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586A -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586A
KR20200009586A KR1020180084140A KR20180084140A KR20200009586A KR 20200009586 A KR20200009586 A KR 20200009586A KR 1020180084140 A KR1020180084140 A KR 1020180084140A KR 20180084140 A KR20180084140 A KR 20180084140A KR 20200009586 A KR20200009586 A KR 2020000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voucher
information
gift certificate
mobile vou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주)유에스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에스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유에스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8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586A/ko
Publication of KR2020000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상품권을 자신의 사용자 단말부로 받은 사용자가 전통시장, 상품 판매 매장, 택시, 대리운전, 배달 등의 오프라인 상품 시장 및 서비스 시장에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Offline payment system using mobile vouch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상품권을 자신의 사용자 단말부로 받은 사용자가 전통시장, 상품 판매 매장, 택시, 대리운전, 배달 등의 오프라인 상품 시장 및 서비스 시장에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권(Gift Certificate, Voucher)이란 일정한 금액의 가치를 가지는 티켓(Ticket)의 일종으로, 해당 사업자가 자사의 상품에 대한 홍보 및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품권은 특히 일반인들 사이에서 선물로 많이 이용되며, 해당 상품권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상품권을 구매한 후, 이를 타인에게 선물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품권은 발행점이 취급하는 모든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현금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품권은 대부분 지류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품권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권 내에서는 홀로그램이나 복잡한 문양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복잡한 형태의 상품권을 제조하는데 있어 제조 원가가 비싸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지류 형태의 상품권은 도난 또는 분실된 경우 이를 되찾을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등으로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상품권인 모바일 상품권들이 제안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지류상품권은 금액형 상품권과 교환형 상품권이 있다. 금액형은 만원권, 이만원권, 삼만원권 등으로 그 금액 내에서 상품권 발행업체가 제공하는 임의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상품권이고, 교환형 상품권은 상품권에 특정 상품권이 지정되어 있으며, 상품권과 지정된 상품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권이다.
이에 반해 모바일 상품권은 교환형 상품권만 제공되고 있어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부 모바일 상품권은 지정된 상품의 가격에 대응하는 다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그렇다 하더라도 활용성은 떨어지는 편이다.
또한, 금액형 상품권의 경우 상품권의 금액보다 가격이 낮은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일정 금액 이상이 남는 경우 현금으로 돌려주도록 되어 있으나, 상품권 사용자가 손해를 보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상품권 공급자 또한 현금으로 돌려주므로 자신의 상품 구매를 더 이상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상품권을 받은 사용자가 상기 상품을 제공하는 매장을 직접 방문한 후, 모바일 상품권을 제시하고, 매장 직원의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Point of Sale: POS)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을 받아서 가져와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구매는 사용자가 직접 매장을 방문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을 수령해 와야 하는 교환방식으로, 특정 물건 상품에 대해서만 그 사용이 가능하고, 택시 이용, 배달 시 결제, 대리운전 이용 등과 같은 서비스 상품에는 적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모바일 상품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액이 다른 상품의 구매에 제한적이며, 금액이 다른 상품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잔액에 대해 현금으로 돌려주므로 모바일 상품권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더 이상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한 업체의 제품 구매를 더 이상 유도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68932호(2013.06.13.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상품권을 자신의 사용자 단말부로 받은 사용자가 전통시장, 상품 판매 매장, 택시, 대리운전, 배달 등의 오프라인 상품 시장 및 서비스 시장에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은: 임의의 상품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 모바일 상품권을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선택 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부;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 수단으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선택받고, 선택된 모바일 상품권 결제 수단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의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송신하여 결제를 요청하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결과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판매자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발생 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결제 처리 후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의해 결제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판매자에 대해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부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상품권 획득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획득하는 상품정보 획득부;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제를 하고자하는 모바일 상품권 결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결제 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 상기 상품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상품정보로부터 상품 가격을 획득하는 상품 가격 획득부; 상기 상품권 획득부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하는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는 검증요청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인증을 수행하는 모바일 상품권 검증부; 및 상기 검증 성공 시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결제처리 및 판매자 정산 처리 완료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정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권 획득부는, 모바일 상품권의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분석하여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품정보 획득부는 모바일 상품권의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 및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품 가격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품 가격 획득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분석하여 상품권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산 처리부는, 상기 검증 성공 시 모바일 상품권이 상품 교환형인지 금액형인지를 판단하고, 상품 교환형이면 상품 정보의 상품 가격과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이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이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을 초과하는지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을 수행하며,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경우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 및 판매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등록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권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상품권 DB, 판매자에 대한 정산 정보를 저장하는 정산 DB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 및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등록받아 저장하는 상품권 등록부를 포함하는 등록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발생 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결제 처리 후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는 모바일 상품권 판매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검증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품권 