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192A - 투명 전열 마스크 - Google Patents

투명 전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192A
KR20120047192A KR1020110048690A KR20110048690A KR20120047192A KR 20120047192 A KR20120047192 A KR 20120047192A KR 1020110048690 A KR1020110048690 A KR 1020110048690A KR 20110048690 A KR20110048690 A KR 20110048690A KR 20120047192 A KR20120047192 A KR 20120047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vibrator
power supply
planar heating
elem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148B1 (ko
Inventor
손경춘
Original Assignee
손경춘
(주) 사람과나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춘, (주) 사람과나눔 filed Critical 손경춘
Priority to KR102011004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1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투과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반구형의 외피 및 내피와, 상기 외피 및 내피 사이에 배치되며 광 투과성 재질의 발열체로 형성되는 면상발열체층을 구비하고, 안면의 눈, 코, 또는 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면상 발열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층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의 작동을 위한 터치 신호를 상기 외피에 대한 터치에 의해 입력받는 터치센서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열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 전열 마스크{ELECTRICALLY HEATED TRANSPARENT MASK}
본 발명은 미용 등의 필요로 안면을 덮은 채로 그에 열을 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부분에서 얼굴은 한 사람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부분인 만큼 예로부터 이를 미화시키고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안면은 최근에 이르러 오염된 공기와 태양의 자외선, 황사 등에 의해서 피부 손상이 많은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안면은 피부층이 엷고 굴곡이 많은 부분이어서, 나이가 들어가면서 쉽게 노화되어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상받기 위한 노력으로서 피지 제거, 피부 영양, 피부의 보습, 피부의 활성, 주름의 제거 등의 피부관리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각종 제품들과 기구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 수단으로서는 각종 영양크림, 보습용크림, 황토팩, 자외선 차단용 크림, 콜라겐, 호르몬 영양제, 안면용 열원적외선 조사기, 찜질수단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면에 대한 가열중에 가열에 따른 안면의 상태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안면 부위에 대한 진동을 가할 수 있는, 투명 전열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투명 전열 마스크는, 광 투과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반구형의 외피 및 내피와, 상기 외피 및 내피 사이에 배치되며 광 투과성 재질의 발열체로 형성되는 면상발열체층을 구비하고, 안면의 눈, 코, 또는 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면상 발열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층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의 작동을 위한 터치 신호를 상기 외피에 대한 터치에 의해 입력받는 터치센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는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기준으로 상기 외피의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센서층은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기준으로 상기 내피의 반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센서층의 일 부분에 대해 터치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중 상기 일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진동자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면상발열체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면상발열체층에 대한 전원 공급 개시 후 시차를 두고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중 하나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중 하나에 대한 전원 공급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중 하나에 대해 재차 전원을 공급할 때, 상기 하나의 진동자에 대한 직전 전원 공급시보다 상기 면상발열체층의 온도가 상승 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하나의 진동자에 대한 재차 전원 공급 시 직전 전원 공급시보다 상기 하나의 진동자가 더 세게 진동하도록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상발열체층에 의해 가열되도록 배치되며, 가열 시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원적외선방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방사부는, 상기 내피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상 발열체층은 가열됨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성을 가지는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가장 자리에 각각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전열 마스크에 의하면, 안면에 대한 열을 제공하는 중에 안면의 피부의 변화 상태를 광 투과성의 마스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확인의 결과로, 사용자 또는 관리사는 피부 상태에 따른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정보를 얻게 된다.
