럴(100a)의 외부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렌즈 배럴(100a)의 외주면을 한바퀴 둘러싸는 링 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조절링(110)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절링(110)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이때, 조절링(110)은 일정 구간 또는 무한히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링(110a)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절링(110)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광축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조작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조절링(110a)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절링(110a)이 렌즈 배럴(100a)에 대하여 회전 및/또는 슬라이딩 조작될 수 있다. 이처럼 조절링(110a)을 다양한 형태로 작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절링(110a)에 의한 설정값 설정 시에 사용자 편이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에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렌즈 모듈(100) 뿐만 아니라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렌즈 모듈(100)이 교환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하나의 조절링(110)을 구비하는 실시예이다. 이때, 조절링(110)은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 또는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 또는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모듈(100)에 포커스 조정링, 줌 조정링, 조리개 조정링 중의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선택 버튼(120)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정링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의 조절링(110)이 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별도의 조절링을 위한 추가적인 기구 및 센서 구조를 탑재하지 아니하고도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값을 용이하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조절링(110)에 의하여 설정할 설정 항목이 미리 지정되고, 선택 버튼(120)의 선택에 의하여 조절링(110)의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할 것인지, 포커스 또는 줌 또는 조리개를 조정할 것인지 선택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렌즈 모듈(100')이 각각 렌즈 배럴(100a')에 장착되는 조리개 조정링(111), 줌 조정링(112), 및 포커스 조정링(1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그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를 조정하는 조리개 조정링(111), 그 조작에 의하여 줌을 조정하는 줌 조정링(112), 및 그 조작에 의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링(11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절링(110)이 될 수 있다.
이때, 선택 버튼(120) 또는 다른 별도로 구비되는 전환 버튼(예를 들어 20)의 선택에 의하여 조리개 조정링(111), 줌 조정링(112), 및 포커스 조정링(11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절링이 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본체(10a)의 외부에는 셔터-릴리스 버튼(12) 및 모드 다이얼(1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16), 메뉴-OK 버튼(17), 및 디스플레이 패널(1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셔터-릴리스 버튼(12)은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예를 들어, CCD 또는 CMOS)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셔터가 열리고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모드 다이얼(13)을 통하여 촬영 모드 선택이 입력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의 본체(10a)에서, 모드 다이얼(13)을 통하여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AUTO(자동 촬영) 모드, 촬영 상황 또는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 설정을 간단히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SCENE 모드, 연속촬영, 장면촬영 등 영상 촬영에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해 이용하는 EFFECT 모드, 조리개와 셔터속도를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하는 A/S/M 모드 등을 포함한 다양한 모드들이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는 렌즈 모듈(100)에 구비되는 포커스 조정링, 줌 조정링, 및 조리개 조정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본 발명의 조절링(110)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추가의 모드 예를 들어 지능 기능 모드(Intelligent Function Mod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다이얼(13)에 지능 기능 모드가 더 포함되고, 지능 기능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설정된 조정링이 조절링(110)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방향 버튼(17)에는 상향 버튼, 하향 버튼, 좌향 버튼, 우향 버튼의 총 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16)과 메뉴-OK 버튼(17)의 작동에 의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가 실행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5)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5)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메뉴 시스템이 표시되고, 메뉴 시스템이 터치 스크린 및/또는 방향 버튼(16)과 메뉴-OK 버튼(17)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 시스템에 의하여 조절링(110)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항목들이 지정되고, 각각의 설정 항목들에 순서가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메뉴 시스템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부가 되고, 그 선택에 의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을 변경시키는 선택부(120)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 펑션 메뉴(i-Function menu)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 펑션 메뉴에는 설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바와 선택된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바가 표시될 수 있다. 선택바 및 조절바는 각각 선택부(120)와 조절부(110)에 연동되어 조작될 수 있다.
즉, 선택부(120) 및 조절부(110)를 포함하는 아이 펑션 메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선택바 및 조절바의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UI)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본체(10a)에는 렌즈 이송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작 스위치(11)는 전방 조작 스위치(11a) 및 후방 조작 스위치(11b)를 구비할 수 있다.
