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571A -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571A
KR20120046571A KR1020100108294A KR20100108294A KR20120046571A KR 20120046571 A KR20120046571 A KR 20120046571A KR 1020100108294 A KR1020100108294 A KR 1020100108294A KR 20100108294 A KR20100108294 A KR 20100108294A KR 20120046571 A KR20120046571 A KR 20120046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gift certificate
authentication
voucher
authenticatio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932B1 (ko
Inventor
허의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0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을 설정하는 인증 번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증 번호 제공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는 경우에, 매장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 번호 및 상기 수신된 인증 번호의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인증 번호 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전화 통화를 통하여 미리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GIFT CERTIFICATE}
본 발명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전화를 통해 제공되는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품권(Gift Certificate)이란, 일정한 금액의 가치를 가지는 티켓의 일종으로서, 해당 사업자가 자사의 상품에 대한 홍보 및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품권은 일반인들 사이에서 특히 선물로 많이 이용되며, 해당 상품권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상품권을 구매한 후, 이를 타인에게 선물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품권은 발행점이 취급하는 모든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현금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품권은 대부분 지류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품권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권 내에는 홀로그램이나 복잡한 문양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복잡한 형태의 상품권을 제조하는데 있어 제조 원가가 비싸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지류 형태의 상품권은 도난 또는 분실된 경우 이를 되찾을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모바일 상품권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모바일 상품권은 주로 낮은 금액의 상품에 대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상품권을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이 정해져 있거나 사용 기간이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모바일 상품권은 전자 파일의 형식으로 생성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복제 및 도용의 위험성이 높고, 무선 통신의 보안이 유선 통신보다 미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가의 상품권에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모바일 상품권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품권의 사용 시에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인증 번호를 제공함으로써 상품권 사용을 인증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문자 메시지 전송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며, 사용자가 시간에 따라 상품권의 인증 번호를 유동적으로 갱신 또는 변경하여 관리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한편, 선행 기술로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118301호에는 “온라인 상품권 운영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동 통신 단말에 상품권에 대응하는 인증 번호와 비밀 번호를 SMS로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품 결제를 수행하는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선행 기술은, 상품권의 사용 인증 시 사용자가 인증 번호의 수신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SMS 송수신 장애가 있는 경우 상품권 결재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사용에 있어 불편함이 없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기술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인증 번호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모바일 상품권 사용의 보안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인증 번호 및 그 유효 기간을 효과적으로 갱신 또는 변경하여, 보다 안전하게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을 설정하는 인증 번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증 번호 제공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는 경우에, 매장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 번호 및 상기 수신된 인증 번호의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인증 번호 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ARS 전화 통화를 통하여 미리 제공되는 것인,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입력받는 인증 정보 입력부, 상기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상기 인증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인증 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번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ARS 전화를 통하여 미리 제공되며, 기 설정된 유효 기간 동안 유효한 것인,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매장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마커를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모바일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 및 상기 설정된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를 ARS 전화 통화를 통하여 미리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하는 경우에, 매장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권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권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ARS 전화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인증 번호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모바일 상품권 사용의 보안을 간편하게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인증 번호 및 그 유효 기간을 효과적으로 갱신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200)이 모바일 상품권을 발급받아 이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POS(Point Of Sales) 서버(3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장 POS 서버(300)가 모바일 상품권 인증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권 DB(418)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 발급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상품권이란, 모바일 단말에 저장되어 사용되는 상품권으로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으며, 다양한 이미지 또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상품권은, 다양한 종류의 마커(예를 들어, 1차원 바코드, 2차원 QR 코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권 인증 번호는 모바일 상품권이 정당하게 사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번호로서, 각각의 상품권 인증 번호마다 유효 기간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품권 인증 번호는 모바일 상품권 또는 모바일 단말 별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은 상품권 신청 단말(100), 모바일 단말(200), 매장 POS(Point Of Sales) 서버(300),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 및 네트워크(500)를 포함한다.