또한, 마스크에 대한 간단한 터치 조작에 의해, 안면의 원하는 부위에 대한 진동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열 마스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변형예에 관련한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변형예에 관련한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열 마스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열 마스크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투명 전열 마스크(100)의 몸체(101)는 전체적으로 안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1)에는 안면의 눈, 코, 입에 대응하는 개구부(102,103,104)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1)의 가장자리에는, 몸체(101)를 안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밴드(105)가 결합 될 수 있다. 고정 밴드(105)는 몸체(101)의 가장자리의 대응하는 2 곳에 각각 일 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밴드들의 자유 단에는 서로가 서로에게 체결되도록 하는 벨크로, 단추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1)의 가장자리, 예를 들어 하측에는 단자(101a)가 형성될 수 있다. 단자(101a)는 몸체(101) 내의 면상발열체층(120, 도 2)과, 진동자(140, 도 3), 그리고 터치센서층(150, 도 3)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터치센서층(150) 등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몸체(101)의 내부에는 면상 발열체층(120, 도 2)에 대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125)이 배열될 수 있다. 전극(125)은 몸체(101)의 윤곽 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로 연장하고, 또한 안면의 중앙 부분으로도 연장할 수 있다. 전극(125)은 광 투과성, 다시 말해서 투명한 것으로 형성되어, 스크린(200)을 통한 사물에 대한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전극(125)은 여러 개의 폐회로를 구성함에 의해, 일 부분이 손상되더라도 나머지 부분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극(125)에 대한 전력 공급은, 전원공급부(170, 4)에 연결된 단자(101a)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1)의 단자(101a)에 연결되기 위하여, 조작기(106) 역시 단자(106a)를 가질 수 있다. 단자(106a)와 전선을 통해 연결된 조작기(106)에는, 디스플레이(107)와 입력키(108)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키(108)에 대한 조작에 따라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몸체(101)의 면상발열체층(120) 등의 동작이 제어된다. 그러한 제어에 따른 결과는 디스플레이(107)가 표시할 수 있다.
몸체(101)의 구체적 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101)는 외피(110)와, 면상발열체층(120)과, 내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110)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이루게 된다. 외피(110)는 전체적으로 안면의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피(110)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 투과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면상발열체층(120)은 외피(110)의 일 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발열체를 외피(110)의 일 면에 도포하여 층을 이루도록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발열체로는, 탄소나노튜브(CNT:Carbon Nano Tube)가 이용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모양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다. 관의 지름이 수?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하여 탄소나노튜브라고 일컬어진다. 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로 보통 머리카락의 10만 분의 1 굵기이다.
탄소나노튜브의 전기 전도도는 구리 보다 100배에서 1000배 우수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 탄소섬유는 1%만 변형시켜도 끊어지는 반면, 탄소나노튜브는 15%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발열성을 가진다. 나아가, 자외선을 80~90% 가량 차단해주기도 한다. 또한, 80% 이상의 광 투과도를 가져서, 탄소나노튜브에 의해 시인성이 실질적으로 제약되지 않는다.
내피(130)는 면상발열체층(120)을 덮도록 외피(110)와 결합 된다. 내피(130) 역시 안면의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피(130) 역시 광 투과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피(110) - 면상발열체층(120) - 내피(130)가 이루는 몸체(101)는, 전술한 3가지 구성이 모두 광 투과성을 가짐에 의해, 전체적으로 광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투명 전열 마스크(100)의 몸체(101)가 안면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 또는 관리사는 안면의 상태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위 실시예에 다른 구성들이 추가된 형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면상발열체층(120)을 기준으로 외피(110)의 반대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140)가 구비될 수 있다. 진동자(140)를 면상발열체층(120)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진동자(140)와 면상발열체층(120) 사이에는 보온층(13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온층(135)은 면상발열체층(120)에 의해 발생된 열의 급격한 변동이 바로 진동자(140)에 전달되지 않게 하며, 대신에 열이 완만하게 전달되게 한다. 이는 갑작스런 열 충격에 의해, 진동자(140)의 작동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을 낮추어 줄 수 있다.
진동자(140)의 작동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터치 센서층(150) 또한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150)은 외피(110)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 등의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정전식 또는 정압식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150)은 외피(110)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면상발열체층(120)와 터치 센서층(150) 사이에는, 면상발열체층(120)의 발열로부터 터치 센서층(150)을 보호하기 위한 단열층(115)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보온층(1135)이 면상발열체층(120)에 의한 열을 완만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면, 단열층(115)을 면상발열체층(120)에 의한 열을 차단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면상발열체층(120)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방사부(160)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원적외선방사부(160)는 옥 분말, 화인세라믹 등과 같이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옥 분말은 옥을 미세 분말화한 것으로, 옥에서는 원적외선이 안면에 방사되어 생체활성화, 탈취작용, 안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작용을 돕니다. 이러한 원적외선방사부(160)는, 내피(130)와 보온층(135) 사이에 위치하거나, 본 변형예와 같이 내피(130) 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원적외선방사부(160)로서 옥 분말 등을 포함하는 층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면상 발열체층(120) 자체가 원적외선 방사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면상 발열체층(120)으로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발열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 진동자(140)와 터치 센서층(150) 등을 도입함에 따른 제어 방식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도 3의 변형예에 관련한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면상발열체층(120)과 진동자(140), 그리고 터치 센서층(150)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위해서는, 전원공급부(170)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70)는 조작기(106, 도 1) 내에 설치되는 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전지는 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보다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 편의상 바람직할 것이다. 전원공급부(170)로서 전지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몸체(101)를 얼굴에 착용한 채로 조작기(106)를 들고서 이동하더라도 그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달리, 전원공급부(170)는 건물의 벽에 설치된 상용 전원용 콘센트에 꽂아지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전선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선은 조작기(106)의 전선과 접속될 것이다.