DB를 참조하여 검증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를 검증하고, 그 검증결과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검증 처리부;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의해 결제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판매자에 대해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정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정산 처리부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결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상품권이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을 감산한 잔액이 남는지를 판단하고, 잔액이 남으면 잔액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하여 상품권 DB에 등록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방법은: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로부터 임의의 상품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받아 상품권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모바일 상품권 등록 과정;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발생 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결제 처리 후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는 모바일 상품권 판매 과정; 판매자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 수단으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선택받고,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송신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과정;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의해 결제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판매자에 대해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정산 처리과정;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결과를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표시하는 결제완료 통지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요청 과정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결제 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제를 하고자하는 모바일 상품권 결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결제 요청 이벤트 모니터링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상품 가격 획득부를 통해 상품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되는 상품정보에서 상품 가격을 획득하는 상품 가격 획득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를 통해 상품권 획득부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하는 모바일 상품권 획득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모바일 상품권 검증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는 검증요청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인증을 수행하는 모바일 상품권 검증 단계; 및 상기 검증 성공 시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정산 처리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결제처리 및 판매자 정산 처리 완료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정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산 처리 단계는, 상기 검증 성공 시 모바일 상품권이 상품 교환형인지 금액형인지를 판단하는 상품권 종류 판단 단계; 상품 교환형이면 상품 정보의 상품 가격과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이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이 상품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을 초과하는지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을 판단하는 상품권 적합성 검증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경우 결제 처리 및 판매자에 대한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판매자 정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산처리 과정은,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검증 처리부를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검증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품권 DB를 참조하여 검증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를 검증하고, 그 검증결과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검증 처리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서버 정산 처리부를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의해 결제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판매자에 대해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정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정산 처리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결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상품권이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을 감산한 잔액이 남는지를 판단하는 잔액 판단 단계; 및 잔액이 남으면 잔액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하여 상품권 DB에 등록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모바일 상품권 재발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여 오프라인에서 단순한 교환이 아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 상품뿐만 아니라 택시, 대리운전 등과 같은 서비스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를 모바일 상품권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품 배달 시 배달원을 통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통시장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하고, 전통시장의 다양한 상인들이 판매하는 상품들에 대한 결제를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의 판매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의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택시에 이용하는 경우의 결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부(100),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 판매자 단말기(300) 및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부(100),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 판매자 단말기(300) 및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에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은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이다.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는 다수의 상품을 다수 지역의 매장, 전통시장을 통해 판매하는 상품 판매사에 구성되는 장치 또는 서비스 상품을 판매하는 택시업체, 택시조합, 대리운전 업체 등의 장치로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상품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하고, 발생된 모바일 상품권을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에 등록한다.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는 해당 모바일 상품권의 발행을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에 요청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가 요청에 따라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부(10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 단말기 등의 단말기로,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구매하여 선물한 모바일 상품권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에 모바일 상품권을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부(100)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에 접속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상품을 구매하고, 상기 상품의 구매 요청 후 발생되는 결제수단 선택에서 모바일 상품권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부(100)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카메라로 촬영하여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부(100)는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에서 제공되는 상품 선택 수단 및 선택한 상품에 대한 구매 및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수단으로 모바일 상품권을 선택하고, 자신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주문자 정보(회원인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으므로 로그인 시 자동 입력될 수도 있음)를 입력받고, 주문자 정보, 결제수단 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로 제공하여 구매 및 배달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판매자 단말기(300)는 발행된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단말기로, 택시기사 단말기, 대리운전기사 단말기, 전통시장 상인 단말기, 매장 단말기 및 상품 배달원 단말기 등이 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전용의 결제 단말기일 수도 있을 것이다.
