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170A -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170A
KR20120049170A KR1020117019673A KR20117019673A KR20120049170A KR 20120049170 A KR20120049170 A KR 20120049170A KR 1020117019673 A KR1020117019673 A KR 1020117019673A KR 20117019673 A KR20117019673 A KR 20117019673A KR 20120049170 A KR20120049170 A KR 20120049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pterin
racem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757B1 (ko
Inventor
존 에이. 제밸라
딘 와이. 메다
조엘 알. 모간
스튜어트 제이. 칸
Original Assignee
신트릭스 바이오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트릭스 바이오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신트릭스 바이오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4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5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n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암 및 염증성 질환과 같은, 적어도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 효소 활성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RACEMIC AMINOPTERIN}
본 발명은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암 및 염증성 질환과 같은 적어도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미국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 의해 자금지원(1R43AI068282, 3R43AI068282-01S1, 3R43AI068282-S2, 5R43AR056547)을 받아 미국 정부와 함게 개발되었다. 미국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해 일정 권리를 갖는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왼손과 오른손이 거울상이기는 하지만 겹쳐지지 않는 것과 같이 서로 겹쳐지지 않는 거울상인 두개의 입체이성질체 중 하나이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물리적 성질(동일 양이지만 반대 방향으로 평면 편광을 회전시키는 능력 제외), 및 화학적 성질(키랄 환경에서의 화학적 성질 제외)을 갖는다. 광학 활성 이성질체와 이것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동일 부분의 혼합물이 라세미체이고, 이것의 순(net) 평면 편광 회전력은 제로이다.
다수의 약물 분자는 키랄성이고, 이들의 제조에 관여된 합성 화학 반응은 라세미체를 생성한다. 그러나, 많은 생분자가 키랄성이기 때문에, 인간을 포함하는 생물에 대한 라세미체에 있어서 두개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효과는 현저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라세미체의 거울상 이성질체들 간에 또는 분리된 거울된 이성질체와 이들의 라세미체 조합물 간의 생물학적 효과에서의 차이는 미리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차이가 없을 수도 있고, 상이한 약물동력학, 및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상이한 약물학적 또는 독물학적 효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라세미체의 두 이성질체가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경우로는 심근수축 촉진제(positive inotropes)인 도부타민의 두 거울상이성질체: 항염증제인 두 이부프로펜 거울상이성질체; 항응고제인 와르파린 및 펜프로코우몬의 두 거울상이성질체; 및 둘 모두 국부 마취를 일으키는 부피비카인의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라세미체의 한 거울상이성질체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고, 다른 하나는 활성을 갖지 않는 경우는 퀴놀론(예를 들어, 1-프로판올롤은 β-차단제이고, d-프로판올은 아니다) 및 β-락탐 항생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라세미체의 각각의 거울상이성질체가 완전히 다른 활성을 갖는 경우로는 라세미 소탈올을 포함하는데, d-소탈올은 타입 3 항부정맥제(antiarrhythmic agent)이고, 1-소탈올은 β-차단제이다. 이러한 경우 중에는, 독성이 라세미체의 요망되는 활성에 관여하지 않는 거울상이성질체에 연관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구 감소증(granulocytopenia)은 레보도파의 d-이성질체와 관련되며; 구토는 레바미솔의 d-이성질체에 의해 일어나고, 중증근무력증 증상(myasthenia gravis symptoms)은 d-이성질체가 라세미 카르니틴으로부터 제거된 경우에는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다.
라세미체의 거울상이성질체가 생물에 대해 상이한 약물학적 효과를 가질 가능성 때문에, 실질적으로 단일 이성질체 만을 생산하는 약물 제조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라세미체를 생산하는 공정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단일 이성질체만 생산하는 공정에 연관된 비용이 더 높다는 것이다.
약물을 라세미체로서 개발하려는 선택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그 거울상이성질체 중 하나를 생산하는 것과 비교하여 허가후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기는 하지만, 이것이 라세미체 개발에 대한 증대된 규제 부담과 연관된 보다 높은 비용에 의해 허가전 상태시 꺼리게 된다. 라세미체의 증가된 규제 부담은 생산 제어에 있어서의 추가 시험 및 개발 요건, 약물학적 및 독물학적 평가, 대사 및 분포의 특징화, 및 임상 평가로부터 기인한다.
"아미노프테린 [54-62-6] N-[4-[[(2,4-디아미노-6-프테리디닐)메틸]아미노]벤조일]-L-글루탐산"(page 83, The Merck Index, 13th Edition, Merck & Co., Inc., Whitehouse Station, NJ 2001)은 개시되어 있으며, 당해 L-거울상이성질체로서 사용된다. 머크 인덱스(The Merck Index)에 따르면, 아미노프테린은 "2,4,5,6-테트라미노피리미딘 설페이트, 2,3-디브로모프로피온알데히드 및 p-아미노벤조일글루탐산(Seeger et al., J.Am. Chem. Soc. 69, 2567(1947))으로부터; 6-(브로모메틸)-2,4-디아미노프테리딘 HBr(Piper, Montgomery, J. Heterocycl. Chem. 11, 279 (1974))으로부터" 제조된다. 따라서, 당해 용어 "아미노프테린"의 사용은 L 거울상이성질체에 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약물이 그것의 라세미체로서 개발될 수 있다면 상당히 유리할 수 있고,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개발과 관련된 많은 추가 시험 및 개발 비용을 피할 수 있다. 라세미체(즉, 거울상이성질체의 조합물)가 요망되는 생물학적 효과의 대부분에 관여하는 거울상이성질체와 비교하여 추가의 유리할 수 있는 생물학적 특성을 갖는 경우가 더욱 유리할 것이다. 아미노프테린, 또는 N-4-[[2,4-디아미노-6-프테리디닐)-메틸]아미노]벤조일]-L-글루탐산은 다양한 인간 및 동물 질병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효능있는 엽산길항제(antifolate)이다. 단일 키랄 센터를 갖는 아미노프테린은 광학 활성이다.
