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094A - Rubber crawler - Google Patents

Rubber craw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094A
KR20120054094A KR1020127009439A KR20127009439A KR20120054094A KR 20120054094 A KR20120054094 A KR 20120054094A KR 1020127009439 A KR1020127009439 A KR 1020127009439A KR 20127009439 A KR20127009439 A KR 20127009439A KR 20120054094 A KR20120054094 A KR 20120054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wler
core metal
rubber
pai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5422B1 (en
Inventor
유따까 아비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12005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0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4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44Moulded in one piece, with either smooth surfaces or surfaces having projections, e.g. incorporating reinfor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로킷의 치부가 고무 크롤러의 구동 돌기부와 결합하여 구동력이 고무 크롤러에 인가된 경우에, 스프로킷의 치부와 코어 금속 사이에 개재하는 고무 부재의 고무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내구성이 있는 고무 크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코어 금속(12)이 고무 크롤러 본체(10) 내에 매설된 상태에서, 날개부(12a)가 크롤러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연장함과 함께, 한 쌍의 돌기부(12c, 12c)에 고무 부재가 피복되고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가 고무 크롤러(10)의 내주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에 스프로킷 치부(32)의 회전 동작에 의한 가압력이 부여되어 주회 구동되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코어 금속(12)은 한 쌍의 돌기부(12c, 12c) 사이에 존재하는 중앙부(12b)의 주위 방향의 폭을 코어 금속(12)의 날개부(12a)의 폭보다 짧게 하여, 적어도 한 쌍의 돌기부(12c, 12c)의 기단부의 양쪽 외측까지는 일정하게 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eth of the sprocket are engaged with the driving protrusions of the rubber crawler and the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rubber crawler, the rubber thickness of the rubb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teeth of the sprocket and the core metal is made uniform, and the rubber is durable. To provide a crawler. In a state where the core metal 12 is embedded in the rubber crawler main body 10, the wing 12a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10, and the rubber member is provided in the pair of projections 12c and 12c. Is covered, and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protrude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ide of the rubber crawler 10, and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are pressed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procket teeth 32. In the rubber crawler that is provided and driven in rotation, the core metal 12 has a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12b existing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s 12c and 12c, and the wing portion 12a of the core metal 12. It was made shorter than the width | variety, and it made it constant to both outer sides of the base end part of at least one pair of projection part 12c, 12c.

Description

고무 크롤러 {RUBBER CRAWLER}RUBBER CRAWLER {RUBBER CRAWLER}

본 발명은 고무 크롤러, 특히 크롤러 본체의 내주면에 설치된 스프로킷의 치부(tooth section)와 결합하는 구동 돌기부 및 크롤러 본체 내에 매설된 코어 금속을 갖는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bber crawler, in particular a rubber crawler having a driving protrusion engaging with a tooth section of a sprocket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ody and a core metal embedded in the crawler body.

최근, 크롤러 본체의 내주면에 주행기체의 구동축에 설치된 스프로킷의 치부와 결합하는 구동 돌기부가 형성되고, 크롤러 본체 내에 코어 금속이 매설된 고무 크롤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driving protrusion part which engages with the tooth part of the sprocket provided in the drive shaft of a traveling body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crawler main body, and the rubber crawler in which the core metal was embedded in the crawler main body is used a lot.

도 3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이며,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측면 단면도이다. 단, 스프로킷의 치부가 크롤러 본체의 구동 돌기부에 결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It is related with the rubber crawler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1, and is a partial schematic side sectional drawing of a crawler main body. However, the teeth of the sprocket are engaged with the driving protrusions of the crawler body.

크롤러 본체(10)에는, 복수의 코어 금속(12)이 크롤러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날개부(12a)를 연장한 자세로, 크롤러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크롤러 본체(10)의 내주면측이며 코어 금속(12)과 코어 금속(12) 사이에는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20)와 코어 금속(12)은 크롤러 본체(12)의 주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크롤러 본체(10)의 접지면(E)측에는 러그부(26)가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core metals 12 are embedded in the crawler main body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10 in a posture in which the wing portions 12a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10. It is. The recess 20 is formed between the core metal 12 and the core metal 12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ide of the crawler body 10. That is, the recessed part 20 and the core metal 12 are alternately arrange |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12. As shown in FIG. A lug portion 26 is formed on the ground plane E side of the crawler body 10.

