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295A - 탈취재 및 탈취 장치 - Google Patents

탈취재 및 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295A
KR20120047295A KR1020127007364A KR20127007364A KR20120047295A KR 20120047295 A KR20120047295 A KR 20120047295A KR 1020127007364 A KR1020127007364 A KR 1020127007364A KR 20127007364 A KR20127007364 A KR 20127007364A KR 20120047295 A KR20120047295 A KR 2012004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ing
chips
urethane
granular surface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하라다
요시유키 카와세
케이코 미나가와
나오아키 도슈
마사유키 나가이
키시로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 교세이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 기쥬쯔 소고 겡뀨 기꼬우
파나소닉 칸쿄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 교세이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 기쥬쯔 소고 겡뀨 기꼬우, 파나소닉 칸쿄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도꾸리쯔 교세이호징 노우교 ? 쇼쿠힝 산교 기쥬쯔 소고 겡뀨 기꼬우
Publication of KR2012004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01D53/85Biological processes with gas-sol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8Ammo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66Other waste gases from animal f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세립면과 우레탄 칩(산업 폐기물로서 폐기되는 우레탄 발포 탄성체에 의한 우레탄 칩을 제외함)을 주재료로 한 종래의 탈취재에 대신한 신규 탈취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입상물의 입자직경이 1mm 이상 40mm 이하의 알갱이가 혼재하는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목질계 칩의 혼합물을 주체로 하며, 가축분뇨?퇴구비?잉여오니의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활성물질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이다.

Description

탈취재 및 탈취 장치{DEODORIZING MATERIAL AND DEODORIZING DEVICE}
본원 발명은, 퇴비사(compost shed)나 축사(livestock barn) 등으로부터 발생한(암모니아를 주체로 하는) 악취나 오일을 포함하는 젖은 쓰레기(garbage)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등을 생물탈취법(biological deodorization method)에 의해 제거하는 탈취 장치에 사용되는 탈취재(이하, 단지 「탈취재」라고 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탈취재는, 주로 6mm 미만의 미세한 입자직경으로 형성된 「로크울(rock wool) 입상면(粒狀綿)(세립면, fine granulated wools)」에 대하여, 통기(通氣)저항을 경감할 목적의 「우레탄 칩(urethane chips)」, 가축분뇨?퇴구비(stable manure)?잉여오니(汚泥) 등의 미생물 활성물질, 미생물 활성(미생물에 의한 악취물질의 분해 제거)을 유지할 목적의 탄소원으로서 「왕겨(chaffs)」, 미생물 활성이 발현될 때까지의 동안에 악취물질을 흡착할 목적의 「제올라이트(zeolite)」등을 혼합해서 제조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세립면(입자직경 2.36mm 이상 5.60mm 미만의 입상물을 50%이상 포함하는 로크울 집합체)에 「미생물 활성물질」과 「경질 우레탄폼편(rigid urethane foam chips)」, 또한 「왕겨」나 「제올라이트」를 혼합한 탈취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세립면에 「미생물 활성물질」과, 「제올라이트」 또는 「왕겨」를 혼합한 탈취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82996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15013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탈취재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
(1) 시판되고 있는 우레탄 칩(신품의 우레탄 칩)은, 원재료비를 포함하는 가공비용이 상승하고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는 동시에, 우레탄 칩에 경년(經年) 변화에 따른 열화가 생겨, 통기가 불균등하게 되거나, 통기 저항이 증대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2) 또, 왕겨는 생산에 계절성이 있어, 연간(年間)을 통해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3) 게다가, 로크울 입상면에 혼합하는 자재인 우레탄 칩, 왕겨, 제올라이트의 3 자재의 혼합은 제조 공정을 번잡하게 한다는 과제가 있고, 또한 혼합하는 자재의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분리되기 쉽고, 비중이 가벼운 자재는 상부에, 비중이 무거운 자재는 하부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어 균일한 혼합이 곤란해지는 동시에, 탈취조에 균등하게 충전할 수 없으며, 통기가 불균등하게 되거나 하여 충분한 탈취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과제에 착안하여, 해당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시험?연구한 결과, 무기섬유제 중간입상면(medium inorganic granulated wools)과 목질계 칩(wood chips)을 혹은 무기섬유제 중간입상면과 우레탄 칩(산업 폐기물로 되는 우레탄 발포 탄성체를 특정 크기로 파쇄한 것)을 주체로 배합한 탈취재(본원 발명)를 완성시키는데 이르렀다.