요약
본 발명은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D-아미노프테린 및 L-아미노프테린을 포함하며,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중에 15% 내지 85%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에는 25% 내지 7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중에는 35% 내지 6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에는 45% 내지 5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약제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적합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제 조성물은 정제 또는 캡슐 투여형이고, 추가로 약제학적 부형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디소듐 염이다. 바람직하게는, 약제 조성물 중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은 0.01 mg 내지 4 mg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약제 조성물은 L-아미노프테린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 효소 활성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것을 포함한다.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은 바람직하게는 경구적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 효소 활성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은 암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은 백혈병(leukemia), 림프종(lymphoma), 유방암(breast cancer), 두경부 편평상피 세포암(squamous cell tumors of the head and neck), 융모막암종(choriocarcinoma) 및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질환은, 천식(asthma),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유년성 류마티스성 관절염(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재협착(restenosis), 건선(psoriasis), 건선성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만성 폐색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 다낭성 신낭종(polycystic kidney disease), 기관지폐 형성 이상(bronchopulmonary dysplasia), 폐진증(pneumoconiosi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다발성근염(polymyositis), 이식편대숙주반응(graft-versus-host disease), 이식 거부(transplant rejection), 소 급성 파스튜렐라성 폐렴(bovine acute pneumonic pasteurellosis) 및 개과 아토피성 피부염(canine atopic dermatit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D-아미노프테린 및 L-아미노프테린을 포함하며,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중에 15% 내지 8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에 25% 내지 7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중에 35% 내지 6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에 45% 내지 5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한다.
상기 기술된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 조성물은 (i) 에난티오푸어(enantiopure) 약물과 비교하여 보다 낮은 생산가; (ii) 다른 라세미 약물과 비교하여 감소된 규제 부담; 및 (iii) L 이성질체 만의 약제 조성물과 비교하여 활성인 L 이성질체의 개선된 전신 노출을 포함하는 상업적 및 생물학적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4에 기술된 10마리의 비글 도그(Beagle dog)에 L-아미노프테린을 경구 투여한 후 L-이성질체의 평균 혈장 수준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4에 기술된 10마리의 비글 도그에 D-아미노프테린을 경구 투여한 후 L-이성질체의 평균 혈장 수준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4에 기술된 10마리의 비글 도그에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을 경구 투여한 후 L-이성질체 및 D-이성질체의 평균 혈장 수준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 기술된 10마리의 비글 도그 각각에 L-아미노프테린 및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을 경구 투여한 후 Cmax, AUC(0-12h) 및 AUC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5에 기술된 6명의 인간 피검체 각각에 L-아미노프테린 및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을 경구 투여한 후 Cmax, AUC(0-12h) 및 AUC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상밖으로,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흡수는 L-이성질체에 선택적이고, 순환시 검출가능한 D-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L-이성질체에 대해 새롭게 발견된 선택성은, D-이성질체가 약물학적 및 독물학적 평가, 대사 및 분배 특징화, 및 임상 평가시에 고려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라세미체에 대한 많은 추가 시험, 개발 비용 및 규제 부담을 없애준다. 이는 상당한 상업적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예상밖으로,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으로부터의 L-이성질체의 전신 노출이 순수한 L-이성질체의 경구 투여에 비해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L-아미노프테린' 또는 'L-이성질체'는 N-4-[[2,4-디아미노-6-프테리디닐)-메틸]아미노]벤조일]-L-글루탐산의 유리 산 형태이다. L-이성질체는 평면 편광에서 포지티브 회전(positive rotation)을 유발한다: [α]D 25 = +18° ± 2°(디소듐 염에 대해 수중 c = 0.1). 본원에서 사용되는 'D-아미노프테린' 또는 'D-이성질체'는 N-4-[[2,4-디아미노-6-프테리디닐)-메틸]아미노]벤조일]-D-글루탐산의 유리 산 형태를 의미한다. D-이성질체는 평면 편광에서 네거티브 회전(negative rotation)을 유발한다; [α]D 25 = -18°± 2°(디소듐 염에 대해 수중c = 0.1). 본원에서 사용되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아미노프테린 라세미체', 'rac-아미노프테린' 또는 'L/D-아미노프테린'은 L-아미노프테린과 D-아미노프테린의 실질적으로 균등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은 평면 편광에서 검출가능한 회전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은 다양한 무기 및 유기 산 및 염기로 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디소듐 염이 바람직하다.
Rac-아미노프테린은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 효소를 포함하는, 직접적으로 아데노신의 세포외 방출을 유도하는 푸린 및 피리미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억제한다. 아데노신은 선천적 면역을 조절하며(Hasko and Cronstein, (2004) "Adenosine: an endogenous regulator of innate immunity" Trends Immunol., 25/1:33-39), 항원 자극 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키고, 부착 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가능하게는 T 세포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강력한 항염증성 오토코이드(autocoid)이다(Cronstei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991), 88: 2441; Cronstein et al., J. Clin. Invest. (1993), 92/6:2675; Genesteir et al., J. Clin. Invest. (1998), 102:322-328; Morabito et al., J. Clin. Invest. (1998), 101:295-300; Paillot et al., Transplant Proc. (1998), 30/5:2348-50; and Johnston et al., Clin. Immunol. (2005), 114/2:154-63).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건선과 같은 인간 염증성 질환에서 아데노신의 중요한 역할은 현재 인지되어 있다. 아데노신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앓는 환자로부터 채혈된 관절 혈액(synovial fluid) 중에서 직접 측정될 수 있다(Ottonello et al., Rheumatology (2002), 41:1249-1260).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치료되는 질환"은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을 조절하는 것이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질환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징후를 경감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이거나, 질환을 유도하거나 원인 질환의 원인이 되는 생물학적 캐스케이드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방해하거나;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인, 장애, 질병 또는 질환을 나타낸다. 따라서,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을 조절하게 하는 질환으로는 하기에 대한 질환을 포함한다:
(a)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의 결여가 감염에 의해, 자극에 의해, 내부 자극에 의해, 또는 소정의 다른 원인에 의해 유전적으로 변경된 경우이든 아니든 간에 질환 또는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징후의 원인인 것들;
(b) 질병 또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질환의 관찰가능한 징후 또는 징후들이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경감되는 것들로서,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의 존재가 질병 또는 질환 또는 이들의 관찰가능한 징후에 원인이 되어 관련될 필요는 없다;
(c)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 효소 활성이 질병 또는 질환을 초래하거나 관련되는 생화학적 또는 세포 캐스케이드의 일부를 방해하는 것들. 이와 관련하여,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은 세포 캐스케이드를 변경시키고, 이에 따라, 질병, 질환 또는 장애를 억제한다.
rac-아미노프테린에 의해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치료되는 질환은, 암, 예를 들어, 백혈병, 림프종, 유방암, 두경부 편평상피 세포암, 융모막암종 및 자궁내막암; 염증성 질환, 예를 들어 천식,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유년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재협착, 건선, 건선성 관절염,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폐색성 폐질환, 염증성 장질환, 폐섬유증, 다낭성 신낭종, 기관지폐 형성 이상, 폐진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근염, 이식편대숙주반응, 이식 거부, 소 급성 파스튜렐라성 폐렴 및 개과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는 억제율이 5% 내지 100% 범위를 차지하는 경우 환자에게서 억제되는 것으로 본다.
