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949A -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 Google Patents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949A
KR20120050949A KR1020120036709A KR20120036709A KR20120050949A KR 20120050949 A KR20120050949 A KR 20120050949A KR 1020120036709 A KR1020120036709 A KR 1020120036709A KR 20120036709 A KR20120036709 A KR 20120036709A KR 20120050949 A KR20120050949 A KR 2012005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opening
housing
screw
jui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996B1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2012003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물이 유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뚜껑; 유입된 음식물을 절단, 분쇄, 압축 또는 이송하며,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일측에 즙배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경로를 개폐하는 탄성체가 개재되는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스크류가 회전하며, 뚜껑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측면을 통하여 즙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망드럼; 하우징과 망드럼 사이에 장착되고, 스크류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하우징의 내벽 또는 망드럼의 외벽을 쓸어내리도록 이루어진 브러쉬; 및 즙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JUICE EXTRACTOR HAVING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야채나 과일 등으로 녹즙과 주스를 만들거나 콩으로 두유를 만들 수 있으며, 투입되는 재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탁월한 착즙주스기능을 발휘하면서 초저속회전방식으로 녹즙이나 주스의 신선도를 최대로 유지하고, 조립, 분해, 세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주스기는 재료를 투입구에 넣고 눌러서 고속으로 파쇄하여 원심분리방식으로 주스를 만드는 것으로서, 고속 파쇄하는 과정에 과일의 고유의 맛과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고, 줄기나 잎으로 된 야채로는 녹즙을 만들기가 어려웠고, 점도가 높은 키위나 딸기 같은 과일로도 주스를 만들기 어려울 뿐 아니라 콩으로 두유를 만드는 것은 아예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주스를 계속해서 만들려고 하면 수시로 기기를 분해하여 망공에 끼인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90676호(착즙 겸용 분쇄기)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발명으로서, 이에 따른 착즙기는 길게 생긴 스크류가 착즙망, 드럼캡과 함께 드럼에 수평으로 조립되어 구동부의 측면에 결착되도록 되어 있어서, 전체의 길이가 길고 투입구에 재료를 투입하면 수평으로 천천히 이송되면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착즙기를 사용하거나 보관할 때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재료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착즙되므로 착즙 속도가 느리고, 점도가 높은 걸쭉한 즙은 잘 흘러내리지 못하고 드럼에 고이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크류의 일측에는 회전축이 없으므로 회전축이 없는 일측의 스크류는 회전시 흔들리고 착즙망 내벽의 벽면날에 부딪혀 소음과 마모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착즙기 등은 남아있는 음식물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위생상의 문제와 장치의 손상 방지의 요구에 따라 사용 후 분리세척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분해 조립에 있어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방지 또는 장치의 내구성 확보 등의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는 착즙주스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역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인데, 이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무엇보다도 콩을 마치 맷돌로 갈아서 눌러 짜는 원리를 이용하여 두유로 만들고 토마토, 키위나 딸기와 같이 점도가 높은 과일 등을 강판에 갈아서 눌러 짜는 방식으로 주스를 만드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착즙주스기의 하우징이 구동부 상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므로, 사용이나 보관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즙 배출구가 종래기술에 비하여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컵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착즙주스기의 하우징이 구동부 상측에 수직으로 조립되므로, 재료가 중력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려가고, 착즙속도가 빠르고 즙 고임 현상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야채나 과일도 신속하게 착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따른 착즙주스기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주스기 내부 청소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등록특허의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착즙주스기의 세척에 있어서 현저히 향상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착즙주스기 내부에 남아있는 음식물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위생상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 또는 한 종류의 주스를 만든 후 다른 종류의 주스를 만들고자 할 때는 착즙주스기를 분해하여 세척한 후 다시 조립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보다 용이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착즙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의 즙배출구에 물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개폐기구를 설치하고, 착즙기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와 브러쉬를 이용하여 착즙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의 부품들이 양호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음식물이 유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뚜껑; 유입된 음식물을 절단, 분쇄, 압축 또는 이송하며,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일측에 즙배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경로를 개폐하는 탄성체가 개재되는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스크류가 회전하며, 뚜껑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측면을 통하여 즙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망드럼; 하우징과 망드럼 사이에 장착되고, 스크류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하우징의 내벽 또는 망드럼의 외벽을 쓸어내리도록 이루어진 브러쉬; 및 즙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하우징의 즙배출구에 물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개폐기구가 설치되므로, 착즙기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착즙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의 부품들이 양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하우징의 내벽과 망드럼의 외벽을 쓸어내리는 브러쉬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부품에 붙어있는 찌꺼기 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둘째, 찌꺼기배출구에 개재되는 탄성체는 찌꺼기가 밀려 배출되는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세척을 위한 경우에는 찌꺼기배출구의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며, 개폐기구를 통하여 즙배출구를 닫는 것만으로 세척을 위한 상태를 마련할 수 있다.
