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426A -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426A
KR20120045426A KR1020100106957A KR20100106957A KR20120045426A KR 20120045426 A KR20120045426 A KR 20120045426A KR 1020100106957 A KR1020100106957 A KR 1020100106957A KR 20100106957 A KR20100106957 A KR 20100106957A KR 20120045426 A KR20120045426 A KR 20120045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reflective
light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971B1 (ko
Inventor
조현진
정병호
올레그 프루드니코브
임현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971B1/ko
Priority to US13/232,301 priority patent/US9229148B2/en
Publication of KR2012004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은 입광면, 상기 입광면에 대향하는 대광면, 상기 입광면과 상기 대광면을 연결하는 연결면들, 상기 입광면, 상기 대광면, 및 상기 연결면들에 연결된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면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수신하고, 상기 대광면은 상기 광을 반사하며, 상기 상면은 상기 광을 표시 패널 방향으로 출사한다. 각 연결면은 상기 호의 중심과 상기 입광면의 일단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두 개 이상의 흡수면들, 및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흡수면들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광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자체 발광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과 함께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는 선이나 점 형태인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나오는 광을 상기 표시 패널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선광원이나 점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면광원에서의 광으로 변환시켜 상기 표시 패널 방향으로 제공한다.
그런데, 상기 표시 장치의 추세는 저소비 전력 및 박형화에 있는 바, 현재 시장에서 요구되는 저 소비전력 제품의 경우 현재 사용되는 램프 수보다 적은 수의 램프를 통해서 전 표시 패널 영역에서 균일한 표시 품질을 확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도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은 입광면, 상기 입광면에 대향하는 대광면, 상기 입광면과 상기 대광면을 연결하는 연결면들, 상기 입광면, 상기 대광면, 및 상기 연결면들에 연결된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면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수신하고, 상기 대광면은 상기 광을 반사하며, 상기 상면은 상기 광을 표시 패널 방향으로 출사한다. 각 연결면은 상기 호의 중심과 상기 입광면의 일단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두 개 이상의 흡수면들, 및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흡수면들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광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한 개의 광원과, 상기 광을 가이드 하는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광판의 연결면에 흡수면과 반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도광판의 측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킴으로써, 폭을 좁게 유지하면서도 전 표시 영역에서 균일한 휘도를 갖는 도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광판을 채용하여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광원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광원과 함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반적인 도광판에서의 광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일반적인 도광판에서의 광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광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에 있어서, 광원의 위치에 따른 β값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광 경로 시뮬레이션을 함께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실시예들에 따른 도광판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20), 몰드 프레임(130), 백라이트 어셈블리, 보텀 샤시(180), 및 탑 샤시(11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수광형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 (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이나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을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제1 기판(124)과, 상기 제1 기판(124)에 대향되는 제2 기판(122), 및 상기 제1 기판(124)과 상기 제2 기판(122)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124)은 다수의 화소 전극들(미도시) 및 상기 화소 전극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는 대응하는 화소 전극 측으로 제공되는 구동신호를 스위칭한다. 또한, 상기 제2 기판(122)은 상기 화소 전극들과 함께 상기 액정의 배열을 제어하는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20)은 상기 액정층을 구동하여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30)은 상기 표시 패널(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120)을 지지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30)은 대략적으로 사각의 고리 형상을 갖는다. 상기 몰드 프레임(130)은 도면에서와 같이 단일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표시 패널(120)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 제공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160), 상기 광을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인도하는 도광판(150), 상기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학 시트(140), 상기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반사 시트(17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160)은 상기 표시 패널(120)이 영상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150)에 광을 제공한다. 상기 광원(160)은 점광원, 선광원, 또는 면광원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점광원이 상기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지향각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점광원으로서 사용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LED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LED가 복수로 제공되는 경우, 각 LED가 개별적으로 상기 도광판(150)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거나, 상기 광원들(160)이 판상으로 제공된 인쇄 회로 기판에 일렬로 실장되어 상기 도광판(150)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은 상기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광을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도광판(150)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2c와 함께 후술한다.
