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985A - 구리를 포함하는 살생물제 코팅 - Google Patents

구리를 포함하는 살생물제 코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985A
KR20120053985A KR1020117024409A KR20117024409A KR20120053985A KR 20120053985 A KR20120053985 A KR 20120053985A KR 1020117024409 A KR1020117024409 A KR 1020117024409A KR 20117024409 A KR20117024409 A KR 20117024409A KR 20120053985 A KR20120053985 A KR 2012005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ia
contact area
copper
disinfecting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말고르자타-야드비가 코로지예
지크베어트 슈트뢸
크리스티안 프론쳌
칼하인츠 피첸베어거
Original Assignee
말고르자타-야드비가 코로지예
프로피츠 앤드 프렌즈 게엠베하
크리스티안 프론쳌
칼하인츠 피첸베어거
지크베어트 슈트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고르자타-야드비가 코로지예, 프로피츠 앤드 프렌즈 게엠베하, 크리스티안 프론쳌, 칼하인츠 피첸베어거, 지크베어트 슈트뢸 filed Critical 말고르자타-야드비가 코로지예
Publication of KR2012005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8Metals or alloys, e.g. oligodynamic met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2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layered or 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52Laterally noncoextens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접촉 영역(2, 22)을 갖는 소독 부재(disinfection element)(1, 11, 21)와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접촉 영역(2, 22)은 외부 표면적(6, 12, 28)에 비해 큰 내부 표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독 부재(1, 11, 21)를 사용하면 소독 부재(1, 11, 21)의 항균 작용이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접촉 면들상에 바람직하지 않게 세균(germ) 및 박테리아(bacteria)가 축적되는 상황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거나 적어도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리를 포함하는 살생물제 코팅 {BIOCIDE COATING COMPRISING COPPER}
본 발명은 소독 부재(disinfection element)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사람들은 종종 건강에 유해한 박테리아(bacteria), 세균(germ) 및 바이러스와 무의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특히 이전에 다른 많은 사람에 의해서 접촉되었던 면과 사람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세균의 축적이 증가하여 비위생적인 조건들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공공 기관 및 대중 교통 수단에서는 예컨대 문 손잡이와 같은 물체 그리고 박테리아가 축적되어 증식할 수 있는 다른 접촉 면들과 사람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심지어는 예를 들어 병원 및 유치원과 같이 고유한 위생 규정들이 엄격하게 준수되고 있는 기관들에서조차도 병원체가 전염되어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세균의 바람직하지 않은 축적을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할 수 있거나 적어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소독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소독 부재가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접촉 영역을 갖고, 상기 접촉 영역이 외부 표면에 비해 큰 내부 표면을 가짐으로써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접촉 영역을 갖는 소독 부재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접촉 영역은 큰 내부 표면을 갖는다. 그럼으로써 소독 부재의 항균 작용이 증가하여 건강에 유해한 박테리아 및 세균의 전염 위험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일상 생활에서는 사람들이 다수의 장소에서 박테리아 및 세균과 접촉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제 1 단계에서는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접촉 영역을 갖는 소독 부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예컨대 버스 및 전차 안에 있는 도어 래치(door latch), 전등 스위치 또는 손잡이와 같이 공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접촉 면에서 세균 및 박테리아의 전염 및 증식을 줄이기 위하여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접촉 면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구리가 소량으로도 이미 다수의 미생물에 대하여 독성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제 2 단계에서 본 발명은 가급적 큰 내부 표면을 갖는 소독 부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내부 표면을 확대함으로써 박테리아 및 세균이 예컨대 흡착되거나 또는 반응할 수 있는 공간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표면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박테리아가 사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3 단계에서 본 발명은 소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접촉 영역 그리고 큰 내부 표면을 갖는 소독 부재를 사용해야만 한다는 정도까지 상기 인식을 완전히 이용하고 있다. 전술된 내용들의 조합에 의해서는 소독 작용과 관련된 소독 부재의 효과가 현저히 상승할 수 있고, 이로써 박테리아의 확산 및 전염이 줄어들 수 있다.