셋째, 즙배출구는 바깥쪽이 안쪽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므로, 즙배출구 또는 하우징 내부에 고이는 찌꺼기 등이 남아 있지 않게 되며, 개폐기구를 개방하는 경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개폐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회동부와 막음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즙배출구 상에서 결합된 상태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개폐의 조작이 용이하며 개폐기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개폐기구에서 회동부, 막음부와 함께 레버가 함께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개폐의 조작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여섯째, 개폐기구가 즙배출구 상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하여 개폐기구를 포함한 장치의 세척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개폐기구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개폐기구의 제거가 용이하고, 파손 등의 원인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회동축과 회동보스의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개폐기구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하면서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의 세척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개폐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1)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1)의 세척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1)는, 음식물이 유입되는 투입구(13)가 형성되는 뚜껑(10); 유입된 음식물을 절단, 분쇄, 압축 또는 이송하며, 회전축(41)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크류(40); 일측에 즙배출구(21)가 형성되고, 타측에 경로를 개폐하는 탄성체가 개재되는 찌꺼기배출구(22)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40)가 회전하며, 상기 뚜껑(10)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20); 상기 스크류(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측면을 통하여 즙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망드럼(50); 상기 하우징(20)과 망드럼(50)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스크류(40)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20)의 내벽 또는 상기 망드럼(50)의 외벽을 쓸어내리도록 이루어진 브러쉬(60); 및 상기 즙배출구(21)를 개폐하는 개폐기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즙배출구(21)는 바깥쪽이 안쪽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1)는 기본적으로, 상기와 같이, 뚜껑(10), 스크류(40), 하우징(20), 망드럼(50), 브러쉬(60) 및 개폐기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와 같은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뚜껑(10)은 본 발명인 착즙기(1) 내부로 야채, 과일과 같은 대상물이 투입되는 부분이며, 투입구(13)가 구비되어 본 발명인 착즙기(1)의 최상부를 구성한다. 상기 뚜껑(10)은 투입되는 대상물이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구조가 아니라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10)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20)이 밀착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전체적인 형상이 용기형상을 가지며 착즙을 모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외부에는 상기 즙배출구(21) 및 찌꺼기배출구(22)가 형성되어, 상기 즙배출구(21)로는 착즙이, 상기 찌꺼기배출구(22)를 통하여는 투입되는 재료로부터 즙이 제거된 찌꺼기가 배출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1)에서 찌꺼기배출구(22)가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찌꺼기배출구(22)는 상기 즙배출구(21)가 상기 개폐기구(70)에 의하여 밀폐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상기 즙배출구(21)를 통하여는 상기 망드럼(50)의 측면을 통하여 흘러내린 착즙이 배출되도록, 상기 찌꺼기배출구(22)를 통하여는 상기 망드럼(50)의 하측을 통하여 전달되는 찌꺼기가 밀려 방출되도록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0)의 저면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방수부(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관통공(23a)은 상기 방수부(23)의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a)을 통하여 회전축(41)의 하단이 하방으로 삽입되어 구동축(32)에 연결된다. 상기 방수부(23)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착즙이 상기 관통공(23a)을 통하여 상기 구동몸체(30)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저면 바닥에는 상기 방수부(23) 테두리에 바로 인접하여 압력배출로(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배출로(27)는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40)의 하단이 삽입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압력배출로(27)와 상기 하우징(20)의 테두리벽 사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안내턱(28)이 원형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턱(28) 안쪽 바닥면 상에 상기 망드럼(50)의 하단이 안착되며, 상기 안내턱(28)과 상기 망드럼(50)의 하단 테두리는 서로 꼭 맞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턱(28)에 의해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에는 공간이 나뉘며, 내측으로는 상기 스크류(40) 및 망드럼(50)이 위치하며, 외측으로는 대부분의 착즙이 고여 배출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즙배출구(21)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어 착즙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즙배출구(21)는 약간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착즙이 고이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턱(28)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에는 아래로 관통형성된 하우징배출공(29)이 형성된다. 