코어 금속(12)의 크롤러 본체(10)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크롤러 본체(10)의 내주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부(12c, 12c)가 형성되어 있고(후술하는 도 4 참조), 이것들이 크롤러 본체(10)와 동일한 고무 부재로 피복되어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동 돌기부(14)는 스프로킷(30)의 치부(32)로부터의 회전 가압력(구동력)을 받아서 크롤러 본체(10)를 주회(周回) 구동하는 기능과, 회전륜(도시 생략)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A pair of protrusions 12c and 12c protruding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crawler main body 10 are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10 of the core metal 12 (see FIG. 4 to be described later). These are covered with the same rubber member as the crawler main body 10 to form a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The driving protrusion 14 receives a rotational pressing force (driving force) from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to drive the crawler main body 1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o guide a rotating wheel (not shown). Have

스프로킷(30)의 치부(32)는 스프로킷(30)의 외측 테두리 위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도 3의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크롤러 본체(10)에 형성된 오목부(20)의 깊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금속(12)이 매립되는 깊이보다 조금 얕다. 바꿔 말하면, 접지면(E)으로부터의 오목부(20)의 저면(20a)까지의 높이는, 접지면(E)으로부터 코어 금속(12)의 저면(22)까지의 높이보다 조금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구동 돌기부(14)에 회전 가압력을 인가할 때는, 치부(32)가 이 오목부(20)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하므로, 이 오목부(20)에도 회전 가압력의 일부가 인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on the outer edge of the sprocket 30, and rotat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in FIG. In addition,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20 formed in the crawler main body 10 is slightly shallower than the depth in which the core metal 12 is embedded,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height from the ground plane E to the bottom face 20a of the recess 20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from the ground plane E to the bottom face 22 of the core metal 12. . Therefore, when the tooth part 32 of the sprocket 30 applies the rotational pressing force to the driving protrusion 14, the tooth part 32 also engages the recess part 2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ecess part 20 In addition, a part of rotation pressing force is applied.

도 4는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전개 평면도이다. 상기의 오목부(20)는 크롤러 본체(10)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 오목부(20)의 영역을 사선으로 나타내었다. 이 오목부(20)의 고무 크롤러 폭 방향의 길이는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에 걸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와 결합함과 함께 오목부(20)도 결합하여 회전 가압력(구동력)을 인가하지만, 치부(32)의 고무 크롤러 폭 방향의 길이는 오목부(20)의 고무 크롤러 폭 방향의 길이 혹은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며, 따라서 치부(32)는 크롤러 본체(10)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에 걸치게 된다. 4 is a partially exploded plan view of the crawler body. Said recessed part 20 is formed in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In FIG. 4, the area | region of the recessed part 20 is shown with the diagonal line. The length of the concave portion 20 in the rubber crawler width direction is a length that extends between the pair of drive protrusions 14 and 14.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are engaged with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and the recesses 20 are also engaged to apply rotational pressing force (driving force), but the rubber crawler width of the teeth 32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direction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rubber crawler width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20 or the length between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so that the teeth 32 are in the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of the crawler body 10. A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is formed.

또한,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에는 돌기부 사이 평탄부(18)와, 그 돌기부 사이 평탄부(18)의 고무 크롤러 주위 방향의 양측에 융기부(16, 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16)에 의해, 치부(32)와 크롤러 본체(10)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치부(32)에 의해 작용되는 면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에는 홈부(36)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 홈부(36)는 진흙이나 자갈 등이 오목부(20)나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에 쌓이지 않도록, 소위 진흙 제거를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무 크롤러 제조 시의 코어 금속(12)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또는 크롤러 본체(10)가 스프로킷(30) 또는 아이들러(도시 생략)에 감겨 고무 부재가 변형되었을 때에, 크롤러 본체(10)의 내주면의 일부에 왜곡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36) 및 융기부(16)는 고무 크롤러의 사용 환경 등에 따라서는 없어도 되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5는 홈부 및 융기부가 없는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전개 평면도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Further, the flat portions 18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ridges 16 and 1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ubber crawl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s 18 between the protrusions between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 By this raised portion 16,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eeth 32 and the crawler main body 10 can be increased, and the surface pressure acted by the teeth 32 can be reduced. In addition, although the groove portion 36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the groove portion 36 is a recessed portion 20 or a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such as mud or gravel. It is formed for so-called mud removal so as not to accumulate in between. In addition, when positioning the core metal 12 at the time of rubber crawler manufacture, or when the crawler main body 10 is wound around the sprocket 30 or an idler (not shown), and the rubber member deform | transforms, It is also formed to prevent concentration of distortion o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ddition, the groove part 36 and the bulge part 16 do not need to be based on the use environment of a rubber crawler, etc., and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FIG. 5 shows, as an example, a partially exploded plan view of the crawler body without grooves and ridges.

도 6은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정면 단면도이다. 단,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크롤러 본체(10)의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와 결합하여 구동 돌기부(14)에 회전 가압력(구동력)을 부여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 구동력을 부여하고 있는 고무 크롤러 폭 방향의 범위를 W로 나타내었다. 치부(32)와 코어 금속(12) 사이의 고무 부재에는 큰 압축력이 작용하므로, 크롤러 본체(10)를 구성하는 고무 부재에 왜곡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따라 크롤러 본체(10)의 내주면이 손상하여 내구성이 용이하게 열화되지 않도록,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구동 돌기부(14)와 결합했을 때의 치부(32)와 코어 금속(12) 사이의 고무 두께가 적절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6 is a partial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rawler body. However, the tooth part 32 of the sprocket 30 couple | bonds with the pair of drive protrusions 14 and 14 of the crawler main body 10, and shows the state which provides rotational pressing force (driving force) to the drive protrusion 14. As shown in FIG. W represents the range of the rubber crawler width direction giving this driving force. Since a large compressive force acts on the rubber member between the tooth part 32 and the core metal 12, distortion tends to occur in the rubber member constituting the crawler body 10. As a result, the teeth 32 and the core metal 12 when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are engaged with the driving protrusions 14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main body 10 is not damaged and the durability is not easily degraded. It is designed so that the rubber thickness between them becomes appropriate.