접촉 영역의 기반이 되는 구리의 소독 작용은 이미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있다. 구리는 그 당시에 이미 눈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그리고 수의학에서 사용되었고, 그 이후에는, 다시 말해 현대적인 약품들을 적용하기 전에는 천식 및 백일해를 치료할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근거로 할 때, 세균 및 박테리아의 전염 가능성이 큰 바로 그곳에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접촉 영역을 갖는 소독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따라서, 상기 소독 부재는 특히 다수의 사람에 의해서 또는 수많은 병원체의 존재에 의해서 세균 및 박테리아가 신속하게 확산 될 수 있는 장소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독 작용을 하는 부재를 사용하면 박테리아 및 세균의 확산 및 생존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특히, 예컨대 MRSA(Methicillin-Resistenter 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와 같은 다양한 박테리아가 갖고 있는 항생 물질 및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 때문에 구리 및 구리를 함유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상이한 부재들을 이용해서 일련의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테스트에서 드러난 사실은, 구리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박테리아의 생존 가능성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강철로 이루어진 부재 상에서는 박테리아가 수일 동안 생존했던 반면, 구리 함량이 높은 황동으로 이루어진 가공품을 사용한 경우 그리고 순수한 구리로 이루어진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생존 시간이 수 분 아래까지 심하게 감소했다. 따라서, 구리로 이루어진 부재를 사용하면 예컨대 병원체의 전염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접촉 영역을 사용하는 것에 추가하여 소독 부재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독 부재는 외부 표면에 비해 큰 내부 표면을 갖는다.
외부 표면으로서는 외부로부터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하학적인 표면,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소독 부재를 포장할 때에 얻을 수 있는 바로 그 표면이 사용된다.
외부 표면과 달리 내부 표면은 몸체 안에 포함된 모든 기공성 표면 또는 입자형 고체 전체를 포함한다. 본 경우에는 외부 표면뿐만 아니라 개별 입자들 사이에서 혹은 기공 에지에 의해 몸체 안에서 형성되어 외부에서 관찰할 때에 반드시 확인되어야 할 필요가 없는 표면들까지도 고려된다.
큰 내부 표면은 외부 표면을 구조화함으로써 그리고 몸체의 기공도를 높임으로써 달성되거나 또는 상승된 기공도와 추가로 구조화된 표면의 조합에 의해서 달성된다.
외부 표면의 구조화는 다양한 화학적 또는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서 몸체의 외부 면 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면 확대 그리고 그로 인해 얻어지는 공간 - 즉, 예컨대 박테리아가 반응하고/반응하거나 흡착될 수 있는 공간 - 의 양적인 증가로 인해 소독 부재의 소독 작용이 상승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기공성 몸체를 사용함으로써 몸체의 내부 표면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
기공도는 한 몸체의 전체 용적에 대한 공동부 용적의 비율을 기술하며, 상호 연결되어 있고 주변과 연결되어 있는 모든 공동부의 총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경우에는 소위 "개방" 기공도 뿐만 아니라 "폐쇄" 기공도도 함께 고려되어야만 한다.
개방 기공형 몸체는 물질들을 흡착하기 위한 큰 유효 면적을 제공해주는데, 그 이유는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개방 기공형 몸체는 특히 촉매 기술에서 큰 중요성을 갖는다. 촉매는 일반적으로 자신은 소모되지 않으면서 반응 속도를 높일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기술 분야에서 촉매는 예컨대 배기 가스를 정화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 산업에서 다양하게 적용된다.
