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417A -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417A
KR20120047417A KR1020100108967A KR20100108967A KR20120047417A KR 20120047417 A KR20120047417 A KR 20120047417A KR 1020100108967 A KR1020100108967 A KR 1020100108967A KR 20100108967 A KR20100108967 A KR 20100108967A KR 20120047417 A KR20120047417 A KR 20120047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aterial
pattern
pair
stam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079B1 (ko
Inventor
노성우
권건영
이강식
이준환
권종태
강연숙
김선호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KR102010010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0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3Integrated opt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29C59/04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for layered or coated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66Manufacturing methods
    • G02B2006/12197Grinding; Pol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소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 소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는 광학 소재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 상에 구비되어 광학 소재가 안착되는 안착 유닛과; 상기 안착 유닛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 소재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광학 소재의 적어도 어느 한편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스탬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유닛 및 스탬핑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학 소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PATTERN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 소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 소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에는 패널에 면광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광판이 사용된다. 이때 백라이트유닛의 광원으로는 점광인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선광인 형광등 등이 사용되는데 점광 또는 선광을 면광으로 변환시켜주는 수단이 도광판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백라이트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1b는 측면에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백라이트유닛은 광원(30)과 도광판(10)을 포함하고, 광원(30)으로는 복수의 점광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LED가 구성된다. 그리고, 광원(30), 즉 복수의 LED를 도광판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한다. 이때 복수의 광원(30) 사이에는 핀(pin; 20)이 배치되는데, 이 핀(20)들이 도광판(10)에 암부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LCD의 외관에 암부와 명부가 나타나는 얼룩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도 1b와 같이 도광판(10)의 측면 입광부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여 LED에서 발광되는 점광의 경로를 변환시켜 핀에 의해 형성되는 암부를 해소하였다.
도광판의 패턴 각인 기술은 사출방식, 압출방식, 인쇄방식, 레이져(laser)방식, 스탬핑(stamping)방식 등 여러 방식이 사용된다. 전술된 방법 중 도광판의 측면에 패턴을 각인하는 방식은 사출방식, 압출방식 및 스탬핑(stamping)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이중 사출방식은 패턴을 금형에 제작하여 원자재를 충진시켜 제작하는 것으로 대면적 제품 제작에 적용이 어려우며, 패턴변경을 위해 금형제작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압출방식은 원자재가 취출되는 입구의 노즐에 패턴을 적용하여 제품을 제작하게 되는데 국부적인 패터닝이 어려우며, 노즐금형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압출방식은 제품생산 방향에 제작을 받는다.
또한, 도광판의 측면에 패턴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압력을 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스탬핑방식을 이용하여 도광판의 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광판의 측면을 가압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회전롤러의 가압 압력 및 온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도광판 또는 회전롤러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회전롤러를 교체가능하게 장착하거나, 회전롤러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스탬퍼를 교체가능하게 장착하여 한 장치로 다양한 패턴의 형성이 가능한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는 광학 소재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 상에 구비되어 광학 소재가 안착되는 안착 유닛과; 상기 안착 유닛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 소재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광학 소재의 적어도 어느 한편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스탬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유닛 및 스탬핑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학 소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탬핑 유닛은 상기 안착 유닛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학 소재의 측면을 광학 소재의 폭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패턴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의 중심축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스탬핑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 하우징을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빔을 포함한다.
스탬핑 유닛은 상기 회전롤러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한다.