또한, 코어 금속(12)을 접지면측에서 둘러싸고, 크롤러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 무단(endless)으로 존재하는 보강층(도시 생략)에는, 스틸 코드(도시 생략)가 매설되어 있어, 크롤러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의 성장을 규제하면서, 스프로킷(30)으로부터 받는 구동력에 기초하여 크롤러 본체(10)가 원활하게 주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urther, a steel cord (not shown) is embedded in the reinforcing layer (not shown) that surrounds the core metal 12 on the ground plane side and is present endles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awler body 10, and the crawler body ( The crawler main body 10 is configured to smoothly turn around based on the driving force received from the sprocket 30 while regulating grow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10).

일본 특허 공개 제2009-7879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78796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크롤러 본체(10)의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와 결합하여 구동력이 크롤러 본체(10)에 인가된 경우, 스프로킷(30)의 치부(32)와 코어 금속(12) 사이에 개재하는 고무 부재에는 큰 압축력이 인가되기 때문에, 그 부분의 고무 두께는 최적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금속(12)의 크롤러 본체의 폭 방향의 중앙부(코어 금속 중앙부)(12b)와 구동 돌기부(14)를 형성하는 돌기부(12c)의 기단부에 있어서는, 고무 부재의 두께가 상이하였다. 즉,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구동력을 미치는 범위에서, 치부(32)와 코어 금속(12) 사이의 고무 부재의 두께가 상이하였다. 도 3에, 그 두께의 차이를 화살표 t1과 화살표 t2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코어 금속(12)의 돌기부(12c)의 기단부에 대응하는 고무 두께가 얇은 부분의 내구성이, 코어 금속 중앙부(12b)에 대응하는 고무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내구성에 비하여 떨어져, 얇은 부분이 먼저 수명이 다할 우려가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are engaged with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of the crawler body 10 and the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crawler body 10, the sprocket 30 Since a large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rubb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tooth portion 32 and the core metal 12, the rubber thickness of the portion is designed to be optimal. However, as shown in FIG. 4, at the base end of the protrusion part 12c which forms the center part (core metal center part) 12b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of the core metal 12, and the drive protrusion part 14, rubber | gum is shown. The thickness of the members was different. That is, in the range in which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exert a driving force, the thickness of the rubber member between the teeth 32 and the core metal 12 was different. 3, the difference in thickness is shown by the arrow t1 and the arrow t2.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thin rubber thicknes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al end of the projection 12c of the core metal 12 is lower than the durability of the thick rubb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e metal center portion 12b. It might have run out of lif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스프로킷의 치부가 고무 크롤러의 구동 돌기부와 결합하여 구동력이 고무 크롤러에 인가된 경우에, 스프로킷의 치부와 코어 금속 사이에 개재하는 고무 부재의 고무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내구성이 있는 고무 크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ubb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teeth of the sprocket and the core metal when the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rubber crawler by engaging the teeth of the sprocket with the driving protrusion of the rubber crawler. The rubber thickness is made uniform, thereby providing a durable rubber crawl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고무 크롤러는, 무단 띠 형상의 크롤러 본체와, 상기 크롤러 본체 내에 그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설된 코어 금속을 가지며, 상기 코어 금속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와, 상기 한 쌍의 돌기부의 기단부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 더 신장하는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코어 금속이 상기 고무 크롤러 본체 내에 매설된 상태에서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크롤러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돌기부에 상기 고무 크롤러 본체를 구성하는 고무 부재가 피복되고 한 쌍의 구동 돌기부가 상기 고무 크롤러의 내주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돌기부에 스프로킷 치부의 회전 동작에 의한 가압력이 부여되어 상기 크롤러 본체가 주회 구동되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속은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중앙부의 주위 방향의 폭을, 상기 코어 금속 날개부의 주위 방향의 폭보다 짧게 하고, 적어도 상기 한 쌍의 돌기부의 기단부의 양쪽 외측까지는 일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ubber crawler according to claim 1 has an endless band-shaped crawler body and a core metal embedded in the crawler body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the core metal has a central portion, It has a pair of protrusion part formed between the said center part, and the wing part which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urther on both sides of the base end part of the said pair of protrusion part, and the said wing part in the state in which the said core metal was embedded in the said rubber crawler main body. Whil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body, the pair of protrusions are coated with a rubber member constituting the rubber crawler body, and a pair of drive protrusions protrude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rubber crawler.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driving protrusion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procket tooth, so that the crawler main body rotates. In the same rubber crawler, the core metal has a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er portion existing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s shorter than a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re metal wing portion, and at least a proximal end of the pair of protrusions. It is characterized by constant up to both sides of the.