본원 발명의 요지는, 통기 저항의 경감, 탄소원 및 초기 흡착 효과를 부가하기 위한 저렴한 자재로서, 환경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목질계 칩」을 주재료로서 사용한 것, 혹은 산업 폐기물이 되는 우레탄 발포 탄성체를 파쇄한 「우레탄 칩」을 주재료로서 사용한 것에 있다.
다시 말해, 제1의 발명은, 입상물의 입자직경이 1mm 이상 40mm 이하의 알갱이(粒, particles)가 혼재하는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목질계 칩의 혼합물을 주체로 하며, 가축 분뇨?퇴구비?잉여오니의 단독 혹은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활성물질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이다.
여기에서, 목질계 칩에는, 예컨대, 삼목(cedar) 칩, 종려나무(hemp palm)의 칩, 상수리 나무(sawtooth oak)의 칩, 벚나무(cherry tree)의 칩, 코코넛 칩 등의 수목 목부(木部)의 칩이나 수피(樹皮) 칩 등이 있다. 한편, 목질계 칩은, 그 중에 포함되는 유분(油分) 및 리그닌(lignin)이 분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부패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통상, 미생물 활성물질은, 가공 공정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미생물 활성물질을 단독으로 충분한 양을 입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미생물 활성물질을 혼합해서 사용하여도, 효과에 큰 차이는 없으며, 다르지 않다(제7의 발명에 있어서도 동일).
제2의 발명은,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이 로크울 입상면이며, 입자직경 5.6mm 이상의 입상물을 50% 이상 포함한 「중간입상면」을 주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同) 탈취재이다.
여기에서, 이후, 입자직경 5.6mm 이상의 입상면을 50% 이상 포함한 무기섬유제 입상면을 「중간입상면(中粒綿)」이라고 표기한다.
또한, 무기섬유제 입상면에는, 로크울 입상면 이외에, 예컨대, 세라믹 파이버제 입상면, 유리섬유제 입상면 등이 있다.
제3의 발명은, 상기 목질계 칩의 긴 지름(長徑)이 1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탈취재이다.
여기에서, 본원에서는, 칩 및 소편(小片)의 지름?폭?높이?길이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부위의 길이를 "긴 지름"으로 정의한다.
제4의 발명은, 상기 목질계 칩의 비율이, 무기섬유제 입상면 100용적부(parts by volume)에 대하여, 20~120용적부(바람직하게는 25~80용적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40~70용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탈취재이다.
제5의 발명은, 상기 미생물 활성물질의 건조 중량이,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상기 목질계 칩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30중량부(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5~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탈취재이다.
제6의 발명은, 상기 목질계 칩이 악취 흡착 기능과 영양 공급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탈취재이다.
상기 목질계 칩이 악취 흡착 기능과 영양 공급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탈취재가 초기 단계(미생물 활성의 발현 전)로부터 탈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미생물에 영양을 공급해서 미생물의 활성을 촉진할 수 있다.
제7의 발명은, 입상물의 입자직경이 1mm 이상 40mm 이하의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되는 우레탄 발포 탄성체를 긴 지름 10mm~50mm로 파쇄한 우레탄 칩과의 혼합물을 주체로 하며, 가축분뇨?퇴구비?잉여오니의 단독 혹은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활성물질을 혼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이다.
여기에서의 「우레탄 칩」은, 시판되는 우레탄 제품이 아니라,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되는 우레탄 발포 탄성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조 공정에서 제품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상태의 것으로서 폐기되는 우레탄 발포 탄성체를 긴 지름 5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mm~5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30mm로 파쇄 가공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산업 폐기물을 유가물(有價物)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산업 폐기물의 범위로서는, 건축 폐재(廢材)에 한하지 않고, LNG탱커(tankers)나 공장?플랜트용 배관 보온재 등으로부터 나오는 우레탄 발포 탄성체도 그 대상이 된다.
제8의 발명은, 상기 우레탄 칩의 비율이,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 100용적부에 대하여, 25~66용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탈취재이다.
