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694A - 소화기의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소화기의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694A
KR20120053694A KR1020100114946A KR20100114946A KR20120053694A KR 20120053694 A KR20120053694 A KR 20120053694A KR 1020100114946 A KR1020100114946 A KR 1020100114946A KR 20100114946 A KR20100114946 A KR 20100114946A KR 20120053694 A KR20120053694 A KR 20120053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ozzle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er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2584B1 (ko
Inventor
박동섭
임성섭
Original Assignee
에프피지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피지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에프피지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0011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5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분사효율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소화기의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화액을 포함한 소화약제를 분출시키도록 약제호스(13)의 분사통로(14) 단부에 결합된 소화기의 분사노즐에 있어서; 기 분사통로(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경되는 분사구(33)가 형성된 단관체 형상의 노즐본체(31)와; 기 분사구(33)의 벽면에 돌출되어 소화약제가 충돌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돌기(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화기의 분사노즐이 공된다.

Description

소화기의 분사노즐{Injection nozzle of a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의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분사효율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소화기의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강화액은 소화기 내에 액상으로 저장된 상태에서 분사되는 과정 또는 분사된 후에 외부 물체와의 충돌 또는 접촉에 의해 기포를 발생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된 것으로, 그 기포량이 많을수록 화재 발생시에 연소반응의 억제효과가 증대되므로 강화액의 분사시에 기포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일례를 도 1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10)는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원통형상의 약제통(11)이 구비되고, 이 약제통(11)의 외부 상단에는 화재시에 상기 약제통(11)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그립에 의해 소화작동이 가능하도록 된 작동레버(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작동레버(12)에는 상기 약제통(11) 내의 소화약제가 가압 배출되도록 연장된 약제호스(13)가 결합되고, 이 약제호스(13)의 단부에는 소화약제를 분출시키기 위한 분사노즐(20)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종래의 분사노즐(20)은 내부에 상기 약제호스(13)의 분사통로(14)에 연통되는 연통로(22)와 이 연통로(22)에 비해 확경된 분사구(23)가 형성된 노즐본체(21)가 구비되고, 이 노즐본체(21)의 일단 외주에는 상기 약제호스(13)의 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돌기(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로(22)와 분사구(23) 상에는 지지구(25)에 의해 상기 노즐본체(21)의 내부에 결합된 코어봉(26)이 구비되고, 이 코어봉(26) 상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20)을 통해 분출되는 강화액과 같은 소화약제가 상기 코어봉(26)의 돌기(27)에 충돌되어 기포가 발생되어 화재를 진압하도록 된 것이나, 이러한 종래의 분사노즐(20)은 상기 분사구(23)의 중앙부에 코어봉(26)이 위치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될 때에 확산됨에 따른 상기 돌기(27)와의 충돌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기포의 발생이 미미하여 화재의 연소반응 억제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소화약제를 이용되는 강화액의 기포 생성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화재의 진화효과를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소화기의 분사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강화액을 포함한 소화약제를 분출시키도록 약제호스(13)의 분사통로(14) 단부에 결합된 소화기의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분사통로(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경되는 분사구(33)가 형성된 단관체 형상의 노즐본체(31)와;
상기 분사구(33)의 벽면에 돌출되어 소화약제가 충돌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돌기(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분사노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기(34)는 선단부가 상기 분사구(33)의 출구에 대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분사노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기(34)는 상기 분사구(3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되, 각 돌기(34)는 상기 분사구(33)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상에 단일개가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분사노즐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구(33)의 벽면에 다수개의 돌기(34)가 형성됨으로써, 소화약제의 분사시에 가압 분출에 의한 확산에 의해 상기 돌기(34)에 소화약제가 용이하게 충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강화액과 같은 소화약제의 기포 생성량을 증대시켜 화재의 진화효과를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돌기(34)는 분사구(3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면서도 상기 분사구(33)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상에 단일개가 위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돌기(34)에 의해 소화약제의 분출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화기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분사노즐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부분에 따른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사노즐(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화기(10)의 약제호스(13)의 단부에 결합되어 약제통(11)에 충전된 소화약제를 분출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30)은 상기 약제호스(13)의 분사통로(14)에 연통되는 연통로(32)와 이 연통로(32)에 비해 확경된 분사구(33)가 형성된 단관체 형상의 노즐본체(31)가 구비되고, 이 노즐본체(31)의 일단 외주에는 상기 약제호스(13)에 결합되도록 체결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구(33)에는 벽면에 다수의 돌기(34)가 형성되어 상기 약제통(11)으로부터 가압 분출되는 강화액과 같은 소화약제가 충돌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돌기(34)는 특별히 그 형상의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강화액의 기포 생성량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도록 소화약제의 충돌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소화약제의 분출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선단부가 향하도록 된 쐐기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34)는 그에 의해 소화약제의 분출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전술된 바와 같은 기포 생성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를 위해 각 돌기(34)는 상기 분사구(3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면서도 상기 분사구(33)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상에 단일개가 위치되도록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돌기(34)는 상기 분사구(33)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상을 이루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소화약제의 분출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분사구(33)의 출구측으로 확장된 유로를 형성하도록 그 돌출길이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연통로(32)와 분사구(33) 사이에 형성된 벤츄리부(36)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소화약제의 분사속도 또는 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강화액을 포함한 소화약제를 분출시키도록 약제호스(13)의 분사통로(14) 단부에 결합된 소화기의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분사통로(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경되는 분사구(33)가 형성된 단관체 형상의 노즐본체(31)와;
    상기 분사구(33)의 벽면에 돌출되어 소화약제가 충돌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돌기(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분사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4)는 선단부가 상기 분사구(33)의 출구에 대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분사노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4)는 상기 분사구(3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되, 각 돌기(34)는 상기 분사구(33)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상에 단일개가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분사노즐.
KR1020100114946A 2010-11-18 2010-11-18 소화기의 분사노즐 KR10119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946A KR101192584B1 (ko) 2010-11-18 2010-11-18 소화기의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946A KR101192584B1 (ko) 2010-11-18 2010-11-18 소화기의 분사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694A true KR20120053694A (ko) 2012-05-29
KR101192584B1 KR101192584B1 (ko) 2012-10-18