이 구성에 의해, 스프로킷의 치부가 한 쌍의 구동 돌기부 사이에 걸쳐 구동력을 미치지만, 이 범위에서는 스프로킷 치부와 매설되어 있는 코어 금속 사이에 존재하는 고무 부재의 고무 두께는 균일해진다. 따라서, 스프로킷의 치부에 의해 한 쌍의 구동 돌기부에 회전 가압력(구동력)이 인가된 경우에, 지금까지는 구동 돌기부의 부분에서 코어 금속의 고무 크롤러 주위 방향의 폭이 변화함으로써, 돌기부를 피복하는 부분의 고무 부재에 왜곡이 발생하여 고무 부재의 열화를 초래하였지만, 상기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무 부재에는 균일하게 압축력이 인가되게 되고, 고무 두께가 불균일한 것에 의한 고무 부재의 열화는 방지되어, 고무 크롤러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한, 코어 금속의 중앙부를 가늘게 함으로써, 코어 금속의 경량화도 도모되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teeth of the sprocket exert a driving force between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but in this range the rubber thickness of the rubber member existing between the sprocket teeth and the embedded core metal becomes uniform. Therefore, when the rotation pressing force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by the teeth of the sprocket, the width of the rubber crawl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re metal changes so far in the portion of the driving protrusion, so that the portion of the portion covering the protrusions is changed. Distortion occurred in the rubber member to cause deterioration of the rubber member. However,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mpressive force is uniformly applied to the rubber member, and deterioration of the rubber member due to uneven rubber thickness is prevented, and the rubber crawler is durable. This improves. In addition, by thinn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re metal, the weight of the core metal can be reduced.

청구항 2에 기재된 고무 크롤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속의 중앙부와 상기 날개부의 경계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소정의 곡률은, 예를 들어 곡률 반경 2mm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코어 금속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곡률 반경 1mm 이하로 했을 경우에는, 경계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크롤러 본체의 내부에서 고무 깨짐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크롤러 본체에 주행기체 등의 중량이 인가되었을 때에, 코어 금속의 크롤러 주위 방향의 폭을 일정하게 한 중앙부와 날개부의 경계부에 응력 집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고무 크롤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 rubber crawler of Claim 2 is a rubber crawler of Claim 1 WHEREIN: The boundary part of the center part of the said core metal and the said wing part is connected with predetermined curvatur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Here, the predetermined curvature is preferably, for example, a radius of curvature of 2 mm or more. By doing so, the life of the core metal can be extende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is 1 mm or less,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boundary portion, and rubber cracking easily occurs inside the crawler body. Therefore, when the weight of the traveling gas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crawler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tress concentra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er part and the wing part where the width of the core metal around the crawler is constant,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rubber crawler. It is possible to let.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에 의하면, 스프로킷의 치부가 구동 돌기부와 결합하여 회전 가압력이 인가된 경우, 치부와 코어 금속 사이에 개재하는 고무 부재의 두께는 균일하고, 고무 부재에는 균일하게 압축력이 인가되게 되므로, 고무 크롤러의 내구성은 향상되어, 장기간에 걸쳐 주행기체를 안심하고 작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ubber craw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teeth of the sprocket are engaged with the driving protrusion and the rotary pressing force is applied, the thickness of the rubb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teeth and the core metal is uniform, and the compressive force is uniformly applied to the rubber member. The durability of the rubber crawler is improved, so that the traveling gas can be used for work for a long time with confidence.

도 1은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며,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며,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측면 단면도이다. 단, 스프로킷의 치부가 크롤러 본체의 구동 돌기부와 결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종래의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이며,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측면 단면도이다. 단, 스프로킷의 치부가 크롤러 본체의 구동 돌기부와 결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종래의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이며,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전개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이며,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전개 평면도이다. 단, 홈부 및 융기부가 없는 것에 대하여 예로서 나타낸다.
도 6은 종래의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이며,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정면 단면도이다. 단, 스프로킷의 치부가 크롤러 본체의 구동 돌기부와 결합하여 구동력을 인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related with embodiment of the rubber crawler of this invention, and is a partial outline development top view of a crawler main body.
Fig. 2 relates to an embodiment of the rubber craw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artial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awler body. However, the teeth of the sprockets are in engagement with the driving protrusions of the crawler body.
3 relates to a conventional rubber crawler and is a partial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awler body. However, the teeth of the sprocket have shown the state of engaging with the driving protrusion of the crawler main body.
4 relates to a conventional rubber crawler, which is a schematic explod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crawler body.
Fig. 5 relates to a conventional rubber crawler, which is a schematic explod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crawler body. However, the thing with no groove part and ridge part is shown as an example.
6 relates to a conventional rubber crawler and is a partial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a crawler body. However, the teeth of the sprocket are engaged with the driving protrusions of the crawler main body to apply the driving forc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이며,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전개 평면도이다. 특히, 코어 금속이 존재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무 크롤러에 관한 것이며, 크롤러 본체의 일부 개략 측면도이다. 단, 크롤러 본체(10)에는 홈부(36) 및 융기부(16)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예로서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구동 돌기부(14)와 결합하여 구동력을 미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rubber crawler of this invention is related and is a schematic exploded plan view of a part of a crawler main body. In particular, it shows centering around the part in which a core metal exists. 2 relates to the rubber craw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artial schematic side view of the crawler body. However, the crawler main body 10 shows that the groove part 36 and the protruding part 16 exist as an example, and FIG. 2 shows the tooth part 32 of the sprocket 30 couple | bonds with the drive protrusion part 14, and a driving force. Indicates the appearance of madness.