이것은,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상기 우레탄 칩과의 혼합 비율을,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 60 내지 80용적%、상기 우레탄 칩 40 내지 20용적%로 한 것이지만,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의 혼합 비율을 탈취조의 용적에 대하여 60용적%보다 낮게 하면 탈취 성능이 저하한다. 또한,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의 혼합 비율을 탈취조의 용적에 대하여 80%보다 높게 하면, 탈취조 내에 있어서의 통풍(악취 송풍)에 지장이 온다. 한편, 상기 우레탄 칩의 혼합 비율을 탈취조의 용적에 대하여 40용적%보다 높게 하면 틈새가 많아져, 도 5에 나타내는 실험 결과대로, 탈취 성능이 저하한다. 또한, 상기 우레탄 칩의 혼합 비율을 탈취조의 용적에 대하여 20용적%보다 낮게 하면, 친수성을 가지는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이 물에 불어 밀착하여, 탈취조 내에 있어서의 통풍(악취 송풍)이 폐색되는 등의 지장이 온다.
한편, 상기한 제1의 발명 내지 제8의 발명에 관한 탈취재를 구비한 탈취 장치를 본원 발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2의 발명에 있어서의 「중간입상면」을 주체로 한 무기섬유제 입상면으로서는, 예시 1~4의 배합 비율의 것이 고려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배합 비율의 피크는 반드시, 예시 1과 같이 배합 범위의 중심에 없어도 좋다.
[예시 1]1.70~37.50mm 입자직경의 것이 50중량% 이상(※합계 90%)
입자직경 1.00~1.70mm... 5%
입자직경 1.70~2.36mm... 5%※
입자직경 2.36~3.35mm... 30%※
입자직경 3.35~5.60mm... 10%※
입자직경 5.60~11.20mm... 10%※
입자직경 11.20~19.00mm... 10%※
입자직경 19.00~31.50mm... 20%※
입자직경 31.50~37.50mm... 5%※
입자직경 37.50~40.00mm... 5%
[예시 2]2.36~31.50mm 입자직경의 것이 50중량% 이상(※합계 85%)
입자직경 1.00~1.70mm... 0%
입자직경 1.70~2.36mm... 5%
입자직경 2.36~3.35mm... 5%※
입자직경 3.35~5.60mm... 5%※
입자직경 5.60~11.20mm... 25%※
입자직경 11.20~19.00mm... 35%※
입자직경 19.00?31.50mm... 15%※
입자직경 31.50~37.50mm... 5%
입자직경 37.50~40.00mm... 5%
[예시 3]3.35~19.00mm 입자직경의 것이 50중량% 이상(※합계 75%)
입자직경 1.00~1.70mm... 0%
입자직경 1.70~2.36mm... 0%
입자직경 2.36~3.35mm... 15%
입자직경 3.35~5.60mm... 40%※
입자직경 5.60~11.20mm... 30%※
입자직경 11.20~19.00mm... 5%※
입자직경 19.00~31.50mm... 5%
입자직경 31.50~37.50mm... 0%
입자직경 37.50~40.00mm... 5%
[예시 4]5.60~11.20mm 입자직경의 것이 50중량% 이상(※합계 55%)
입자직경 1.00~1.70mm... 0%
입자직경 1.70~2.36mm... 5%
입자직경 2.36~3.35mm... 5%
입자직경 3.35~5.60mm... 15%
입자직경 5.60~11.20mm... 55%※
입자직경 11.20~19.00mm... 15%
입자직경 19.00~31.50mm... 5%
입자직경 31.50~37.50mm... 0%
입자직경 37.50~40.00mm... 0%
본원 발명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무기섬유제 입상면이 지나치게 거칠면(too large) 재료의 주입 상태에 따라, 악취가 탈취재 전체에 대하여 균등하게 통과하지 않게 되며, 탈취재에 악취의 통로가 생겨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또한, 무기섬유제 입상면이 지나치게 미세하면(too small) 악취는 균등하게 통과하지만, 통기 저항이 지나치게 높아 런닝코스트가 높아지거나(대형의 블로워(blower)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단위면적당의 악취처리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탈취 장치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원 발명과 같이 입상물의 입자직경이 1mm 이상 40mm 이하의 알갱이를 「혼재」시킨 무기섬유제 입상면을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2) 또, 무기섬유제 입상면으로서 로크울 입상면의 「중간입상면」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가공 정도가 적고, 세립면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제조 가격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
(3)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비교해서 큰 형상을 가지는 목질계 칩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틈새(voids)가 확보되어, 통기 저항은 경감된다. 또한, 목질계 칩은 탄소원(carbon source)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왕겨의 혼입도 필요 없어졌다.
