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191A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191A
KR20120053191A KR1020100114336A KR20100114336A KR20120053191A KR 20120053191 A KR20120053191 A KR 20120053191A KR 1020100114336 A KR1020100114336 A KR 1020100114336A KR 20100114336 A KR20100114336 A KR 20100114336A KR 20120053191 A KR20120053191 A KR 20120053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screen panel
glass substrate
sensing
ce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588B1 (ko
Inventor
이규택
한관영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588B1/ko
Priority to US13/108,632 priority patent/US8741159B2/en
Publication of KR2012005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7Cutting armoured, multi-layered, coated or laminated, glass products
    • C03B33/076Laminated glass comprising inter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03C21/002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to perform ion-exchange between alkali 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은, 셀 단위로 다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될 유리기판의 전 표면에 강화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상, 하면에 강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화층이 형성된 유리기판의 일면에 상기 셀 단위 영역 별로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각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된 셀 단위 영역별로 강화 처리된 유리기판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셀 단위로 절단된 유리기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외면에 보호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에 의해 노출된 유리기판의 미 강화 처리 절단면에 대한 힐링 공정을 상기 적층된 각 셀 단위 유리기판들에 대해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등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단, 터치 스크린 패널이 영상표시장치의 패널 상부에 부착되면 표시장치 전체의 부피가 커져 휴대의 편리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박형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경우 기구 강도 향상을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부면에 윈도우가 추가로 구비되는데, 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박형화 추세에 역행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강화 처리된 유리(glass) 기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강화 처리된 유리 기판을 윈도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셀 단위로 유기기판을 커팅한 후, 이를 개별적으로 강화 처리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각각 셀 단위의 윈도우를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는 것은 양산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강화 처리되지 않은 유리 기판을 윈도우로 사용하여 원장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게 되면 윈도우의 파괴 강도가 취약하여 윈도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 상에 감지전극들을 형성하는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함에 있어서, 원장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의 강화 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각 셀 영역 별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형성한 뒤 상기 각 셀 영역에 대한 커팅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미 강화 처리면 즉, 커팅된 단면부에 대하여 힐링(Healing)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의 파괴 강도 및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은, 셀 단위로 다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될 유리기판의 전 표면에 강화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상, 하면에 강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화층이 형성된 유리기판의 일면에 상기 셀 단위 영역 별로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각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된 셀 단위 영역별로 강화 처리된 유리기판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셀 단위로 절단된 유리기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외면에 보호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에 의해 노출된 유리기판의 미 강화 처리 절단면에 대한 힐링 공정을 상기 적층된 각 셀 단위 유리기판들에 대해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보호층은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서, 필름 또는 페이스트(paste)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힐링 공정은 상기 절단면에 화학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이며, 상기 화학 용액은 불산(HF)을 베이스(base)로, 무기산(inorganic acid), 암모늄 계열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구현된다.
또한, 상기 힐링 공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 배출 장치가 상기 적층된 각 셀 단위 유리기판의 절단면에 상기 화학 용액을 배출시키는 공정으로서, 상기 용액 배출 장치는 회전 및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적층된 각 셀 단위 유리기판의 절단면에 화학 용액을 접촉시킨다.
