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950B1 -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 Google Patents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950B1
KR101801950B1 KR1020150154582A KR20150154582A KR101801950B1 KR 101801950 B1 KR101801950 B1 KR 101801950B1 KR 1020150154582 A KR1020150154582 A KR 1020150154582A KR 20150154582 A KR20150154582 A KR 20150154582A KR 101801950 B1 KR101801950 B1 KR 101801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ver
glove
heating element
beauty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296A (ko
Inventor
정정민
이찬서
박호열
Original Assignee
정정민
이찬서
박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민, 이찬서, 박호열 filed Critical 정정민
Priority to KR1020150154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9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41D19/01535Heated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2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A45D2/002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42Clamps or clasps with teeth or com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발열 미용 장갑은 장갑 형상의 내피; 상기 내피의 외측에 위치하고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하는 가용성 발열체;;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발열체와 상기 내피 사이에 위치한 에어로젤 소재로 구성된 단열재; 및 상기 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Hair styling glove}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미용을 위한 발열기능을 가지는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미용기구에는 가위, 헤어 트리머(Hair trimmer), 매직기, 고데기 등 다양한 기구들이 있다. 이 중 매직기, 고데기 등은 열을 이용하여 모발을 펴거나(Straightening), 웨이브(Wave), 컬(Curl) 등의 모양을 만들어 모발을 성형하는 데 이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미용기구들은 그 형태의 특이성이나 화상의 위험 때문에 주로 미용실에서 숙련된 미용사들에 의해 사용되므로, 일반인들은 자주 접하지 못하는 이러한 미용기구들에 익숙해지기 어렵고 쉽게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직기나 고데기 등은 고열을 이용하여 모발을 성형하기 때문에 이들의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일반인들이 사용할 경우 손이나 피부에 화상을 입거나 모발이 손상되는 위험이 있을 수도 있고, 기구들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므로 자신이 원하는 모발 형태를 만들어 내는데도 한계가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미용기구들이 발명되고 있고 미용장갑 또한 개발 되고 있는데, 특히 미용장갑의 경우 대부분 매직기나 고데기 등의 발열장비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갑의 기능만을 가지거나, 단순한 헤어드라이어 기능이나 브러시(Brush) 역할을 하는 등 전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자유로운 모발형태를 만들어낼 수 없다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여전히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발열체가 장착되어있으면서도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소재의 사용으로 사용자 안전을 보장하고, 유연한 소재를 활용하여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발열 부위를 다변화 함으로써 자유로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헤어 스타일링용 미용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발열 미용 장갑은 장갑 형상의 내피; 상기 내피의 외측에 위치하고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하는 가요성 발열체;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발열체와 상기 내피 사이에 위치한 에어로젤 소재로 구성된 단열재; 및 상기 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부 및 단열부에 두께가 얇으면서도 발열 및 단열효과가 뛰어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손에 밀착되면서도 움직임이 자유로운 장갑을 만들 수 있고, 장갑을 손에 낀 채로 손 모양을 이용하여 스타일링을 함으로써 초보자들도 쉽게 장갑을 다룰 수 있고 원하는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익숙한 손동작을 사용하므로 화상의 위험도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의 발열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의 발열부가 탈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조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미용 장갑(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사용자입력부(110), 동작인식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및 발열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입력부(110)는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이고, 제어부(130)는 그 입력에 따라 발열부(150)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장갑을 양손에 착용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등에 위치한 버튼 등의 사용자입력부(110)를 사용할 수 없을 때가 많다. 그런 경우에는 동작인식부(120)에 의해 사용자의 손의 위치, 방향 또는 움직임을 인식하여 제어부가 온도조절 등의 장갑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동작인식부(120)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또는 굽힘인식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미용 장갑(100)의 단면의 구조를 나타내며, 발열 미용 장갑(100)의 단면은 외피(200, Outer Layer), 중피(220, Middle Layer) 및 내피(240, Inner Layer)의 세 개의 레이어로 구성된다.
외피(200)는 발열체(210)가 직접 피부나 모발에 접촉되어 화상이나 손상이 생기는 걸 방지 해 주고 중피(220)에 위치한 발열체(210)와 제어부(130) 등의 회로를 외부 충격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발열체(210)가 최대 섭씨 230도 정도까지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이를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있어야 하며, 장갑 모양으로 성형되어 손가락 관절의 구부러짐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므로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모발 성형 시 그 감각을 손바닥이나 손가락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외피(200)의 손가락 끝부분, 즉 손톱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LED 등의 표시장치를 두어 각 발열부(150)의 온도를 표시한다. 즉 LED의 빛의 세기나 색상 차이 등의 표시를 보고 사용자는 현재 발열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온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발열부(150)의 온도 정보를 제공 함과 동시에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외피(200)에 위치시키지 않고 중피(220)의 손톱 끝에 해당하는 부분에 LED 등을 장착하고 외피(200)의 해당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함으로써 LED 등 표시장치의 온도표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법도 가능하다.