스탬핑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 하우징을 광학 소재의 측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켜 가압 정도를 조절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광학 소재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스탬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이지에는 상기 안착 유닛의 양측으로 광학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한 쌍의 스탬핑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되며, 상기 크로스빔은 상기 한 쌍의 스탬핑 레일을 따라 활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이지에는 상기 안착 유닛의 하부에 광학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 유닛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 유닛이 상기 안착 유닛 레일을 따라 활주되고, 상기 한 쌍의 스탬핑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이지에 안착되는 광학 소재의 상면에 밀착배치되어 상기 광학 소재가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은 광학 소재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광학 소재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광학 소재의 양쪽 측부에 각각 패턴이 형성된 회전롤러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으로 상기 광학 소재의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안착 유닛 및 스탬핑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광학 소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광학 소재의 측면을 패터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소재의 측면을 패터닝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롤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소재의 측면을 패터닝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롤러로 광학 소재를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소재의 측면을 패터닝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안착 유닛 또는 스탬핑 유닛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탬핑방식을 이용하여 광학 소재의 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소재의 측면을 가압하는 회전롤러의 가압 압력, 온도 및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에서 다양한 재료의 광학 소재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패턴의 깊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회전롤러를 준비하거나,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스탬프를 준비하여 장치에 손쉽게 교체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하나의 장치에서 다양한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백라이트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1b는 측면에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다양한 소재의 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재로 광학 소재 중 하나인 도광판(10)을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의 패턴 형성 장치에 적용되는 소재는 제시되는 도광판에 한정되지 않고,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측면에 소정의 패턴의 형성이 필요한 다양한 소재, 예를 들어 마이크로 렌즈, 프리즘, 광학시트, 건축자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는 크게 스테이지(100)와; 상기 스테이지(100) 상에 구비되어 도광판(10)이 안착되는 안착 유닛(200)과; 상기 안착 유닛(2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10)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도광판(10)의 적어도 어느 한편의 측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스탬핑 유닛(300)을 포함한다.
스테이지(100)는 패턴 작업이 실시될 처리물, 즉 도광판(10)이 안착되는 공간 및 다른 구성물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테이지(100)는 평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안착 유닛(200) 및 스탬핑 유닛(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안착 유닛(200)은 도광판(10)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수단으로서, 도광판(10)의 형상에 부합하여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 유닛(200)의 길이 및 폭은 도광판(10)의 길이(도면의 X축 방향) 및 폭(도면의 Y축 방향)에 부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도광판(10)의 양측 측면이 안착 유닛(200)의 외곽으로 노출되도록 안착 유닛(200)의 폭은 도광판(10)의 폭보다 조금 좁게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물론 상기 안착 유닛(200)은 플레이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판(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방식에 의한 안착 또는 도광판(10)의 가장 자리만을 지지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100)의 상면에는 상기 안착 유닛(200)의 양측으로 도광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한 쌍의 스탬핑 레일(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 유닛(200)은 상기 스테이지(100) 상면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스탬핑 유닛(300)이 스탬핑 레일(110)을 따라 활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광판(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탬핑 유닛(300)의 도광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패터닝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탬핑 유닛(300)은 상기 도광판(10)의 측면을 가압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도광판(10)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310)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310)의 중심축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과, 상기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을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빔(34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310)는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패턴이 형성된 스탬터(320)가 장착되어 도광판(10)을 직접 가압하여 패터닝 작업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도광판(1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이때, 도광판(10)의 한쪽 측면에만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광판(10)의 한쪽 측면에는 패턴이 형성된 회전롤러(310) 또는 별도의 패턴이 형성된 스탬터(320)가 장착된 회전롤러(310)를 배치하고, 다른 쪽 측면에는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회전롤러(310)를 배치한다. 만약, 도광판(10)의 양쪽 측면 모두에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광판(10)의 양쪽 측면에는 패턴이 형성된 회전롤러(310) 또는 별도의 패턴이 형성된 스탬터(320)가 장착된 회전롤러(310)를 배치한다.