개방 기공형 시스템, 다시 말해 예컨대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질들이 다른 재료의 표면에서 흡착되거나 반응하고, 그곳에서 농축된다. 이 경우에는 물리적인 흡착과 화학적인 흡착이 구별된다. 물리적인 흡착은 가역적인 프로세스일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흡착된 물질들은 재차 탈착될 수 있다. 그와 달리 화학적인 흡착은 공유 결합의 형성으로 인해 비가역적이고, 흡착된 분자를 표면에 단단히 고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소독 부재가 높은 기공도 및 외부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 접촉 영역을 구비하고, 그 결과로서 큰 내부 표면을 가지게 되면, 표면은 촉매 작용 특성을 갖추게 된다. 박테리아가 접촉 영역의 표면에 흡착되어 반응함으로써, 박테리아는 사멸되고, 건강을 해치는 자체 작용을 상실하게 한다.
전술된 메커니즘이 비-기공성 몸체의 외부 표면들에서도 물론 이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내부 표면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표면도 마찬가지로 흡착 및 반응을 위해서 이용되고, 그로 인해 외부 표면은 또한 촉매 특성도 갖추게 된다.
예를 들어 포움과 같이 폐쇄된 기공도를 갖는 몸체는 비록 큰 내부 표면을 갖기도 하지만,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몸체의 장점은, 기하학적인 치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기공 안에 공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몸체가 큰 용적을 채울 수 있는 동시에 낮은 밀도 및 가벼운 중량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상기 폐쇄된 기공도를 갖는 몸체는 컴포넌트(component)의 절연- 및 포장 재료로서 그리고 컴포넌트를 밀봉하기 위한 조립 포움으로서 사용하기에 매우 우수하다. 금속 포움은 추가로 우수한 에너지 흡수 능력을 보이고, 예컨대 가옥의 벽을 라이닝(lining) 처리하고 코팅하기에 적합하다.
몸체의 기공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본 경우에는 (Brunnauer, Emmett 및 Teller 기술에 따른) BET-측정 그리고 특히 기공성 고형 몸체에서 가스 흡착을 이용하여 내부 표면들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이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다. 본 경우에 고형 몸체의 내부 표면은 액상 질소의 비등점에서 관찰되는 N2-흡착-등온선(isotherm)으로부터 산출된다. 흡착 곡선을 상대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단분자 코팅을 위해서 필요한 질소 량에 상응하는 용적을 얻게 된다. 하나의 질소 분자를 위해서 필요한 면적을 고려하여 샘플의 내부 표면이 결정될 수 있다.
소위 수은-기공도 측정(또한 수은-관통 또는 수은-관입)은 추가의 한 가지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이와 같은 기술은 기공 용적에 대한 신뢰할만한 정보 그리고 기공성 재료의 종류 및 형태와 상관없이 상기 기공성 재료의 실제 밀도에 대한 신뢰할만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상기 기술은 스며들지 않는 액체 수은이 압력 인가시에 기공성 시스템 안으로 관입 된다는 사실을 토대로 한다. 그 다음에 압력을 이용해서 상응하는 기공 용적이 산출되고, 이로부터 몸체의 내부 표면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몸체의 내부 표면을 다른 몸체의 내부 표면과 비교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내부 표면은 몸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거나 또는 용적을 기준으로 한다. 그 경우에는 질량에 대한 비표면으로 표기되거나 또는 용적에 대한 비표면으로 표기된다. 전자의 경우에 비표면은 킬로그램당 몸체의 내부 표면적(m2/kg)을 갖고, 후자의 경우에 비표면은 세제곱미터 당 몸체의 내부 표면적(m2/m3)을 갖는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체적으로 볼 때 접촉 부재의 더 큰 상대적인 표면들은 큰 내부 표면을 제공하는 기공성 제작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의 외부 표면은 결과적으로 형성되는 외부 표면이 몸체의 기하학적인 표면보다 수배만큼 더 크게 되도록 구조화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독 부재의 접촉 영역은 적어도 1 ㎛, 특히 10 ㎛의 두께를 갖는다. 박테리아의 흡착을 위해서는 소정의 최소 두께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치수들이 특히 유리하다. 상기 최소 두께는 박테리아의 크기에 의해서 좌우된다. 다시 말하자면, 소독 부재 상에서 박테리아의 유해 효과를 줄이거나 또는 거의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박테리아가 반응하기에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접촉 영역의 두께를 선택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접촉 영역은 20 % 이상, 특히 50 % 이상의 기공도를 갖는다. 그로 인해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재료는 충분한 크기의 기공도를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박테리아에 접근할 수 있는 접촉 영역의 내부 표면의 크기는 소독 작용을 상승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해진다. 또한, 상기 기공도는 소독 부재의 안정성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두드러지지 않는다.