상품권 신청 단말(100)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고 모바일 단말(200)에게 모바일 상품권을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상품권 신청 단말(100)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다양한 형식의 UI(User Interface)를 수신하고, 수신된 UI를 통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품권 신청 단말(100)은, 예를 들어, 구매할 모바일 상품권의 종류, 상품권을 수령할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및 모바일 상품권 구매를 위한 각종 결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품권 신청 단말(100)은, 퍼스널 컴퓨터(PC), 노트북, 키오스크(kiosk),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폰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 단말을 말하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수신하고, 매장 POS 서버(300)를 통하여 수신된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한다. 모바일 단말(200)은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을 위하여, 매장 POS 서버(300)에게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예를 들어, 모바일 상품권에 관한 정보, 단말 자신의 전화 번호, 상품권 인증을 위한 인증 번호 등을 매장 POS 서버(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을 위한 인증 번호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전화를 통하여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번호에는 인증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유효 기간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 ARS 전화를 걸어 인증 번호 1234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번호 1234에 대하여 설정된 유효 기간(예를 들어, 3시간) 내에 상기 수신된 인증 번호 1234를 이용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상품권에 사용되는 인증 번호의 사용 가능 시간은 효율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ARS 전화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인증 번호를 수신하고 갱신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상품권 사용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모바일 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폰, 노트북 등과 같이 이동성을 갖는 통신 단말을 말하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이동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상품권이 유효한지 여부를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인증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도 있다.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상품권이 유효한 경우에 사용자가 구매 물품을 결제하는데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모바일 상품권을 발급하고, 발급된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한다.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상품권 신청 단말(100)로부터 상품권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품권 신청 단말(100)과 상품권 구매에 관한 결제를 수행하며, 구매된 모바일 상품권을 기 설정된 모바일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매장 POS 서버(3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매장 POS 서버(300)에게 알려줄 수 있다.
네트워크(500)는 전용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 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인트라넷, 사설 전화망, 공중 전화망,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 또는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품권 신청 단말(100)과 모바일 단말(200)을 별개의 단말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품권 신청 단말(100) 및 모바일 단말(200)은 하나의 단말로 구현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200)이 모바일 상품권을 발급받아 이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200)이 모바일 상품권을 발급받아 이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권 신청 단말(100)이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신청하고 결제를 수행하면,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200)에게 모바일 상품권을 발급한다. 또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가 ARS 전화를 통하여 인증 번호 발급 요청을 하면, 기 설정된 유효 기간 내에 사용될 수 있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매장 POS 서버(300)를 통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하는 경우에,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의 마커를 인식하고,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 및 상품권 인증 번호를 제공 받는다.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된 마커는 매장 POS 서버(300)의 후술할 마커 인식부(310)에 의해 인식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 및 상품권 인증 번호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매장 POS 서버(300)는 마커 정보, 전화 번호 및 상품권 인증 번호를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제공하고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에 대한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수신된 상품권 인증 번호가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하는 인증 번호인지 여부 및 수신된 상품권 인증 번호가 유효 기간 내에 사용되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에 대응하여, 상품권의 유효성에 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표시하여 매장 점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장에서는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에 대응되는 지류 상품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모바일 상품권 금액과 물품 구매 금액의 차액을 사용자에게 지불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모바일 상품권 발급 서버(410) 및 모바일 상품권 인증 서버(420)를 포함한다. 또한, 모바일 상품권 발급 서버(410)는 마커 생성부(412), 모바일 상품권 생성부(414), 모바일 상품권 전송부(416) 및 상품권 DB(418)를 포함하며, 모바일 상품권 인증 서버(420)는 인증 번호 생성부(422), 인증 번호 제공부(424), 인증 번호 확인부(426) 및 인증 DB(428)를 포함한다.
모바일 상품권 발급 서버(410)는 상품권 신청 단말(100)의 모바일 상품권 구매 요청에 대응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바일 상품권을 모바일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마커 생성부(412)는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되는 마커 이미지를 생성한다. 마커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마커의 이미지에는 이미지 내의 각 패턴에 대응되는 이진 데이터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상품권 생성부(414)는 마커를 포함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한다. 모바일 상품권 생성부(414)는 상품권 신청 단말(100)로부터 상품권 금액,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200) 별로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상품권 생성부(414)는, 예를 들어,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형식으로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품권 금액 및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이진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진 값에 대응되는 마커 이미지를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시킬 수 있다.