상기 광학 시트(140)는 상기 도광판(150)과 상기 표시 패널(120)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광학 시트(140)는 상기 광원(160)으로부터 나온 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학 시트(140)는 상기 도광판(150) 상에 적층된 확산 시트(146), 프리즘 시트(144) 및 보호 시트(142)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 시트(146)는 상기 광을 확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리즘 시트(144)는 상기 확산 시트(146)에서 확산된 빛을 상부의 표시 패널(12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리즘 시트(144)를 통과한 빛은 거의 대부분 상기 표시 패널(120)에 수직하게 입사된다. 상기 보호 시트(142)는 상기 프리즘 시트(144) 상에 위치한다. 상기 보호 시트(142)는 상기 프리즘 시트(144)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학 시트(140)가 상기 확산 시트(146), 상기 프리즘 시트(144), 및 상기 보호 시트(142)가 한 매씩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학 시트(140)는 상기 확산시트(146), 상기 프리즘 시트(144), 및 상기 보호 시트(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복수 매 겹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시트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시트(140), 상기 프리즘 시트(144), 및 상기 보호 시트(142)는 순서를 바꾸어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170)는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제공되지 않고 누설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광판(15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반사 시트(170)는 상기 보텀 샤시(180) 상에 구비되어 상기 광을 반사시킨다. 그 결과, 상기 반사 시트(170)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20) 측으로 제공되는 광의 양이 증가된다.
상기 탑 샤시(110)는 상기 표시 패널(120)의 상부에 제공된다. 상기 탑 샤시(110)는 상기 표시 패널(120)의 전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130)의 측면 또는 상기 보텀 샤시(18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탑 샤시(110)에는 상기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표시창(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텀 샤시(18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성 요소들을 수납한다. 상기 보텀 샤시(180)는 상기 반사 시트(170)의 하부에 상기 반사 시트(170)의 배면에 평행한 바닥부(181)와, 상기 바닥부(181)로부터 상방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81)와 상기 측벽부(183)로 이루어진 공간에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수납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을 광원(160)과 함께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사시도, 도 2b는 평면도, 및 도 2c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일 예로서, 상기 도광판(150)에 대해 광원(160)이 두 개 구비된 것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도 2a 및 도 2b에서는 상기 광원(160)이 상기 도광판(150)과 접촉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광원(160)이 상기 도광판(150)과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160)과 상기 도광판(150) 사이에는 상기 광원(160)으로부터의 광의 집중을 위한 추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은 상면(157), 하면(159), 및 복수의 측면들(151, 152, 153, 154)을 가지며, 상기 상면(157)과 하면(159)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측면들(151, 152, 153, 154) 각각의 면적이 상기 상면(157)과 하면(159)보다 좁은 판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상면(157)은 상기 표시 패널(12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하면(159)은 상기 상면(157)에 대향한다. 여기서, 상기 도광판(150)으로 수신된 광이 상기 상면(157)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으로 제공되므로 상기 상면(157)은 출광면으로도 지칭된다.
상기 측면들(151, 152, 153, 154)은 상기 상면(157)과 하면(159)을 잇는 면들로서, 입광면(151), 대광면(153), 및 연결면들(152, 1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광면(151)은 상기 광원(160)과 마주보는 측면으로서, 상기 광원(16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신한다. 상기 입광면(151)은 평면으로 제공된다.
상기 대광면(153)은 상기 입광면(151)에 대향하는 측면으로서, 상기 광을 반사한다. 상기 대광면(153)은 곡면으로 제공되며, 평면상에서 호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대광면(153)이 호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대광면(153)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다양한 방향성을 가지더라도, 상기 대광면(153)에 반사된 광은 특정 방향성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입광면(151)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입광면(151)의 법선과 상기 대광면(153)이 만나는 점까지의 거리, 즉 상기 도광판(150)의 높이는 상기 호를 이루는 원의 반지름의 1/2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광판(150)은 상기 입광면(151)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대광면(153)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상면(157)과 상기 하면(159) 사이의 두께가 커진다. 상기 입광면(151)에서의 상기 상면(157)과 하면(159) 사이의 두께를 제1 두께(T1)라고 하고, 상기 대광면(153)에서의 상기 상면(157)과 하면(159) 사이의 두께를 제2 두께(T2)라고 하면, 상기 제2 두께(T2)는 상기 제1 두께(T1)보다 크다.