소독 부재의 접촉 영역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3 ㎛의 깊이를 갖는 확대된 외부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지시된 최소 깊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박테리아와 같이 통상적으로 대략 1 ㎛의 크기를 갖는 박테리아가 구조물 안으로 침투하여 반응할 수 있도록 보장된다.
원칙적으로 표면 구조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영역의 구조가 크로스-그라인딩(cross-grinding)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크로스-그라인딩 구조물은 종종 표면에 제공되는 구조물인데, 그 이유는 상기 크로스-그라인딩 구조물이 예컨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그리고 기술적으로 간단하게 취급될 수 있는 혼(Hon)-방법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크로스-그라인딩 구조에서는 상이한 방향들로 폐쇄된 채널들을 갖는 연삭 이미지(Schleifbild)를 얻을 수 있다. 구조물의 깊이가 공구, 소위 혼 레지(honledge)의 사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구조물은 공구의 사용에 따라서 표면 내부에 상이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예컨대 카빙(carving) 또는 에칭과 같은 추가의 방법에 의해서 구조물이 하나의 표면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접촉 영역은 지지 몸체상에 제공된다. 지지 몸체는 다양한 종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몸체는 접촉 영역과 마찬가지로 기공도를 가질 수 있지만, 제한된 범위의 재료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소독 부재를 일체형(one piece)으로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타난다.
지지 몸체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제작 재료가 이용되는 다수의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목재 또는 돌과 같은 다른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지지 몸체도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지하게 접촉 영역은 코팅으로서 지지 몸체상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코팅-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접촉 영역은 점착성 코팅으로서 지지 몸체의 표면에 제공된다. 이 경우 코팅의 두께는 변동될 수 있고, 제기되는 요구 조건에 매칭될 수 있다.
지지 몸체상에서 얇은 코팅을 얻기 위하여, 상기 코팅에는 예를 들어 분산액 피복이 제공되며, 이 경우 코팅-방법에서 사용되는 재료는 용매 안에 분산액으로서 미세하게 분포되어 있다. 상기 분산액은 압축 공기에 의해서 안개로 세분화되어 기판상에 균일하게 스프레잉 된다. 그 다음에 기판이 오븐 안에서 가열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얇은 코팅이 형성된다.
또한, 접촉 영역을 지지 몸체상에 코팅으로서 제공하는 작업은 유동상 침적 피복(Whirlsintering)-프로세스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유동상 침적 피복의 경우에는 분말이 유동상(床)(fluidized bed)에서 유동화되고, 가열된 기판이 유동상 안에 잠길 때에 기판은 분말에 의해서 습윤 된다. 따라서, 분산액 코팅과 유사하게 얇은 코팅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소독 부재가 하나의 박막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의해서는 다수의 사람이 접촉하는 기존의 접촉 면들에 소독 작용을 하는 박막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박막은 예컨대 잠재적인 세균을 전염시킬 수 있는 수많은 사람이 매일 이용하는 대중 교통 수단에 또는 공공 화장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엄격한 위생 규정들이 준수되는 병원에서도 마찬가지로, 눈에 보이지 않는 건강에 유해한 병원체의 전염율은 상기와 같은 소독 작용을 하는 박막의 사용에 의해서 감소 될 수 있다. 박막은 원칙적으로 원하는 모든 치수로 절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직사각형으로, 정사각형으로 또는 원형으로 절단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고객의 바람 및 요구 조건을 충족시킬 목적으로 이용되는 절단 방식도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막의 적어도 하나의 측에는 접착층이 제공된다. 접착층은 예를 들어 박막이 자발적으로 적층(automatically applied)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제공해준다. 따라서, 예컨대 대중 교통 수단에 있는 손잡이 및 다른 접촉 면들 또는 공공 화장실-변기 테와 같은 기존의 물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개장(retrofit) 비용이 제한될 수 있다. 그밖에 개인의 비용도 감소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하나의 접착층에 의해서 자발적인 적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접착층은 한 편으로는 양면 접착 밴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예컨대 전등 스위치에 제공할 수 있기 위하여 우선 접착제가 박막 상에 도포 되어야만 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소독 부재의 단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단지 접촉 영역만 기공도를 가지며,
도 2는 소독 부재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접착층을 갖는 소독 부재의 단면도로서, 이 경우에는 접촉 영역뿐만 아니라 지지 몸체도 기공성이다.