코어 금속(12)은 배경 기술에서 나타낸 것과 일부를 제외하고 대략 동일하다. 즉, 날개부(12a)를 크롤러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소정의 간격으로 크롤러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다. 크롤러 본체(10)의 내주면측이며 코어 금속(12)과 코어 금속(12) 사이에는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결합하는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는 고무 크롤러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core metal 12 is approximately identical except for some as shown in the background art. That is, in the form which extends the wing | blade part 12a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10, it is embed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recessed part 20 whic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ide of the crawler main body 10 and the tooth part 32 of the sprocket 30 couple | engages is formed between the core metal 12 and the core metal 12. The recessed part 20 is formed in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the center part of the rubber crawler width direction.

또한, 코어 금속(12)의 한 쌍의 돌기부(12c, 12c)는 크롤러 본체(10)의 주위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무 부재가 피복되어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를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에는, 돌기부 사이 평탄부(18)와, 그 돌기부 사이 평탄부(18)의 고무 크롤러 주위 방향의 양측에 융기부(16, 16)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융기부(16)에 의해 치부(32)와 크롤러 본체(10)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치부(32)에 의해 작용되는 면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에는 홈부(3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홈부(36)는 진흙이나 자갈 등이 오목부(20)나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에 쌓이지 않도록, 소위 진흙 제거를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무 크롤러 제조 시의 코어 금속(12)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또는 크롤러 본체(10)가 스프로킷(30) 또는 아이들러(도시 생략)에 감겨 고무 부재가 변형되었을 때에, 크롤러 본체(10) 내주면의 일부에 왜곡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protrusions 12c and 12c of the core metal 12 protrude inward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awler body 10 and are covered with a rubber member to form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 Between the pair of drive projections 14 and 14, the projections 16 and 1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18 between the projections and the rubber crawl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18 between the projections. As mentioned above, the contact area of the tooth | tip part 32 and the crawler main body 10 is enlarged by the raised part 16, and the surface pressure acted by the tooth | tip part 32 can be reduced. In addition, grooves 36 are formed between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and the grooves 36 include mud or gravel recesses 20 or a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It is formed for so-called mud removal so as not to accumulate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awler body 10 for positioning of the core metal 12 during rubber crawler production or when the crawler body 10 is wound around the sprocket 30 or idler (not shown) and the rubber member is deformed. It is formed to prevent the distortion from concentrating on a part of the.

본 발명의 코어 금속(12)은 종래의 코어 금속과 고무 크롤러 주위 방향의 폭이 상이하다. 종래는, 코어 금속 중앙부(12b)는 일정한 폭으로 고무 크롤러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구동 돌기부(14)를 구성하는 코어 금속(12)의 돌기부(12c)의 기단부에 있어서, 그 고무 크롤러 주위 방향의 폭이 변화하고 있고, 치부(32)가 구동력을 크롤러 본체(10)에 부여했을 경우에, 구동력이 미치는 범위에서 고무 크롤러 주위 방향의 폭이 변화하고 있었다. 따라서, 구동력이 인가되는 범위에서, 치부(32)와 코어 금속(12) 사이에 개재하는 고무 부재의 두께가 상이하여 균일하지 않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코어 금속(12)은 돌기부(12c) 기단부의 고무 크롤러 폭 방향 외측, 즉 구동 돌기부(14) 외측의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구동력을 미치는 범위 밖에서 폭이 변화하고 있고, 구동력이 인가되는 범위에서는 고무 크롤러 주위 방향의 폭은 일정하게 되어 있다. The core metal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width in the direction around the conventional core metal and rubber crawler. Conventionally, the core metal center portion 12b extends in the rubber crawler width direction with a constant width, and at the proximal end of the protrusion portion 12c of the core metal 12 constituting the driving protrusion 14, the rubber crawler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width | variety changed and the tooth | tip 32 gave the crawler main body 10 a driving force, the width | variety of the rubber crawler circumferential direction was changing in the range which a driving force exerts. Therefore, in the range to which a driving force is applied, the thickness of the rubb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tooth part 32 and the core metal 12 differs and was not uniform.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metal 12 has a width outside the rubber crawler width direction outside of the proximal end of the protrusion 12c, that is, outside the range in which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outside the driving protrusion 14 exert a driving force. The width | variety of the rubber crawler periphery direction becomes constant in the range which changes and the driving force is applied.