모바일 상품권 전송부(416)는 모바일 상품권을 모바일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모바일 상품권 전송부(416)는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품권 DB(418)는 모바일 상품권 발급 서버(410)에서 생성되는 마커 및 모바일 상품권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상품권 DB(418)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 발급 테이블에 대하여는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모바일 상품권 인증 서버(420)는 모바일 단말(200)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200)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되는 경우에 이를 인증한다.
인증 번호 생성부(422)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생성한다. 인증 번호 생성부(422)는 ARS 전화를 통하여 접속된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상품권 인증 번호 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유효 기간(예를 들어, 3시간)을 갖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번호 생성부(422)는 ARS 전화 통화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에게 모바일 상품권 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모바일 상품권 번호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번호 생성부(422)는 모바일 상품권 또는 모바일 단말(200) 별로 상품권 인증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하여 생성된 인증 번호는 해당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에만 사용될 수 있으나, 모바일 단말(200)에 대응하여 생성된 인증 번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200)에 저장된 모든 모바일 상품권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증 번호 생성부(422)는 유효 기간이 만료된 상품권 인증 번호를 폐기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200)로부터의 상품권 인증 번호 발급 요청에 대응하여 기존의 상품권 인증 번호를 갱신할 수도 있다.
인증 번호 제공부(424)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인증 번호 제공부(424)는 모바일 단말(200)에게 생성된 상품권 인증 번호 및 그 유효 기간을 음성으로 제공하거나, SMS 또는 MMS 메시지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증 번호 확인부(426)는 모바일 단말(200)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인증 번호 확인부(426)는 모바일 단말(200)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되는 경우에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 이미지, 모바일 상품권 번호,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 및 상품권 인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매장 POS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정보의 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번호 확인부(426)는, 수신된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 이미지, 모바일 상품권 번호 또는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인증 DB(428)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인증 번호를 수신된 상품권 인증 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나아가, 인증 번호 확인부(426)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유효 기간 내에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번호 확인부(426)는 매장 POS 서버(300)에서 모바일 상품권이 유효하게 사용된 경우에, 매장 POS 서버(3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사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된 모바일 상품권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사용된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 완료로 처리하여 인증 DB(428)에 기록함으로써, 모바일 상품권이 중복하여 사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인증 DB(428)는 모바일 상품권 인증 서버(420)에서 생성되는 상품권 인증 번호 및 유효 기간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인증 DB(428)에 저장된 인증 정보 테이블에 대하여는 도 7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을 인증하는데 이용되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ARS를 통하여 간편하게 생성하고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생성된 상품권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을 제한함으로써 모바일 상품권의 도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자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상품권을 사용하기 전에 미리 제공받을 수 있으며, 미리 제공받은 상품권 인증 번호를 그 유효 기간 내에 안전하게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POS 서버(3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POS 서버(3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POS 서버(300)는 마커 인식부(310), 인증 정보 입력부(320), 인증 확인부(330), 제어부(340) 및 송수신부(350)를 포함한다.
마커 인식부(310)는 모바일 단말(200)에 표시되는 모바일 상품권의 마커를 인식한다. 마커 인식부(310)는 모바일 단말(200)에 표시되는 마커를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거나, 다양한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스캐닝할 수 있다. 또한, 마커 이미지에는 모바일 상품권의 번호, 상품권 금액, 상품권 사용 가능 매장 등에 관한 이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인증 정보 입력부(320)는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한다. 인증 정보 입력부(320)는 별도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매장 직원 또는 모바일 단말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 상품권 인증 번호를 포함한다.