상기 찌꺼기배출구(22)는 상기 하우징배출공(29)에 연결되며, 이를 통하여 착즙이 제거된 찌꺼기가 배출된다. 즉, 상기 찌꺼기배출구(22)는 상기 하우징배출공(29)에서 시작되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찌꺼기배출구(22)의 경로상에는 경로를 차단하는, 고무 내지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체가 개재되며, 이러한 탄성체가 구비됨으로써, 찌꺼기가 상기 스크류(4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는 배출되되, 찌꺼기가 아닌, 즉 물과 같이 상기 스크류(4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경우는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지지게 된다.
도 1에는 하우징배출공(29)의 바로 저면에 상기 탄성체(도면번호 미표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몸체(30)에는 상측에 안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1) 중앙에는 상기 구동축(32)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몸체(30)의 후방에는 상기 몸통부(33)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몸체(30)는 본 발명인 착즙기(1)의 동력이 발생하는 부분이며, 내부에 모터 및 감속기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부(31) 상에는 상기 하우징(20)이 그 하단면이 밀착되게 놓인다.
상기 안착부(31) 중앙에는 상기 구동축(32)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32)은 상기 구동몸체(30) 내부의 모터 및 감속기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32)은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해 저속회전을 하며 상기 스크류(40)를 회전시킨다.
상기 안착부(31) 후방에는 상기 몸통부(33)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33)는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부(33) 전방으로는 상기 하우징(20)이 위치하며, 상기 몸통부(33)의 앞쪽은 상기 몸통부(33)가 상기 하우징(20)과 동일한 간격으로 약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40)에는 상기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 주변으로 형성된 상기 스크류날(4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41)은 상단이 상기 뚜껑(10)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축(32)에 연결된다. 상기 뚜껑의 배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41)의 상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1)의 하단은 상기 구동축(32)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4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구동축(32)과 결합 후 미끄러짐 없이 상기 구동축(32)과 일체로 회전되어야 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32)은 각기둥의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41)의 하단은 상기 구동축(32)이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날(42)은 상기 회전축(41) 주변에서 나선형태를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40)는 전체적으로 두툼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류날(42)과 상기 스크류날(42) 사이의 이음부가 투입되는 음식물을 눌러 짤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40)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축(41)의 주변에서 상측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하부공간(43)이 마련된다. 상기 하부공간(43) 내부로 상기 방수부(23)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40)와 하우징(20)이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40)에 의해 형성되는 착즙이나 찌꺼기는 상기 관통공(23a)을 통하여 상기 구동몸체(30)로 흘러들어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40)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공간(43)의 주변으로는 내부링(44)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링(44)의 외측으로 외부링(45)이 더 형성된다. 상기 내부링(44)과 외부링(45) 사이에는 원형돌기삽입공(46)이 마련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링(44) 하측으로 스크류기어(47)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크류기어(47)는 상기 압력배출로(27) 꼭 맞게 형성되며, 상기 압력배출로(27)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0)의 저면에는 중간기어(g)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상기 스크류기어(47)는 상기 중간기어(g)와 맞물린다. 