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728A -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728A
KR20120047728A KR1020100109456A KR20100109456A KR20120047728A KR 20120047728 A KR20120047728 A KR 20120047728A KR 1020100109456 A KR1020100109456 A KR 1020100109456A KR 20100109456 A KR20100109456 A KR 20100109456A KR 20120047728 A KR20120047728 A KR 20120047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unit
spacer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854B1 (ko
Inventor
김성필
엄기태
이찬권
안명진
김범근
이도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8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29D11/00307Producing lens wa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29D11/00298Producing lens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8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wafer level 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렌즈 유닛은 곡면을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불투명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UNIT,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가 탑재된 휴대전화와 같은 모바일 기기가 등장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지화상 및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또한, 현재 고해상도 및 고화질의 촬영을 위해 카메라의 성능이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자동초점 조절기능, 접사기능 및 광학 줌 기능 등을 구비한 카메라모듈이 탑재되고 있다.
실시예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향상된 광학적 성능을 가지는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은 곡면을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불투명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의 제조방법은 다수 개의 렌즈부들을 포함하는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을 제 2 몰드 내측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몰드 내측에 제 2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여, 상기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과 일체로 수지층을 형성하여, 렌즈 어레이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 어레이 기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 1 곡면을 포함하는 제 1 렌즈부, 상기 제 1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불투명한 제 1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 1 렌즈 유닛; 상기 제 1 렌즈 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페이서에 접착되는 제 2 렌즈 유닛; 및 상기 제 1 렌즈 유닛 아래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은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불투명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은 이중 사출 공정 등에 의해서, 렌즈부, 지지부 및 스페이서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은 향상된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스페이서는 지지부와 동일한 물질 및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및 지지부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은 더욱 향상된 강도를 가진다.
또한, 스페이서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는 렌즈 유닛들을 서로 이격시키고, 동시에 불필요한 광을 차단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차광 기능을 수행하는 스탑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향상된 광학적 성능을 가진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1 렌즈 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렌즈 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메인 회로 기판에 접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렌즈, 유닛, 부, 홀, 돌기, 홈 또는 층 등이 각 렌즈, 유닛, 부, 홀, 돌기, 홈 또는 층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렌즈 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렌즈 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어셈블리(20) 및 센서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켜서, 상기 센서부(10)에 출사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는 상기 입사되는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는 제 1 렌즈 유닛(100), 제 2 렌즈 유닛(200), 광학 필터(300) 및 제 3 스페이서(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은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은 제 1 렌즈부(110), 제 1 지지부(120) 및 제 1 스페이서(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렌즈부(11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 곡면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렌즈부(110)는 서로 대향되는 볼록한 면 및 오목한 면을 가진다. 상기 제 1 렌즈부(110)는 입사되는 광을 굴절시킨다. 상기 제 1 렌즈부(110)는 약 0.5㎜ 내지 3 mm의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제 1 지지부(120)는 상기 제 1 렌즈부(110)의 주위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지지부(120)는 상기 제 1 렌즈부(110)를 둘러싼다. 즉, 상기 제 1 렌즈부(11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지지부(120)는 상기 제 1 렌즈부(110)를 지지한다.