인증 확인부(330)는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인증 확인부(330)는 마커 이미지,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 상품권 인증 번호를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증 확인부(330)는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표시하여, 매장 점원이 이를 확인하고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에 대응되는 지류 상품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모바일 상품권 금액과 물품 구매 금액의 차액을 사용자에게 지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장 POS 서버(300)에서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된 경우에, 인증 확인부(330)는 모바일 상품권 사용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제공하여, 사용된 모바일 상품권이 중복하여 사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매장 POS 서버(300)가 모바일 단말(200)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를 인식하고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커 인식부(310), 인증 정보 입력부(320), 인증 확인부(330) 및 후술할 송수신부(350)를 제어한다.
송수신부(350)는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와 송수신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장 POS 서버(300)가 모바일 상품권 인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장 POS 서버(300)가 모바일 상품권 인증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기 위하여,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마커 이미지,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를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상기 제공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인증 번호 및 인증 번호 유효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에, 매장 POS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 번호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며, 인증 번호가 입력된 시간을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인증 번호 유효 기간과 비교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권 DB(418)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 발급 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권 DB(418)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 발급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발급 테이블은 상품권 번호 필드(60), 마커 이미지 필드(62) 및 단말 전화 번호 필드(64)를 포함한다. 상품권 번호 필드(60)에는 발급된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권 번호가 기록되며, 마커 이미지 필드(62)에는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된 마커 이미지의 파일명이 기록된다. 또한, 단말 전화 번호 필드(64)에는 모바일 상품권이 전송될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가 기록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0)에게 특정 마커 이미지가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이 발급되는 경우, 모바일 상품권 번호, 마커 이미지 및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가 매칭되어 DB에 함께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DB(428)에 저장된 인증 정보 테이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상품권 번호 필드(70), 마커 이미지 필드(72), 단말 전화 번호 필드(74), 인증 번호 필드(76), 유효 기간 필드(78)및 사용 여부 필드(80)를 포함한다. 모바일 상품권 번호 필드(70)에는 인증 번호가 발급된 모바일 상품권의 번호가 기록되고, 마커 이미지 필드(72)에는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된 마커 이미지의 파일명이 기록되며, 단말 전화 번호 필드(74)에는 모바일 상품권이 발급된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가 기록된다. 또한, 인증 번호 필드(76)에는 상품권 인증 번호가 기록되며, 유효 기간 필드(78)에는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이 기록된다. 또한, 사용 여부 필드(80)에는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기록된다.
따라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매장 POS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상품권 번호 또는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인증 DB(428)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인증 번호를 수신된 상품권 인증 번호와 비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품권 인증 번호를 유효 기간 내에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매장 POS 서버(300)에서 모바일 상품권이 유효하게 사용된 경우에, 매장 POS 서버(3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사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된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 완료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운영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800은 상품권 신청 단말(100)이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모바일 상품권을 신청하는 단계이다. 단계 S800에서 상품권 신청 단말(100)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고 모바일 단말(200)에게 모바일 상품권을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품권 신청 단말(100)은, 예를 들어, 구매할 모바일 상품권의 종류, 상품권 금액, 상품권을 수령할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및 모바일 상품권 구매를 위한 각종 결제 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802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가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단계 S802에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커 이미지를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품권 신청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200) 별로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예를 들어, MMS 메시지 형식으로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804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가 모바일 상품권을 모바일 단말(200)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단계 S804에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메시지 전송 방식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06은 모바일 단말(200)이 ARS 전화 통화를 이용하여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인증 번호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단계 S806에서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로 ARS 전화를 걸고, 특정 모바일 상품권 또는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인증 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808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가 상품권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단계 S808에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특정 모바일 상품권에 매칭하여 생성하거나, 또는 특정 모바일 단말(200)에 매칭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상품권에 매칭된 상품권 인증 번호는 해당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에만 사용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200)에 매칭된 상품권 인증 번호는 해당 모바일 단말(200)에 저장된 모든 모바일 상품권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단계 S810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가 상품권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단계 S810에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ARS 전화를 통한 모바일 단말(200)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품권 인증 번호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812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가 상품권 인증 번호 및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단계 S812에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200)에게 생성된 상품권 인증 번호 및 그 유효 기간을 음성으로 제공하거나, SMS 또는 MMS 메시지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는 설정된 유효 기간 내에만 상품권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품권 인증 번호를 보다 편리하게 발급할 수 있으며, 인증 번호의 보안성을 보다 강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나아가,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는 언제든지 ARS 전화를 통하여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품권 인증 번호를 갱신할 수 있으며, 유효 기간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814는 매장 POS 서버(300)가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단계 S814에서,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에 표시되는 마커를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거나, 다양한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스캐닝할 수 있다. 