전방 조작 스위치(11a)의 조작에 의하여 렌즈가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렌즈 모듈(100)이 작동될 수 있다. 후방 조작 스위치(11b)의 조작에 의하여 렌즈가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렌즈 모듈(100)이 작동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포커스 조정링이 조절링(1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부(120)의 선택에 의하여 조절링(110)이 포커스 조정링으로 기능하거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설정 항목의 설정값을 설정하기 위한 조정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조절링(110)이 포커스 조정링으로 사용되는 경우, 조절링(110)을 작동시키면 렌즈 배럴 내부에 장착된 포커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전 또는 후로 이송시키면서,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동 초점 모드에서는 포커스 조정링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자동 초점 모드에서는 별도의 선택부(120)에 의한 선택 없이 자동으로 포커스 조정링이 조절링(1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동 초점 모드에서는 포커스 조정링이 포커스 조정에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은 입력 영상이 라이브 뷰(Live View)로 표시되거나 저장 영상이 재생되어 표시되는 표시부에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본체(100a) 내부 및/또는 외부에는 도 3의 제어 장치(20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200)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17)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2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212)가 광학 사용자 입력부(217)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auto focusing mode)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212)를 통하여 광학 구동부(210)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즉, 포커스 모터(MF)를 구동하여 가장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포커스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여 자동 초점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조리개 조정 모터(MA)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 및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2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CDS-ADC 소자(201) 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간 클록(2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CDS-ADC 소자(2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Y 값) 및 색도(R, G, B) 또는 채도와 명도 및 색도(R, G, B)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2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216)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2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2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2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15) 및 디스플레이 패널(215)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214)는 본 발명의 표시부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에는 입력 영상이 라이브 뷰로 표시되거나, 저장 영상이 재생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 펑션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208)와 그 접속부(2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209) 및 비디오 출력부(2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213)는, 마이크로폰(218)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 또는 스피커(219)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2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19)로 출력한다. 플래시 제어기(211)는 플래시(220)의 작동을 제어한다. 플래시 제어기(211)는 마이크로 제어기(212)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도 2의 디지털 카메라(10)의 디스플레이 패널(15)에 표시되는 아이 펑션(i-Function, iFn) 메뉴의 실시예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5)은 이미지 및/또는 여러 가지 설정 또는 작동 상황을 보여주는 표시 화면(70, 80)이 표시된다. 표시 화면(70, 80)은 선택 영역(72, 82) 및 조절 영역(71, 81)을 포함한다.
선택 영역(72, 82)에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조절 영역(71, 81)에는 표시되는 설정 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설정값들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즉, 표시 화면(70, 80)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이 표시되고, 특정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의 조절 상황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화면에 설정 가능한 설정 항목들과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상황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아이 펑션 메뉴에 의하여 메뉴 설정의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 영역(72, 82) 및 조절 영역(71, 81)에 표시되는 메뉴들 각각을 선택부 예를 들어 선택 버튼(120)과 조절부 예를 들어 조절링(110)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hysical User Interface, PUI)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연동시킴으로써, 기능 설정의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이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후보 항목들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선택 영역(72, 82)에 후보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표시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설정에 따라 선택 영역(72, 82)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선택바(72)에는 포커스(A), 조리개(F), 셔터 스피드(S), 노출(EV), 감도(ISO), 화이트 밸런스(WB), 및 줌(iZoom) 7개가 표시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선택바(82)에는 포커스(A), 조리개(F), 셔터 스피드(S), 및 노출(EV) 4개가 