여기서, 상기 용액 배출 장치는 외주면에 롤 브러시가 구비되어 상기 롤 브러시가 상기 절단면에 직접 맞닿아 힐링 공정을 수행하거나, 외주면의 일측에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화학 용액을 상기 절단면에 분사시켜 힐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제 1면 및 제 2면에 강화층이 형성된 유리기판과; 상기 유리기판의 제 1면의 활성영역에 형성된 센싱패턴들과; 상기 활성영역의 외곽부인 비활성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패턴들과 연결되는 센싱라인들이 포함되며, 상기 유리 기판의 측면에 노출된 미 강화 처리면의 에지부가 완만한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 때, 상기 강화층이 형성된 유리기판은 윈도우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 2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접촉이 수행되는 면이며, 상기 강화층은 유리 기판 표면에 존재하는 나트륨(Na) 성분이 칼륨(K) 성분으로 치환되어 구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윈도우 상에 감지전극들을 형성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장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의 강화 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각 셀 영역 별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형성한 뒤 상기 각 셀 영역에 대한 커팅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미 강화 처리면 즉, 커팅된 단면부에 대하여 힐링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단면부에 형성되는 미세 크랙을 제거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파괴 강도 및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 영역(I-I')에 대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단, 이는 센싱패턴들이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그 대상으로 하며, 원장 단위로 상기 유리기판을 강화 처리한 후 상기 투명기판 상에 다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여 이를 셀 단위로 커팅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투명기판(10)과, 투명기판(10) 상에 형성된 센싱패턴(220)과, 센싱패턴(220)을 패드부(20)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센싱라인들(230)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패턴(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방향을 따라 각 행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센싱셀들(220a)과, 제1 센싱셀들(220a)을 행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열방향을 따라 각 열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220b)과, 제2 센싱셀들(220b)을 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들(220b1)을 포함한다.
편의상, 도 2에서는 센싱패턴의 일부만을 도시하였으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2에 도시된 센싱패턴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 센싱셀들(220a) 및 제2 센싱셀들(220b)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제2 연결라인들(220b1)은 서로 교차된다. 이때,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제2 연결라인들(220b1) 사이에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절연막(미도시)이 개재된다.
한편, 제1 센싱셀들(220a) 및 제2 센싱셀들(220b)은 인듐-틴-옥사이드(이하,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을 이용하여 각각 제1 연결라인들(220a1) 및 제2 연결라인들(220b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이들과 별도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센싱셀들(220b)은 제2 연결라인들(220b1)과 일체로 열방향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제1 센싱셀들(220a)은 제2 센싱셀들(220b)의 사이에 각각이 독립된 패턴을 갖도록 패터닝되되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제1 연결라인들(220a1)에 의해 행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라인들(220a1)은 제1 센싱셀들(220a)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제1 센싱셀들(220a)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컨택홀 등을 통해 제1 센싱셀들(2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라인들(220a1)은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혹은 불투명한 저저항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되 패턴의 가시화가 방지되도록 그 폭 등이 조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싱라인들은, 각각 행라인 단위 및 열라인 단위의 제1 및 제2 센싱셀들(220a, 2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패드부(20)를 통해 위치검출회로와 같은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한다.
이러한 센싱라인들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 외곽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 센싱패턴(220)의 형성에 이용되는 투명전극물질 외에도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접촉물체가 접촉되면, 센싱패턴(220)으로부터 센싱라인(230) 및 패드부(20)를 경유하여 구동회로(미도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러면,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독립적인 기판에 형성되어 영상표시장치 등의 상면에 부착된다. 하지만, 이 경우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기판(10)의 상부면은 접촉물체가 직접 접촉되는 면으로 즉, 상기 투명기판(10)이 표시장치의 윈도우로도 기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윈도우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 패널의 투명기판과 윈도우를 일체화하여 구현한다. 이에 의해, 박형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함은 물론, 제조공정의 간소화와 재료비 절감 등을 통해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단, 이를 위해서는 상기 투명기판(10)은 윈도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강화 처리가 수행된 유리기판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강화 처리를 각각의 셀 단위에서 수행하지 아니하고, 셀 단위의 커팅 전 원장 기판 단계에서 수행함으로써, 양산성 확보에 큰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 영역(I-I')에 대한 단면도이다.