각각의 회전롤러(310)는 도광판(10)의 두께방향(도면의 Z축 방향)을 따라 회전의 중심이 되는 중심축이 마련된다.(도면의 Z축을 중심으로 XY평면 상에서 회전됨) 그래서 회전롤러(310)의 외주면이 도광판(10)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회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주면에 형성되는 패턴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의 스탬퍼(320)를 구비하여 회전롤러(310)의 외주면에 교체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이때 스탬퍼(320)는 그 외주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롤러 하우징(330)은 상기 회전롤러(3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롤러(310)의 중심축(311)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회전롤러(310)의 중심축(311) 상단과 하단을 각각 회전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상부판(331) 및 하부판(333)과, 상기 상부판(331) 및 하부판(333)을 일체로 고정하는 측부판(335)으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롤러 하우징(33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회전롤러(3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측부판(335)은 도광판(10)이 배치되는 반대편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 하우징(330)에는 상기 회전롤러(310)를 가열시키는 히터(35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3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회전롤러(310)를 직접 또는 간접 가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히터(350)의 가열수단인 가열봉(351)이 회전롤러(310)의 내부로 연장되어 가열봉(351)의 가열에 의해 회전롤러(310)를 직접 가열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물론 히터(350)의 방식 및 회전롤러(310)의 가열은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크로스빔(340)은 상기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을 일체로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그 양단에는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이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크로스빔(340)과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 사이에는 피스톤(360)이 구비된다. 그래서 피스톤(3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을 도광판(10)의 측면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켜 가압 정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빔(340)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스탬핑 레일(110)에서 활주되는 구동블럭(341)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블럭(341)은 상기 스탬핑 레일(110)에 대응하여 한 쌍이 마련된다. 한 쌍의 구동블럭(341)은 한 쌍의 스탬핑 레일(110)에 안내되어 도광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된다. 이때 상기 구동블럭(341)에는 각각 구동을 위한 구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되고, 구동유닛의 구동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구동유닛은 예를 들어 직선운동을 발생하는 리니어 모터 및 볼스크류와 볼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조합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구동블럭(341)을 스탬핑 레일(110) 상에서 활주시키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은 크로스빔(34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활주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이 각각 한 쌍의 구동블럭(341)에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활주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 중 하나의 롤러 하우징만이 활주되고, 다른 롤러 하우징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롤러 하우징(330)의 활주방식은 다양한 방식 중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선택되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광판(10)의 측면 패터닝을 위하여 먼저 도 4a와 같이 도광판(10)을 안착 유닛(20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크로스빔(340)의 양단에 구비된 롤러 하우징(330)에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 회전롤러(310)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크로스빔(340)을 후진시켜 도광판(10)의 후단에 배치시킨다. 그래서 크로스빔(340)에 설치된 회전롤러(310)가 도광판(10)의 측면 후단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히터를 작동시켜 회전롤러(310)를 가열시킨다.
이후, 도 4b와 같이 피스톤(360)을 작동시켜 회전롤러(310)가 도광판(10)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롤러(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회전롤러(310)에 장착된 스탬퍼(320)가 도광판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그러면 회전롤러(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스탬퍼(320)에 의해 도광판(10)의 측면에 패턴이 형성된다. 이때 크로스빔(340)을 도광판의 길이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선단으로 활주시킨다. 그러면 도 2와 같이 회전롤러(310)가 도광판(10)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롤러(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스탬퍼(320)가 도광판(10)의 측면을 연속적으로 패터닝시키는 것이다. 이때 피스톤(360)을 조절하여 회전롤러(310)가 도광판의 측면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광판(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패턴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빔(34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도광판(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패턴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도광판(10)에 다른 종류의 패턴을 형성하고 싶다면 외주면에 패턴이 형성된 회전롤러(310) 또는 회전롤러(310)에 장착된 스탬퍼(320)를 교체하여 사용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도광판(10)이 위치가 고정되고, 회전롤러(310)가 이동하면서 도광판(10)의 측면을 패터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롤러(310)의 위치가 고정되고 도광판(10)이 이동하면서 도광판(10)의 측면을 패터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는 회전롤러(31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도광판(10)이 안착되는 안착 유닛(200)이 스테이지(100) 상에서 도광판(1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된다.