면상발열체층(120), 진동자(140), 그리고 터치 센서층(150)에 대한 전원공급부(170)의 전원 공급 여부, 및 전원 공급의 세기는 제어 유닛(18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을 위하여, 제어 유닛(180)은 조작기(106)의 입력키(108)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신호)을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 유닛(180)은 터치 센서층(15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도 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 유닛(180)과 협력하여 면상발열체층(120)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181)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181)가 측정한 면상발열체층(120)의 발열에 의한 실측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거나 높으면, 제어 유닛(180)은 면상발열체층(1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조절하여 실측 온도가 설정 온도가 근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유닛(180)의 구체적인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변형예에 관련한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키(108) 외에 터치 센서층(150)을 통해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몸체(101)의 외피(110)의 원하는 부분을 터치하게 될 것이다. 터치 센서층(150)은 이러한 터치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유닛(180)으로 전달하게 된다(S1).
터치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제어 유닛(180)은 무조건 진동자(140)를 작동시키는 것은 아니다. 제어 유닛(180)은 면상발열체층(120)에 대한 가열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한다(S3). 이는, 진동자(140)를 작동시키는 것은, 안면이 적당한 시간 동안 가열되어 모공이 확장된 상태에서, 피지의 배출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면상발열체층(120)의 발열에 의한 안면의 가열 시간이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에, 터치 센서층(150)을 통한 터치는 사용자가 진동자(140)를 작동시키려는 것이 아닌 다른 의도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대응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면상발열체층(120)에 대한 전원공급 개시 후에 일정한 시차를 두고서 진동자(140)에 대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사용자의 터치가 재차 이루어진다면[터치 센서층(150)의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한 확인 경우 등], 이 경우에는 진동자(14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 유닛(180)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면상발열체층(120)에 대한 가열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제어 유닛(180)은 터치된 부분 인근의 하나 이상의 진동자(140)를 작동시키게 된다(S5). 이에 의해, 사용자 또는 관리사가 몸체(101)를 통해 확인한 부분[피지가 나올 가능성이 커보이는 부분]에 대해 진동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진동자(140)의 진동은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진동이 멈춘 사이 사이에 피지의 배출 시간이 확보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앞서 터치된 부분에 대해 재차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S7). 이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특정 부분의 피지의 배출 상태 등을 살피며, 추가적인 진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앞서 진동한 진동자(140)는 앞서 보다 큰 진동 강도를 발휘하도록 제어 유닛(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S9). 이 경우, 면상발열체층(120)에 대한 전원 공급도 앞서 보다 크게 하여, 해당 부분의 온도 또한 더욱 상승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온도와 진동의 세기가 커진다면, 목표가 되고 있는 안면의 일 부분의 피지는 보다 쉽게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면상발열체층(120)의 가열 온도 및 진동자(140)의 진동의 세기는,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계단식으로 상승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온도나 진동의 세기는 안면에 적합한 수준의 한계치를 가질 것이며, 사용자가 입력키(108)를 조작하여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투명 전열 마스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투명 전열 마스크 101: 몸체
105: 고정 밴드 106: 조작기
110: 외피 120: 면상발열체층
130: 내피 140: 진동자
150: 터치 센서층 160: 원적외선방사부
170: 전원공급부 180: 제어 유닛

Claims (13)

  1. 광 투과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반구형의 외피 및 내피와, 상기 외피 및 내피 사이에 배치되며 광 투과성 재질의 발열체로 형성되는 면상발열체층을 구비하고, 안면의 눈, 코, 또는 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면상 발열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층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의 작동을 위한 터치 신호를 상기 외피에 대한 터치에 의해 입력받는 터치센서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열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투명 전열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는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기준으로 상기 외피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투명 전열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층은 상기 면상 발열체층을 기준으로 상기 내피의 반대 측에 설치되는, 투명 전열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층의 일 부분에 대해 터치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중 상기 일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진동자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투명 전열 마스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면상발열체층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면상발열체층에 대한 전원 공급 개시 후 시차를 두고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중 하나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투명 전열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중 하나에 대한 전원 공급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투명 전열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 중 하나에 대해 재차 전원을 공급할 때, 상기 하나의 진동자에 대한 직전 전원 공급시보다 상기 면상발열체층의 온도가 상승 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게 구성되는, 투명 전열 마스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하나의 진동자에 대한 재차 전원 공급 시 직전 전원 공급시보다 상기 하나의 진동자가 더 세게 진동하도록 제어하게 구성되는, 투명 전열 마스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층에 의해 가열되도록 배치되며, 가열 시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원적외선방사부를 더 포함하는, 투명 전열 마스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방사부는, 상기 내피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투명 전열 마스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층은 가열됨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성을 가지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투명 전열 마스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가장 자리에 각각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하는, 투명 전열 마스크.