용어 "환자"는 동물 또는 인간이다. 용어 "치료 유효량"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염증성 세포를 치사시키거나, 염증성 세포의 축적을 정지시키거나, 염증성 질환, 예컨대, 미확인 병인의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유년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폐 형성 이상, 염증성 장질환, 건선성 관절염, 및 건선을 앓는 인간 또는 다른 포유동물, 또는 개과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소 급성 파스튜렐라성 폐렴에서의 염증성 세포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rac-아미노프테린의 용량(투여량 또는 용량 및 빈도)을 의미한다. 용어 "치료 유효량"은 또한 인간 또는 포유동물의 염증성 질환에 관여하는 염증성 및/또는 비-염증성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분자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증가시켜서 그러한 양의 항엽산제가 염증성 질환과 연관된 병인성 염증의 정도를 완전히 저지하거나, 감소시키거나 또는 없애도록 하는 rac-아미노프테린의 용량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치료 유효량은 또한 하나 이상의 질병 증후의 진행을 없애거나,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것이다. 숙련 임상의라면 많은 경우에 rac-아미노프테린이 치료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부분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숙련 임상의라면, 개개의 환자 및 질병 상태가 다를 수 있고, 일부 환자에게는 거의 또는 전혀 유리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 환자에 있어서 "치사하거나", "정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또는 "없애는" rac-아미노프테린의 용량은 치료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염증성 질환의 단기 또는 장기 관리에서의 rac-아미노프테린의 치료 유효량의 용량 크기는 치료받아야 하는 염증성 질환의 중증도 및 투여 경로에 의해 달라질 것이다.
rac-아미노프테린의 용량 및 투여율은 여러가지 인자, 예컨대, 환자의 체중 및 산출된 표면적, 사용된 특이적 약제 조성물, 치료 목적, 즉, 치료 또는 예방, 치료되어야 하는 질병의 특성, 치료하는 담당 의사의 소견, 개개의 환자의 반응에 의거할 것이다. 류코보린 구조(leucovorin rescue) 요법으로, 다량의 rac-아미노프테린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치료 유효량의 rac-아미노프테린은 류코보린 구조 요법 없이, rac-아미노프테린의 용량이 단일 또는 분할 용량으로서 제시하여 염증성 징후에 대해 0.001-0.5 mg/kg, 0.001-0.27 mg/kg, 0.005-0.06 mg/kg, 매우 바람직하게는 0.010-0.06 mg/kg, 및 종양 징후에 대해 0.13-0.27 mg/kg이다.
환자는 이러한 용량 범위 미만으로부터 상향으로 하여 이러한 범위 내에서 만족스러운 질병 징후의 억제까지 적정될 수 있다. 환자 상태가 호전되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지 용량이 투여된다. 이후, 투여율이 증상에 따라 투여량 또는 투여 빈도, 또는 이 둘 모두를 감소시킴으로써 개선된 상태가 보유되는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증상이 요망되는 수준으로 완화되면, 담당 의사는 치료 중단을 택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는 질병 증상의 임의의 재발, 또는 필요에 따라 예방적으로 계획된 치료시에 간헐적인 치료를 요구할 수 있다. 치료 유효량의 rac-아미노프테린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료 유효량의 류코보린 또는 엽산의 투여 전에, 동시에 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연속(uninterrupted) 사이클의 rac-아미노프테린 투여량으로 환자의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투여량은 rac-아미노프테린의 치료 유효량을 포함한다. 연속이란 rac-아미노프테린 투여량이 적어도 4회 사이클, 12회 사이클, 24회 사이클,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52회 사이클 동안 환자에게 반복적으로 투여되며, 이 경우 사이클의 주기는 일정하고, 어느 한 사이클의 최종 투여량과 다음 사이클의 최토 투여량 간의 최대 기간은 21일, 14일,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7일을 초과하지 않는다. 이러한 정의 내에서 "사이클의 주기가 일정하다"는 것은 연소 사이클 중 상응하는 투여량 간의 기간이 12시간 범위내에서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기가 7일(즉, 168시간)인 것으로 표시되면, "사이클의 주기가 일정하다"는 것은 연소 사이클 중 상응하는 투여량 간의 기간이 162 내지 174 시간 범위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의 내에서, 각 사이클 중 rac-아미노프테린 투여 수는 1 내지 5 범위일 수 있으며, 각각의 개별 투여량은 하나 또는 다수의 개별 용량형을 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rac-아미노프테린의 어느 한 투여량은 4회 사이클 이상, 매우 바람직하게는 52회 사이클(즉, 일년) 이상에 대해 7일 마다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경우, 사이클당 투여 수는 단지 1회 투여이며, 주기는 7일이고, 어느 한 사이클의 최종 투여량과 그 다음 사이클의 최초 투여량 간의 최대 기간은 6일이다. 또 다른 예에서, rac-아미노프테린의 어느 한 투여량이 52회 사이클 이상에 대해 월요일에 투여되고, 어느 한 투여량이 화요일에 투여된다. 이러한 경우, 사이클당 투여 수는 2이고, 주기는 7일이고, 어느 한 사이클의 최종 투여량과 다음 사이클의 최초 투여량 간의 최대 기간은 5일(즉, 수요일에서 일요일)이다. 또 다른 예에서, 각 투여로 2개의 정제를 복용함으로써 rac-아미노프테린의 한 투여량이 특정 요일의 아침에 투여되고, 다른 한 투여량이 밤에 투여되고, 이러한 사이클이 52회 사이클 이상 반복된다. 이러한 예에서, 사이클당 투여 수는 2이고, 각 투여량은 2개의 투여형을 복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주기는 7일이고, 어느 한 사이클의 최종 투여량과 다음 사이클의 최초 투여량 간의 최대 기간은 6일(즉, 투여량이 주어진 요일 간의 일수)이다. 다른 스케줄 및 예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구체예에서, rac-아미노프테린의 어느 한 투여량이 52회 사이클 이상에 대해 월요일에 투여되고, 어느 한 투여량이 수요일에 투여된다. 이러한 경우, 사이클당 투여 수는 2이고, 주기는 7일이고, 어느 한 사이클의 최종 투여량과 다음 사이클의 최초 투여량 간의 최대 기간은 4일(즉, 목요일에서 일요일)이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주기는 일주일(즉, 7일)이다.