이 구성에 의해,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구동력을 미치는 범위에서, 코어 금속(12)과 치부(32)의 고무 부재의 두께는 균일해진다. 여기에서,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구동 돌기부(14)와 결합하여 구동력을 인가했을 때, 구동 돌기부(14)를 피복하고 있는 고무 부재 및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에 존재하는 오목부(20)의 벽부를 구성하는 고무 부재는,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지만, 치부(32)와 코어 금속(12)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또한, 코어 금속(12)의 돌기부(12c)의 기단부 외측의 강도를 확보하여, 구동력이 인가된 경우의 치부(32)와 코어 금속(12) 사이에 개재하는 고무 부재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범위는, 코어 금속(12)의 돌기부(12c)의 기단부 외측까지가 적합하다. 그러나, 코어 금속(12)의 돌기부(12c)의 기단부 외측의 강도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면, 코어 금속(12)의 돌기부(12c)의 기단부 외측을 넘어 더 외측까지 코어 금속(12)의 폭을 짧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코어 금속(12)의 추가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By this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rubber member of the core metal 12 and the tooth part 32 becomes uniform in the range which the tooth part 32 of the sprocket 30 exerts a driving force. Here, when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are engaged with the driving protrusions 14 and apply a driving force, between the rubber member covering the driving protrusions 14 and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Although the rubber member which comprises the wall part of the recessed part 20 which exists in this is deformed by a pressing force, the distance between the tooth part 32 and the core metal 12 is constant. Moreover, the range which ensures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outer side of the base end of the projection part 12c of the core metal 12, and makes the thickness of the rubb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tooth part 32 and the core metal 12 when a driving force is applied is constant Is suitable to the outside of the proximal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12c of the core metal 12. However, if the strength problem outside the proximal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12c of the core metal 12 can be solved, the width of the core metal 12 is extended beyond the proximal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12c of the core metal 12 to the outside. You may shorten it. In this case, further weight reduction of the core metal 12 is achieved.

따라서,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구동 돌기부(14)와 결합하여 구동력이 인가된 경우에, 치부(32)와 코어 금속(12) 사이에 존재하는 고무 부재에는 큰 압축력이 인가되지만, 그 압축력은 상기의 거리, 즉 치부(32)와 코어 금속(12)의 거리가 일정하고, 개재하는 고무 부재의 두께는 균일하기 때문에, 고무 부재에는 균일한 압축력이 인가되어, 고무 두께가 불균일한 것에 의한 고무 부재의 열화는 방지되게 된다. 즉, 종래는 구동 돌기부(14) 기단부의 부분에 있어서 고무 부재의 열화가 염려되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러한 염려는 없다. 그 결과, 종래의 것에 비하여 고무 크롤러(8)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are engaged with the driving protrusions 14 and a driving force is applied, a large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rubber member existing between the teeth 32 and the core metal 12. Since the compressive force is the same distance as the above distanc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eeth 32 and the core metal 12, and the thickness of the interposed rubber member is uniform, a uniform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rubber member and the rubber thickness is uneven. The deterioration of the rubber member by this is prevented. That is, although the deterioration of the rubber member was concerned about a part of the base end part of the drive protrusion part 14 conventionally, there is no such concern in this embodiment.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rubber crawler 8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또한, 도 1에 있어서, 코어 금속(12) 중앙부(12b)의 크롤러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영역의 길이를 Wp 및 W1로 나타내었다. 단, Wp는 배경 기술에서 나타낸 코어 금속에 관한 것이며, W1은 본 발명에 관한 코어 금속(12)에 관한 것이다. W1은 돌기부(12c) 기단부의 양쪽 외측까지의 범위로 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어 금속(12)은 종래의 코어 금속보다 코어 금속 중앙부(12b)의 길이가 길다. 이에 따라, 고무 크롤러의 내구성을 전술한 바와 같이 향상시킴과 함께, 코어 금속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In addition, in FIG. 1, the length of the area | region which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10 of the center part 12b of the core metal 12 is shown by Wp and W1. However, Wp relates to the core metal shown in the background art, and W1 relates to the core metal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1 is in the range to both outer sides of the proximal end of the projection part 12c.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e core metal 1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er length of the core metal center portion 12b than the conventional core metal.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rubber crawler is improv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weight of the core metal is reduced.