외피(200)는 머리카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미끄러지지 않는 접촉 저항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반복된 사용으로 인해 마찰과 미용 약재 등에 의해 오염되고 성능이 감소되어 영구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외피(200)부분만 따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중피(220)에는 발열체(210)가 부착 및 고정되어 발열부(150)를 구성하는데, 도 3은 장갑에서의 발열부(311, 312)와 전원공급선(321, 322)의 위치를 나타낸다.
발열부(150)는 손바닥 부분과 손가락 둘레 부분 등 머리카락과 접촉하는 모든 부위가 되며, 장갑의 외피(200)와 중피(220) 사이에 위치한다. 손가락 부위와 같이 관절이 있는 부위는, 손가락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에 발열체(210)의 스트레스가 심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손가락 마디의 관절단위로 발열체(210)를 분리하여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발열체(210)는 탄성 기반 세라믹 소재,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코팅 원단(Fabric), 면상 발열체 또는 발열사를 이용한 히터(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외에도 금속으로 표면처리된 필름형태의 소재 등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을 하는 소재 중에 손가락이나 손바닥의 움직임에도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 소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열체(210)의 형태는 전술한 형태와 달리 매직기나 고데기의 발열부, 또는 빗 등의 모양으로 되어 장갑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는데 장갑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사용하므로 좀 더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이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빗 형태의 발열체(210)가 부착된 모습과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다.
발열체(210)는 손바닥과 손가락에 각각 구분되어 위치하므로 전원인가와 온도 조절도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발열체(210) 자체의 열량이 크지 않으므로 발열과 냉각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때 발열부(150)의 온도는 중피(220) 부분의 제어부(130)를 통해 설정이 가능한데, 안전을 위해 최대 섭씨 230도 이하로 제한되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제어부(130)를 통해 각 부분별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인종별, 개인별 모발의 특성과 모발의 건강상태에 따라 온도 설정을 달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열부(15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시 필요한 부분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신속하게 발열을 하고, 헤어 스타일링이 종료되거나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안전을 위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손가락 또는 손바닥 부분 중 필요한 부분만 전원 공급을 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 크기 별 혹은 손가락 개수 별로 컬의 굵기를 달리하는 등 다양한 헤어 스타일링이 가능하다.
발열부(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가정용 전원이나 차량용 전원 소켓인 시거잭(Cigar Jack)등을 사용할 수 있고, 휴대성을 위해 팔찌형태나 허리에 차는 형태의 배터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피(220)에는 발열체(210)가 부착 및 고정이 되며, 발열체(210)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에 전원선, 신호선 및 제어선 등이 위치한다. 전원선, 신호선, 제어선 등은 관절의 빈번한 움직임에 강인하게 견뎌야 하므로 전도성 섬유형태로 구성된다
중피(220)의 손등이나 손목부위에는 발열체(210)가 위치하지 않으므로 장갑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30)가 위치하고 동시에 장갑의 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부(140)가 위치한다. 예컨대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면 장갑의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아 장갑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물론 표시부(140)는 LCD, LED등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고, 사용자입력부(110)는 압전소자 등을 이용한 터치 인터페이스로 각각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또한 장갑의 동작제어를 위해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스마트폰 등의 외부 기기를 통해 장갑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30)와 표시부(140)는 필요에 따라 중피(220) 또는 외피(200)에 선택적으로 장착하거나 외부에 별도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피(220)는 그 외에도 발열체(210)와 단열재(230) 사이에 위치하여 둘을 격리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단열재(230)가 발열체(210)에 증착 되는 경우에 발열체(210)의 특성을 저하시키므로 이를 막기 위함이다.
단열재(230)는 내피(240)와 중피(220) 사이에 위치하여 발열체(210)의 온도가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막아준다. 발열부(150)가 최대 섭씨 230도까지 온도가 상승하므로, 단열재(230)는 뛰어난 단열성능을 보여주면서도 3T(3mm) 이하로 얇게 성형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손가락 구부림 등에 대응하여 유연한 소재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는 손에 직접 착용하고 모발을 스타일링하는 미용장갑의 특성상 모발의 스타일링을 위해 모발을 만지는 느낌이 손에 전달되어야 더 정확하고 세밀하게 원하는 스타일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소재로 에어로젤(Aerogels)이라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로젤은 두께가 3mm 이하로 성형이 가능하며, 또한 최고 섭씨 230도의 온도를 견디는 것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의 소재로 적합하다 할 것이다.
단열재(230)는 작은 다각형(Small Polygon)형태로 파편화되어 내피(240)와 중피(220) 사이에 위치하고, 다각형 단열재(230) 조각들은 밀착되지 않고 공기층(Air Gap)을 두고 떨어져 있어서 관절부위 등에 유연한 움직임을 허용한다. 이 공기층에는 단열재(230)의 분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내피(240)와 중피(22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공기층과 함께 열 전달 특성을 저하시킴으로써 고온의 발열체(210)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내피(240)는 피부와 직접 접촉하며 피부와 단열재 사이에 위치하여 피부와 단열재(23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해주고, 다각형 형태로 단편화된 단열재(230)가 내피(240)에 접착 혹은 부착된 형태로 고정되어 단열부를 구성한다.