또 다른 예에서, 일주일 투여량은 0.001-0.14 mg/kg, 0.010-0.06 mg/kg,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0.020-0.06 mg/kg 범위의 rac-아미노프테린의 누적 투여량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0.25 kg 환자(예를 들어, 래트)에는 0.00025 mg 내지 0.035 mg의 rac-아미노프테린, 0.0025 mg 내지 0.015 mg의 rac-아미노프테린, 및 0.005 mg 내지 0.015 mg의 rac-아미노프테린이 투여되고; 1.0 kg 환자에는 0.001 mg 내지 0.14 mg의 rac-아미노프테린, 0.010 mg 내지 0.06 mg의 rac-아미노프테린, 및 0.02 mg 내지 0.06 mg의 rac-아미노프테린이 투여되고; 100 kg 환자에는 0.1 mg 내지 14.0 mg의 rac-아미노프테린, 1.0 mg 내지 6.0 mg의 rac-아미노프테린, 및 2.0 mg 내지 6.0 mg의 rac-아미노프테린이 투여될 것이다. 따라서, 전형적인 60 kg 성인에 대해, 일주일 투여량은 0.06-8.4 mg, 0.6-3.6 mg,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1.2-3.6 mg 범위의 rac-아미노프테린의 누적 투여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병용 요법을 사용하여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rac-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하고, 연관된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를 프로토콜에 따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rac-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기 전에, 동시에 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또한 rac-아미노프테린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를 함유하는 단일 투여형, rac-아미노프테린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가 별도로 그러나 동시에 투여되는 다중 투여형, 또는 두 가지 성분이 별도로 그러나 연속해서 투여되는 다중 투여형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는 예를 들어, 엽산, L-아미노프테린, 류코보린(leucovorin), 덱스트로메토르판(dextromethorphan), 메만틴(memantine), 프레디손(prednisone), 콕스-2 억제제(cox-2 inhibitor),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빈크리스틴(vincrist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아스파라기나제(asparaginase),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메르캅토푸린(mercaptopurine), 에토포사이드(etoposide), 사이타라빈(cytarabine), 독소루비신(doxorubicin), 시스플라틴(cisplatin),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파클리탁셀(paclitaxel), 5-플루오르우라실(fluoruracil), 디아니드로갈락시톨(dianydrogalacitol), 타목시펜(tamoxifen), 피페라진디온(piperazinedione), 미톡산트론(mitoxantrone), 디아지쿠온(diaziquone), 아미노티아디아졸(aminothiadiazol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테노포사이드(tenoposide), 빈크리스틴(vincristine), 에키노마이신(echinomycin), 6-메르카토푸린(6-mercatopur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가용성 TNF 수용체, 항-TNF 항체, 및 항-TNF 인간화된 항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rac-아미노프테린은 L-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함께 투여되며, L-아미노프테린은 아미노프테린 총 중량의 약 10중량% 내지 90중량%, 20중량% 내지 80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70중량%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rac-아미노프테린의 투여량, 0.001-0.3 mg/kg, 0.010-0.06 mg/kg,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0.020-0.06 mg/kg은 병용 치료 동안에 사용되는 치료 프로토콜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rac-아미노프테린은 프로토콜의 메토트렉세이트 투여량의 약 8 내지 16%로 rac-아미노프테린을 투여함으로써 메토트렉세이트를 사용하는 치료 프로토콜에서 메토크렉세이트를 직접적으로 대신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rac-아미노프테린은 주 1회 7 내지 25mg 메토트렉세이트 대신에 주 1회 1 내지 4mg rac-아미노프테린의 경구 투여량을 투여함으로써 또 다른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의약을 사용하는 치료 프로토콜에서 성인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시 메토트렉세이트를 대신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ac-아미노프테린은 주 1회 투여량의 4 내지 13mg/m2 메토트렉세이트 대신에 주 1회 0.5 내지 2.2mg/m2 rac-아미노프테린의 경구 투여량을 투여함으로써 또 다른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의약을 사용하는 치료 프로토콜에서 유년성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시 메토트렉세이트를 대신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성인 건선이 주 1회 15 내지 25mg 메토트렉세이트 대신에 주 1회 1 내지 4mg rac-아미노프테린의 경구 투여량을 투여하는 치료 프로토콜로 치료된다.
rac-아미노프테린 및 이의 디소듐 염은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통합되는 미구 특허 7,235,660호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공급원료로서 엽산, 또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라세미 엽산과 함께 출발하여 제조된다. 다르게는, rac-아미노프테린 및 이의 디소듐 염은 라세미 N-(p-아미노벤조일)-글루탐산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통합되는, Piper and Montgomery, J. Org. Chem. 42:208, 1977; 미국 특허 제4,077,957호; 제4,079,056호; 및 제4,224,446호)를 사용하는 파이퍼 및 몽고메리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어,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출발 물질로 시작하여, rac-아미노프테린이 하기 도식 1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도식 1
상기에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시판되는 2,4,5,6-테트라미노피리미딘, 즉, 화합물 1은 β-브로모피루브알독심으로 축합되어 2,4-디아미노-6-(브로모메틸)프테리딘, 즉 화합물 2를 제공할 수 있다(Taghavi-Moghadam and Pfleiderer, Tet. Lett. 38:6835, 1997 and Taylor and Portnoy, J. Org. Chem. 38:806, 1973). 다르게는, 화합물 1은 1,3-디하이드록시아세톤과 반응하여 2,4-디아미노-6-프테리딘메탄올, 즉 화합물 5를 제공할 수 있다(Baugh and Shaw, J. Org. Chem. 29:3610, 1964). 화합물 5는 정제되고, 디메틸아세타미드 중에서 HBr 및 디브로모트리페닐포스포란(Ph3PBr2)과 반응하여 화합물 2가 얻어진다(Piper and Montgomery, J. Org. Chem. 42:208, 1977; Piper and Montgomery, J. Heterocycl. Chem. 11:279, 1974; Piper and Montgomery, U.S. Patent 4,077,957; and Piper and Montgomery, U.S. Patent 4,079,056).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 2는 화합물 1과 1,1-디클로로아세톤의 반응을 통해 얻어져서 2,4-디아미노-6-(메틸)프테리딘를 형성하고, 이것이 이후에 브로마이드와 반응한다(Catalucci, 미국 특허 제4,224,446호).
합성 경로와는 상관없이, 화합물 2가 디메틸아세타미드 중에서 N-(p-아미노벤조일)-L/D-글루탐산 (i.e., 라세미 N-(p-아미노벤조일)-글루탐산), 즉 화합물 3과 축합하여 rac-아미노프테린, 즉 화합물 4이 얻어진다(Piper and Montgomery, J. Org. Chem. 42:208, 1977; Piper and Montgomery, 미국 특허 제4,077,957호; Piper and Montgomery, 미국 특허 제4,079,056호; 및 Catalucci, 미국 특허 제4,224,446호). 화합물 3은 문헌(Hutchings et al, J. Biol. Chem. 1947, pg. 343)에 의해 기술된 방식으로 합성될 수 있다. 요약하면, p-니트로벤조일 클로라이드가 NaOH 수용액 중에서 라세미 글루탐산과 축합한다. 형성되는 p-니트로벤조일-rac-Glu은 이후 촉매적 수소화(H2, 활성탄 상의 팔라듐)로 환원되어 화합물 3이 얻어진다.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방향족 니트로기를 아민으로 환원시키는 또 다른 방법이 다수 존재한다.
rac-아미노프테린 이외에, 상기 기술된 약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다른 치료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약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제 컴파운딩(compounding) 기술에 따라 rac-아미노프테린을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담체와의 혼합물로 잘 배합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제조된다. rac-아미노프테린은 통상 총 약제 조성물의 낮은 백분율로만 포함될 것이다.