상기 스크류(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기어(47)와 맞물려있는 상기 중간기어(g)가 회전하고, 상기 중간기어(g)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60)를 회전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망드럼(50)은 상기 스크류(40)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측면을 통하여 즙이 배출되도록 측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망드럼(50)의 하단 바닥부분 중앙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내부링삽입공(5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링삽입공(51)을 통하여 상기 스크류(40) 하측에 형성된 상기 내부링(44)이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기어(47)가 상기 압력배출로(27)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내부링삽입공(51) 주변으로는 상측으로 돌출된 원형돌기(52)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돌기(52)는 상기 원형돌기삽입공(46)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40)와 망드럼(5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40)의 외측면과 상기 망드럼(50)의 내측면은 하측 방향으로 밀폐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망드럼(50)의 저면에서 상기 원형돌기(52) 외측으로는 원형홈(53)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홈(53)의 일측에는 하측으로 관통되어 이루어진 망드럼배출공(54)이 형성된다. 상기 망드럼배출공(54)은 상기 망드럼(50) 하측으로 약간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우징배출공(29)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40)와 망드럼(50)이 결합된 상태에서 착즙이 제거된 찌꺼기는 상기 망드럼(50)의 측면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고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원형홈(53)에 쌓이고, 상기 망드럼배출공(54)을 통하여 상기 망드럼(50)을 빠져나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상기 하우징배출공(29), 찌꺼기배출구(2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브러쉬(60)는 상기 하우징(20)과 망드럼(50)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브러쉬(60)는 브러쉬홀더(61)와, 상기 브러쉬홀더(61)의 하단에 형성된 브러쉬기어(62), 상기 브러시홀더의 측방에 결합된 망브러쉬(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쉬홀더(61) 자체는 상기 하우징(20) 및 망드럼(50)과 밀착되지 않으며 이격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쉬기어(62)는 상기 중간기어(g)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40)가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망브러쉬(63)는 상기 브러쉬홀더(61)에 고정되어 외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20)의 내벽에, 내측 단부가 상기 망드럼(50)의 외벽에 닿도록 이루어져, 상기 브러쉬(60)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20)의 내벽, 상기 망드럼(50)의 외벽을 쓸어내리며 착즙 및 찌꺼기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브러쉬(60)는, 통상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는 상기와 같이 착즙 및 찌꺼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세척을 위한 경우에 세척을 위한 수단으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상기 망드럼(50) 및 하우징(20)에는 즙 내지는 찌꺼기 등이 끼여있거나 들러붙게 되는데, 세척을 위하여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의 회전은 찌꺼기 등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며, 세척용 브러쉬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있어서 세척장치라 함은, 상기 브러쉬(60) 및 후술할 개폐기구(70)를 포함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즙배출구(21)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기구(70)가 결합되며, 상기 즙배출구(21)를 통하여 즙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기구(70)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1)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개폐기구(70)는 조작에 따라 상기 즙배출구를 차단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즙배출구를 통하여 착즙기(1)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상기 개폐기구(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즙배출구(21) 일측에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즙배출구(21)를 포함한 상기 하우징(20)에서 완전히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7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개폐기구(70)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1)의 세척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70)가 상기 즙배출구(21)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13)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물을 유입시킨 후, 착즙기(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물은 상기 스크류(40)에 의해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는 개방되지 않게 되고, 상기 찌꺼기배출구(22)는 상기 탄성체가 경로를 차단하게 되므로, 밀폐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20)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40) 및 브러쉬(6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2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브러쉬(6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벽, 상기 망드럼(50)의 외벽을 쓸어내리며 들러붙어 있는 착즙 및 찌꺼기를 분리시키면서 세척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내부 부품에 부착되어 있는 찌꺼기 등이 물에 의하여 제거되게 된다.