판매자 단말기(300)는 상품(물건, 서비스 등)을 판매하고, 결제수단이 모바일 상품권이면 사용자 단말부(1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획득하고,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를 통한 모바일 상품권의 검증 후, 검증에 성공하면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그 결제에 따른 결과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한다.
판매자 단말기(300)의 상세 구성 및 설명은 다음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모바일 상품권의 등록, 판매, 판매된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 판매에 대한 결제처리, 판매자에 대한 정산 처리 등을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처리 동작을 제어한다.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의 판매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 단말기(300)는 단말 저장부(310), 디스플레이부(320), 단말 통신부(330), 정보 획득부(340) 및 단말 제어부(35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부(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말 저장부(310)는 판매자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300)가 다수의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의 POS 단말기인 경우,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실시예에 따라 상품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의 장치가 될 수 있으며, 단말 제어부(350)의 제어를 받아 판매자 단말기(300)의 동작상태 정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아이콘, 그래픽 및 영상(정지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시한다.
단말 통신부(330)는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접속한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 통신부(330)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정보 획득부(34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부(100)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하는 상품권 획득부 및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획득하는 상품정보 획득부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정보 획득부(340)는 사용자 단말부(100)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에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바코드 및 QR코드를 촬영한 이미지를 단말 제어부(350)로 출력하는 카메라(341)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포함되는 모바일 상품권 정보의 하나인 모바일 상품권 식별정보를 판매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34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상품권 식별정보는 숫자, 또는 숫자 및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정보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부(360)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품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획득하여 단말 제어부(350)로 출력한다.
상기 외부기기는 판매자 단말기(300)가 택시운전기사의 단말기인 경우 택시 미터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360)는 택시 미터기와 연결되어 미터기에서 계수되는 택시 요금을 상품정보로서 입력받아 단말 제어부(350)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부(360) 또한 상품정보 획득부로서 상기 정보 획득부(340)에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제어부(350)는 결제 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351), 상품 가격 획득부(352),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353), 모바일 상품권 검증부(354) 및 정산 처리부(355)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310)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판매자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제 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351)는 정보 획득부(340) 등을 통해 결제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결제 요청 이벤트는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품 가격 획득부(352)는 상기 결제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면 카메라(341), 입력부(342) 및 인터페이스부(36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품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상품정보는 판매자가 택시기사인 경우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해 택시 미터기로부터 획득되는 택시 요금이 될 수 있고, 상기 판매자가 대리운전기사인 경우 입력부(342)를 통해 획득되는 대리운전 요금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판매자가 배달원인 경우 입력부(342)를 통해 입력되거나 단말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가격, 또는 상품가격 및 배달 요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353)는 정보 획득부(340)를 통해 사용자 단말부(100)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으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한다.
모바일 상품권 검증부(354)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353)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의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되지 않은 것인지, 사용되되 잔액이 남아 있는 모바일 상품권인지 등을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는 검증요청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그에 대응하는 검증 결과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하여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정산 처리부(355)는 상기 검증 성공 시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결제처리 및 판매자 정산 처리 완료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한다.
상기 정산 처리부(355)는 상기 검증 성공 시 모바일 상품권이 상품 교환형인지 금액형인지를 판단하고, 상품 교환형이면 상품 정보의 상품 가격과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이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이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을 초과하는지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을 수행한 후,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경우 정산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의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서버 저장부(410), 서버 통신부(420) 및 서버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서버 저장부(410)는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가 등록하거나 생성 요청하여 생성된 모바일 상품권들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각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 정보, 일부 사용 여부 정보, 사용 금액 정보, 잔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품권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권 DB(411),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제처리를 할 수 있는 판매자에 대한 판매자 정보, 판매자의 업종 정보 및 판매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자 DB(412) 및 모바일 상품권으로 정산한 정산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정산 DB(413)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권 관리 정보는 상기 상품권이 판매된(수령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부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아이디(ID)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정산 내역 정보는 판매자 정보,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 구매자인 사용자 정보(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100)의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보, 이용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 통신부(42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접속한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서버 통신부(420)는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 사용자 단말부(100) 및 판매자 단말기(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 제어부(430)는 등록부(440), 모바일 상품권 판매부(450), 검증 처리부(460), 판매자 검증부(470) 및 서버 정산 처리부(48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등록부(440)는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에서 발행하거나 발행 요청하여 생성된 모바일 상품권들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정보, 판매 여부, 모바일 상품권 사용 여부 정보, 일부 사용 여부 정보, 사용 금액, 잔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품권 관리정보를 상품권 DB(411)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상품권 등록부(441) 및 모바일 상품권을 결제 수단으로 제공하는 판매자의 판매자 정보 및 판매자 단말기 정보를 판매자 DB(412)에 저장하여 판매자를 등록하는 판매자 등록부(442)를 포함한다.