이때 스테이지(100) 상에는 크로스빔(340)이 활주되는 스탬핑 레일(110)이 구비되지 않는 반면에 안착 유닛(200)이 활주되는 안착 유닛 레일(120)이 도광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그래서 상기 안착 유닛(200)이 안착 유닛 레일(120)을 따라 활주 됨에 의해 도광판(10)이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로서, 도광판(10)의 양측을 동시에 회전롤러(310)가 가압하는 경우 도광판(10)이 안착 유닛(200)에 바람직하게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가압정도에 따라 도광판(10)이 볼록하게 휘어지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10)이 어떠한 가압에도 휘어져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광판(10)의 상면에 밀착배치되는 커버 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 부재(400)는 상기 도광판(1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광판(10)의 상면에 밀착배치되는 수단으로서, 도광판(10)의 상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도광판 100: 스테이지
10: 스탬핑 레일 120: 안측 플레이트 레일
200: 안착 유닛 300: 스탬핑 유닛
310: 회전롤러 311: 중심축
320: 스탬퍼 330: 롤러 하우징
331: 상부판 333: 하부판
335: 측부판 340: 크로스빔
341: 구동블럭 350: 히터
351: 가열봉 360: 피스톤
400: 커버 부재

Claims (13)

  1. 광학 소재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 상에 구비되어 광학 소재가 안착되는 안착 유닛과;
    상기 안착 유닛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 소재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광학 소재의 적어도 어느 한편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스탬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 유닛 및 스탬핑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학 소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패턴 형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 유닛은,
    상기 안착 유닛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학 소재의 측면을 광학 소재의 폭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패턴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의 중심축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 하우징을 포함하는 패턴 형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 하우징을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빔을 포함하는 패턴 형성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스탬핑 유닛은,
    상기 회전롤러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스탬핑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 하우징을 광학 소재의 측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켜 가압 정도를 조절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패턴 형성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교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광학 소재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스탬퍼가 구비되는 패턴 형성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에는 상기 안착 유닛의 양측으로 광학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한 쌍의 스탬핑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되며,
    상기 크로스빔은 상기 한 쌍의 스탬핑 레일을 따라 활주되는 패턴 형성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에는 상기 안착 유닛의 하부에 광학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 유닛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 유닛이 상기 안착 유닛 레일을 따라 활주되고,
    상기 한 쌍의 스탬핑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되는 패턴 형성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에 안착되는 광학 소재의 상면에 밀착배치되어 상기 광학 소재가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턴 형성 장치.
  10. 광학 소재의 측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광학 소재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광학 소재의 양쪽 측부에 각각 패턴이 형성된 회전롤러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으로 상기 광학 소재의 양쪽 측면을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안착 유닛 및 스탬핑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광학 소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광학 소재의 측면을 패터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재의 측면을 패터닝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롤러를 가열하는 패턴 형성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재의 측면을 패터닝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롤러로 광학 소재를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패턴 형성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재의 측면을 패터닝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안착 유닛 또는 스탬핑 유닛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패턴 형성 방법.
KR1020100108967A 2010-11-04 2010-11-04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787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967A KR101787079B1 (ko) 2010-11-04 2010-11-04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967A KR101787079B1 (ko) 2010-11-04 2010-11-04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417A true KR20120047417A (ko) 2012-05-14
KR101787079B1 KR101787079B1 (ko) 2017-10-19

Family

ID=4626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967A KR101787079B1 (ko) 2010-11-04 2010-11-04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0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1921B2 (ja) * 2002-08-26 2006-03-08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導光板成形装置および導光板成形方法
US8673193B2 (en) * 2008-02-27 2014-03-18 Sharp Kabushiki Kaisha Roller nanoimprint apparatus, mold roller for use in roller nanoimprint apparatus, fixing roller for use in roller nanoimprint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of nanoimprint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079B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6029B2 (ja) 曲面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928963B2 (ja) 転写方法及び装置
JP6032492B2 (ja) 微細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微細パターン形成装置
KR101191148B1 (ko) 도광판용 패턴 형성 장치
US6818157B2 (en) Light guiding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light guid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CN211106185U (zh) 具备印刷层的基材
KR101064977B1 (ko) 음각 도트 패턴이 각인된 박판형 도광판 가공 장치
TWI532583B (zh) 轉印設備及導光膜片的製造方法
KR20120027101A (ko) 도광판의 제조방법, 도광판, 백라이트 장치, 조명장치 및 도광판 제조장치
US6619175B2 (en) V-cutter for an LCD light guide panel
CN103782207A (zh) 制备导光板的连续方法
KR20070029320A (ko) 대면적 도광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20047417A (ko)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TWI328129B (en) Method for making light guide plate
KR100812313B1 (ko) 롤 코팅장치
CN211764042U (zh) 一种间歇式微结构压印装置
KR101091735B1 (ko) 음각 도트 패턴이 각인된 도광판 가공 장치
CN115008747A (zh) 一种光固化三维打印装置和打印方法
KR101830125B1 (ko) 갭조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장치
CN100468150C (zh) 导光板制造方法
KR102250645B1 (ko) 3d 펜을 활용한 헤드 분리형 3d 프린터
CN220933342U (zh) 一种多角度出光的柔性版曝光装置
KR101179674B1 (ko) 도광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503151B1 (ko) 도광판의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광판
KR101296730B1 (ko) 패턴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