도 1에는 소독 부재(1)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소독 부재(1)는 접촉 영역(2) 및 지지 몸체(4)로 구성된 몸체로서 형성되었다. 접촉 영역(2)은 구리로 제작되고, 코팅으로서 지지 몸체(4)상에 제공된다. 상기 코팅은 유동상 침적 피복-방법에 의해서 제공된다.
접촉 영역(2)은 구조물이 삽입되는 외부 표면(6)을 갖는다. 상기 구조물은 본 경우에는 레이저에 의해서 표면 안으로 삽입된다. 레이저에 의해서는 예컨대 크로스-그라인딩 구조물이 표면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레이저 광선이 금속 표면을 용융시키고, 상기 금속 표면이 부분적으로 증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원하는 구조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예컨대 특히 크기가 작은 표면들에 적합하다.
외부 표면(6)은 이미 박테리아 및 세균을 위한 다수의 흡착 공간을 제공해준다. 추가로 접촉 영역(2)은 상이한 크기의 기공(8)을 갖춘 높은 기공도를 갖는다.
기공(8)에 의해서는 내부 표면이 확대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접촉 영역(2) 안에 포함된 모든 표면이 전체적으로 확대된다. 표면은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외부 표면(6) 이외에 예컨대 기공(8) 에지에 의해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반드시 확인될 필요가 없는, 접촉 영역(2) 안에 존재하는 모든 표면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접촉 영역(2)은 박테리아 및 세균을 흡착하기 위한 전술된 개별-표면들의 총합으로 구성된 큰 내부 표면을 제공해주며, 이로써 소독 작용도 상승하게 된다.
지지 몸체(4)도 접촉 영역(2)과 마찬가지로 구리로 제작된다. 하지만, 접촉 영역과 달리 지지 몸체는 기공이 전혀 없고, 오히려 금속 격자로서 형성되었다. 대안적으로, 지지 몸체(4)는 알루미늄 또는 강철과 같은 다른 금속을 기반으로 하거나 또는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는 구조물(14)이 외부 표면(12)에 제공되어 있는 소독 부재(11)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구조물(14)은 크로스-그라인딩 구조물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크로스-그라인딩 구조물(14)은 본 경우에는 혼-방법에 의해서 외부 표면에 제공되고, 본 경우에 상이한 방향들로 평행하게 배치된 채널들을 갖춘 균일한 표면 구조를 형성한다. 구조물(14)이 개별 채널들의 확대 또는 축소에 의해서 그리고/또는 채널들 사이의 간격 변경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외부 표면(12)의 크기는 원하는0 조건에 매칭 될 수 있다.
도 3에는 추가의 소독 부재(21)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경우에 전체 소독 부재(21)는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접촉 영역(22)뿐만 아니라 지지 몸체(24)도 구리로 제작되고, 도 1과 달리 둘 모두가 기공(26)을 갖는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의해서는 소독 부재(21)가 낮은 밀도를 갖게 되고, 그에 상응하게 중량도 전체적으로 가벼워진다.