즉, 도 3은 강화 처리된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이 셀 단위로 커팅된 일측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강화 처리된 유리기판은 일 예로, 상기 유리기판을 KNO3 용액에 담근 뒤 400도 내지 450도의 온도로 15 내지 18시간 정도 가열하는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공정을 통해 유리기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나트륨(Na) 성분을 칼륨(K) 성분으로 치환함으로써 유리기판 표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처리가 수행된 상기 유리기판(10)의 표면에 형성된 강화층(11)은 상기 표면에 존재하는 나트륨(Na) 성분이 칼륨(K) 성분으로 치환되어 그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강화 처리 유리기판의 활성영역(active area) 상에 형성된 센싱패턴들(220)은, 제 1방향을 따라 각 행 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셀들(220a)과, 제1 센싱셀들(220a)을 행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220a1) 및 열 방향을 따라 각 열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220b)과, 제2 센싱셀들(220b)을 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들(220b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상기 제2 연결라인들(220b1)의 교차부에는 절연막(240)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활성영역(active area) 외곽에 위치한 비 활성영역(non-active are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210)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센싱패턴들(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라인들(230)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블랙 매트릭스(210)는 비활성영역에 형성되는 센싱라인 등의 패턴이 가시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표시영역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 도 3에 도시된 센싱패턴들(220), 절연막(240), 블랙매트릭스(210), 센싱라인들(23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께 및 면적을 크게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상기 유리 기판(10)의 두께에 비해 상당히 얇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강화 처리된 원장 기판을 셀 단위로 커팅할 경우, 커팅되는 단면 즉, 커팅 후 노출된 유리기판의 미 강화 처리면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출된 절단면에 대하여 힐링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절단면에 형성되는 미세 크랙을 제거함으로써, 양산성 확보와 아울러 터치 스크린 패널의 파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리 기판(10)의 절단면은 힐링 공정이 수행됨에 의해 에지부(10')가 완만한 형상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공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원장기판(10) 즉, 셀 단위로 다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될 유리기판(10)의 전 표면에 대하여 강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강화 처리는 상기 유리기판(10)을 KNO3 용액에 담근 뒤 400도 내지 450도의 온도로 15 내지 18시간 정도 가열하는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통해 유리기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나트륨(Na) 성분을 칼륨(K) 성분으로 치환함으로써 유리기판 표면의 강도가 향상된다. 즉, 강화 처리 수행 이후 상기 유리기판의 표면 상에는 강화층(11)이 형성된다. 단,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유리기판에 대한 강화 처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장 기판의 각 셀 단위 영역 별로 터치 스크린 패널(100)을 형성한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원장 기판(10)이 3개의 셀 단위로 구성됨을 그 예로 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0)은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영역에 형성되는 센싱패턴들(220)과, 비활성영역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210), 센싱라인들(23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4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0)이 각 셀 단위 영역 별로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각 셀 단위 영역 별로 커팅한다. 이 때, 상기 커팅은 휠(wheel), 레이저, 워터-젯(water-jet), 식각(etching) 등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또한, 상기 커팅이 완료된 후 상기 커팅 절단면에 대한 연마를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단, 이와 같이 커팅이 수행되면 커팅된 절단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처리가 안된 면(10")이 노출되어 미세 크랙(crack)이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미세 크랙은 제품의 신뢰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미 강화처리면 즉, 노출된 절단면(10")에 대한 힐링 공정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팅 공정을 통해 절단된 다수의 셀들 즉, 다수의 터치 스크린 패널들을 적층하여 동시에 상기 힐링 공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힐링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강화 처리가 수행된 유리 기판의 강화면(11) 및 터치 스크린 패널(100)에 대해서는 상기 힐링 공정시 사용되는 화학 용액이 침투되지 않아야 하므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된 유리기판의 외면 즉, 강화면(11)의 상부와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외면에는 각각 보호층(50)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보호층(50)은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필름 또는 페이스트(past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층(50)이 형성된 각 셀 단위의 터치 스크린 패널들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미 강화처리된 절단면(10")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힐링 공정을 대기하게 된다.