표시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항목들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iFn 옵션 메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iFn 옵션 메뉴에 후보 항목들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후보 항목들 중에서 표시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표시 항목으로 선택된 설정 항목들만 선택바(72, 82)에 표시될 수 있다. iFn 옵션 메뉴의 일 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포커스(A), 조리개(F), 셔터 스피드(S), 및 노출(EV) 4개가 표시 항목으로 선택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 8과 같이 선택바(82)에 포커스(A), 조리개(F), 셔터 스피드(S), 및 노출(EV)의 설정 항목만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 항목들 중에서 표시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표시 개수만큼의 설정 항목이 선택 영역(72, 8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택 영역에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표시 순서가 미리 설정되고, 설정된 개수만큼 순서에 따라 선택 영역(72, 82)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화면에 표시 개수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 개수를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모드는 촬영 모드를 포함한 카메라의 작동 방법을 정의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작동 모드 별로 표시 화면(70, 80)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작동 모드별로 표시 항목들이 디폴트로 지정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작동 모드에 대하여 표시 항목들이 고정적으로 지정되거나 변경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에는 각각의 작동 모드에 대하여 구분되어 설정되는 표시 고정 항목과 사용자 설정 항목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작동 모드들에 대하여 표시 고정 항목과 사용자 설정 항목이 지정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작동 모드들에 대하여 후보 항목들이 표시 고정 항목과 사용자 설정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고정 항목은 각각의 작동 모드에 대하여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고정되는 설정 항목이다. 사용자 설정 항목은 각각의 작동 모드에 대하여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설정 항목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모드는 P 모드, A 모드, S 모드, 및 M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 스피드(S.S), 조리개(Aperture), 및 노출(EV)은 표시 고정 항목이 될 수 있다. 또한, 감도(ISO) 및 화이트 밸런스(WB)는 사용자 설정항목이 될 수 있다.
여기서, P 모드에는 노출(EV)이 표시 항목이 되고, 셔터 스피드(S.S) 및 조리개(Aperture)는 설정바에 표시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A 모드에는 조리개(Aperture)가 표시 항목이 되고, 셔터 스피드(S.S) 및 노출(EV)은 설정바에 표시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S 모드에는 셔터 스피드(S.S)가 표시 항목이 되고, 조리개(Aperture) 및 노출(EV)은 설정바에 표시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M 모드에는 셔터 스피드(S.S) 및 조리개(Aperture)가 표시 항목이 되고, 노출(EV)은 설정바에 표시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드 특성에 따라 특정 모드들이 표시 고정 항목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모드의 아이 펑션 메뉴에서는 특정 설정 항목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보자의 경우에도 아이 펑션을 통하여 기능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드 특성에 따라 특정 모드들은 사용자 설정 항목이 되도록 함으로써, 아이 펑션 메뉴에서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정 항목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기능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선택 영역(72, 82)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선택 항목에 대하여, 조절 영역(71, 81)에 현재 설정값과 후보 설정값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설정하고자 선택되는 선택 항목이 선택 영역(72, 82)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설정값이 조절 영역(71, 8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부분은 선택 영역(72, 82) 또는 조절 영역(71, 81)에서 중앙이 되는 포인트 예를 들어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의 중앙점을 포함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과 그 설정값의 설정 상황을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 펑션 메뉴 상의 사용자의 눈에 가장 잘 보이는 부분에 함께 보여줄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촬영 및/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사항들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택 영역(72, 82)에는 선택바(74, 84)가 표시될 수 있다. 선택바(74, 84)는 선택 영역(72, 82)에 설정된 설정 항목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조절 영역(71, 81)에는 조절바(73, 83)가 표시될 수 있다. 조절바(73, 83)는 선택바(74, 84)에 표시되는 설정 항목들 중에서 디폴트로 지정된 또는 선택된 선택 항목에 대하여, 조절 영역(71, 81)에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과 함께 일렬로 배열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선택 항목은 후보 항목들 중에서 아이 펑션 메뉴가 호출되면서 디폴트로 지정되는 설정 항목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선택 항목은 선택바(74, 84)에 표시된 표시 항목들 중에서 선택 버튼(120) 또는 선택링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택바(74, 84)에 표시 가능한 후보 항목들 중에서 표시될 수 있는 표시 항목들이 지정될 수 있다. 이때, 선택바(74, 84)에 후보 항목들 중에서 설정된 개수의 표시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항목들 중에서 선택 항목이 다른 설정 항목들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바(73, 83)에 설정값들이 표시되는 설정 항목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8에는 조리개(F)가 선택 항목이 되는 아이 펑션 메뉴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조리개(F)가 선택 항목이 되어 다른 표시 항목들과 다르게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항목들 중에서 선택 항목이 다른 설정 항목들과 다른 모양으로 표시되어, 구별될 수 있다.