즉, 부품 사이에 끼여있거나 부착되어 있는 찌꺼기 등은 상기 브러쉬(60)의 세척작용에 의해 분리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착즙기(1)를 일정 시간 작동시킨 후 물을 배출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착즙기(1)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우징의 즙배출구(21)에 물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개폐기구(70)가 설치되므로, 착즙기(1)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40) 및 브러쉬(50)를 이용하여 착즙기(1)를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의 부품들이 양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고, 특히 하우징(20)의 내벽과 망드럼(50)의 외벽을 쓸어내리는 브러쉬(60)를 포함하여, 스크류(40)와 연동하여 세척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즙배출구(21)는 바깥쪽이 안쪽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므로, 즙배출구(21) 또는 하우징(20) 내부에 고이는 찌꺼기 등이 남아 있지 않게 되며, 개폐기구(70)를 개방하는 경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폐기구(70)는 상기 즙배출구(21)를 통하여 배출되는 즙의 양을 조절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으며, 제공받고자 하는 양만큼을 즙이 배출된 경우에 상기 개폐기구(70)를 닫아 즙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양만큼의 즙만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개폐기구(7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1)는, 상기 즙배출구(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71); 상기 회동부(7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즙배출구(21)의 단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막음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막음부(72)에는, 테두리가 상기 즙배출구(21)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밀착되는 막음패킹(73)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71)를 기준으로 상기 막음부(72) 반대쪽에서 형성되는 레버(7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71)는 상기 즙배출구(21)의 단부 상측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개폐기구(70)는 상기 회동부(71) 및 막음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레버(74)가 더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기구(70)는 상기 즙배출구(21)에 고정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즙배출구(21)에서 분리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동부(71)는 상기 즙배출구(21)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상기 개폐기구(70)가 상기 즙배출구(21)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71)는, 경첩과 같이 통상의 힌지장치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7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막음부(72)는 상기 즙배출구(21)를 통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막도록 형성된 부분이며, 단부에 상기 막음패킹(73)이 결합된다. 상기 막음부(72)는 상기 회동부(7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막음패킹(73)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막음패킹(73)은 고무 내지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막음부(72)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막음패킹(73)은 상기 즙배출구(21)를 밀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즙배출구(2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상기 막음패킹(73)이 상기 즙배출구(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막음패킹(73)은, 상기 즙배출구(21)의 단부 직경보다 큰 캡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즙배출구(21)를 감싸며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음패킹(73)은, 상기 즙배출구(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외경이 상기 즙배출구(2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상기 즙배출구(2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내경이 상기 즙배출구(21)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막음패킹(73)은 상기 즙배출구(21)에 끼워지면서 일부 탄성변형되고, 상기 막음패킹(73)에 의하여 상기 즙배출구(21)의 기밀이 확실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74)는 상기 회동부(71)를 기준으로 상기 막음부(72) 반대쪽에 형성되며, 조작시 상기 막음부(72)가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버(74)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74)는, 대체로 상기 막음부(72)의 반대쪽에 형성되는데, 상기 막음부(72)가 개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약간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74)는 상기 막음부(7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즙배출구(21)의 상부면에 닿게 되며 회동이 저지되는데, 상기 레버(74)가 상기 즙배출구(21)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막음부(72)의 개방 정도가 충분치 못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배출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회동부(71)는 상기 즙배출구(21)의 상하, 좌우 어느 쪽에서도 결합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막음부(72)의 개폐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즙배출구(21)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7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71)와 막음부(72)로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즙배출구(21) 상에서 결합된 상태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개폐의 조작이 용이하며 개폐기구(7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기구(70)에서 상기 회동부(71), 막음부(72)와 함께 상기 레버(74)가 함께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개폐의 조작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1)에서, 상기 개폐기구(70)는 상기 즙배출구(21)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즙배출구(21)의 단부 상측에는 상기 회동부(71)가 결합되는 회동축(21a)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71)에는 상기 회동축(21a)이 끼워지는 