(4) 목질계 칩이 가지는 악취 흡착 효과에 의해 미생물 활성이 발현될 때까지의 탈취도 가능하기 때문에, 제올라이트의 혼입도 필요 없어졌다.
(5) 목질계 칩이나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될 우레탄 발포 탄성체 폐재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탈취 효과도 좋고, 재료비도 저렴하다.
(6) 목질계 칩의 경우는, 혼합하는 자재의 종류가 종래 기술과 비교해서 적어지기 때문에, 각 자재 간의 비중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어 균일한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탈취재의 제조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자재인 왕겨와 비교해서 일반적으로 연간을 통해 입수하기 쉬워, 자재의 안정공급이 우수하다.
(7) 새롭게 제조된 우레탄 발포 탄성체 등의 종래의 자재와 비교해서 목질계 칩은 비중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혼합시나 탈취조로의 충전시에 무기섬유제 입상면으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워,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로 탈취조를 구성하기 쉽다. 이에 더하여 목질계 칩이 가지는 미생물용의 캐리어(擔體)로서의 성능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품과 비교해서 탈취 성능은 동등 이상이 된다.
(8)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되는 우레탄 발포 탄성체는, 성형시의 온도 및 압력에 의해 조성 변형이 생기고 있어, 탈취재의 재료로서 사용할 때의 압밀(consolidation, 壓密) 등에 의한 형상 변화가 적고, 종래 품과 비교해서 그 강도는 동등 이상이 되어, 악취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9) 목질계 칩의 경우는, 수피 섬유(bark fiber) 등에 포함되는 유분 및 리그닌이 분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살수(sprinkling)에 의한 습윤(濕潤)이나, 살수가 없을 때의 건조의 반복에도 부패하기 어렵기 때문에, 내구성이 있다.
(10) 삼목 칩, 종려나무의 칩, 상수리 나무의 칩, 벚나무의 칩, 코코넛 칩 등의 수목 목부의 칩이나 나무 껍질 칩은 호기성 균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모노테르펜(monoterpene) 및 그 화합물」이 미량이기 때문에, 호기성 균을 살균하지 않고, 오히려 퇴비조(stable manure bath) 등으로부터 악취를 분해하는 호기성 균이 증식?활성화하기 쉬운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관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관한 실시예와 종래 예를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탈취 효과의 비교시험 1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표 및 그래프이다.
도 4는, 탈취 효과의 비교시험 2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표 및 그래프이다.
도 5는, 탈취 효과의 비교시험 3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표 및 그래프이다.
도 6은, 탈취 효과의 비교시험 4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표 및 그래프이다.
도 7은, 탈취 효과의 비교시험 5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표 및 그래프이다.
도 8은, 탈취 효과의 비교시험 6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표 및 그래프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탈취 장치(1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의 용기(polyethylene container)(탈취조)(20)에 탈취재(30)를 채우고, 탈취조(20) 상부의 송기구(air inlet, 21)로부터 악취를 보내며, 탈취조(20) 하부의 배기구(22)로부터 탈취된 공기를 배출(取出)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탈취조(20) 하부로부터 악취를 보내고, 탈취조(20) 상부로부터 탈취된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미생물의 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탈취조(20) 상부로부터 살수하고, 탈취조(20) 하부의 배기구(air outlet, 22)로부터 배수 침전조(discharged water settling tank)(배수 탱크)(40)로 배출한다. 배수 탱크(40)에 모인 물은 다시 살수에 사용된다. 한편, 용기(탈취조)(20)의 크기는, 직경 1000mm, 높이 1420mm, 송기구의 지름 50mm로 되어 있다.
탈취재(30)에는, 무기섬유제 입상면으로서 「로크울 중간입상면 160kg(1m3)」과 목질계 칩으로서 긴 지름 10~50mm가 되도록 조정한 「삼목 칩 200kg (0.5m3)」에, 미생물 활성물질로서 「계분(鷄糞) 30kg(수분 함유율 15%)」(건조 중량 25.5kg)을 혼합한다. 또한, 삼목 칩이 말라 있는 경우에는 살수하여, 미생물의 활성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여기에서 사용하는 「로크울 중간입상면」은, 입자직경 5.6mm 이상 11.2mm 미만의 입상물이 50% 이상, 또한 입자직경 11.2mm 이상의 입상물이 20% 이하인 것이다.