약제학적 담체는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정맥내 주사 또는 주입을 포함)와 같은 투여에 요망되는, 약제 조성물의 형태(즉, "제제" 또는 "형태")에 의거하여 광범위하게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약제 조성물을 경구 투여형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어떠한 일반적인 약제학적 담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약제학적 담체로는 예를 들어, 경구용 액체 제제(예를 들어, 현탁액, 용액 및 일릭서), 에어로졸 또는 전분 및 당(예를 들어, 락토스)와 같은 담체의 경우에는 물, 글리콜, 오일, 알코올, 향미제, 보존제, 착색제 등을 포함하고, 경구용 고형 제제(예를 들어, 분말, 캡슐, 및 정제)의 경우에는 미정질 셀룰로오스, 희석제, 과립화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포함하며, 경구용 고형 제제가 일반적으로 경구용 액체 제제에 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아과 환자의 경우에는 좋은 맛이 나는 경구용 액체 제제가 바람직하다.
투여의 용이성으로 인해, 정제 및 캡슐은 성인에게 가장 유리한 경구 투여형이며, 이러한 경우 고형 약제학적 담체가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정제는 표준 수성 또는 비수성 기술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형은 생리학적 완충제 또는 멸균수 중에서 유리된 형태 또는 염 형태로 활성 성분의 멸균 용액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용액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과 같은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 담체가 본 분유의 표준 참고서인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통상의 투여형 이외에,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또한 그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3,845,770호; 제3,916,899호; 제3,536,809호; 제3,598,123호; 제3,630,200호; 제4,008,719호; 제4,687,660호 및 제4,769,207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출 조절 수단 및/또는 투여 조절 수단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임의로, 약제 조성물은 그 밖의 치료 성분을 함유한다. 이러한 치료 성분은 특정 부작용, 특히 rac-아미노프테린의 부작용을 개선시키기 위해 첨가되거나, 복용되어야 하는 투여형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환자의 편의성에 부가할 수 있다. 약제 조성물과 조합하기 위한 적합한 치료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엽산, 류코보린, 프레드니손, 콕스-2-억제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빈크리스틴, 덱사메타손, 아스파라기나제, 다우노루비신, 메르캅토푸린, 에토포사이드, 사이타라빈, 독소루비신, 시스플라틴, 이포스파미드, 파클리탁셀, 5-플루오르우라실, 디아니드로갈락시톨, 타목시펜, 페페라진디온, 미톡산트론, 디아지쿠온, 아미노티아디아졸, 메토트렉세이트, 테노포사이드, 빈크리스틴, 에키노마이신, 6-메르카토푸린, 덱사메타손, 사이클로포스파미드, 가용성 TNF 수용체, 항체, 및 인간화된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에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무기 산 및 염기 및 유기 산 및 염기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산 또는 염기로부터 제조된 염을 나타낸다. 아미노프테린의 소듐 또는 디소듐 염은 rac-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rac-아미노프테린은 염기성 및 산성 둘 모두이기 때문에, 염이 무기 및 유기 산 또는 무기 및 유기 염기를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산 또는 염기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염은 하기 음이온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아세테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캄포르설포네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네이트,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만델레이트, 무케이트, 니트레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 석시네이트, 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등. 이러한 염은 또한 하기 양이온을 함유할 수 있다: 알루미늄, 칼슘, 리튬,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아연, 벤자틴,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메글루민, 및 프로카인.
치료 유효량의 rac-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투여 경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비경구, 경피, 피하, 근내 등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투여형은 정제, 코팅된 정제, 트로키, 분산액, 현탁액, 용액, 캐플릿(caplet), 캡슐, 패치 등을 포함한다. 약제 조성물은 어떠한 제시된 경우의 가장 적합한 경로는 치료되어야 하는 질환의 특성 및 중증도에 따를 것이지만, 경구, 직장 및 비경구(피하, 근내 및 정맥내) 투여에 적합한 것들을 포함한다. 약제 조성물은 단위 투여형으로 편리하게 제공되고, 약제학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각각이 사전 결정된 양의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카시에(cachet), 또는 정제, 또는 에어로졸 스프레이와 같은 분리된 단위로서,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또는 수용액 상태의 용액 또는 현탁액, 비수용액, 수중유 에멀젼 또는 유중수 에멀젼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 조성물은 임의의 약제학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지만, 모든 방법은 활성 약제 성분을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담체와 회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약제 조성물은 활성 약제 성분을 액체 약제학적 담체 또는 미분된 고형 약제학적 담체, 또는 이둘 모두와 균일하고 긴밀게 혼합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요망되는 외형으로 생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예를 들어, 정제는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과 함께 압축하거나 몰딩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압축된 정제는 적합한 기기에서 활성 약제 성분을 임의로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계면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혼합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 유동 형으로 압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성형된 정제는 적합한 기기에서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습윤화된 분말 화합물의 혼합물을 몰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정제는 약 0.25 mg 내지 약 4 mg의 rac-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며, 각각의 카세이 또는 캡슐은 약0.25 mg 내지 약 4 mg의 rac-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치료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정제, 카세이 또는 캡슐은 두가지 투여, 즉, 약 0.25 mg 또는 약 1 mg의 rac-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치료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투여형은 0.05 mg, 0.75 mg, 0.1 mg, 0.15 mg, 0.2 mg, 0.25 mg, 0.3 mg, 0.35 mg, 0.4 mg, 0.45 mg, 0.5 mg, 0.55 mg, 0.6 mg, 0.65 mg, 0.7 mg, 0.75 mg, 0.8 mg, 0.85 mg, 0.9 mg, 0.95 mg 또는 1.0 mg rac-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치료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투여형은 정제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일주일 투여는 이의 임의의 투여 조합을 입으로 1 내지 3개의 투여형을 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rac-아미노프테린의 상기 누적된 일주일 투여량은 특정 시간에 단일 투여로, 또는 하루 동안, 또는 수일에 걸쳐 다중 투여로서 주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rac-아미노프테린이 독성 징후 없이, 그리고 매우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중단 없이, 염증성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rac-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양은 투여형 내에서, 0.00025 mg 내지 7.0 mg rac-아미노프테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25 mg 내지 0.5 mg rac-아미노프테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25 mg 내지 0.4 mg rac-아미노프테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25 mg 내지 0.3 mg rac-아미노프테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25 mg 내지 0.2 mg rac-아미노프테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25 mg 내지 0.1 mg rac-아미노프테린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투여형은 정제이다.