또한, 코어 금속(12)은, 날개부(12a)의 크롤러 본체의 주위 방향의 폭은 치부(32)에 의한 회전 가압력이, 고무 크롤러 본체(10)를 구성하는 고무 부재를 개재하여 부여되는 범위에 있어서의 크롤러 본체의 주위 방향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크롤러 본체(10)에 매설하는 스틸 코드(도시 생략)의 작용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고 크롤러 본체(10)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날개부(12a)의 고무 크롤러 주위 방향의 폭을 코어 금속 중앙부(12a)보다 크게 함으로써, 스틸 코드와 코어 금속(12)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크롤러 본체(10)의 주위 방향으로의 연장을 규제하면서, 스프로킷(30)으로부터 받는 구동력에 기초하여 크롤러 본체(10)가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ore metal 12 has a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awler body of the wing portion 12a such that the rotational pressing force by the teeth 32 is provided via a rubber member constituting the rubber crawler body 10. It is comprised larger than the width | variety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in the.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crawler main body 10 can be improved, without reducing the effect of the steel cord (not shown) embedded in the crawler main body 10. That is, by making the width | variety of the rubber crawl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g | blade part 12a larger than the core metal center part 12a, adhesiveness of a steel cord and the core metal 12 can be improved, and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crawler main body 10 are accordingly made. The crawler main body 10 can be smoothly rotated based on the driving force received from the sprocket 30 while regulating the extension in the direction.

또한, 코어 금속(12)의 날개부(12a)와 코어 금속 중앙부(12b)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곡률은, 예를 들어 곡률 반경 2mm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코어 금속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곡률 반경 1mm 이하로 했을 경우에는, 경계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크롤러 본체의 내부에서 고무 깨짐이 발생하기 쉽다. 이 구성에 의해, 고무 크롤러(8)에 주행기체의 중량 등이 인가되어도 경계부에 응력 집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응력 집중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크롤러 본체(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g part 12a and the core metal center part 12b of the core metal 12 are connected with predetermined curvature. Here, the predetermined curvature is preferably, for example, a curvature radius of 2 mm or more. By doing so, the life of the core metal can be extende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is 1 mm or less,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boundary portion, and rubber cracking easily occurs inside the crawler body. By this structure, even if the weight or the like of the traveling gas is applied to the rubber crawler 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tress concentration at the boundary portion. Therefore, durability of the crawler main body 10 can be improved, preventing generation of stress concentration.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코어 금속(12)의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 사이의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구동력을 미치는 범위에 있어서의 고무 크롤러 주위 방향의 폭을 일정하게 했으므로, 스프로킷(30)의 치부(32)가 크롤러 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구동 돌기부(14, 14)와 결합하여 오목부(20) 및 구동 돌기부(14)에 구동력이 인가되었을 때에, 치부(32)와 코어 금속(12)의 거리는 일정해진다. 따라서, 그 사이에 개재하는 고무 부재의 두께는 균일하므로, 그 사이의 고무 부재에 인가되는 압축력이 균일해져, 고무 부재가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이 혼재하는 것에 의한 얇은 부분의 고무 부재의 열화의 우려가 해소된다. 따라서, 고무 크롤러(8)는 장수명이 되어 안심하고 주행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width | variety of the rubber crawler periphery direction in the range which the tooth part 32 of the sprocket 30 between the pair of drive protrusions 14 and 14 of the core metal 12 exerts a driving force is made constant. Therefore, the teeth 32 of the sprocket 30 are coupled to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14 and 14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wler body 10 so that driving force is applied to the recess 20 and the driving protrusion 14. At that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teeth 32 and the core metal 12 becomes constant. Therefore, since the thickness of the rubb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s uniform,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rubber member between them becomes uniform,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of the rubber member of a thin part by mixing a thin part and a thick part in a rubber member. Is resolved. Therefore, the rubber crawler 8 has a long life,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traveling gas with confidenc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동 돌기부 사이에 돌기부 사이 평탄부가 형성되고, 그 크롤러 본체 주위 방향 양측에 융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이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although the flat part between protrusion parts was formed between the drive protrusion parts, and the protrusion part was provided in the both sides of the said crawler main body direction, it show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8: 고무 크롤러
10: 크롤러 본체
12: 코어 금속
12a: 날개부
12b: 코어 금속 중앙부
12c: 돌기부
14: 구동 돌기부
16: 융기부
18: 돌기부 사이 평탄부
20: 오목부
20a: 오목부 저면
22: 코어 금속 저면
26: 러그부
30: 스프로킷
32: 치부
36: 홈부
A: 회전 방향
E: 접지면
t1, t2: 고무 두께
8: rubber crawler
10: crawler body
12: core metal
12a: wing
12b: core metal center
12c: protrusion
14: driving projection
16: ridge
18: flat part between protrusions
20: concave
20a: bottom of recess
22: core metal bottom
26: lug
30: Sprocket
32: Chibu
36: home
A: direction of rotation
E: ground plane
t1, t2: rubber thickness

Claims (2)