종래 예의 시료는, 「로크울 중간입상면 163kg(약1m3)」에 「제올라이트 41kg」, 미생물 활성물질로서 「계분 32kg(수분 함유율 15%)」(건조 중량 27.2kg), 「왕겨 13kg」, 「우레탄 칩 48.6kg」(긴 지름 10~50mm) 및 물을 혼합하여, 조정했다.
이 탈취재(30)를 도 1에 나타내는 탈취 장치(10)의 용기(탈취조)(20)에 채우고, 암모니아 농도가 200ppm정도의 악취를 매초 20mm 정도의 속도로 탈취재(30) 속을 통과시키도록 한다.
또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1일에 수회 15분 정도 살수한다. 남은 물은 배수 침전조(배수 탱크)(40)에 모이며, 다시 살수에 사용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탈취 장치(10)에 의한 운전 개시 후 1개월째의 암모니아 가스의 탈취 효과를 실시예와 종래 예에서 비교한 일람표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일람표에 따르면, 본원 발명에 관한 탈취재(30)를 사용한 실시예가, 종래 예와 비교해서 2/3로 악취 농도(출구 농도)를 감소시키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탈취 장치를 교환하지 않고, 단지 탈취재를 교환한 것만으로, 1/3이나 출구 농도를 저감시킨 것은 매우 큰 효과이다.
도 3~도 8은, 종래의 탈취재와 본원 발명에 관한 탈취재의 탈취 효과에 관한 비교시험을 행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표 및 그래프이다.
이 비교시험에서는, 치수가 직경 800mm, 높이 4000mm의 탈취 장치를 이용해서(도시생략), 이하와 같은 탈취 효과의 비교시험 1~6을 행하였다. 한편, 비교시험 1~6에 이용한 시료는, 「로크울 중간입상면 160kg(1m3)」에 대하여, 미생물 활성물질로서 「계분 40kg(수분 함유율 15%)」(건조 중량 34kg)의 비율로 배합하고 있지만, 모든 비교시험에서 동일 량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미생물 활성물질을 제외한 용적을 100%로 하여 각 혼합물의 용적량을 나타낸다. 또한, 비교시험 1~4에 이용한 우레탄 칩은, 긴 지름 10~50mm로 조정한 것이며, 비교시험 5 및 6에 이용한 목질계 칩 2종은, 긴 지름 10~50mm로 조정한 것이다.
도 3(비교시험 1) : 종래의 시판 우레탄 칩 20용적%와 로크울 중간입상면 80용적%의 탈취재
도 4(비교시험 2) : 종래의 시판 우레탄 칩 35용적%와 로크울 중간입상면 65용적%의 탈취재
도 5(비교시험 3) : 종래의 시판 우레탄 칩 41용적%와 로크울 중간입상면 59용적%의 탈취재
도 6(비교시험 4) : 산업 폐기물의 우레탄 칩 35용적%와 로크울 중간입상면 65용적%의 탈취재
도 7(비교시험 5) : 코코넛(목질계) 칩 35용적%와 로크울 중간입상면 65용적%의 탈취재
도 8(비교시험 6) : 종려나무(목질계) 칩 35용적%와 로크울 중간입상면 65용적%의 탈취재
비교시험 1~3은, 종래의 탈취재의 혼합 비율을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비교시험 1에서는, 시험 개시로부터 약 2개월 후에 통기로가 폐색되고, 그 후 통기로를 확보해서 시험을 계속했지만, 약1개월 후에 다시 통기로가 폐색되었다. 이것으로부터, 탈취조의 용적에 대하여, 로크울 중간입상면을 80용적% 이상 충전했을 경우, 살수된 물과 그 물에 젖은 로크울의 친수성이 요인이 되어 통기로가 폐색되어, 계속 운전이 불가능한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비교시험 2에서는, 탈취조 입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75ppm이며, 탈취조 출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2ppm이었다. 또한, 비교시험 3에서는, 탈취조 입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75ppm이며, 탈취조 출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20ppm이었다.