마커 이미지에는 모바일 상품권의 번호, 상품권 금액, 상품권 사용 가능 매장 등에 관한 이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816은 매장 POS 서버(300)가 상품권 인증 번호 및 단말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단계 S816에서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며, 별도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매장 직원 또는 모바일 단말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818은 매장 POS 서버(300)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단계 S818에서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마커 이미지, 모바일 단말 전화 번호 및 상품권 인증 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820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서 상품권 인증 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단계 S820에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수신된 마커 이미지에서 모바일 상품권 번호를 해석하고, 모바일 상품권 번호 또는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상품권 인증 번호를 인증 DB(428)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인증 번호를 수신된 상품권 인증 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단계 S822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가 상품권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단계 S822에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매장 POS 서버(300)로부터 상품권 인증 번호를 유효 기간 내에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24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가 상품권 인증에 대한 정보를 매장 POS 서버(300)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며, 단계 S826은 매장 POS 서버(300)에서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되는 단계이다. 단계 S826에서 매장 POS 서버(300)는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표시하여, 매장 점원이 이를 확인하고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에 대응되는 지류 상품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모바일 상품권 금액과 물품 구매 금액의 차액을 사용자에게 지불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828은 매장 POS 서버(300)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모바일 상품권 사용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이다. 단계 S828에서 매장 POS 서버(300)는 사용 완료(예를 들어, 지류 상품권 발급 또는 상품 대금 결제)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830은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가 사용된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 완료 처리하는 단계이다. 단계 S830에서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400)는 사용된 모바일 상품권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거나 사용된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 완료로 처리하여 인증 DB(428)에 기록함으로써, 모바일 상품권이 중복하여 사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상품권 신청 단말 200: 모바일 단말
300: 매장 POS 서버 310: 마커 인식부
320: 인증 정보 입력부 330: 인증 확인부
400: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 410: 모바일 상품권 발급 서버
412: 마커 생성부 414: 모바일 상품권 생성부
416: 모바일 상품권 전송부 418: 상품권 DB
420: 모바일 상품권 인증 서버 422: 인증 번호 생성부
424: 인증 번호 제공부 426: 인증 번호 확인부
428: 인증 DB 500: 네트워크

Claims (16)

  1.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인증 번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증 번호 제공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인증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인증 번호 확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통하여 발급되는 것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인증번호는 사용 가능한 유효 기간이 설정되며,
    상기 인증번호 확인부는 상기 인증 번호가 ARS를 통해 발급된 이후 상기 유효 기간 내에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것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번호 확인부는 상기 매장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 이미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또는 상기 인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인증 번호를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번호 생성부는, ARS 전화 통화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모바일 상품권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모바일 상품권 번호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것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
  5. 제 2 항에 있어서,
    인증 번호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화 번호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상품권들의 인증에 이용되는 것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
  6. 제 2 항에 있어서,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되는 마커를 생성하는 마커 생성부,
    상기 생성된 마커를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에 대응되는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하는 모바일 상품권 생성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게 상기 생성된 모바일 상품권을 전송하는 모바일 상품권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모바일 상품권 운영 서버.
  8.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매장 서버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입력받는 인증 정보 입력부,
    상기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상기 인증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인증 확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번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통하여 미리 발급되며, 발급된 후 기 설정된 유효 기간 동안 유효한 것인, 매장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확인부는 상기 기 설정된 유효 기간 내에 상기 인증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유효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인, 매장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확인부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또는 상기 인증 번호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모바일 상품권 인증 서버에게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 받는 것인, 매장 서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확인부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 내의 마커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인증 서버에게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마커에 대응되는 인증 관련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인증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인, 매장 서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관련 정보는, 상기 마커에 대응되는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인증 번호 및 인증 번호 유효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매장 서버.