상기 제 1 지지부(12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120)는 상기 제 1 렌즈부(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부(12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120)의 폭은 약 5㎜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상기 제 1 지지부(12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상기 제 1 지지부(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상기 제 1 지지부(120)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불투명하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상기 제 1 지지부(120) 및 상기 광학 필터(3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상기 광학 필터(300)의 상면에 접착된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의 측면은 상기 제 1 지지부(120)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제 1 투과홀(13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투과홀(131)은 상기 제 1 렌즈부(110)에 대응된다.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중심은 상기 제 1 렌즈부(110)의 중심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내측면은 상기 제 1 지지부(12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내측면은 상기 제 1 지지부(120)의 상면에 대하여, 약 40° 내지 60°의 각도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내측면이 경사지는 방향은 입사광의 경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내측면의 각도는 상기 제 1 렌즈부(110)의 광학적인 설계에 따라서 달라진다.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직경은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직경은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상부 외곽은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의 경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내측면이 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렌즈부(110)를 통과하는 광은 상기 광학 필터(300)에 효과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투과홀(131)의 상부 외곽은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의 경계에 대응되기 때문에, 노이즈를 일으키는 불필요한 광은 효과적으로 상기 제 1 스페이서(130)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은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은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은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약 200℃ 내지 약 350℃의 온도에서도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13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20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녹는점은 약 350℃ 내지 약 450℃일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는 투명하며,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로으로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등과 같은 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PMMA) 등과 같은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검정색 염료 등과 같은 유색의 염료 및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로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와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로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등과 같은 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PMMA) 등과 같은 아크릴계 수지 이외에도,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olyether ether ketone;PEEK),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PEN), 폴리이미드(polyimide;PI) 또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등과 같은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은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켜서,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으로 출사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은 제 2 렌즈부(210), 제 2 지지부(220), 제 2 스페이서(230) 및 차광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렌즈부(21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 곡면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렌즈부(210)는 서로 대향되는 볼록한 면 및 오목한 면을 가진다. 상기 제 2 렌즈부(210)는 입사되는 광을 굴절시킨다. 상기 제 2 렌즈부(210)는 약 0.5㎜ 내지 3 mm의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상기 제 2 렌즈부(210)의 주위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상기 제 2 렌즈부(210)를 둘러싼다. 즉, 상기 제 2 렌즈부(21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상기 제 2 렌즈부(210)를 지지한다.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상기 제 2 렌즈부(2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폭은 약 5㎜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는 상기 제 2 지지부(22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는 상기 제 2 지지부(2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는 상기 제 2 지지부(220)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는 불투명하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는 상기 제 2 지지부(220) 및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는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의 상면에 접착된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의 측면은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는 제 2 투과홀(231)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투과홀(231)은 상기 제 2 렌즈부(210)에 대응된다.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중심은 상기 제 2 렌즈부(210)의 중심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내측면은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내측면은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상면에 대하여, 약 40° 내지 60°의 각도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내측면이 경사지는 방향은 입사광의 경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내측면의 각도는 상기 제 2 렌즈부(210)의 광학적인 설계에 따라서 달라진다.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직경은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직경은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상부 외곽은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경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하부 외곽은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의 경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내측면이 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제 2 렌즈부(210)를 통과하는 광은 상기 제 1 렌즈부(110)에 효과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투과홀(231)의 내측면은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경계 및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1 지지부(120)의 경계에 대응되기 때문에, 노이즈를 일으키는 불필요한 광은 효과적으로 상기 제 2 스페이서(230)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차광부(240)는 상기 제 2 지지부(2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차광부(240)는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차광부(240)는 불투명하며, 입사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차광부(240)의 외곽은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외곽과 일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차광부(240)의 측면은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측면 및 상기 제 2 스페이서(230)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부(240)는 제 4 투과홀(241)을 포함한다. 상기 제 4 투과홀(241)은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2 렌즈부(210)에 대응된다. 