상기 연결면들(152, 154)은 상기 입광면(151)의 일단과 상기 대광면(153)의 일단, 및 상기 입광면(151)의 타단과 상기 대광면(153)의 타단을 각각 잇는 측면들이다.
각 연결면(152, 154)은 둘 이상의 흡수면들(152)과 서로 인접한 상기 흡수면들(152) 사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1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면들(152)과 상기 반사면(또는 반사면들, 154)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상기 흡수면들(152) 중 하나는 상기 입광면(151)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흡수면들(15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대광면(153)의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흡수면들(152)은 상기 흡수면(152)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흡수한다. 상기 흡수면들(152)은 평면상에서 상기 호의 중심과 상기 입광면(151)의 일단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게 제공된다. 이는 상기 대광면(153)에 반사된 광들이 특정 방향을 갖는데, 상기 특정 방향과 가능한 한 평행하게 상기 흡수면들(152)을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광의 손실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흡수면들(152)에는 광을 용이하게 흡수하기 위한 광흡수 부재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수면들(152)에 검은색 도료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반사면(154)은 상기 반사면(154)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반사한다. 상기 반사면(154)은 평면으로 제공되며, 상기 대광면(153)과 완전히 평행하지는 않지만, 대략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면(154)은 상기 대광면(153)의 단부에 접하는 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154)은 상기 광이 반사되도록 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 코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반사면(154)이 광을 반사할 수 있으면 족하며, 상기 광을 반사하기 위한 부재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면(154)이 상기 광을 반사하도록 별도의 반사 부재가 상기 반사면(154)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사면(154)은, 상기 입광면(151)의 단부를 지나며 상기 입광면(151)과 상기 출광면(157)에 수직한 가상의 면을 수직면(155)이라고 할 때, 상기 수직면(155)과 특정 각도를 이룬다. 또는, 평면상에서 상기 입광면(151)의 단부를 지나는 상기 입광면(151)의 법선을 제1 법선이라고 할 때, 상기 제1 법선은 상기 수직면(155) 상에 있으므로, 상기 반사면(154)은 상기 제1 법선과 상기한 특정 각도를 이룬다.
즉, 상기 반사면(154)이 평면상에서 상기 입광면(151)의 단부를 지나는 상기 입광면(151)의 제1 법선과 이루는 각도 β라고 하면, 상기 β는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α는 상기 광원(160)을 지나는 상기 입광면(151)의 법선(이하, 제2 법선)과, 평면상에서 상기 반사면(154)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이고, 상기 φ는 평면 상에서 상기 입광면(151)의 중심을 지나는 법선(이하, 제3 법선)과 상기 대광면(153)이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 법선과 상기 광원(160)이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β는 상기 광원(160)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반사면(154)에 의해 상기 흡수면들(152)과 평행한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도광판(150)의 측부에 암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설정되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각도 β는 α와 φ의 함수이며, 상기 α와 φ는 상기 광원(160)의 위치나 상기 반사면(154)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변수이다. 따라서, 상기 각도 β는 상기 광원(160)의 위치와 상기 반사면(154)의 위치에 따라 다른 값으로 책정될 수 있으며,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법선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도광판(150)은 쐐기(wedge)형의 프레즈넬 렌즈(Fresnel Lens) 도광판(150)으로서, 상기 입광면(151)을 통해 입사한 광은 상기 상면(157), 상기 하면(159), 및 상기 대광면(153)에서 복수 회 반사된 후, 상기 광의 진행 방향이 상기 상면(157)에 대해 소정 범위의 각도가 되면 상기 상면(157)을 통해 출광한다. 또한, 상기 소정 범위의 각도는 상기 광원(160)의 위치, 상기 도광판(150)의 계면에서의 굴절률, 상기 상면(157)과 상기 하면(159)의 두께, 상기 대광면(153)의 곡률 등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광판(150)은 그 두께를 선형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도광판(150)에서 출사하는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좁은 각도로 상기 광을 집광시켜 출사시킬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좁은 지향각 분포를 갖는 광원을 이용하면 최종적인 화상에 있어서의 시야각을 넓거나 좁게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150)은 이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좌안과 우안의 시차를 구현해야 하는 삼차원 영상 표시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광판(150)의 양 측부에 상기 흡수면들(152)과 상기 반사면(154)들을 형성하여 상기 도광판(150)의 측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도광판(150) 양 측부의 암부를 감소시키는 바, 이하에서 일반적인 도광판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에서의 광의 경로에 대해 살펴본다.