그 다음,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된 다수의 셀 단위의 절단면에 대하여 힐링 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힐링 공정은 상기 절단면(10")에 화학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으로서, 상기 화학 용액은 불산(HF)을 베이스(bas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상기 화학 용액은 불산(HF)과 무기산(inorganic acid), 암모늄 계열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 배출 장치(60)가 상기 적층된 각 셀 단위 터치 스크린 패널들(100)이 형성된 유리기판의 노출 절단면(10")에 상기 화학 용액을 배출시켜 상기 절단면(10")에 대한 힐링 공정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용액 배출 장치(60)는 회전 및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노출된 모서리(일예로 4측면)에 구비된 절단면(10")에 화학 용액을 골고루 접촉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 배출 장치(60)는 외주면에 롤 브러시(Roll brush)(62)가 구비되어 상기 롤 브러시(62)가 절단면에 직접 맞닿아 힐링 공정을 수행하거나, 외주면의 일측에 스프레이 노즐(64))이 구비되어 상기 화학 용액을 분사시킴으로써 힐링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힐링 공정은 불산(HF)이 포함된 화학 용액이 상기 노출된 절단면(1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절단면(10")에 발생된 미세 크랙의 날카로운 내측 부위를 완만하게 함몰시키거나, 또는 미세 크랙이 발생된 커팅 단면의 외측영역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면(10)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앞서 도시된 도 3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커팅 절단면의 에지부분(10')은 완만한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 때, 상기 화학 용액에 포함되는 불산(HF)의 농도, 절단면이 화학 용액과 접촉되는 시간, 롤 브러시의 회전 속도,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용액의 세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힐링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힐링 공정이 완료되면 앞서 도 4d에서 언급한 보호층을 제거하고, 세정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단면(10")의 에지부분(10')이 완만한 형상인 강화 유리기판(10) 상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100)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유리기판 10': 에지부
10": 절단면 11: 강화층
100: 터치 스크린 패널 220: 센싱패턴
230: 센싱라인

Claims (11)

  1. 셀 단위로 다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될 유리기판의 전 표면에 강화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상, 하면에 강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화층이 형성된 유리기판의 일면에 상기 셀 단위 영역 별로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각 터치 스크린 패널이 형성된 셀 단위 영역별로 강화 처리된 유리기판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각 셀 단위로 절단된 유리기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외면에 보호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에 의해 노출된 유리기판의 미 강화 처리 절단면에 대한 힐링 공정을 상기 적층된 각 셀 단위 유리기판들에 대해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서, 필름 또는 페이스트(paste)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 공정은 상기 절단면에 화학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용액은 불산(HF)을 베이스(base)로, 무기산(inorganic acid), 암모늄 계열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 공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 배출 장치가 상기 적층된 각 셀 단위 유리기판의 절단면에 상기 화학 용액을 배출시키는 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배출 장치는 회전 및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적층된 각 셀 단위 유리기판의 절단면에 화학 용액을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배출 장치는 외주면에 롤 브러시가 구비되어 상기 롤 브러시가 상기 절단면에 직접 맞닿아 힐링 공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배출 장치는 외주면의 일측에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화학 용액을 상기 절단면에 분사시켜 힐링 공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9. 제 1면 및 제 2면에 강화층이 형성된 유리기판과;
    상기 유리기판의 제 1면의 활성영역에 형성된 센싱패턴들과;
    상기 활성영역의 외곽부인 비활성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패턴들과 연결되는 센싱라인들이 포함되며,
    상기 유리 기판의 측면에 노출된 미 강화 처리면의 에지부가 완만한 형상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층이 형성된 유리기판은 윈도우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 2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접촉이 수행되는 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층은 유리 기판 표면에 존재하는 나트륨(Na) 성분이 칼륨(K) 성분으로 치환되어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00114336A 2010-11-17 2010-11-17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336A KR101719588B1 (ko) 2010-11-17 2010-11-17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3/108,632 US8741159B2 (en) 2010-11-17 2011-05-16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336A KR101719588B1 (ko) 2010-11-17 2010-11-17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91A true KR20120053191A (ko) 2012-05-25
KR101719588B1 KR101719588B1 (ko) 2017-03-27

Family

ID=4604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336A KR101719588B1 (ko) 2010-11-17 2010-11-17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41159B2 (ko)
KR (1) KR10171958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856A1 (ko) * 2012-07-27 2014-01-3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터치패널의 제조방법
KR101379684B1 (ko) * 2012-12-03 2014-04-01 주식회사 태성기연 셀 단위의 g2 방식 터치센서가 형성된 단일의 강화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101428656B1 (ko) * 2012-11-27 2014-08-13 (주)에스티아이 터치스크린 패널용 강화유리의 표면처리 장치
KR101480708B1 (ko) * 2013-09-30 2015-01-09 (주)유티아이 측면강화코팅된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제조방법