상기 제 4 투과홀(241)의 중심은 상기 제 1 렌즈부(110)의 중심 및 상기 제 2 렌즈부(210)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투과홀(241)의 내측면은 상기 차광부(24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투과홀(241)의 내측면은 상기 차광부(240)의 상면에 대하여, 약 30° 내지 70°의 각도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 4 투과홀(241)의 내측면이 경사지는 방향은 입사광의 경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투과홀(241)의 내측면의 각도는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의 광학적인 설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 4 투과홀(241)의 직경은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상기 제 4 투과홀(241)의 하부 외곽은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경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4 투과홀(241)의 내측면이 상기 차광부(24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광은 상기 제 2 렌즈부(210)에 효과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4 투과홀(241)의 하부 외곽은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경계에 대응되기 때문에, 노이즈를 일으키는 불필요한 광은 효과적으로 상기 차광부(240)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은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은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은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약 200℃ 내지 약 350℃의 온도에서도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13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20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녹는점은 약 350℃ 내지 약 450℃일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투명하며,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로으로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등과 같은 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PMMA) 등과 같은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차광부(240)는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차광부(240)는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차광부(240)는 검정색 염료 등과 같은 유색의 염료 및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차광부(240)로 상기 제 2 렌즈부(210) 및 상기 제 2 지지부(220)와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차광부(240)로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등과 같은 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PMMA) 등과 같은 아크릴계 수지 이외에도,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olyether ether ketone;PEEK),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PEN), 폴리이미드(polyimide;PI) 또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등과 같은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렌즈 유닛들(100, 200)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3개 이상의 렌즈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300)는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 필터(300)는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적외선 필터이다. 상기 광학 필터(300)는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에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300)는 통과하는 광을 필터링하여,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300)는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제 3 스페이서(400)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필터(300)의 측면은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광학 필터(300)의 측면,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의 측면 및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의 측면은 동시에 절단되어 형성되는 절단면들일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상기 광학 필터(300) 아래에 개재된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상기 광학 필터(300) 및 상기 센서부(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상기 광학 필터(300)의 하면에 접착된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의 외곽은 상기 광학 필터(300)의 외곽과 일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스페이서(400)의 측면은 상기 광학 필터(300)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불투명하며,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상기 제 1 스페이서(130) 및 상기 제 2 스페이서(23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검정색 염료 등과 같은 유색의 염료 및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약 200℃ 내지 약 350℃의 온도에서도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13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200℃ 내지 약 2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녹는점은 약 350℃ 내지 약 450℃일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로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olyether ether ketone;PEEK),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PEN), 폴리이미드(polyimide;PI) 또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등과 같은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단일층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다수 개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를 구성하는 모든 층들은 앞서 설명한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제 3 투과홀(410)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투과홀(410)은 상기 제 1 렌즈부(110) 및 상기 제 2 렌즈부(210)에 대응된다. 상기 제 3 투과홀(410)의 중심은 상기 제 1 렌즈부(110)의 중심 및 상기 제 2 렌즈부(210)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투과홀(410)의 내측면은 상기 제 3 스페이서(40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투과홀(410)의 내측면은 상기 제 3 스페이서(400)의 상면에 대하여, 약 40° 내지 80°의 각도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 3 투과홀(410)의 내측면이 경사지는 방향은 입사광의 경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투과홀(410)의 내측면의 각도는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및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의 광학적인 설계에 따라서 달라진다.
상기 제 3 투과홀(410)의 직경은 상기 광학 필터(30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3 투과홀(410)의 직경은 상기 광학 필터(30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 3 투과홀(410)의 내측면이 상기 제 3 스페이서(40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광학 필터(300)를 통과하는 광은 상기 센서부(10)에 효과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 상기 광학 필터(300) 및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접착층들(미도시)에 의해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스페이서(130) 및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되고, 상기 제 1 스페이서(130) 및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 사이에 다른 접착층이 개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상기 접착층들(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및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들로 사용되는 물질은 높은 내열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들로 사용되는 물질은 약 200℃ 내지 약 350℃의 온도에서도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층들로 사용되는 물질은 약 130℃ 내지 약 250℃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층들로 유리 전이 온도가 약 200℃ 내지 약 250℃인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들로 녹는점이 약 350℃ 내지 약 450℃인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들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에폭시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1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를 통하여 입사된 광을 센싱한다. 상기 센서부(10)는 센싱 칩(11) 및 회로 기판(12)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칩(11)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센싱 칩(11)은 상기 회로 기판(12)에 접속된다. 상기 센싱 칩(11)은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반도체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칩(11)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칩일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2)은 상기 센싱 칩(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 기판(12)은 상기 센싱 칩(1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회로 기판(12)은 상기 센싱 칩(11)을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상기 제 1 지지부(1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차광부(240)는 상기 제 2 지지부(2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 및 상기 광학 필터는 서로 접착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10)는 상기 제 3 스페이서(400)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는 높은 기계적인 강도를 가진다.