도 3a 및 도 3b는 기존의 도광판(15A, 15B)에서의 광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의 광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광원(160)만을 도시하였다.
도 3a는 평면상에서 대광면(15A2)이 호의 형상을 갖는 일반적인 도광판(15A)을 나타낸 것으로, 입광면(15A1)과, 상기 입광면(15A1)에 대향하는 호 형상의 대광면(15A2)과, 상기 입광면(15A1)과 상기 대광면(15A2)을 연결하며 평면상에서 상기 입광면(15A1)과 수직한 연결면들(15AC)을 갖는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60)에서 출사되어 상기 대광면(15A2) 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은 상기 대광면(15A2)에서 반사되나, 상기 연결면들(15AC) 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은 반사되지 않고 굴절되어 외부로 출사되거나, 상기 연결면들(15AC)에 흡수된다. 이에 따라, 반사된 광이 많은 부분은 휘도가 높으나, 반사된 광이 적은 상기 도광판(150)의 양 측부는 휘도가 낮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150)의 양 측부에 암부(BL)가 생긴다.
도 3b는 도 3a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암부를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일반적인 도광판(15B)을 나타낸 것으로, 입광면(15B1)과, 상기 입광면(15b1)에 대향하는 호 형상의 대광면(15B2)과, 상기 입광면(15B1)과 상기 대광면(15B2)을 연결하는 연결면들(15BC)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연결면들(15BC)은 상기 호의 양 단을 상기 호의 중심과 연결한 선과 평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150)은 평면상에서 잘려진 부채꼴 형상을 갖는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60)에서 출사되어 상기 대광면(15B2)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대광면(15B2)에서 대부분 반사되며, 상기 연결면들(15BC)으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적다. 따라서, 도 3a에서의 암부 결함은 감소한다. 그러나, 도 3b의 도광판(150)은 표시 패널에 비해 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에 따르면, 광원(160)에서 출사되어 상기 대광면(153)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대광면(153)에서 대부분 반사되며, 흡수면들(152)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반사면(154)에 의해 반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150)의 양 측부에 암부가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흡수면들(152)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적다. 또한, 상기 흡수면들(152)과 상기 반사면(154)의 개수를 늘이는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150)의 폭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충분한 도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에 있어서, 광원(160)의 위치에 따른 β값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x축은 평면상에서 상기 입광면(151)의 중심으로부터의 광원(160)까지의 거리이며, y축은 β값을 나타낸다. 도 3의 선 A 내지 선 D는 상기 반사면(154)의 위치를 변경하였을 때의 β값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입광면(151)의 중심과, 상기 제3 법선과 상기 대광면(153)이 만나는 점까지의 거리를 상기 도광판(150)의 제1 높이(H1)이라고 하고, 상기 입광면(151)의 단부와, 상기 제2 법선과 상기 대광면(153)이 만나는 점까지의 거리를 제2 높이(H2)라고 하며, 상기 반사면(154)과 상기 제2 법선과 만나는 점까지의 거리를 제3 높이(H3)이라고 할 때, 상기 선 A는 상기 제3 높이(H3)와 상기 제1 높이(H1)가 같을 경우, 상기 선 B는 상기 제3 높이(H3)가 상기 제1 높이(H1)의 1/3인 경우, 상기 선 C는 상기 제3 높이(H3)가 상기 제1 높이(H1)의 2/3인 경우, 상기 선 D는 상기 제3 높이(H3)가 상기 제1 높이(H1)의 1/5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도 3의 시뮬레이션에는 평면상에서 상기 입광면(15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거리, 즉 폭이 약 350mm이고, 상기 제2 높이(H2)가 220mm인 도광판(150)이 사용되었다. 또한 광원(160)은 LED로서 광의 지향각이 약 60도 내지 약 150도 정도인 것이 사용되었다.