도 3의 소독 부재(21)는 박막으로 형성된다. 소독 부재(21)의 접촉 영역(22)은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에칭-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구조화된 외부 표면(28)을 갖는다. 상기 에칭-방법은 크기가 작은 금속 부분의 외부 표면을 구조화하기에 특히 우수하게 적합하다. 에천트로서는 예컨대 에칭할 재료를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서, 다시 말하자면 산화 반응을 통해서 변경시키는 산이 사용된다.
추가로 지지 몸체(24)에는 접착층(30)이 제공된다. 접착층(30)은 양면 접착 밴드로서 구현된다. 상기 접착층은 박막으로 형성된 소독 부재(21)가 추후에 물체 상에, 예컨대 전등 스위치, 도어 래치 또는 화장실 시트와 같은 접촉 면들 상에 제공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접착층(30)이 제공된 박막의 취급 용이성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개인 비용을 들여서 이루어지는 추후 개선 작업 혹은 개장 작업도 현저히 수월해지고 유리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접촉 영역(22) 및 지지 몸체(24)가 예를 들어 상이한 재료로 제작됨으로써 상이한 기공도를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접촉 영역(22) 및 지지 몸체(24)의 재료가 동일할 수 있고, 기공도 차이는 두 가지 구성 요소의 제작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지지 몸체(24)는 대안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강철과 같은 다른 금속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기공성을 갖거나 또는 금속 격자로서 존재한다.
1: 소독 부재 2: 접촉 영역
4: 지지 몸체 6: 외부 표면
8: 기공 11: 소독 부재
12: 외부 표면 14: 구조(물)
21: 소독 부재 22: 접촉 영역
24: 지지 몸체 26: 기공
28: 외부 표면 30: 접착층

Claims (10)

  1.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접촉 영역(2, 22)을 갖는 소독 부재(disinfection element)(1, 11, 21)로서,
    외부 표면(6, 12, 28)에 비해 큰 내부 표면을 갖는, 소독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2, 22)이 적어도 1 ㎛, 특히 10 ㎛의 두께를 갖는, 소독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2, 22)이 20 % 이상, 특히 50 % 이상의 기공도를 갖는, 소독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2, 22)이 적어도 3 ㎛의 깊이를 갖는 표면-구조물(14)을 구비하는, 소독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2, 22)의 표면-구조물(14)이 크로스-그라인딩 구조물로서 형성된, 소독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2, 22)이 지지 몸체(4, 24) 상에 제공되는, 소독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4, 24)가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는, 소독 부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2, 22)이 하나의 코팅으로서 지지 몸체(4, 24) 상에 제공되는, 소독 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막으로서 형성된, 소독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의 적어도 한 측에 접착층(30)이 제공된, 소독 부재.
KR1020117024409A 2009-03-16 2010-03-16 구리를 포함하는 살생물제 코팅 KR201200539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3029.2 2009-03-16
DE102009013029A DE102009013029A1 (de) 2009-03-16 2009-03-16 Desinfektions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985A true KR20120053985A (ko) 2012-05-29

Family

ID=4231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409A KR20120053985A (ko) 2009-03-16 2010-03-16 구리를 포함하는 살생물제 코팅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41743A1 (ko)
EP (1) EP2408486A1 (ko)
KR (1) KR20120053985A (ko)
CN (1) CN102438663A (ko)
CA (1) CA2805278A1 (ko)
DE (1) DE102009013029A1 (ko)
WO (1) WO2010112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3247A1 (de) 2013-06-12 2014-12-17 Cu Innotech GmbH Antimikrobiell ausgerüstetes Polymer mit eingebundenen Partikel und Desinfektionselement auf Basis des Polymers
EP2856871A1 (de) 2013-10-02 2015-04-08 Cu Innotech GmbH Antimikrobiell ausgerüstetes Formteil auf Silikonbasis
BR112016017136A2 (pt) * 2014-01-29 2017-08-08 Mason Dennis Método para tratar meio gasoso ou líquido contendo micro-organismos e dispositivo e usina de tratamento