모바일 상품권 등록 시 상기 상품권 관리 정보의 모바일 상품권 사용 여부 정보 및 일부 사용 여부는 '미사용'으로 정의되고, 사용 금액은 '0'이며, 잔액 정보는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 금액 또는 금액과 동일하게 정의되어 저장될 것이다.
모바일 상품권 판매부(450)는 서버 통신부(42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100)에게 모바일 상품권 구매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구매수단에 상기 상품권 DB(410)에 등록된 모바일 상품권들 중 판매되지 않은 모바일 상품권을 표시하고 모바일 상품권을 받을 사용자 단말부(100)의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보를 입력한 후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요청 시 일반적인 결제수단에 의한 결제처리 후 구매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부(100)로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한다.
검증 처리부(460)는 판매자 단말기(300)로 검증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품권 DB(411)를 참조하여 검증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를 검증하고, 그 검증결과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서버 정산 처리부(480)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의해 결제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판매자에 대해 정산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서버 정산 처리부(480)는 잔액이 남는 경우 상품권 DB(411)의 해당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사용 여부 정보 및 일부 사용 여부 정보를 '사용'으로 설정하고, 사용 금액을 기록하며, 잔액 정보에 잔액을 기록한 후 사용자에게 해당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잔액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서버 정산 처리부(480)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기(3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결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상품권이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을 감산한 잔액이 남는지를 판단하고, 잔액이 남으면 잔액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재생성하여 상품권 DB에 등록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상품권을 택시에 이용하는 경우의 오프라인 결제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에서 판매자만 특정되었을 뿐, 도 4 및 도 5의 모든 단계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등록 요청 또는 모바일 상품권 생성 요청을 받아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상품권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품권 DB(411)에 저장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등록한다(S111).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임의의 사용자가 접속하여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200)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를 요청하면, 일반적인 구매 처리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한 후, 입력된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부(100)로 모바일 상품권을 전송한다(S113).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수신받은 사용자 단말부(100)가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부(100)일 수도 있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선물받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부(100)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부(100)의 전화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보는 이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아이디(ID),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아이디(ID)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자 단말부(100)로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보를 해당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상품권 관리정보에 맵핑하여 저장한다(S115).
판매자 단말기(300)가 택시기사 단말기인 경우, 택시기사 단말기(300)는 모바일 상품권 결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7). 상기 모바일 상품권 결제 이벤트는 입력부(342)의 모바일 상품권 결제 메뉴 또는 버튼 등의 터치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한 택시 미터기로부터 요금 정산 신호의 입력 시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바일 상품권 결제 이벤트가 발생되면 택시기사 단말기(300)는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한다(S119).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의 입력 요청 후 택시기사 단말기(300)는 모바일 상품권 정보가 획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121), 사용자 단말부(100)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가 카메라(341) 및 입력부(34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획득되면(S123), 상품정보인 택시 요금 정보를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해 택시 미터기(미도시)로부터 획득한다(S125).
상품정보인 택시 요금 정보가 획득되면 택시가 단말기(300)는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을 수행하고(S127), 적합성 검증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129).
상기 적합성 검증은 상기 검증 성공 시 모바일 상품권이 상품 교환형인지 금액형인지를 판단하고, 상품 교환형이면 상품 정보의 상품 가격과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이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이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검증 실패 시 택시기사 단말기(300)는 상품권 적합성 검증 실패를 경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S131), 경보가 발생했을 지라도 검증 성공 시와 동일하게 이후의 모바일 상품권 결제를 수행한 후, 상품 가격에 대한 부족 금액을 사용자로부터 다른 결제 수단을 제공받아 결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검증 성공 시 택시기사 단말기(300)는 모바일 상품권 정보, 판매자 정보 및 판매자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증요청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S133).