회동보스(71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21a)은 외측 일부가 삭제되어, 직경'D'보다 작은 두께'T'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보스(71a)에는 상기 두께'T'보다 같거나 크며 상기 직경'D'보다 작은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21a)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동축(21a) 및 회동보스(71a)는, 상기 막음부(72)가 상기 즙배출구(21)를 밀폐한 상태에서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각도가 예각(銳角) 이상인 지점에서, 상기 개폐기구(70)가 상기 즙배출구(2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기구(70)는 상기 즙배출구(21)에서 고정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즙배출구(21)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즙배출구(21)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기구(70)에서 상기 회동부(71)가 결합되는 회동축(21a)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21a)은 상기 즙배출구(21)의 단부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즙배출구(2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71)에는 상기 회동축(21a)에 결합되는 회동보스(71a)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보스(71a)는 상기 회동축(21a)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보스(71a)는 그 내경이, 상기 회동축(21a)의 직경에 딱 맞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축(21a)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보스(71a)가 상기 회동축(21a)에 딱 맞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71)는 일정 각도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막음부(72)가 상기 즙배출구(21)를 개방한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막음부(72)를 개방하여 즙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회동부(71)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즙배출구(2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보스(71a)가 상기 회동축(21a)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막음부(72)는 자중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즙배출구(21)의 입구 근처에 머물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레버(74)가 상기 즙배출구(21)의 상부면에 맞닿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즙배출구(21)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21a)은, 상기 개폐기구(70)가 상기 즙배출구(21)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부가 삭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축(21a)이 완전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삭제되어 직경이 감소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21a)은 완전한 원형 단면을 형성하는 경우, 직경이 'D'만큼의 크기로 형성되며, 일부가 삭제되어 두께'T'를 형성한다.
상기 회동보스(71a)는, 상기 회동축(21a)에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이 개구되어 절개홈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은 상기 두께'T'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21a)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71)가 일부 회전하는 경우 분리가 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회동축(21a) 및 회동보스(71a)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에 놓이는 경우에만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분리가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교체를 고려하여 분리가 허용되면서도, 상기 개폐기구(70)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축(21a)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회동축(21a) 및 회동보스(71a)가 대칭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회동보스(71a)가 상기 회동축(21a)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상기 회동보스(71a)는 상기 회동축(21a)의 축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있음은 물론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70)는 상기 막음부(72)가 상기 즙배출구(21) 입구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충분히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즙배출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막음부(72)가 상기 즙배출구(21) 입구를 밀폐한 상태에서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각도가 예각 이상인 지점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구(70)가 상기 즙배출구(21) 상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개폐기구(70)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개폐기구(70)의 제거가 용이하고, 파손 등의 원인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축(21a)과 회동보스(71a)의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개폐기구(70)의 불필요한 이탈을 방지하면서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 원액기 10 : 뚜껑뭉치
13 : 투입구 14 : 수용부
20 : 하우징 21 : 즙배출구
21a : 회동축
22: 찌꺼기배출구 23 : 방수원통
23a : 관통공 25 : 패킹
27 : 압력배출로 28 : 안내턱
29 : 하우징배출공 30 : 구동몸체
31 : 안착부 32 : 구동축
33 : 몸통부 40 : 스크류뭉치
41 : 회전축 42 : 스크류날
43 : 하부공간 44 : 내부링
45 : 외부링 46 : 원형돌기삽입공
47 : 스크류기어 50 : 망드럼
51 : 내부링삽입공 52 : 원형돌기
53 : 원형홈 54 : 망드럼배출공
60 : 브러쉬뭉치 61 : 브러쉬홀더
62 : 브러쉬기어 63 : 망브러쉬
70 : 개폐기구 71 : 회동부
71a : 회동보스 72 : 막음부
73 : 막음패킹 74 : 레버
g : 중간기어

Claims (7)

  1. 음식물이 유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뚜껑;
    유입된 음식물을 절단, 분쇄, 압축 또는 이송하며, 회전축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크류;
    일측에 즙배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경로를 개폐하는 탄성체가 개재되는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며, 상기 뚜껑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스크류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측면을 통하여 즙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망드럼;