이상으로부터, 비교시험 1~3의 결과를 고찰하면, 종래의 시판 우레탄 칩 35용적%와 로크울 중간입상면 65용적%를 혼합한 탈취재(비교시험 2)가 가장 뛰어난 탈취 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 다음에, 종래의 탈취재 중에서 가장 탈취 효과가 좋은 것(비교시험 2의 탈취재)과, 본원 발명에 관한 탈취재(비교시험 4의 탈취재 : 산업 폐기물의 우레탄 칩 35용적%와 로크울 중간입상면 65용적%의 탈취재)를 비교한다.
비교시험 4에서는, 탈취조 입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67ppm이며, 탈취조 출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1ppm이었다.
이상에 의해, 비교시험 2의 「종래의 시판 우레탄 칩 35용적%」와, 비교시험 4의 「산업 폐기물의 우레탄 칩 35용적%」의 비교에서는, 산업 폐기물의 우레탄 칩을 이용해도 종래의 시판 우레탄 칩과 같은 탈취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더욱이, 「우레탄 칩」에 대신해서 「목질계 칩」을 이용한 것(혼합 비율은 35용적%인 상태)과 비교한다.
비교시험 5에서는, 목질계 칩으로서 「코코넛 칩」과 로크울 중간입상면이 혼합된 탈취재를 이용한 결과, 탈취조 입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75ppm이며, 탈취조 출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0.5ppm 이하이었다.
이상에 의해, 코코넛 칩과 로크울 중간입상면에 의한 암모니아 가스 흡착 능력이, 우레탄 칩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우수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마찬가지로 비교시험 6에서는, 목질계 칩으로서 「코코넛 칩」에 대신해서 「종려나무의 칩」을 이용해서 시험하였다. 종려나무도 야자과의 식물이며, 목질계 칩으로서 「종려나무의 칩」과 로크울 중간입상면이 혼합된 탈취재를 이용한 결과, 탈취조 입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72ppm이며, 탈취조 출구의 암모니아 농도는 최대 0.2ppm 이하이었다.
이상에 의해, 종려나무의 칩과 로크울 중간입상면에 의한 암모니아 가스의 흡착 능력이, 우레탄 칩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우수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상기한 비교시험의 결과에 의해, 고가인 우레탄 발포 탄성체를 칩 형상으로 한 시판 우레탄 칩을 이용하지 않아도,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되는 우레탄 칩을 이용하여도, 동일한 탈취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되는 우레탄 칩의 대체로서, 코코넛 칩이나 종려나무의 칩 등의 목질계 칩을 이용하여도, 암모니아 가스를 탈취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원 발명은,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악취를 생물탈취법에 의해 제거하는 탈취 장치에 사용되는 탈취재로서, 폭넓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퇴비사나 축사 등으로부터 발생하는(암모니아를 주체로 하는) 악취
(2) 오일을 포함하는 젖은 쓰레기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업무용?가정용 양쪽을 포함한다)
(3) 기타의 악취
10 탈취 장치
20 용기(탈취조)
21 송기구
22 배기구
30 탈취재
40 배수 침전조(배수 탱크)

Claims (9)

  1. 입상물(粒狀物)의 입자직경이 1mm 이상 40mm 이하인 알갱이가 혼재하는 무기섬유제 입상면(粒狀綿)과 목질계 칩의 혼합물을 주체로 하며, 가축분뇨?퇴구비(stable manure)?잉여오니(surplus sludge)의 단독 혹은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활성물질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이 로크울(rock wool) 입상면이며, 입자직경 5.6mm 이상의 입상물을 50% 이상 포함한 중간입상면을 주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질계 칩의 긴 지름이 1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질계 칩의 비율이, 무기섬유제 입상면 100용적부에 대하여, 20~120용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활성물질의 건조 중량이,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상기 목질계 칩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3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질계 칩이 악취 흡착 기능과 영양 공급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
  7. 입상물의 입자직경이 1mm 이상 40mm 이하인 무기섬유제 입상면과 산업 폐기물로서 폐기되는 우레탄 발포 탄성체를 긴 지름 10mm~50mm로 파쇄한 우레탄 칩과의 혼합물을 주체로 하며, 가축분뇨?퇴구비?잉여오니의 단독 혹은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 활성물질을 혼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칩의 비율이, 상기 무기섬유제 입상면 100용적부에 대하여, 25~66용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재.