KR1020110048690A 2011-05-23 2011-05-23 투명 전열 마스크 KR10125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90A KR101252148B1 (ko) 2011-05-23 2011-05-23 투명 전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90A KR101252148B1 (ko) 2011-05-23 2011-05-23 투명 전열 마스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811 Division 2010-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192A true KR20120047192A (ko) 2012-05-11
KR101252148B1 KR101252148B1 (ko) 2013-04-08

Family

ID=4626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690A KR101252148B1 (ko) 2011-05-23 2011-05-23 투명 전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1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3373A (zh) * 2015-05-08 2015-09-02 汤建华 一种智能美容面罩
JP2021062188A (ja) * 2019-10-15 2021-04-22 北京富納特創新科技有限公司 マスクタイプの美容器具
JP2021062192A (ja) * 2019-10-11 2021-04-22 北京富納特創新科技有限公司 マスクタイプの美容器具
JP2021062190A (ja) * 2019-10-11 2021-04-22 北京富納特創新科技有限公司 マスクタイプの美容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879Y1 (ko) 1999-11-25 2000-05-15 황현배 원적외선 방사용 마사지 마스크
KR20040073928A (ko) * 2003-02-14 2004-08-21 주식회사 엠지케어 얼굴 마사지용 마스크
KR100962863B1 (ko) * 2008-10-17 201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11385B1 (ko) * 2009-02-27 2011-01-28 김영숙 기능성 미용온열 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3373A (zh) * 2015-05-08 2015-09-02 汤建华 一种智能美容面罩
JP2021062192A (ja) * 2019-10-11 2021-04-22 北京富納特創新科技有限公司 マスクタイプの美容器具
JP2021062190A (ja) * 2019-10-11 2021-04-22 北京富納特創新科技有限公司 マスクタイプの美容器具
JP2021062188A (ja) * 2019-10-15 2021-04-22 北京富納特創新科技有限公司 マスクタイプの美容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148B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1938B2 (ja) 皮膚美容マスク装置および金と銀を含む複合層構造が適用された皮膚美容マスク装置
KR101252148B1 (ko) 투명 전열 마스크
KR20180021088A (ko) 광 요법 밴드 시스템
CN205885786U (zh) 带加热药包的按摩治疗仪
KR101786400B1 (ko) 안면 피부관리를 위한 온열마스크
JP6652152B2 (ja) 美容機器
CN107875513A (zh) 一种美容仪
JP2017502749A (ja) 身体接触携帯用治療器
KR20180077400A (ko) 햅틱 기반 스마트 마사지 장치 및 그 방법
CN206044807U (zh) 一种轻薄型发热护颈
JP5307594B2 (ja) 温熱療法用マット
CN208741280U (zh) 一种带有usb接口的艾绒眼罩
CN206933394U (zh) 石墨烯护膝
KR101831640B1 (ko) 갑상선치료기
KR101801950B1 (ko)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KR20100042855A (ko) 비염치료용 보조 온열기
JP5777248B2 (ja) 液剤供給機能を備えた頭額部用空気圧マッサージ器
KR101521174B1 (ko) 기능성 베개
CN113576741A (zh) 腰椎热敷推拿按摩腰靠及其使用方法
CN208591302U (zh) 视觉艾灸理疗仪
KR102293845B1 (ko)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KR101921033B1 (ko) 마스크팩
KR101537577B1 (ko) 정전기를 이용한 머리카락 제거장치
KR200279590Y1 (ko) 초음파 및 온열기능을 이용한 마사지 마스크
CN213605641U (zh) 一种隔音自适应按摩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