도 4을 참고하면, 상기 반사면(154)의 높이가 달라지거나, 상기 광원(160)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β값이 변하였다. 그러나, 상기 β값은 상기 반사면(154)의 높이(H2)와 상기 광원(160)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40° 이상 75°, 더욱 상세하게는 45° 이상 70°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광원(160)의 위치를 변경시키더라도 상기 β값이 40° 이상 75°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암부가 형성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150)은 균일한 출광 분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판(150)의 일측에 두 개의 흡수면들(152)과 상기 흡수면들(152) 사이에 하나의 반사면(154)이 제공된 것을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셋 이상의 흡수면들(152)과 서로 인접한 두 흡수면들(152) 사이에 각각 제공된 둘 이상의 반사면(154)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다섯 개의 흡수면들과 네 개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광 경로 시뮬레이션을 함께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의 시뮬레이션에서는 폭이 약 350mm이고, 높이가 220mm인 도광판(150A)이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상기 흡수면들(152A)과 상기 반사면들(154A)이 제1 실시예보다 많이 형성된 것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흡수면들(152A)과 4개의 반사면들(154A)을 가지도록 구성되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대응되도록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유사한 번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었으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수면들(152A)과 반사면들(154A)을 복수 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입광면(151A)의 일단부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증가 폭(도 2b의 Dx 참고)이 감소한다. 즉, 상기 흡수면들(152A)과 상기 반사면(154A)들의 개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상기 증가 폭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으로서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흡수면들(152A)의 개수가 1개일 때(즉, 반사면(154A)이 없는 경우) 증가 폭은 약 59mm였으며, 3개일 때 20mm, 5개일 때 12mm였으며, 10개일 때는 6mm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에서는 상기 도광판(150A)의 양 측부에서의 암부가 감소되고, 상기 도광판(150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균일한 각도 분포를 가지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기한 표 1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 표 1에서 "도광판 2"로 표시)에 있어서의 도시된 제1 내지 제3 지점(P1, P2, P3)에서의 휘도와, 도 3a에 도시된 일반적인 도광판(15A, 표 1에서 "도광판 1"로 표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내지 제3 지점(P1, P2, P3)에 대응하는 지점에서의 휘도를 나타낸 것이다.
휘도(상대값) 제1 지점(P1) 제2 지점(P2) 제3 지점(P3)
도광판 1 0.799 0.154 0.179
도광판 2 0.979 0.881 0.794
표 1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도광판(15A)의 경우 제1 지점(P1)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높으나 상기 제1 지점(P1)에 비해 제2 지점(P2)과 제3 지점(P3)의 휘도가 매우 낮다. 이는 일반적인 도광판(15A)의 경우 상기 제2 지점(P2)과 상기 제3 지점(P3)에서 암부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지점(P1, P2, P3)의 휘도가 세 점 모두 높음과 동시에 서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에는 암부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하기한 표 2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 표 2에서 "도광판 2"로 표시)에 있어서의 도시된 제1 내지 제3 지점(P1, P2, P3)에서의 각도와, 도 3a에 도시된 일반적인 도광판(15A, 표 2에서 "도광판 1"로 표시)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내지 제3 지점(P1, P2, P3)에 대응하는 지점에서의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각도는 상기 광이 진행하는 방향을 방위각과 고도각으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광판(150A)의 상면을 x-y 평면으로 하고, 상기 입광면(151A)의 연장 방향을 x축, 이에 수직한 방향을 y축,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120) 방향을 z축으로 하여 측정되었다.