특히, 상기 제 1 지지부(120) 및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220),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차광부(240)는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및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은 향상된 강도를 가지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도 전체적으로 향상된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을 따로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강도를 더 보강하기 위해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 및 상기 센서부(10)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 및 상기 센서부(1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 및 상기 센서부(10)의 측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 덮게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차광막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 및 상기 센서부(10)의 측면에는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불투명한 물질이 코팅되어, 상기 차광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 상기 광학 필터(300), 상기 제 3 스페이서(400) 및 상기 접착층들은 높은 내열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높은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메인 기판 등에 접합하기 위한 고온의 리플로우공정에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 스페이서(130),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스페이서(130) 및 상기 제 2 스페이서(230)는 렌즈 유닛들 및 광학필터를 서로 이격시키고, 동시에 불필요한 광을 차단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유닛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탑 등과 같은 광을 차단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앞선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즉, 앞선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설명은 본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성형 몰드(31)에 의해서, 다수 개의 제 1 렌즈부들(110)을 포함하는 제 1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101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101a)은 사출 공정, 열 경화 공정 또는 광 경화 공정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101a)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앞서 설명한 제 1 렌즈부(110) 및 제 1 지지부(120)에 사용되는 물질과 동일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101a)은 제 2 성형 몰드(32)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성형 몰드(32)는 상기 제 1 렌즈부들(110)을 밀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101a) 및 상기 제 2 성형 몰드(32) 사이의 공간(35)에 불투명한 수지 조성물이 주입되고, 경화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101a) 아래에 불투명한 제 1 수지층(13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지층(132)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앞서 설명한 제 1 스페이서(130)로 사용되는 물질과 동일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성형 몰드(32)가 제거되고,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이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성형 몰드(33)에 의해서, 다수 개의 제 2 렌즈부들(210)을 포함하는 제 2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201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201a)은 사출 공정, 열 경화 공정 또는 광 경화 공정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201a)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앞서 설명한 제 2 렌즈부(210) 및 제 2 지지부(220)에 사용되는 물질과 동일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201a)은 제 4 성형 몰드(34)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4 성형 몰드(34)는 상기 제 2 렌즈부들(210)을 밀봉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201a) 및 상기 제 4 성형 몰드(34) 사이의 공간(36)에 불투명한 수지 조성물이 주입되고, 경화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201a) 아래에 불투명한 제 2 수지층(232) 및 제 3 수지층(242)이 형성된다. 상기 불투명한 제 2 수지층(232) 및 제 3 수지층(242)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앞서 설명한 제 2 스페이서(230) 및 차광부(240)에 사용되는 물질과 동일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성형 몰드(34)가 제거되고,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이 형성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 3 필름(401), 광학 필터 플레이트(301),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 및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이 차례로 적층되고, 서로 접착된다.
상기 광학 필터 플레이트(301)는 앞서 설명한 광학 필터(3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광학 필터 플레이트(301)는 상기 광학 필터(300)와 동일한 광학적 특성 및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제 3 필름(401)은 다수 개의 제 3 투과홀들(410)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필름(401)은 앞선 카메라 모듈에서 제 3 스페이서(40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필름(401)의 두께는 상기 제 3 스페이서(400)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부들(110), 상기 제 2 렌즈부들(210), 상기 제 1 투과홀들(131), 상기 제 2 투과홀들(231), 상기 제 3 투과홀들(410) 및 상기 제 4 투과홀들(241)은 서로 정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3 필름(401), 상기 광학 필터 플레이트(301), 상기 제 2 필름(501), 상기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 상기 제 1 필름(401), 상기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 및 상기 제 4 필름(701)은 순차적 적층되고, 서로 접착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필름(401), 상기 광학 필터 플레이트(301), 상기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 및 상기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은 동시에 절단되고, 다수 개의 렌즈 어셈블리들(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절단되어, 다수 개의 제 1 렌즈 유닛(100)들(100)로 분리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 상기 광학 필터 플레이트(301) 및 상기 제 3 필름(401) 및 상기 제 4 필름(701)은 각각 다수 개의 제 2 렌즈 유닛들(200), 다수 개의 광학 필터들(300) 및 다수 개의 제 3 스페이서들(400)로 분리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3 필름(401) 및 상기 광학 필터 플레이트(301)는 따로 접착되고, 따로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 상기 제 1 필름(401) 및 상기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이 적층되고, 서로 접착되어, 절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1 렌즈 유닛들(100)에 상기 광학 필터들(300)이 각각 접착되어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어셈블리들(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 어셈블리들(20)에 센서부들(10)이 각각 접착되고,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필름(401), 상기 광학 필터 플레이트(301), 상기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 및 상기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은 동시에 절단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렌즈 유닛(100), 상기 제 2 렌즈 유닛(200), 상기 광학 필터(300) 및 상기 제 3 스페이서(400)는 동일한 절단면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 필름(401), 상기 광학 필터 플레이트(301), 상기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 및 상기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이 모두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은 유사한 기계적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 어레이 기판(101) 및 상기 제 2 렌즈 어레이 기판(201)은 이중 사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스페이서(130)는 상기 제 1 지지부(120)에 일체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페이서(230) 및 상기 차광부(240)도 상기 제 2 지지부(220)에 일체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제조방법은 용이하게 렌즈 어셈블리들(20)을 제조할 수 있고, 향상된 내열 특성, 기계적인 특성 및 광학적인 특성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이 메인 기판(40)에 접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기판(40) 상에 다수 개의 솔더들(50)이 배치된다. 