    상기 하우징과 망드럼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스크류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 또는 상기 망드럼의 외벽을 쓸어내리도록 이루어진 브러쉬; 및
    상기 즙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즙배출구는 바깥쪽이 안쪽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즙배출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즙배출구의 단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막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에는, 테두리가 상기 즙배출구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밀착되는 막음패킹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회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막음부 반대쪽에서 형성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즙배출구의 단부 상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즙배출구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20120036709A 2012-04-09 2012-04-09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122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709A KR101220996B1 (ko) 2012-04-09 2012-04-09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709A KR101220996B1 (ko) 2012-04-09 2012-04-09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772A Division KR101159177B1 (ko) 2010-07-26 2010-07-26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949A true KR20120050949A (ko) 2012-05-21
KR101220996B1 KR101220996B1 (ko) 2013-01-10

Family

ID=4626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709A KR101220996B1 (ko) 2012-04-09 2012-04-09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9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67B1 (ko) * 2013-02-01 2014-06-16 주식회사 동양매직 착즙기
KR101415802B1 (ko) * 2012-11-26 2014-07-08 주식회사 해피콜 착즙기용 하우징
KR200475273Y1 (ko) * 2013-07-04 2014-11-19 주식회사 동양매직 착즙기
KR20150134052A (ko) 2014-05-21 2015-12-01 코웨이 주식회사 착즙망 세척용 브러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60000195A (ko) 2014-06-24 2016-01-04 코웨이 주식회사 세척을 위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패킹 구조체
KR20160000196A (ko) 2014-06-24 2016-01-04 코웨이 주식회사 세척을 위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KR20160014959A (ko) 2014-07-30 2016-02-12 코웨이 주식회사 배출저항이 조절 가능한 패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60058601A (ko) 2014-11-17 2016-05-25 코웨이 주식회사 배출저항이 조절 가능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WO2019156360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210135015A (ko) * 2020-05-04 2021-11-12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하우징
KR20220027922A (ko) * 2020-12-01 2022-03-08 주식회사 휴롬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40B1 (ko) *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KR20080090220A (ko) * 2007-04-04 2008-10-08 (주)현대가전업 전기 믹서기의 볼타입 배출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02B1 (ko) * 2012-11-26 2014-07-08 주식회사 해피콜 착즙기용 하우징
KR101406467B1 (ko) * 2013-02-01 2014-06-16 주식회사 동양매직 착즙기
KR200475273Y1 (ko) * 2013-07-04 2014-11-19 주식회사 동양매직 착즙기
KR20150134052A (ko) 2014-05-21 2015-12-01 코웨이 주식회사 착즙망 세척용 브러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60000195A (ko) 2014-06-24 2016-01-04 코웨이 주식회사 세척을 위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패킹 구조체
KR20160000196A (ko) 2014-06-24 2016-01-04 코웨이 주식회사 세척을 위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KR20160014959A (ko) 2014-07-30 2016-02-12 코웨이 주식회사 배출저항이 조절 가능한 패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60058601A (ko) 2014-11-17 2016-05-25 코웨이 주식회사 배출저항이 조절 가능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WO2019156360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210135015A (ko) * 2020-05-04 2021-11-12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하우징
KR20220027922A (ko) * 2020-12-01 2022-03-08 주식회사 휴롬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996B1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177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1220996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KR101159176B1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373608B1 (ko)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US8091473B2 (en) Juice extractor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JP5535335B2 (ja) スムージーメーカー兼用のジューサー
CA2876055C (en) Juicer
KR101102902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101278596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200460851Y1 (ko) 원액기
KR101291738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101207231B1 (ko) 식품가공장치
KR20140001804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20120054572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101278697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20130028762A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101278698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TWI411405B (zh) 榨汁機
KR102261629B1 (ko) 세척을 위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KR102242558B1 (ko) 배출저항이 조절 가능한 패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