US10064273B2 (en) 2015-10-20 2018-08-28 MR Label Company Antimicrobial copper sheet overlays and relate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5117A (ja) * 1987-01-08 1988-07-19 Kanebo Ltd 抗菌性繊維構造物素材
CA2033107C (en) * 1990-12-24 2001-06-12 Robert Edward Burrell Actively sterile surfaces
DE4324994C1 (de) * 1993-07-26 1995-02-23 Demetron Gmbh Ausrüstungs- und Sanitärartikel für Krankenhäuser
JP3056985B2 (ja) * 1995-10-19 2000-06-26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抗菌鍵盤
DE19950452A1 (de) * 1999-10-20 2001-04-26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Strukturierte Oberflächen mit zelladhäsions- und zellproliferationshemmenden Eigenschaften
US7445799B1 (en) * 2000-06-21 2008-11-04 Icet, Inc. Compositions for microbial and chemical protection
CN1530141A (zh) * 2003-03-11 2004-09-22 伍成柏 一种物体表面快速、高效、消毒灭菌方法及所使用的杀菌灯
WO2005042437A2 (en) * 2003-09-30 2005-05-12 Schott Ag Antimicrobial glass and glass ceramic surfaces and their production
DE102006004628A1 (de) * 2006-01-31 2007-08-09 Landau, Uwe, Prof. Dr. Oligodynamisch wirksam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20110046747A1 (en) * 2009-02-19 2011-02-24 Kelvin Wai Kwok Yeung Antibacterial surface and method of fabr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41743A1 (en) 2012-06-07
DE102009013029A1 (de) 2010-09-30
EP2408486A1 (de) 2012-01-25
CA2805278A1 (en) 2010-10-07
WO2010112136A1 (de) 2010-10-07
CN102438663A (zh)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keuchi et al. Mechanism of photoinduced superhydrophilicity on the TiO2 photocatalyst surface
KR20120053985A (ko) 구리를 포함하는 살생물제 코팅
JP6689248B2 (ja) 貯蔵装置及び方法
WO2007051145A3 (en) Treatment of odors using nanocrystalline metal oxides
WO2009123660A3 (en) Decontaminating sheet material containing reactive nanocrystalline particles and products constructed therefrom
WO2004032623A3 (en) Organic compound and metal ion synergistic disinfection and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Tartanson et al. A new silver based composite material for SPA water disinfection
EP2729001B1 (en) Silver-containing antimicrobial material and uses thereof
ATE433697T1 (de) Erzeugnis zur gerichteten freisetzung von aktivstoffen mit zwei verschiedenen kammern
EP1621244A4 (en) CHEMICAL FILTER
Fink et al. The “artificial ostrich eggshell” project: Sterilizing polymer foils for food industry and medicine
JP2008050559A (ja) 塗料
JP4873923B2 (ja) 消臭及び/又は除菌用シート
JPH08296060A (ja) 抗菌・抗黴性のアルミニウム建築材及びそれを用いた建具
WO2019156118A1 (ja) 抗菌用多孔質材料及びそれを含む抗菌加工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抗菌方法
US20210337804A1 (en) Antimicrobial surface systems
RU104460U1 (ru) Очиститель воздуха с фотокаталитическим фильтром
JP2007083219A (ja) 多機能性基材
KR101234609B1 (ko) 오염 물질 분해 효과를 갖는 미세 다공질 세라믹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Goto et al. Chlorhexidine-filled porous ceramic coating fabricated by the aerosol deposition method for immediate and long-term enveloped virus inactivation
KR200395623Y1 (ko) 기능성 합판
US11751563B2 (en) Pathogen eliminating artic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Sutianingsih et al. A Review: antibacterial activity of metal impregnated zeolite in water treatment process
JP3149817U (ja) 蒸気を発生させる構造の簡易消臭・抗菌装置
Bernardy Exploring the Mechanistic Effects of Surface Characteristics on UV254 and BL405 Disinfection Effic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