이후, 상기 솔더들(50) 상에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이 정렬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솔더들(50) 상에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이 배치되고, 상기 솔더들(50), 상기 메인 기판(40) 및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에 전체적으로 열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솔더들(50) 및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의 온도는 약 200℃ 내지 약 300℃로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솔더들(50)은 연화되고,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상기 메인 기판(40)에 접합된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높은 내열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리플로우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리플로우 공정에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곡면을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불투명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 및 상기 지지부는 투명한 렌즈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스페이서는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불투명한 물질을 더 포함하는 렌즈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렌즈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페이서와 마주보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
  6. 다수 개의 렌즈부들을 포함하는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을 제 2 몰드 내측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몰드 내측에 제 2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여, 상기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과 일체로 수지층을 형성하여, 렌즈 어레이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 어레이 기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렌즈 유닛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상기 렌즈부들을 밀봉하는 렌즈 유닛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렌즈 어레이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 1 몰드 내측에 제 1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몰드에 주입된 제 1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유닛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은 불투명한 물질을 더 포함하는 렌즈 유닛의 제조방법.
  11. 제 1 곡면을 포함하는 제 1 렌즈부, 상기 제 1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불투명한 제 1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 1 렌즈 유닛;
    상기 제 1 렌즈 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페이서에 접착되는 제 2 렌즈 유닛; 및
    상기 제 1 렌즈 유닛 아래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유닛은,
    상기 제 1 렌즈부에 대응하는 제 2 렌즈부;
    상기 제 2 렌즈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 상에 상기 제 2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불투명한 차광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 유닛은 상기 제 2 지지부 아래에 상기 제 2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불투명한 제 2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스페이서에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00109456A 2010-11-04 2010-11-04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219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456A KR101219854B1 (ko) 2010-11-04 2010-11-04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456A KR101219854B1 (ko) 2010-11-04 2010-11-04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728A true KR20120047728A (ko) 2012-05-14
KR101219854B1 KR101219854B1 (ko) 2013-01-08

Family

ID=4626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456A KR101219854B1 (ko) 2010-11-04 2010-11-04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8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529B1 (ko) * 2014-03-12 2014-09-05 (주)디지탈옵틱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7887A (ko) * 2016-08-11 2018-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1913333A (zh) * 2019-05-09 2020-11-10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摄像机及调光模组
WO2021230594A1 (ko) * 2020-05-12 2021-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2492A (ja) * 2007-07-03 2010-10-07 オプトメカ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異なる素材からなる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00030523A (ko) * 2008-09-10 2010-03-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유닛,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529B1 (ko) * 2014-03-12 2014-09-05 (주)디지탈옵틱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7887A (ko) * 2016-08-11 2018-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1913333A (zh) * 2019-05-09 2020-11-10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摄像机及调光模组
WO2021230594A1 (ko) * 2020-05-12 2021-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854B1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470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JP5568599B2 (ja) レンズ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087695B1 (ko) 이종재료 일체형 렌즈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KR100539259B1 (ko) 자동으로 정렬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그제조방법 및 렌즈의 자동 초점 조절방법
US848285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ens assembly, as well as a camera provided with such an assembly
US20100283113A1 (en) Wafer scale array of optical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2356463A (zh) 光学成像设备及制造该光学成像设备的方法
KR101219854B1 (ko)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5003518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arrayed optical element
KR20130003460A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172248B1 (ko) 렌즈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349510B1 (ko) 렌즈 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294393B1 (ko) 렌즈 유닛,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1480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JP5003340B2 (ja) 光学素子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101199191B1 (ko) 렌즈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209954B1 (ko) 렌즈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826712B1 (ko) 렌즈 유닛의 제조방법
KR101980657B1 (ko) 렌즈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1980634B1 (ko) 렌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826758B1 (ko) 카메라 모듈
KR101846188B1 (ko) 카메라 모듈
KR102138182B1 (ko) 카메라 모듈
KR20110046784A (ko) 트리플릿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