KR101493749B1 (ko) * 2013-09-06 2015-02-16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화학 강화 유리 제조방법
KR20150069414A (ko) * 2013-12-13 2015-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150131747A (ko) 2014-05-16 2015-11-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리 힐리용 조성물
US9711754B2 (en) 2015-04-29 2017-07-18 Samsung Displa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3884A1 (en) * 2011-06-10 2012-12-13 Ping-Wen Huang Cover glass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KR20130110701A (ko) * 2012-03-30 201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글라스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5536B1 (ko) * 2012-07-30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EP2735552A1 (en) * 2012-11-23 2014-05-28 Wintek Corporation Cover glass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KR102237859B1 (ko) * 2014-05-14 2021-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JP2016050162A (ja) * 2014-09-02 2016-04-11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20170000187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7638A1 (en) * 2000-01-31 2001-08-09 Touch Panel Systems K.K. Touch panel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90008569A (ko) * 2007-07-18 2009-01-22 (주)네오윈시스 휴대폰용 윈도우글라스의 외곽에 단차가 있는 플랜지 형성방법
KR20100084257A (ko) * 2009-01-16 2010-07-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0234518A (ja) * 2009-03-10 2010-10-2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5014B2 (ja) * 2005-05-26 2012-1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TWI486320B (zh) * 2007-03-02 2015-06-01 Nippon Electric Glass Co 強化板玻璃及其製造方法
KR101073320B1 (ko) * 2010-04-01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22856B1 (ko) 2010-04-28 2012-06-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TW201201083A (en) * 2010-06-23 2012-01-01 Fortrend Taiwan Scient Corp Single piece type capacitive touch panel structure
CN103229130B (zh) * 2010-11-25 2016-03-02 欧普索尔有限公司 触控面板用强化玻璃板及利用它的触控面板用强化玻璃板制造方法
JP4978974B1 (ja) * 2011-03-28 2012-07-18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ガラス基板とその製造方法
US20120313884A1 (en) * 2011-06-10 2012-12-13 Ping-Wen Huang Cover glass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TWI443562B (zh) * 2011-08-12 2014-07-01 Wintek Corp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及觸控顯示裝置
CN103164069B (zh) * 2011-12-19 2016-02-24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7638A1 (en) * 2000-01-31 2001-08-09 Touch Panel Systems K.K. Touch panel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90008569A (ko) * 2007-07-18 2009-01-22 (주)네오윈시스 휴대폰용 윈도우글라스의 외곽에 단차가 있는 플랜지 형성방법
KR20100084257A (ko) * 2009-01-16 2010-07-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0234518A (ja) * 2009-03-10 2010-10-2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856A1 (ko) * 2012-07-27 2014-01-3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터치패널의 제조방법
KR101428656B1 (ko) * 2012-11-27 2014-08-13 (주)에스티아이 터치스크린 패널용 강화유리의 표면처리 장치
KR101379684B1 (ko) * 2012-12-03 2014-04-01 주식회사 태성기연 셀 단위의 g2 방식 터치센서가 형성된 단일의 강화유리판 가공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101493749B1 (ko) * 2013-09-06 2015-02-16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화학 강화 유리 제조방법
WO2015034200A1 (ko) * 2013-09-06 2015-03-12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화학 강화 유리 제조방법
KR101480708B1 (ko) * 2013-09-30 2015-01-09 (주)유티아이 측면강화코팅된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제조방법
KR20150069414A (ko) * 2013-12-13 2015-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150131747A (ko) 2014-05-16 2015-11-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리 힐리용 조성물
US9711754B2 (en) 2015-04-29 2017-07-18 Samsung Displa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41159B2 (en) 2014-06-03
US20120120003A1 (en) 2012-05-17
KR101719588B1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588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9307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23019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4078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2285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332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5744562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9538B1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0106A (ko) 플렉서블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18045828A1 (zh) 触控单元及其制造方法、触控显示面板
CN109976592A (zh) 触控基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KR10105626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118727B1 (ko) 박막형 멀티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75788B1 (ko) 터치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2093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42533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9430A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