실시예 1
약제 조성물
거울상이성질적으로 순수한, 및 라세미의 등급화된 즉방형(IR) 정제 제형을 0.25 mg (배치 157I0907) 및 1.0 mg (배치 387I1100 및 배치 116I0604)의 용량 강도(dose strength)로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2
*청구된 정제 용량 강도는 모든 경우에서 정제 내 약물 물질이 디소듐 염이기는 하지만, L-이성질체, 또는 L-이성질체 플러스 D-이성질체의 유리 산(즉, 이산) 당량에 대해 명시된 것이다.
실시예 2
정제 제형 중의 L 및 D 이성질체의 분석
키랄 이동상에 의한 등용매 역상 HPLC 방법을 사용하여 순수한 L-이성질체 정제 제형(배치 387I1100 및 배치 116I0604)의 거울상이성질체 순도를 확인하고, 라세미 정제 제형(배치 157I0907)의 L 및 D 이성질체의 상대적인 양을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분석용 HPLC를 위한 키랄 이동상. L-프롤린(1.86 g, 16 mmol, Sigma Aldrich product P-0380) 및 구리 (II) 니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1.86 g, 8 mmol, Sigma Aldrich product 229636)를 1.0리터의 여과되고 탈기된 HPLC 등급의 물(J.T. Baker 제품 4218-03) 중에 용해시켰다. pH 미터의 사용으로, 용액의 pH를 5N NaOH(약 2.5ml)를 사용하여 6.00이 되게 하였다.
단계 2: L-아미노프테린 표준 제제. 1.0 mg/ml의 L-아미노프테린 (Sigma Aldrich 제품 A1784) 용액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에서 제조하였다. 이것을 100㎕의 상기 용액을 900㎕의 이동상(16 mM L-Pro 및 8 mM Cu(II))에 첨가함으로써10배 희석하였으며, 이것이 분석을 위한 0.1mg/ml의 L-아미노프테린 표준 제제 용액을 제공하였다.
단계 3: D-아미노프테린 표준 제제. 1.0 mg/ml의 D-아미노프테린(사내 합성됨) 용액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에서 제조하였다. 이것을 100㎕의 상기 용액을 900㎕의 이동상(16mM L-Pro 및 8mM Cu(II))에 첨가함으로써 10배 희석하였으며, 이것이 분석을 위한 0.1mg/ml의 D-아미노프테린 표준 제제 용액을 제공하였다.
단계 4: 시스템 적합성 제제. L-아미노프테린과 D-아미노프테린의 50:50 혼합물을, 이동상에서 500㎕의 상기 단계 2 및 3으로부터의 각각의 0.1mg/ml 표준물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으며, 이것이 각각 0.05 mg/ml으로 L- 및 D-아미노프테린의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단계 5: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370 nm에서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가변 파장 검출기(variable wavelength detector(VWD)) 및 2.0 mm x 50 mm 컬럼(예를 들어, Phenomenex Gemini, 110A, 5㎛, C18)를 장착하였다. 등용매 이동상 조건은 100% 용매 A(6 mM L-Pro 및 8 mM Cu (II), pH 6.0)였으며, 유속은 0.6 ml/min이다. 컬럼 오븐을 사용하여 분석 동안에 컬럼 온도를 60℃로 유지시켰다.
단계 6: 절차.
6a: 블랭크 바탕선(blank baseline). 5㎕ 샘플의 희석물(10%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수용액)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크로마토그램 및 피크 반응을 기록하였다. 얻어진 피크가 블랭크 주입시에 나타난 것들로 규정되었으며, 이들의 면적을 기록하였다. 이것들을 임의의 후속 면적 계산에서 제외시켰다.
6b: 표준 및 적합성 제제. D-아미노프테린 표준 제제, D-아미노프테린 표준 제제 및 시스템 적합성 용액의 5㎕ 분취물을 별도로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크로마토그램 및 피크 반응을 기록하였다. 블랭크에 나타나지 않은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면적을 기록하였다. 시스템 적합성은 (1) L- 및 D-아미노프테린이 1.5 미만의 피크 사이에서 분해율로 서로 분리되는 경우, (2) 순수한 L- 및 D-표준물에서 L- 및 D-피크를 각각 구분할 수 없는 경우, 및 (3) 50:50 혼합물에 대해, 6개의 복제 주입물의 피크 면적 RSD가 1.0% 이하이고, 6개의 복제 주입물에 대한 평균 D-피크 면적에 대한 L-피크 면적의 비가 0.98 내지 1.02인 경우에 부합하였다.
6c: 샘플. 정제 제형을 수중에 침지시켜 1 mg/ml 용액을 제공한 후 물로 10배 희석하여 시험 샘플을 제공하였다. 5㎕의 시험 샘플 분취물을 3개의 복제물로 주입하였다. L- 및 D-피크에 대한 평균 피크 면적을 계산하였다. 각각의 퍼센트를 평균 값으로부터 계산하였다. L- 또는 D-피크를 구분할 수 없다면, 0%로 기록하였다.
표 2
Figure pct00003
상기 절차를 사용하여 순수한 L-이성질체 정제 제형(배치 387I1100 및 배치 116I0604)의 거울상이성질 순도를 확인하고, 라세미 정제 제형(배치 157I0907)에서의 L 및 D 이성질체의 상대적인 양을 측정하여 표 2에 개략적으로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정제 제형 중 총 아미노프테린 이성질체의 정량화
역상 HPLC 구배 방법을 사용하여 순수한 L-이성질체 정제 제형(배치 387I1100 및 배치 116I0604) 및 라세미 정제 제형(배치 157I0907) 중의 아미노프테린 이성질체의 총량을 검정하였다.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였다:
단계 1: 이동상 제제. 여과되고 탈기된 0.1M 트리에틸암모늄 아세테이트 완충액 1L 용액을, 100ml의 1.0M 트리에틸암모늄 완충액(1.0M TEAAC, Fluka 제품 90357)을 900ml의 HPLC 등급 물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용매 A로서 제조하고, 1L의 여과되고 탈기된 아세토니트릴을 용매 B로서 제조하였다.
단계 2: L-아미노프테린 표준물. 소정량(50 mg x 565.2/440.4)의 L-아미노프테린 표준물(디소듐 염)을 칭량하였다(즉, 50mg의 유리 산에 해당하는 양). 이후, L-아미노프테린 표준물을 50ml 용량 플라스크에 옮기고, 50ml의 부피로 용매 A에 용해시켜 1.0mg/ml 용액(유리 산 등가물)을 제공하였다. 이후, 이것을 100㎕의 상기 용액을 900㎕의 용매 A에 첨가하여 10배 희석하여 0.1 mg/ml 용액을 제공하였다.