각도 분포(상대값, °) 제1 지점(P1) 제2 지점(P2) 제3 지점(P3)
방위각 고도각 방위각 고도각 방위각 고도각
도광판 1 21.5 14 -17.5 5.5 30.5 5.5
도광판 2 21.5 14 19.5 16 17.5 16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지점(P1)에서는 일반적인 도광판(15A)이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이나 방위각과 고도각의 차이가 없다. 그러나, 제2 지점(P2)과 제3 지점(P3)에서는 일반적인 도광판(15A)이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이나 방위각과 고도각의 차이가 크다. 이는 일반적인 도광판(15A)의 경우 각 지점(P1, P2, P3)에 따라 광의 진행 방향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은 기존 구조에 비해 반사면(154A)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많으며, 이에 따라 제2 지점(P2)이나 제3 지점(P3)에서도 제1 지점(P1)과 거의 동일한 방위각과 고도각을 가지면서 상기 상면으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A)에 있어서의 광은 고도각 또한 세 지점에서 거의 유사한 값을 가지는데, 이는 균일한 방향성을 갖는 광을 출사한다는 것을 뜻한다.
상술한 표 1과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은 균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광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암부 결함을 감소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B)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B)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반사면의 형태가 다른 것 이외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B)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번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실시예를 따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B)은 반사면(154B)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반사면(154B)은 수직면(155B)과 40° 이상 75° 사이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반사면(154B), 평면 상에서 상기 반사면(154B) 상의 어느 한 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한 점에서의 접선과 상기 수직면(155B)이 이루는 각도를 β라고 하면, 상기 β는 상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154B) 상의 어느 한 점은 평면상에서 상기 반사면(154B)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또는 평면상에서 상기 반사면(154B)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한 중간 지점일 수도 있다. 상기 반사면(154B)의 곡률은 광원(160)의 위치, 상기 광원(160)의 광지향각, 또는 상기 반사면(154B)의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면(154B)은 상기 대광면(153B)을 연장한 가상의 면과 평행할 수 있는 바, 상기 반사면(154B)은 상기 대광면(153B)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게 되며, 상기 대광면(15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반사면(154B)은 상기 반사면(154B)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의 면에 입사하는 광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광을 반사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C)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C)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반사면의 형태가 다른 것 이외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다른 도광판(150C)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번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실시예를 따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C)은 반사면(154C)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서브 반사면(154C1, 154C2)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서브 반사면(154C1, 154C2)들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 7에서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서브 반사면(154C1)과 제2 서브 반사면(154C2)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서브 반사면(154C1, 154C2) 각각은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 반사면들(154C)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면(155C)과 40° 이상 75° 사이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서브 반사면들(154C1, 154C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서브 반사면들(154C) 중 어느 한 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한 면과 상기 수직면(155C)이 이루는 각도를 β라고 할 때, 상기 β가 상기 식 1을 만족한다. 상기 서브 반사면들(154C)의 개수, 상기 서브 반사면들(154C) 의 각각의 넓이와 배열 순서는 상기 광원(160)의 위치, 상기 광원(160)의 광지향각, 또는 상기 서브 반사면들(154C)의 위치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D)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D)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반사면 및 대광면의 형태가 다른 것 이외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D)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번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실시예를 따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50D)은 반사면(154D)과 대광면(153D)에 광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한 돌출 반사 패턴(154DP)이 제공된다. 