  9. 제1항, 제2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탈취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KR1020127007364A 2009-08-31 2010-04-13 탈취재 및 탈취 장치 KR201200472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99519 2009-08-31
JPJP-P-2009-199519 2009-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295A true KR20120047295A (ko) 2012-05-11

Family

ID=4362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364A KR20120047295A (ko) 2009-08-31 2010-04-13 탈취재 및 탈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25533B2 (ko)
KR (1) KR20120047295A (ko)
CN (1) CN102112204B (ko)
SG (1) SG178921A1 (ko)
WO (1) WO2011024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4919B (zh) * 2012-05-14 2014-01-29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一种用于堆肥的除臭材料及制法和应用
JP6445663B1 (ja) * 2017-11-30 2018-12-26 新和産業株式会社 生物脱臭装置
JP6445665B1 (ja) * 2017-11-30 2018-12-26 新和産業株式会社 生物脱臭方法
JP6445664B1 (ja) * 2017-11-30 2018-12-26 新和産業株式会社 生物脱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7621A (en) * 1987-07-21 1989-01-30 Seibutsukei Tokutei Sangyo Method for treating bad smelling gas
JP2883286B2 (ja) * 1994-12-08 1999-04-19 ダイワ工業株式会社 脱臭装置
JP3202564B2 (ja) * 1995-10-30 2001-08-27 東洋バイオリアクター株式会社 脱臭装置
JP3829961B2 (ja) * 1997-10-29 2006-10-04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脱臭材
JP3845683B2 (ja) * 1998-04-28 2006-11-15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脱臭装置
JP2002273155A (ja) * 2001-03-21 2002-09-24 Kochi Kansei Koken Kk 微生物脱臭装置
JP2004181382A (ja) * 2002-12-04 2004-07-02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ヤシガラを用いた生物脱臭方法及び装置
JP2005035811A (ja) * 2003-07-16 2005-02-10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悪臭の揮散を低減する堆肥化処理方法及び装置
JP3848958B2 (ja) * 2004-09-30 2006-11-22 徳三 佐藤 脱臭装置
JP4696622B2 (ja) * 2005-03-23 2011-06-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脱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78921A1 (en) 2012-04-27
CN102112204B (zh) 2014-07-16
CN102112204A (zh) 2011-06-29
JPWO2011024507A1 (ja) 2013-01-24
WO2011024507A1 (ja) 2011-03-03
JP5525533B2 (ja)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Mitigating odors from agricultural facilities: a review of literature concerning biofilters
Atalia et al. A review on composting of municipal solid waste
Dumont et al. Evaluation of innovative packing materials for the biodegradation of H2S: a comparative study
CN103418236A (zh) 一种生物除臭填料及装置
KR20120047295A (ko) 탈취재 및 탈취 장치
Feodorov Modern technologies of treatment and stabilization for sewage sludge from water treatment plant
CN105597696A (zh) 一种新型核壳结构生物填料及其制备方法
JP2001302366A (ja) 軽量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06574A (ko) 폐가스 정화용 바이오필터
JP2019098234A (ja) 生物脱臭方法
WO1990009964A1 (en) Biological treatment of sewage sludge or similar waste matter
JP6665251B1 (ja) 余剰汚泥処理方法ならびに該方法に用いられる余剰汚泥処理システム
WO2012152269A2 (de) Gerüstmaterial für biologisch recyclingfähige reaktivfil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9049346A1 (de) Sorptionsgranulat zur Beseitigung von Geruchs- und Schadstoffen aus Abluft-, Abgasen und Abwasser aus Industrie und Haushalten
Gałwa-Widera Reduction of odors from composting processes using an ecological method
Miller et al. Application of biological deodorization methods in the aspec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rtung et al. Biofilters-the influence of different filter materials and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on the reduction efficiency
JP6307403B2 (ja) 下水汚泥の消化汚泥の保管方法及び処理方法
JP3848958B2 (ja) 脱臭装置
JP2019098233A (ja) 生物脱臭装置
Gałwa-Widera et al. Reduction of Odour Nuisance of Industrial Plants–Biofiltering in Composting Plants
JP2823506B2 (ja) 脱臭装置用多孔質充填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脱臭装置
KR100277565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및악취제거용다공성세라믹스
JP2023004655A (ja) 廃棄物処理プラント及び廃棄物処理方法
JP2023004654A (ja) 廃棄物処理プラント及び廃棄物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