내피(240)에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피부에 전달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한 온도 이상이 되거나, 미리 설정한 시간 이상 발열이 계속 되게 되면 화상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미용장갑을 이용하면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도 화상이나 모발 손상 없이 모발의 스타일링이 가능하고, 손으로 직접 모발을 스타일링 하듯 자연스러운 모발 세팅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발열 미용 장갑
110: 사용자 입력부 120: 동작 인식부
130: 제어부 140: 표시부
150: 발열부
200: 외피 210: 발열체
220: 중피 230: 단열재
240: 내피
311, 312: 발열부 321, 322: 전원공급선
400: 발열 미용 장갑 410: 발열체

Claims (11)

  1. 장갑 형상의 내피;
    상기 내피의 외측에 위치하고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하는 가요성 발열체;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에어로젤 소재로 구성된 단열재;
    상기 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발열체와 상기 단열재 사이에 배치되는 중피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파편화되어 조각 형태로 상기 내피 및 상기 중피 사이의 폐쇄된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각 형태의 단열재가 상호간에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단열부를 구성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탄성 기반 세라믹 소재 또는 탄소 나노튜브 코팅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모발 성형에 따른 형태로 구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두께가 0.01mm 이상 3mm 이하인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내피 외측의 각 손가락 부분과 손바닥 부분에 각각 구분되어 위치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손가락 관절부위를 제외한 마디 별로 분리되어 위치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체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9. 제1항 있어서, 상기 장갑은
    상기 발열체 외측에 외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모발 접촉시 마찰력이 있는 소재인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10. 제1항 있어서, 상기 장갑은
    상기 발열체 외측에 외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오염 시 별도로 교체가 가능한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은
    상기 중피에는 전원선, 신호선 또는 제어선이 위치하고 상기 전원선, 신호선 또는 제어선은 전도성 섬유형태로 구성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KR1020150154582A 2015-11-04 2015-11-04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KR101801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82A KR101801950B1 (ko) 2015-11-04 2015-11-04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82A KR101801950B1 (ko) 2015-11-04 2015-11-04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296A KR20170052296A (ko) 2017-05-12
KR101801950B1 true KR101801950B1 (ko) 2018-01-02

Family

ID=5874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582A KR101801950B1 (ko) 2015-11-04 2015-11-04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7870A2 (en) * 2018-03-21 2018-07-12 Universidad De Panamá Portable glove for hair styling
KR102140611B1 (ko) * 2018-06-05 2020-08-03 (주)광장이노텍 에어로젤 장갑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0038A (ja) * 2005-12-14 2007-06-28 Sugihara Hair Styling:Kk 手袋着脱式ヘアーアイロン
KR101521898B1 (ko) * 2013-02-28 2015-05-20 굿파이낸셜 주식회사 발열 장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0038A (ja) * 2005-12-14 2007-06-28 Sugihara Hair Styling:Kk 手袋着脱式ヘアーアイロン
KR101521898B1 (ko) * 2013-02-28 2015-05-20 굿파이낸셜 주식회사 발열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296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950B1 (ko)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WO2018155021A1 (ja) 美容機器
KR200457487Y1 (ko) 발열장갑
WO2019177459A3 (en) Wearable data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WO2018127870A2 (en) Portable glove for hair styling
KR101252148B1 (ko) 투명 전열 마스크
US20200249756A1 (en) Fingernail attachable capacitive stylus
KR20170073884A (ko) 다리미 겸용 고데기
KR102601659B1 (ko) 다기능 장갑
US10441009B1 (en) Fingertip protectors
JP3211589U (ja) ワイヤレス指輪型バーコード・リーダー
KR101752483B1 (ko) 다기능 장갑
DE202017102553U1 (de) Beheizbare Computermaus
KR101412158B1 (ko) 발열 및 유동성이 편리한 수중장갑
KR101918202B1 (ko) 손가락 발열장치를 구비한 장갑
KR102159307B1 (ko) 금속성 섬유 도선을 이용한 발열수단을 갖는 봉제장갑
KR101007179B1 (ko) 필기 안내장치
JP6652233B2 (ja) 指カバーの構造及び指先保護カバー
JP2008142104A (ja) 目元に化粧を施すための化粧用の補助具
KR101449419B1 (ko) 맞춤형 온도 제어프로그램을 이용한 냉, 온열 설정기능과 필기구 잡는 자세교정 역할 및 화면용 글자판 프로그램을 이용한 글자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CN107692365A (zh) 一种石墨烯发热服饰
KR20110004611U (ko) 저항성 탄력 소재의 모발 결합면을 구비한 헤어 스타일링 기구
KR200488230Y1 (ko) 보온 장갑
KR100977846B1 (ko) 비행 장갑
CN202095588U (zh) 适用于电容触摸屏的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