  13.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을 인증하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방법에 있어서,
    마커를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 번호의 유효 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 및 상기 설정된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를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전화 통화를 통하여 미리 제공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하는 경우에, 매장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권의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권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권 운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권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전화 번호,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마커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번호를 수신하는 것인, 모바일 상품권 운영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인증 번호를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와 비교하고, 상기 설정된 유효 기간 내에 상기 입력된 인증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인, 모바일 상품권 운영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는 복수의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되는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것인, 모바일 상품권 운영 방법.
KR1020100108294A 2010-11-02 2010-11-02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26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294A KR101268932B1 (ko) 2010-11-02 2010-11-02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294A KR101268932B1 (ko) 2010-11-02 2010-11-02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571A true KR20120046571A (ko) 2012-05-10
KR101268932B1 KR101268932B1 (ko) 2013-06-13

Family

ID=4626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294A KR101268932B1 (ko) 2010-11-02 2010-11-02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9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430B1 (ko) * 2012-05-22 2013-01-09 주식회사 스마트코어 컬러 패턴 이미지 생성과 인증 시스템 및 서버
WO2014017762A1 (ko) * 2012-07-24 2014-0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원버튼을 이용한 이종바코드 통합 인증/승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7280A (ko) * 2016-07-27 2019-04-05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2차원 코드 식별 방법 및 디바이스, 및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14B1 (ko) 2018-07-11 2020-03-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9585A (ko) 2018-07-19 2020-01-30 (주)유에스에스코리아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586A (ko) 2018-07-19 2020-01-30 (주)유에스에스코리아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2797A (ko) 2018-11-07 2020-05-15 이태완 O2o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00078432A (ko) 2020-06-10 2020-07-01 이태완 O2o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10049772A (ko) 2021-04-30 2021-05-06 이태완 O2o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676B1 (ko) * 2000-10-24 2005-07-25 윤성걸 전화정보서비스를 이용한 다기능 매체 온라인 인증 장치및 방법
KR20060099997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쿠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38686B1 (ko) * 2005-08-03 2007-07-11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쿠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01829A (ko) * 2008-09-26 2008-11-21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상품권 정보 처리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430B1 (ko) * 2012-05-22 2013-01-09 주식회사 스마트코어 컬러 패턴 이미지 생성과 인증 시스템 및 서버
WO2014017762A1 (ko) * 2012-07-24 2014-0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원버튼을 이용한 이종바코드 통합 인증/승인 시스템 및 방법
US9299074B2 (en) 2012-07-24 2016-03-29 Sk Planet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authentication and approval using one button different barcode
KR20190037280A (ko) * 2016-07-27 2019-04-05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2차원 코드 식별 방법 및 디바이스, 및 이동 단말기
US11393017B2 (en) 2016-07-27 2022-07-19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Two-dimensional code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932B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932B1 (ko)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4525556B2 (ja) 決済システム、取引管理サーバ及びそれらに用いる決済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CA3096307C (en) Secure payment system
US10621576B1 (en) Mobile payments using payment tokens
US20160232527A1 (en) Token processing utilizing multiple authorizations
WO2015116376A1 (en) Tokenizing authorizations
JP2015516631A (ja) 安全なモバイル支払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0706143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traditional payment
JP2014513825A5 (ko)
AU2012289938A1 (en) Account access at point of sale
US201400953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 Store Shopping With Instant Cash
JP2014513825A (ja) 安全な2者照合取引システム
US10713679B1 (en) Offline payment processing
CA2946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site or remote dispensing of credit instruments
US85388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using a revolving use account associated with a primary account
EP2698755A1 (en) Mobile Payment System
KR20120071694A (ko) 대금 지불용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11887094B2 (en) Authentication server, user terminal, settlement system, settl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60098712A1 (en) Online transaction verification system
KR20080079714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의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2869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an electronic transaction
KR101623972B1 (ko) 가맹점의 고유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AU2013334480A1 (en) Mobile payments
KR20150020485A (ko)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KR20160026439A (ko) 보안 인증 모듈 등록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