검증요청정보를 수신받은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판매자 정보 및 판매자 단말기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판매자 검증을 수행하고(S139), 판매자 검증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택시기사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39, S141). 상기 판매자 검증은 상기 판매자가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제를 받을 수 있는 정당한 판매자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판매자 검증에 성공하면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상품권 DB(411)를 참조하여 상기 검증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의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되지 않거나 일부만 사용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모바일 상품권 검증을 수행하고(S143), 모바일 상품권 검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며(S145), 상품권 검증 성공 여부에 따른 검증 결과를 택시기사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47, S149).
판매자 단말기(300)는 모바일 상품권 검증 결과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상품권 검증 결과 정보가 실패이면 모바일 상품권 검증에 실패했음을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하고, 성공이면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S150).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품 구매에 대한 정산 처리를 수행한(S151) 후, 판매자 단말기(300)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대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부 식별정보의 사용자 단말부(100)로 상품 정산 처리 완료를 통지한다(S153).
상기 상품 구매에 따른 정산 처리가 완료되면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400)는 판매자에 대한정산 처리를 수행한(S155) 후, 판매자 정신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판매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57).
상기 판매자에 대한 정산 처리는 상기 상품 가격에 대응하는 금액을 미리 설정된 판매자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등의 처리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유무선 데이터통신망 100: 사용자 단말부
200: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 300: 판매자 단말기
310: 단말 저장부 320: 디스플레이부
330: 단말 통신부 340: 정보 획득부
341: 카메라 342: 입력부
350: 단말 제어부 351: 결제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
352: 상품 가격 획득부 353: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
354: 모바일 상품권 검증부 355: 정산 처리부
360: 인터페이스부 400: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
410: 서버 저장부 411: 상품권 DB
412: 판매자 DB 413: 정산 DB
420: 서버 통신부 430: 서버 제어부
440: 등록부 441: 상품권 등록부
442: 판매자 등록부 450: 모바일 상품권 판매부
460: 검증 처리부 470: 판매자 검증부
480: 서버 정산 처리부

Claims (13)

  1. 임의의 상품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
    모바일 상품권을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선택 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부;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 수단으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선택받고, 선택된 모바일 상품권 결제 수단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의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송신하여 결제를 요청하며,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결과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판매자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발생 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결제 처리 후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의해 결제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판매자에 대해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부에 표시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상품권 획득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획득하는 상품정보 획득부;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기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 요청에 대한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수신받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제를 하고자하는 모바일 상품권 결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결제 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
    상기 상품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상품정보로부터 상품 가격을 획득하는 상품 가격 획득부;
    상기 상품권 획득부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하는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는 검증요청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인증을 수행하는 모바일 상품권 검증부; 및
    상기 검증 성공 시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결제처리 및 판매자 정산 처리 완료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정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권 획득부는,
    모바일 상품권의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분석하여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품정보 획득부는
    모바일 상품권의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 및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품 가격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품 가격 획득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분석하여 상품권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 처리부는,
    상기 검증 성공 시 모바일 상품권이 상품 교환형인지 금액형인지를 판단하고,
    상품 교환형이면 상품 정보의 상품 가격과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이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이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을 초과하는지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을 수행하며,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경우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 및 판매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등록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권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상품권 DB, 판매자에 대한 정산 정보를 저장하는 정산 DB를 포함하는 서버 저장부; 및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등록받아 저장하는 상품권 등록부를 포함하는 등록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발생 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결제 처리 후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는 모바일 상품권 판매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검증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품권 DB를 참조하여 검증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를 검증하고, 그 검증결과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검증 처리부;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의해 결제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판매자에 대해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정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정산 처리부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결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상품권이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을 감산한 잔액이 남는지를 판단하고, 잔액이 남으면 잔액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하여 상품권 DB에 등록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9.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상품권 제공부로부터 임의의 상품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받아 상품권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모바일 상품권 등록 과정;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발생 시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결제 처리 후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자 단말부로 제공하는 모바일 상품권 판매 과정;