선택바(72)에는 포커스(A), 조리개(F), 셔터 스피드(S), 노출(EV), 감도(ISO), 화이트 밸런스(WB), 및 줌(iZoom)이 표시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 중에서 조리개(F)가 선택 항목으로 선택되고, 선택바(72)에서 조리개(F)가 음영 처리 또는 다른 색상 등으로 표시되어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선택바(74, 84)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의 개수가 후보 항목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선택 항목이 변경됨에 따라 표시 항목들의 구성이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선택 버튼(120)이 눌려져 다음 설정 항목인 노출(EV)이 선택 항목으로 선택되면, 선택바(74, 84)가 회전되는 것처럼, 노출(EV) 항목이 중앙 부분으로 오고, 현재 오토 포커스(A)로 설정된 포커스 설정 항목이 선택바(74, 84)에서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선택바(74, 84)에는 설정 항목들과 각각의 설정 항목의 현재 설정값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조리개(F)가 4, 셔터 스피드(S)가 4000, 감도(ISO)가 3200, 화이트 밸런스(WB)가 태양빛, 그리고 줌(iZoom)이 1배로 설정되고 선택바(74)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조절바(73, 83)에는 선택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설정값의 설정 범위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조절바(73, 83)에는 설정 범위와 함께 현재 설정값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설정 범위는 값의 크기가 있는 설정 항목에 대해서는 그 크기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조절바(73, 83)에는 선택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설정값의 설정 범위가 그 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설정 범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선택 항목에 대한 설정 가능한 값의 범위가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설정 범위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선택 항목에 대한 설정 가능한 값의 범위가 순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 범위와 현재 설정값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절바(73, 83)에는 설정 범위가 그림 또는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조절바(73, 83)에는 설정 범위의 하한값, 상한값, 및 현재 설정값이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조절바(73, 83)는 설정 범위가 눈금자 또는 막대 그래프의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리개(F)를 선택 항목으로 하여, 조절바(73)에 눈금자 모양으로 표시되고, 하한값 2.8과 상한값 16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현재 설정값은 눈금자 모양으로 표시된 조절바(73)의 전체 설정 범위 중에서 현재 설정값의 비율에 해당하는 위치에 현재 설정값 4가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현재 설정값 4가 다른 후보 설정값들보다 큰 글씨로 쓰여져, 현재 설정값이 다른 설정값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을 다른 설정값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 설정에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의 조절링(110)과 도 7의 조절바(73)가 연동되는 경우에, 조절링(110)을 조절하면 그 회전에 따라 조절바(73)도 함께 회전되면서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서, 조절링(110)을 좌로 회전시키면 조절바(73)도 함께 회전되면서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딩 타입의 조절링과 조절바(83)가 연동되는 경우에, 조절링(110a)을 조절하면, 그 슬라이딩에 따라 조절바(83)도 함께 슬라이딩되어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조절바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배치되는 수직 타입이 될 수 있다. 이때, 조절링을 카메라 쪽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조절바도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선택 버튼(120)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바(74, 84)에서 선택 항목이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이동되면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선택 항목이 변경됨에 따라, 활성화된 선택 항목에 대한 설정 범위 및 설정값이 변경되는 선택 항목에 대한 것으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선택 항목의 변경은 선택 버튼(120)이 눌려지는 회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절링(110)의 조작에 의하여 조절바(73, 83)에서 현재 설정값이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현재 설정값이 특정 버튼 예를 들어 메뉴-OK 버튼(17)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 항목에 대한 설정값으로 반영되어, 선택 항목의 설정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링(110)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선택 항목의 설정값이 큰 방향으로 또는 작은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링(110)이 왼쪽으로 회전되면 조절바(73, 83)에서 현재 설정값이 작아지는 값으로 변경되고, 조절링(110)이 오른쪽으로 회전되면 조절바(73, 83)에서 현재 설정값이 커지는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설정값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조절링(110)이 조작되면 선택 항목의 현재 설정값이 조절바(73, 83) 상에서 변경되고, 해당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변경되고, 입력 영상의 입력 또는 카메라의 작동이 변경된 설정값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다른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상호 연관되어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 셔터 스피드, 및 노출값을 포함하는 설정 항목들에 대하여, 하나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다른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상호 연관되어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설정값에 의하여 입력 영상이 입력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5)에 입력 영상이 라이브 뷰(Live View)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촬영 등에 관련된 설정값의 변화가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입력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변경된 설정값에 의한 입력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5)에 라이브 뷰로 표시될 수 있다. 촬영에 관련되어 실시간으로 함께 변경되는 설정 항목들은 조리개, 셔터 스피드, 및 노출값을 포함하는 설정 항목들이 될 수 있다.