단계 3: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260nm으로 설정된 가변 파장 검출기(VWD), 및 2.0 mm x 50 mm 컬럼(예를 들어, Phenomenex Gemini 110Å, 5㎛, C18)을 장착하였다. 이동상 조건은 다음과 같다: 30분에 걸쳐 95% 용매 A (0.1M TEAAC): 5 % 용매 B(아세토니트릴)에서 5% 용매 A(0.1 M TEAAC): 95 % 용매 B로, 10분 동안 95% 용매 B 유지, 및 15분 동안 95 % 용매 A: 5 % 용매 B로 재평형. 유속은 0.200 ml/min이었다.
단계 4: 절차.
4a: 바탕선 반응. 5㎕의 용매 A의 분취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크로마토그램 및 피크 반응을 기록하였다. 얻어진 피크가 블랭크 주입시에 나타난 것들로 규정되었으며, 이들의 면적을 기록하였다. 이것들을 임의의 후속 면적 계산에서 제외시켰다.
4b: 표준 반응. L-아미노프테린 표준물의 5㎕ 분취물을 3회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크로마토그램 및 피크 반응을 기록하였다. 표준물이 약 7분에 용리하였고, L 및 L-이성질체가 이러한 비키랄(achiral) 방법에서 함께 용리하였다.
4c: 샘플 반응. 정제 제형을 하기와 같이 용매 A 중에 용해시켰다. 배치 157I0907, 5ml 물당 10개 정제(0.5 mg/ml); 및 배치 387I1100 및 배치 116I0604, 20ml 물당 5개의 정제(0.25 mg/ml). 원심 분리 후, 각각의 제형으로부터 5㎕의 분취물을 3회 주입하였다. 이후, 아미노프테린에 대한 피크 면적의 평균 및 표준 편차(SD)를 각 정제에 대해 산출하고, 표준물의 평균 피크 면적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정제의 아미노프테린의 양을 얻었다.
상기 절차를 사용하여 순수한 L-이성질체 정제 제형(배치 387I1100 및 배치 116I0604) 및 라세미 정제 제형(배치 157I0907)의 총 아미노프테린을 표 3에 요약된 바와 같이 정량화하였다.
표 3
Figure pct00004

실시예 4
비글 도그의 약물동력학 및 흡수
10마리(N=10)의 비글 도그를 약물동력학적 연구에 참여시켜서 순수한 L-이성질체 정제 제형(배치 116I0604)의 정제 한알, 99mg의 미정질 셀룰로스와 혼합된 1mg의 D-이성질체 및 라세미 정제 제형(배치 157I0907)의 정제 4알의 경구 흡수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제형을 경질 젤라틴 캡슐로 캡슐화하고 직접적으로 위에 배치함으로써 투여하였다. 각 제형의 투여는 7일간의 휴약기에 의해 분리되었다. 10마리 도그의 평균 체중은 11.3 ± 1.7 (SD)kg이었다.
약물동력학적 분석을 위해, 각각의 투여 전에, 그리고 각각의 투여 후 0.5, 1, 1.5, 2, 3, 6, 9 및 12시간째에 항응고제로서 EDTA를 사용하여 정맥 혈액 샘플을 취하였다. 샘플을 원심분리시키고, 분석을 위해 혈장을 수거하고 동결시켰다. 본 연구에서 소변 샘플링은 하지 않았다. 혈장 샘플 중 아미노프테린을 비키랄 LC/MS 검정(Advion Biosciences, Ithaca, New York)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검정의 정량 최저 한계(LLOQ)는 0.5 ng/ml 또는 1.2 nM였다. 라세미체가 투여된 동물로부터의 혈장 샘플 내 L-이성질체 및 D-이성질체의 양을 키랄 LC/MS 검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투여된 각각의 제형에 대한 각 이성질체의 평균 혈장 농도(각 제형에 대해 N=10)가 표 4에 요약되며, 도 1, 도 2 및 도 3에 도표로 도시된다. 이들 데이터는 별도로 주어지는 경우, D-이성질체의 전신 노출이 L-이성질체의 전신 노출의 약 30%(즉, AUC 비)이기는 하지만, L-이성질체 및 D-이성질체 둘 모두 효과적으로 흡수됨을 보여준다. 그러나, 예상밖으로, L 및 D 이성질체가 라세미체 조합물로서 함께 주어지는 경우, D-이성질체의 전신 노출이 없었으며, 이는 L-이성질체에 대한 흡수가 입체선택적이라는 사실과 일치한다.
표 4
Figure pct00005
L-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제형에 대한 본 연구로부터의 약물동력학적 파라미터(투여된 L-이성질체의 양에 대해 용량-표준화됨)가 표 5에 요약된다. Cmax, AUC(0-12h) 및 AUC에 대한 값이 도 4에 플롯팅되어 있다. 또한, 예상밖으로, 데이터는 L-이성질체의 전신 노출이 L-이성질체 만을 함유하는 제형으로부터의 흡수와 비교하여 라세미 제형으로부터 (Cmax, AUC(0-12h) 및 AUC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3가지 모든 약물동력학적 파라미터에 대해 P <0.05, 대응표본 검정(paired t-test)).
표 5
Figure pct00006

실시예 5
인간의 약물동력학 및 흡수
중간 정도 내지 심한 건선이 있는 21세 이상의 남성 및 여성 대상자를 무작위 단일 투여 2-기간 교차 연구에 참여시켜서 0.25 mg rac-아미노프테린 정제(D 및 L 아미노프테린, 배치 157I0907)과 1.0 mg 비교 L-아미노프테린 정제(배치387I1100)를 경구 약물동력학 및 안정성에 대해 비교하였다. 대상자들을 두개의 평행 아암(parallel arm)(각각 N=6)으로 무작위화하여 1.0mg 단일 투여의 rac-아미노프테린 정제(4 x 0.25 mg 정제) 또는 비교 L-아미노프테린 정제 (1 x 1.0 mg 정제)를 삼키게 하고, 각 대상자로부터 혈액 표본을 10시간 동안 얻었다. 7일 후, 양 아암의 대상자들을 다른 아암의 실험에 대해 교차 수행시키고, 1.0mg 투여량의 다른 제형을 단일 경구 투여하고, 다시 혈액 표본을 10시간에 걸쳐 얻었다.