상기 돌출 반사 패턴(154DP)은 특정 방향으로의 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프리즘 산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반사면(154D)의 돌출 반사 패턴(154DP)이 상기 도광판(150D)의 상면(157D)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프리즘 산들인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프리즘 산들은 상기 반사면(154D)으로 진행하는 광을 상기 입광면(151D)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때, 상기 프리즘 산 각각이 상기 도광판(150D)의 상면(157D)과 이루는 각도(θ)는 상기 입광면(151D)으로부터 상기 반사면(154D)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전반사되도록 하는 각도로 설정되며, 상기 각도(θ)는 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대광면(153D)의 돌출 반사 패턴 또한 상기 도광판(150D)의 상면(157D)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프리즘 산들인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대광면(153D)의 상기 프리즘 산들은 상기 대광면(153D)으로 진행하는 광을 상기 입광면(151D)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때, 상기 프리즘 산 각각이 상기 도광판(150D)의 상면(157D)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입광면(151D)으로부터 상기 반사면(154D)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전반사되도록 하는 각도로 설정되며, 상기 각도는 5° 내지 25°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광면(153D)의 돌출 반사 패턴은 상기 반사면(154D)의 돌출 반사 패턴과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대광면(153D)의 프리즘 산 각각이 상기 도광판(150D)의 상면(157D)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반사면(154D)의 프리즘산 각각이 상기 도광판(150D)의 상면(157D)과 이루는 각도와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실시예들에 따른 도광판들(150E, 150F, 150G)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들(150E, 150F, 150G)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입광면의 형태가 다른 것 이외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실시예들에 따른 도광판(150E, 150F, 150G)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번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제1 실시예를 따른다.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광원(160)만을 도시하였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내지 제8 실시예들에 따른 도광판들(150E, 150F, 150G)에 있어서, 각 입광면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면(151E, 151F, 151G)과, 상기 광원(160)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면(151E, 151F, 151G)으로부터 함몰된 제2 면(151ER, 151FR, 151GR)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면(151ER, 151FR, 151GR)은 상기 입광면(151)을 통해 입사하는 광이 가능한 한 상기 도광판(150E, 150F, 150G)의 전체 면으로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광의 경로를 변경한다. 즉, 상기 제2 면(151ER, 151FR, 151GR)을 통해 입사하는 광은 상기 제2 면(151ER, 151FR, 151GR)이 없는 상태에서 입사하는 광보다 더 큰 지향각을 갖는다.
상기 제2 면(151ER, 151FR, 151GR)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평면(151ER)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151F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곡면(151G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6 내지 제8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과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10 : 탑 샤시 120 : 표시 패널
130 : 몰드 프레임 140 : 광학시트
150 : 도광판 151 : 입광면
152 : 흡수면 153 : 대광면
154 : 반사면 155 : 수직면
157 : 상면 159 : 하면
160 : 광원 170 : 반사 시트
180 : 보텀 샤시

Claims (20)

  1. 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한 개의 광원;
    상기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 마주보며 상기 광을 수신하는 입광면, 상기 입광면에 대향하여 상기 광을 반사하며 평면상에서 호의 형상을 갖는 대광면, 상기 입광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입광면과 상기 대광면을 연결하는 연결면들, 상기 입광면, 상기 대광면, 및 상기 연결면들에 연결되며 상기 광을 출사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며,
    각 연결면은 상기 호의 중심과 상기 입광면의 일단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두 개 이상의 흡수면들, 및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흡수면들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광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이 평면상에서 상기 입광면의 단부를 지나는 상기 입광면의 제1 법선과 이루는 각도(β)는 40° 이상 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β)는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Figure pat00002

    여기서, 상기 α는 상기 광원을 지나는 상기 입광면의 제2 법선과, 평면상에서 상기 반사면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 상기 φ는 평면 상에서 상기 입광면의 중심을 지나는 제3 법선과 상기 대광면이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 법선과 상기 광원이 이루는 각도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평면 상에서 상기 호의 일단에서의 접선과 상기 호의 타단에서의 접선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서브 반사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각 반사면 상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반사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반사 패턴은 복수의 프리즘 산들이며, 각 프리즘 산의 측면은 상기 상면과 5° 내지 2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광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반사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반사 패턴은 복수의 프리즘 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면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면과, 상기 광원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면으로부터 함몰된 제2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복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적어도 하나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의 두께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광을 수신하는 입광면;
    상기 입광면에 대향하여 상기 광을 반사하며 평면상에서 호의 형상을 갖는 대광면;
    상기 입광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입광면과 상기 대광면을 연결하는 연결면들;
    상기 입광면, 상기 대광면, 및 상기 연결면들에 연결되며 상기 광을 출사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며,