Family

ID=4626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946A KR101192584B1 (ko) 2010-11-18 2010-11-18 소화기의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5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211B1 (ko) * 2016-05-16 2017-01-31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700733B1 (ko) * 2016-05-16 2017-01-31 (주)건일엠이씨 상하분사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20210067490A (ko) 2019-11-29 2021-06-08 이남융 노즐 어셈블리
KR102278497B1 (ko) * 2021-01-04 2021-07-16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기용 분사노즐
KR20210099361A (ko) 2020-02-04 2021-08-12 이남융 노즐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55778A (ko) * 2022-05-04 2023-11-13 이강호 소화약제 잔량 소진구조를 갖는 건물용 자동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33B1 (ko) 2017-12-07 2018-07-24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KR101951739B1 (ko) 2018-09-06 2019-02-2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KR102041950B1 (ko) 2019-03-14 2019-11-07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용 저충격 분사노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58151C1 (ru) 2000-01-13 2000-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ЮНИПАТ"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и огнетушитель, снабженный распылителем
KR100527289B1 (ko) 2005-03-03 2005-11-09 주식회사 파이어앤텍 소화기의 분사노즐
KR200420209Y1 (ko) 2006-03-28 2006-06-29 주식회사 다임코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 어셈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211B1 (ko) * 2016-05-16 2017-01-31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700733B1 (ko) * 2016-05-16 2017-01-31 (주)건일엠이씨 상하분사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20210067490A (ko) 2019-11-29 2021-06-08 이남융 노즐 어셈블리
KR20210099361A (ko) 2020-02-04 2021-08-12 이남융 노즐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8497B1 (ko) * 2021-01-04 2021-07-16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기용 분사노즐
KR20230155778A (ko) * 2022-05-04 2023-11-13 이강호 소화약제 잔량 소진구조를 갖는 건물용 자동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584B1 (ko)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584B1 (ko) 소화기의 분사노즐
JP6210857B2 (ja) 空中噴霧用マイクロバブルノズル
US20130292495A1 (en) Low pressure watermist nozzle manifold
JP4859263B2 (ja) 配管洗浄用ノズル及び配管洗浄用ノズルを用いた配管洗浄方法
JP2011050857A (ja) ミストシャワーヘッド
JP4361590B1 (ja) 消火用ノズル装置
TWM514882U (zh) 噴嘴改良結構
JP2008132406A (ja) 点鼻薬注出ノズル
JP2006296491A (ja) 液体噴射用発泡ノズル
JPH04131154A (ja) 化学物質溶液の発泡噴射装置
KR100807170B1 (ko) 소화용 폼 제너레이터
JP4141774B2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用噴射ノズル
JP5617013B1 (ja) ハンドスプレーガン及び洗浄剤組成物の吐出方法
PL229600B1 (pl) Urządzenie zapewniające przepływ dwufazowy w rozpylaczu cieczy oraz rozpylacz cieczy zawierający takie urządzenie i sposób modyfikowania rozpylacza cieczy
KR200491282Y1 (ko)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JP3351632B2 (ja) 二液混合スプレー容器
JP2002096857A (ja) 液体噴射容器用ノズル
JP5849513B2 (ja) シャワー装置
JP2012017108A (ja) 噴射器付き容器
JP4766623B2 (ja) 気液混合流の噴射装置
JP7401346B2 (ja) 噴射装置の泡吐出部構造
CN219356610U (zh) 一种泡沫喷嘴和带有该喷嘴的手枪泵
CN214485403U (zh) 一种外贮压式气体灭火系统的喷嘴
KR20150128094A (ko) 장착용 소화용 노즐 장치
KR20200029332A (ko) Co2 가스 고효율 분사가 가능한 소화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