한편, 메뉴 설정 또는 지정된 버튼(예를 들어 도 2의 20)의 선택에 의하여 아이 펑션 메뉴가 호출되어 표시 화면(70, 8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 펑션 메뉴가 호출되면, 선택바(74, 84)가 선택 영역(72, 82)에 표시되고, 조절바(73, 83)가 조절 영역(71, 81)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작동 중에 선택부에 해당하는 선택 버튼(120)이 눌려지면 아이 펑션 메뉴가 호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정된 선택 항목이 활성화되고, 선택 항목에 대한 조절바(73, 83)가 표시되어, 선택 항목의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아이 펑션 기능이 켜진 상태에서 특정 메뉴가 호출되거나 할당된 특정 버튼이 눌려지면, 아이 펑션 메뉴가 표시 화면(70, 80)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설정된 설정 기능 예를 들어 아이 펑션 기능이 온 상태에서, 조절부 예를 들어 조절링(110)이 작동되면, 선택바(74, 84)가 선택 영역(72, 82)에 표시되고, 조절바(73, 83)가 조절 영역(71, 81)에 표시되어 아이 펑션 메뉴가 호출될 수 있다.
한편, 설정 항목에 의하여 설정되는 기능 및/또는 성격에 따라,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UI)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대응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UI)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직관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기능 설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설정 항목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이 비연속적 또는 유사성이 없는 독립적인 경우에는 비연속적인 형태의 조작부에 의하여 그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설정 항목에 의하여 설정되는 설정값이 연속적 또는 동일 유사한 성격을 갖는 경우에는 연속적인 형태의 조작부에 의하여 그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화이트 밸런스(WB)는 비연속적인 설정값을 갖는 설정 항목이 될 수 있으며, 조리개(F), 셔터 스피드(S), 및 줌(iZoom) 등은 연속적인 설정값을 갖는 설정 항목이 될 수 있다.
또한, 비연속적인 형태의 조작부는 버튼, 슬라이딩 스위치, 회전 링, 및 회전 절환 스위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속적인 형태의 조작부는 링 타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링 타입의 조작부는 렌즈 배럴에 대하여 회전 작동되거나 렌즈 배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과 촬상 소자의 화면 비율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영상을 화면 비율의 변경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5)에 표시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5) 상의 표시 화면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생길 수 있다.
이때, 전체 표시 화면이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영역과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블랭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랭크 영역은 전체 표시 화면에서 낭비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블랭크 영역에 선택 영역 및 조절 영역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5) 상의 표시 화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표시 화면의 하단부가 정보 표시 영역으로 사용되고, 정보 표시 영역에 사용자에게 촬영 또는 카메라의 작동에 필요한 기능의 현재 설정 상황을 보여줄 수 있다.