무단 띠 형상의 크롤러 본체와, 상기 크롤러 본체 내에 그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매설된 코어 금속을 가지며,
상기 코어 금속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와, 상기 한 쌍의 돌기부 기단부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 더 신장하는 날개부를 가지며,
상기 코어 금속이 상기 고무 크롤러 본체 내에 매설된 상태에서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크롤러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돌기부에 상기 고무 크롤러 본체를 구성하는 고무 부재가 피복되고 한 쌍의 구동 돌기부가 상기 고무 크롤러의 내주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구동 돌기부에 스프로킷의 치부(tooth section)의 회전 동작에 의한 가압력이 부여되어 상기 크롤러 본체가 주회(周回) 구동되는 고무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속은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중앙부의 주위 방향의 폭을 상기 코어 금속의 날개부의 주위 방향의 폭보다 짧게 하고, 적어도 상기 한 쌍의 돌기부의 기단부의 양쪽 외측까지는 일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
An endless band-shaped crawler body and a core metal embed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in the crawler body,
The core metal has a central portion, a pair of protrusions formed with the center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wings extending further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protrusion base ends,
In the state where the core metal is embedded in the rubber crawler main body, the wing portion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ain body, and the pair of protrusions are coated with a rubber member constituting the rubber crawler main body and a pair of In a rubber crawler in which a driv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rubber crawler, and a pair of driving protrusions are applied to the pair of driving protrusions by a rotational operation of a tooth section of the sprocket to drive the crawler body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core metal may have a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enter portion existing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s shorter than a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g portion of the core metal, and at least to both outer sides of the proximal ends of the pair of protrusions. Rubber crawl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속의 중앙부와 상기 날개부의 경계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크롤러.The rubber craw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re metal and the boundary portion of the wing portion are connect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KR1020127009439A 2009-09-16 2010-09-16 Rubber crawler KR1013954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13975 2009-09-16
JPJP-P-2009-213975 2009-09-16
PCT/JP2010/066025 WO2011034125A1 (en) 2009-09-16 2010-09-16 Rubber craw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094A true KR20120054094A (en) 2012-05-29
KR101395422B1 KR101395422B1 (en) 2014-05-14

Family

ID=4375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439A KR101395422B1 (en) 2009-09-16 2010-09-16 Rubber crawl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04436B2 (en)
KR (1) KR101395422B1 (en)
CN (1) CN102498029B (en)
IN (1) IN2012DN02070A (en)
WO (1) WO201103412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2258B (en) * 2011-04-05 2016-01-20 株式会社普利司通 Crawler travel device and resilient track
AU2013236442B2 (en) * 2012-03-22 2016-06-09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rawler
CA3051070A1 (en) * 2017-01-20 2018-07-26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rawler, rubber crawler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rubber crawl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8889U (en) * 1988-07-13 1990-07-13
JPH07137670A (en) * 1993-11-19 1995-05-30 Bridgestone Corp Core bar for rubber crawler
JP4233159B2 (en) * 1998-11-04 2009-03-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Rubber corer and inner drive type rubber tracker using the same
JP4376333B2 (en) * 1998-11-16 2009-12-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Low vibration rubber crawler
JP2001055180A (en) 1999-08-17 2001-02-27 Bridgestone Corp Core metal for rubber crawler
JP4295721B2 (en) * 2002-05-29 2009-07-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Rubber crawler
JP4522104B2 (en) * 2004-02-02 2010-08-11 福山ゴム工業株式会社 Rubber track corer
JP5097482B2 (en) * 2007-09-04 2012-12-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Rubber crawler and core for rubber crawler
JP2009078796A (en) * 2007-09-05 2009-04-16 Bridgestone Corp Rubber crawler and sprocket suitable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98029A (en) 2012-06-13
KR101395422B1 (en) 2014-05-14
IN2012DN02070A (en) 2015-08-21
JP5604436B2 (en) 2014-10-08
JPWO2011034125A1 (en) 2013-02-14
CN102498029B (en) 2016-03-30
WO2011034125A1 (en)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1329B2 (en) Rubber track and vehicle
CN101380977B (en) Rubber track
EP1695895B1 (en) Crawler belt, crawle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rawler belt
KR101419144B1 (en) Sprocket, and rubber crawler assembly provided therewith
CN101312872B (en) Coreless rubber crawler track
US20110300977A1 (en) Sprocket
KR20120054094A (en) Rubber crawler
JP2009067241A (en) Core bar for rubber crawler and rubber crawler using it
KR101454053B1 (en) Pully for use with toothed belt
JP2009214815A (en) Elastic crawler
CN107208773B (en) Sprocket and elastic crawler drive mechanism
US10717481B2 (en) Elastic crawler and elastic crawler device
KR101032213B1 (en) Rubber crawler, sprocket suitable for the same, and core for rubber crawler
JP6076586B2 (en) Rubber crawler, rubber crawler assembly, and rubber crawler manufacturing method
JP2019089457A (en) Rubber crawler
JPWO2020080448A1 (en) Elastic crawler
JP2005001432A (en) Rubber crawler
JP2017065610A (en) Elastic crawler and elastic crawler device
JP2008189142A (en) Rubber crawler
JP6463193B2 (en) Rubber crawler
JPH10238613A (en) Roller having combined teeth
JP6285266B2 (en) Elastic crawler
JP5302566B2 (en) Coreless rubber crawler
JP2019098822A (en) Rubber crawler and crawler traveling body
JP2007196750A (en) Rubber crawler trave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