    각 연결면은 상기 호의 중심과 상기 입광면의 일단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두 개 이상의 흡수면들, 및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흡수면들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광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이 평면상에서 상기 입광면의 단부를 지나는 상기 입광면의 제1 법선과 이루는 각도(β)는 40°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β)는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Figure pat00003

    여기서, 상기 α는 외부로부터 상기 광이 입사하는 상기 입광면 상의 지점을 지나는 상기 입광면의 제2법선과, 평면상에서 상기 각 반사면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 상기 φ는 평면 상에서 상기 입광면의 중심을 지나는 제3 법선과 상기 대광면이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 법선과 상기 지점이 이루는 각도이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평면 또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사면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서브 반사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KR1020100106957A 2010-10-29 2010-10-29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6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957A KR101769971B1 (ko) 2010-10-29 2010-10-29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3/232,301 US9229148B2 (en) 2010-10-29 2011-09-14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957A KR101769971B1 (ko) 2010-10-29 2010-10-29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426A true KR20120045426A (ko) 2012-05-09
KR101769971B1 KR101769971B1 (ko) 2017-08-22

Family

ID=4599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957A KR101769971B1 (ko) 2010-10-29 2010-10-29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29148B2 (ko)
KR (1) KR101769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882A (ko) * 2012-07-03 2014-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5880A (ko) * 2015-06-10 2016-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098A (ko) * 2010-10-29 201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94914A (ko) * 2013-01-23 2014-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
US10379286B2 (en) * 2013-03-12 2019-08-13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Light guide plat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CN109839774B (zh) * 2017-11-24 2022-01-1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JP7478959B2 (ja) 2019-02-28 2024-05-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移動体、および導光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132A (ja) 1998-03-12 1999-09-24 Omron Corp 面光源装置
JP3980890B2 (ja) * 2002-01-23 2007-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導光板並びにそれを備えた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AU2003257833A1 (en) * 2003-08-13 2005-03-07 Fujitsu Limited Illumina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KR100782680B1 (ko) 2006-02-10 2007-12-0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CN101078795B (zh) * 2006-05-24 2010-05-12 清华大学 导光板及背光模组
JP5163074B2 (ja) 2007-11-22 2013-03-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882A (ko) * 2012-07-03 2014-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5880A (ko) * 2015-06-10 2016-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06196A1 (en) 2012-05-03
KR101769971B1 (ko) 2017-08-22
US9229148B2 (en)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9259B2 (en) Display device having display panel fixed relative to optical member solely by elastic fixing member
JP6776140B2 (ja) 照明装置
JP7135166B2 (ja) リフレクタ、リフレクタを有する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を搭載した車両
US7199932B2 (en) Prism sheet, illuminating device, surface emit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69971B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4854497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10267841A1 (en) Display apparatus
EP2293124B1 (en) Light guide panel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EP2333401B1 (en) Light source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1920898B1 (ko) 광원 유닛,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N102588766B (zh) 发光装置和图像显示设备
JPWO2004111531A1 (ja)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164101A (ja) バックライト
CN104062803B (zh) 显示装置的背光单元
US10620361B2 (en) Super directional light guide film and thin film type back light unit for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CN102789091B (zh) 显示设备
KR2014008867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1759636B1 (ko) 표시 장치
US9377572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8310259A (ja) 光路偏向板、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EP3605214A1 (en) Display device
JP6995958B2 (ja) 照明装置
JP4530923B2 (ja) 光源、及びバックライト
JP2011076803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11808963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