아이 펑션 메뉴가 호출되면, 정보 표시 영역이 사라지고, 해당 위치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바(74, 84)와 조절바(73, 83)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 펑션 메뉴에서는 단순한 수동적인 정보 표시 영역이 선택바(74, 84)와 조절바(73, 83)에 의한 능동적인 정보 설정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정보 표시 영역은 블랭크 영역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5)에 라이브 뷰(Live View) 이미지 표시 시에 블랭크 영역에 현재 설정된 설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설정 기능 예를 들어 아이 펑션 메뉴의 호출 시에, 블랭크 영역에 선택 영역 및 조절 영역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 화면상의 선택바(74, 84) 및 조절바(73, 83)의 위치가 선택부 및 조절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부가 본체를 기준으로 조절부보다 뒤에 배치되는 경우에 표시 화면상에서 선택바(74)가 조절바(73)보다 뒤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선택부가 본체를 기준으로 조절부보다 앞에 배치되는 경우에 표시 화면상에서 선택바가 조절바보다 앞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UI)의 위치 관계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위치 관계를 일치시켜, 사용자가 직관적인 조작에 의하여 설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부가 버튼 타입의 선택 버튼(120)이고, 조절부가 회전 링 타입의 조절링(110)이 되고, 선택 버튼(120)이 조절링(110)보다 뒤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상에서 선택바(74)가 조절바(73)보다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아이 펑션 메뉴(73, 74)가 표시 화면(70) 상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선택바(74)는, 표시 항목들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수평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도록, 선택 영역(72)에 표시될 수 있다. 조절바(73)는 조절 영역(71)에 선택바(74)와 나란히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선택바(74) 및 조절바(73)는 표시 화면(70)의 상측 또는 하측 끝단부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선택바는 표시 항목들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수직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도록,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조절바는 조절 영역에 선택바와 나란히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선택바 및 조절바는 표시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 끝단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아이 펑션 메뉴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조절부는 렌즈 배럴(100a)의 길이 방향으로 하는 슬라이딩 작동되는 조절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앞뒤로 작동되는 조절링과 수직으로 조정되는 조절바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UI)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더욱 직관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내용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 입력단계; 영상 표시단계; 선택영역 표시단계; 및 조절영역 표시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입력단계에는 입력 영상이 입력될 수 있다. 영상 표시단계에는 표시 화면에 입력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선택영역 표시단계에는 표시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선택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조절영역 표시단계에는 표시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조절 영역에 설정 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설정값들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이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후보 항목들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선택 영역(72, 82)에 후보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표시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설정에 따라 선택 영역(72, 82)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표시 항목들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Fn 옵션 메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iFn 옵션 메뉴에 후보 항목들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후보 항목들 중에서 표시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표시 항목으로 선택된 설정 항목들만 선택바(72, 82)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 항목들 중에서 표시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표시 개수만큼의 설정 항목이 선택 영역(72, 8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택 영역에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표시 순서가 미리 설정되고, 설정된 개수만큼 순서에 따라 선택 영역(72, 82)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화면에 표시 개수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 개수를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모드는 촬영 모드를 포함한 카메라의 작동 방법을 정의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작동 모드 별로 표시 화면(70, 80)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이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작동 모드에 대하여 표시 항목들이 고정적으로 지정되거나 변경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에는 각각의 작동 모드에 대하여 구분되어 설정되는 표시 고정 항목과 사용자 설정 항목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작동 모드들에 대하여 표시 고정 항목과 사용자 설정 항목이 지정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작동 모드들에 대하여 후보 항목들이 표시 고정 항목과 사용자 설정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선택 영역(72, 82)에는 설정된 설정 항목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선택바(74, 84)가 표시될 수 있다. 선택바(74, 84)에는 설정 항목들과 각각의 설정 항목의 현재 설정값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조절 영역(71, 81)에는 설정 항목들 중에서 디폴트로 지정된 또는 선택된 선택 항목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설정값들과 함께 일렬로 배열되는 조절바(73, 83)가 표시될 수 있다. 조절바(73, 83)에는 선택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설정값의 설정 범위가 그 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메뉴 설정 또는 지정된 버튼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 영역에 선택바가 표시되고 조절 영역에 조절바가 표시되어, 아이 펑션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설정 항목과 그 설정값의 설정 상황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촬영 및/또는 기타 작동에 필요한 사항들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메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설계 인자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00: 렌즈 모듈,
110: 조절링, 120: 선택 버튼,
70, 80: 표시 화면, 71, 81: 조절 영역,
72, 82: 선택 영역, 73, 83: 조절바,
74, 84: 선택바.