종말점 분석은 혈장 중 아미노프테린의 AUC(0-12h), AUC 및 Cmax을 포함하였다. 혈장을 추가로 키랄 분석 처리하여 L 및 D 이성질체가 상이하게 흡수된 정도를 측정하였다. 혈장 샘플 내 아미노프테린을 비키랄 LC/MS 검정((Advion Biosciences, Ithaca, New York)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검정의 정량 최저 한계(LLOQ)는 0.5 ng/ml 또는 1.2 nM였다. 라세미체가 투여된 동물로부터의 혈장 샘플 내 L-이성질체 및 D-이성질체의 양을 키랄 LC/MS 검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개과에 속하는 종의 동물의 경우에서와 같이, 두 제형으로부터 혈장 중에 L-이성질체만 검출되었으며, 이는 라세미체의 장 흡수가 L-이성질체에 대해 입체선택적이라는 사실에 일치한다. 두 제형에 대한 이러한 연구로부터 약물동력학적 파라미터(투여된 L-이설질체의 양에 대해 투여량-표준화된)가 표 6에 요약된다.
표 6
Figure pct00007
Cmax, AUC(0-12h) 및 AUC에 대한 값이 도 5에 플롯팅되어 있다. 또한, 예상밖으로, 도그에서와 같이 인간에 대해서도, 데이터는 L-이성질체의 전신 노출이 L-이성질체 만을 함유하는 제형으로부터의 흡수와 비교하여 라세미 제형으로부터 (Cmax, AUC(0-12h) 및 AUC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명세서는 특히 특정 구체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들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및 사상 내에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19)

  1.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약제 조성물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디소듐 염인, 약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양이 0.01 mg 내지 4 mg인, 약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인, 약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약 10중량% 내지 약 90중량%의 L-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D-아미노프테린 및 L-아미노프테린을 포함하며,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중에 15% 내지 8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하는, 약제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에 25% 내지 7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하는, 약제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중에 35% 내지 6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하는, 약제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중에 45% 내지 55%의 D-아미노프테린이 존재하는, 약제 조성물.
  11.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질환이 류마티스성 관절염, 유년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염증성 장 질환, 기관지폐 형성 이상(bronchopulmonary dysplasia), 개과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병용 치료시 제 2 약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제 2 약물이 엽산인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의 치료 유효량이 환자 체중 kg 당 0.3mg 미만의 아미노프테린인 방법.
  17. 적어도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 활성에 의해 조절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치료 유효량의 라세미 아미노프테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질환이 백혈병, 림프종, 유방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유년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염증성 장 질환, 기관지 폐 장애, 및 개과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117019673A 2009-01-24 2010-01-23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KR101746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09309P 2009-01-24 2009-01-24
US61/147,093 2009-01-24
PCT/US2010/021899 WO2010085717A1 (en) 2009-01-24 2010-01-23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racemic aminopter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70A true KR20120049170A (ko) 2012-05-16
KR101746757B1 KR101746757B1 (ko) 2017-06-13

Family

ID=4235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673A KR101746757B1 (ko) 2009-01-24 2010-01-23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49837B2 (ko)
EP (1) EP2384119B1 (ko)
JP (1) JP5707338B2 (ko)
KR (1) KR101746757B1 (ko)
CN (1) CN102361558B (ko)
AU (1) AU2010206631B2 (ko)
CA (1) CA2754007C (ko)
DK (1) DK2384119T3 (ko)
IL (1) IL214271A (ko)
NZ (1) NZ594807A (ko)
WO (1) WO2010085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2071B2 (en) * 2004-03-12 2009-11-03 Syntrix Biosystem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employing aminopterin
US7312217B2 (en) 2005-03-11 2007-12-25 Syntrix Biosystems, Inc. Aminopterin dosage forms and methods for inflammatory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6659A (en) * 1985-12-30 1988-05-24 Sri International Diastereomers of 10-alkyl-10-deazaminopteri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DE3821875C1 (ko) * 1988-06-29 1990-02-15 Eprova Ag, Forschungsinstitut, Schaffhausen, Ch
US5521190A (en) * 1993-05-27 1996-05-28 Fmc Corporation Insecticidal pterdines and 8-deazapteridines
ES2197265T3 (es) * 1997-05-09 2004-01-01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Stiftung Des Offentlichen Rechts Conjugado que comprende un anatagonista de aacido folico y un portador.
US20050187147A1 (en) * 2003-09-22 2005-08-25 Newman Michael J.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drug efficiency
WO2006049442A1 (en) * 2004-11-03 2006-05-11 Forhumantech.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ansdermal delivery
US7312217B2 (en) * 2005-03-11 2007-12-25 Syntrix Biosystems, Inc. Aminopterin dosage forms and methods for inflammatory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0798A1 (en) 2010-07-29
IL214271A0 (en) 2011-09-27
DK2384119T3 (en) 2015-10-12
AU2010206631B2 (en) 2016-03-31
EP2384119B1 (en) 2015-08-05
EP2384119A4 (en) 2012-07-04
KR101746757B1 (ko) 2017-06-13
NZ594807A (en) 2014-01-31
CN102361558A (zh) 2012-02-22
CA2754007A1 (en) 2010-07-29
AU2010206631A1 (en) 2011-09-15
JP5707338B2 (ja) 2015-04-30
JP2012515796A (ja) 2012-07-12
CA2754007C (en) 2015-11-10
WO2010085717A1 (en) 2010-07-29
US8349837B2 (en) 2013-01-08
EP2384119A1 (en) 2011-11-09
CN102361558B (zh) 2015-09-02
IL214271A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6936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isorders, using optically pure (+) zopiclone
EP1778237B1 (en) Use of Aminopterin for treating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TWI791507B (zh) 使用ccr3-抑制劑治療老化相關損傷之方法及組合物
US20060025418A1 (en) Methods of making and using N-desmethylzopiclone
EP1855682B1 (en) Aminopterin dosage forms for inflammatory disorders
US20090143335A1 (en) Modified absorption formulation of gaboxadol
US11596632B2 (en) JAK1 pathway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
JP2008069149A (ja) リウマチ様関節炎のための併用療法
JP2022518944A (ja) 肺動脈性肺高血圧症を治療するための投与レジメンおよび方法
US20140024638A1 (en) Treatment of cognitive dysfunction in schizophrenia
KR20120049170A (ko) 라세미 아미노프테린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WO199301078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leep disorders, convulsive seizures, and other disorders using optically pure (+) zopiclone
US2023004133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moking cessation
HU222819B1 (hu) IL-1 hatást gátló (benzolszulfonil-imino)-kromén-származékok és alkalmazásuk
TWI836486B (zh) 二甲基取代的噻唑並內醯胺類化合物及其應用
WO1993010788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leep disorders, convulsive seizures, and other disorders using optically pure (-) zopiclone
WO199502748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orders
JPH07330605A (ja) 高尿酸血症治療剤
ZA200109383B (en) Methods of making and using N-desmethylzopiclone.
JP2000302761A (ja) モルファ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