    판매자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상품권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 수단으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선택받고,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송신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과정;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의해 결제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판매자에 대해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정산 처리과정;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 결과를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표시하는 결제완료 통지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 과정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결제 요청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제를 하고자하는 모바일 상품권 결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결제 요청 이벤트 모니터링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상품 가격 획득부를 통해 상품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되는 상품정보에서 상품 가격을 획득하는 상품 가격 획득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모바일 상품권 획득부를 통해 상품권 획득부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획득하는 모바일 상품권 획득 단계;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모바일 상품권 검증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는 검증요청정보를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를 수신받아 인증을 수행하는 모바일 상품권 검증 단계; 및
    상기 검증 성공 시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정산 처리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그에 따른 결제처리 및 판매자 정산 처리 완료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정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 처리 단계는,
    상기 검증 성공 시 모바일 상품권이 상품 교환형인지 금액형인지를 판단하는 상품권 종류 판단 단계;
    상품 교환형이면 상품 정보의 상품 가격과 모바일 상품권의 상품이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이 상품 모바일 상품권의 금액을 초과하는지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을 판단하는 상품권 적합성 검증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경우 결제 처리 및 판매자에 대한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판매자 정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처리 과정은,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검증 처리부를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검증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품권 DB를 참조하여 검증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를 검증하고, 그 검증결과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검증 처리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판매 관리 서버가 서버 정산 처리부를 통해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결제요청정보의 수신 시 상기 결제요청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정보에 의해 결제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판매자에 대해 정산처리를 수행하는 서버 정산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정산 처리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상품권 적합성 검증에 성공한 결제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상품권이 금액형이면 상품 가격을 감산한 잔액이 남는지를 판단하는 잔액 판단 단계; 및
    잔액이 남으면 잔액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하여 상품권 DB에 등록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부로 전송하는 모바일 상품권 재발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법.
KR1020180084140A 2018-07-19 2018-07-19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9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40A KR20200009586A (ko) 2018-07-19 2018-07-19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140A KR20200009586A (ko) 2018-07-19 2018-07-19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586A true KR20200009586A (ko) 2020-01-30

Family

ID=6932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140A KR20200009586A (ko) 2018-07-19 2018-07-19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95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283B1 (ko) * 2021-06-08 2022-02-24 주식회사 부흥컴퍼니 피싱 방지 및 지인 알림을 지원하는 모바일 상품권 발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32B1 (ko) 2010-11-02 2013-06-13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32B1 (ko) 2010-11-02 2013-06-13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283B1 (ko) * 2021-06-08 2022-02-24 주식회사 부흥컴퍼니 피싱 방지 및 지인 알림을 지원하는 모바일 상품권 발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9391B2 (ja) 特典付与方法、特典付与装置及び特典付与システム
US20190303916A1 (en) Prepaid Card Exchange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97345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shless vending donation transaction
JP4560237B2 (ja) 自動販売機を利用した入金システム
KR101544132B1 (ko) 현장 거래용 스마트 중고물품 거래자판기를 통한 중고물품거래장치 및 방법
JP6502244B2 (ja) 決済システム
US201203237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using identifying account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TW201810159A (zh) 信託票券的交易管理系統及其建置方法
JP6931412B1 (ja) 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装置
JP2021196844A (ja) 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装置
JP2021189578A (ja) 特定商品の購入代金にポイントが付与されるポイントバックオプションの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00009586A (ko)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57368A1 (en) Electronically warehousing items of stored value
EP3111336A1 (en) An electronic receipt system
KR20200009585A (ko)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1452A (ko)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실시간 흥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5941A (ko) 포인트 거래 시스템, 거래소 서버를 이용한 포인트 거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647862B1 (ko) 모바일 단말기 화면의 바코드를 이용한 현금 영수증 등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0858A (ko) 쿠폰사용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4106771A (ja) 会計装置及びposシステム
TWM553843U (zh) 即時儲值系統
TWI652632B (zh) 即時儲值系統
JP6642537B2 (ja) 登録装置、精算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18696A1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the reporting of sales transactions
KR101933192B1 (ko) 오프라인 전자 상품권 결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