Claims (30)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설정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이 표시되는 선택 영역, 및
    상기 설정 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설정값들과 함께 표시되는 조절 영역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설정 항목들이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후보 항목들로 지정되고,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후보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항목들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표시 순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표시 항목들 중에서 상기 표시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표시 개수만큼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후보 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후보 항목들 중에서 상기 표시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입력받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 모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별로 상기 표시 항목들이 디폴트로 지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항목들이,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고정되는 표시 고정 항목, 및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사용자 설정 항목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에, 설정된 설정 항목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선택바가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설정 항목들 중에서 디폴트로 지정된 또는 선택된 선택 항목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과 함께 일렬로 배열되는 조절바가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항목들 중에서 상기 선택 항목이 다른 설정 항목들과 다르게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바에 상기 설정 항목들과 각각의 상기 설정 항목의 현재 설정값이 함께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바에, 상기 선택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설정값의 설정 범위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되고, 상기 설정 범위와 함께 상기 현재 설정값이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바에, 상기 선택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설정값의 설정 범위가 그 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바가 상기 표시부의 상측 또는 하측 끝단부에 상기 표시 항목들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설정된 순서에 따라 배열되도록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조절바가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선택바와 나란히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메뉴 설정 또는 지정된 버튼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선택바가 표시되고,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조절바가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렌즈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렌즈 모듈에 복수의 설정 항목들 중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선택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부가 설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그 조작에 의하여 상기 선택 항목의 설정값을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부가 설치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가 버튼, 슬라이딩 스위치, 회전 절환 스위치, 및 링 타입의 선택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가 상기 렌즈 배럴에 링 타입으로 설치되는 조절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설정값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작동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이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설정값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이 입력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입력 영상이 라이브 뷰로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조리개, 셔터 스피드, 및 노출값을 포함하는 설정 항목들에 대하여, 하나의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 다른 설정 항목의 설정값이 상호 연관되어 함께 변경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1. 입력 영상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이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선택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인 조절 영역에 상기 설정 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설정 가능한 설정값들과 함께 표시되는 단계;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설정 항목들이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후보 항목들로 지정되고,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후보 항목들 중에서 선택된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항목들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표시 항목들이 표시되는 표시 순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표시 항목들 중에서 상기 표시 순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표시 개수만큼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후보 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후보 항목들 중에서 상기 표시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입력받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 모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별로 상기 표시 항목들이 디폴트로 지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항목들이,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고정되는 표시 고정 항목, 및
    각각의 상기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될 것인지 여부가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사용자 설정 항목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에 설정된 설정 항목들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선택바가 표시되고,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설정 항목들 중에서 디폴트로 지정된 또는 선택된 선택 항목에 대하여 현재 설정된 현재 설정값이 상기 후보 설정값들과 함께 일렬로 배열되는 조절바가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바에 상기 설정 항목들과 각각의 상기 설정 항목의 현재 설정값이 함께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바에, 상기 선택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가능한 설정값의 설정 범위가 그 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메뉴 설정 또는 지정된 버튼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상기 선택바가 표시되고, 상기 조절 영역에 상기 조절바가 표시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115762A 2010-11-19 2010-11-1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1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762A KR101716420B1 (ko) 2010-11-19 2010-11-1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979,590 US8698936B2 (en) 2010-11-19 2010-12-28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762A KR101716420B1 (ko) 2010-11-19 2010-11-1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406A true KR20120054406A (ko) 2012-05-30
KR101716420B1 KR101716420B1 (ko) 2017-03-27

Family

ID=4606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762A KR101716420B1 (ko) 2010-11-19 2010-11-1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98936B2 (ko)
KR (1) KR10171642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800A (ko) * 2020-06-01 2021-12-08 애플 인크. 미디어 관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15185430A (zh) * 2020-06-01 2022-10-14 苹果公司 用于管理媒体的用户界面
US11617022B2 (en) 2020-06-01 2023-03-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media
US11641517B2 (en) 2016-06-12 2023-05-02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US11669985B2 (en) 2018-09-28 2023-06-06 Apple Inc.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US11687224B2 (en) 2017-06-04 2023-06-27 Apple Inc. User interface camera effects
US11706521B2 (en) 2019-05-06 2023-07-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722764B2 (en) 2018-05-07 2023-08-08 Apple Inc. Creative camera
US11770601B2 (en) 2019-05-06 2023-09-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778339B2 (en) 2021-04-30 2023-10-0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US11895391B2 (en) 2018-09-28 2024-02-06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977731B2 (en) 2018-02-09 2024-05-07 Apple Inc. Media capture lock affordance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049B1 (ko) * 2011-04-29 2017-10-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6168720B2 (ja) * 2011-11-07 2017-07-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システム
JP5456851B2 (ja) * 2012-07-18 2014-04-02 栄彦 中島 回転スイッチ
JP6288975B2 (ja) * 2013-07-25 2018-03-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10873695B2 (en) * 2016-12-27 2020-12-22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8116237A (ja) * 2017-01-20 2018-07-26 株式会社リコー 撮影装置
EP3454545A1 (en) 2017-09-04 2019-03-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2229A (ja) * 2003-03-13 2004-10-07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5348409A (ja) * 2004-06-02 2005-1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画像取込デバイスの設定を指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072252A (ja) * 2005-09-08 2007-03-22 Canon Inc レンズ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KR20080014648A (ko) * 2006-08-11 2008-02-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1854B2 (en) * 1997-02-20 2002-08-27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with quick review of last captured image
JP2001320610A (ja) * 2000-05-02 2001-11-16 Nikon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US7271838B2 (en) * 2002-05-08 2007-09-18 Olympus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brightness distribution chart display capability
JP4876610B2 (ja) * 2006-02-14 2012-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記録媒体,データ処理装置
JP5028945B2 (ja) * 2006-10-17 2012-09-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739377B1 (ko) * 2010-11-19 2017-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53369B1 (ko) * 2010-11-19 201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2229A (ja) * 2003-03-13 2004-10-07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5348409A (ja) * 2004-06-02 2005-1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画像取込デバイスの設定を指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072252A (ja) * 2005-09-08 2007-03-22 Canon Inc レンズ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KR20080014648A (ko) * 2006-08-11 2008-02-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1517B2 (en) 2016-06-12 2023-05-02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US11962889B2 (en) 2016-06-12 2024-04-1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US11687224B2 (en) 2017-06-04 2023-06-27 Apple Inc. User interface camera effects
US11977731B2 (en) 2018-02-09 2024-05-07 Apple Inc. Media capture lock affordance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722764B2 (en) 2018-05-07 2023-08-08 Apple Inc. Creative camera
US11669985B2 (en) 2018-09-28 2023-06-06 Apple Inc.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US11895391B2 (en) 2018-09-28 2024-02-06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706521B2 (en) 2019-05-06 2023-07-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770601B2 (en) 2019-05-06 2023-09-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617022B2 (en) 2020-06-01 2023-03-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media
CN115185430B (zh) * 2020-06-01 2023-05-26 苹果公司 用于管理媒体的用户界面
KR20210148800A (ko) * 2020-06-01 2021-12-08 애플 인크. 미디어 관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15185430A (zh) * 2020-06-01 2022-10-14 苹果公司 用于管理媒体的用户界面
US11778339B2 (en) 2021-04-30 2023-10-0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420B1 (ko) 2017-03-27
US8698936B2 (en) 2014-04-15
US20120127189A1 (en)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42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53367B1 (ko) 영상 처리 장치
EP3343286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3937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5336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24653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901941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electing operation mode based on reference photographing setting
KR10181265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157428B2 (ja) 撮像装置
US10855924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setting exposure control parameter
KR10161244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66787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20026355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51812B1 (ko) 키 조합 단축키 설정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201402760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画像合成方法、画像合成プログラム
KR2010009651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02878A (ko) 영역 설정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20110088228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