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431A -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431A
KR20120044431A KR1020100105698A KR20100105698A KR20120044431A KR 20120044431 A KR20120044431 A KR 20120044431A KR 1020100105698 A KR1020100105698 A KR 1020100105698A KR 20100105698 A KR20100105698 A KR 20100105698A KR 20120044431 A KR20120044431 A KR 2012004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textile
frame
tube
soft ground
geo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223B1 (ko
Inventor
홍은수
이주공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본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본이앤씨
Priority to KR102010010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2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설치된 바닥판에 토목섬유 튜브 내부에 채움재를 채우고 다짐하는 토목섬유 구조물을 적층하여 보강토 구조물을 형성함과 아울러 보강토 구조물 양측의 바닥판에 전면판을 설치하고, 연결부재를 결합하여 긴장시킨 후, 전면판과 보강토 구조물 사이를 뒤채움재로 충전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약지반에 다수의 토목섬유 구조물을 적층한 보강토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를 일정기간 방치하여 보강토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도록 하면서 보강토 구조물의 높이를 계획성토고와 유사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성토구조물 설치 및 제거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의 단축에 따라 원가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Retaining wall system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geotextile tubes}
본 발명은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에 설치된 바닥판에 토목섬유 튜브 내부에 채움재를 채우고 다짐하는 토목섬유 구조물을 적층하여 보강토 구조물을 형성함과 아울러 보강토 구조물 양측의 바닥판에 전면판을 설치하고, 연결부재를 결합하여 긴장시킨 후, 전면판과 보강토 구조물 사이를 뒤채움재로 충전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軟弱地盤)이라 함은, 토양의 생성, 퇴적 상태가 안정하지 못하여 무거운 하중이나 침수, 지진 등에 의하여 내려앉거나 붕괴가 일어날 수 있는 지반으로, 구조물 축조 전, 지반을 개량하여 침하로 인한 구조물 변형 및 지반강도 부족으로 인한 지반파괴를 방지하여야 한다.
상기 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으로는 재하중(preloading) 공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구조물의 하중과 그 하중에 의한 지반의 침하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반에 성토구조물을 형성함과 아울러 연직배수재와 같은 배수를 촉진시키는 공법을 추가하여 지반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지반을 안정화시키는 공법으로, 보통 성토구조물의 경우에는 예측되는 침하량 만큼 여성토를 쌓아 침하후 구조물 레벨이 계획성토고와 일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연약지반에 보강토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재하중 공법이 적용된 성토구조물을 제거한 후, 보강토 구조물을 축조하여야 하므로, 절차가 복잡하고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약지반에 다수의 토목섬유 구조물을 적층한 보강토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를 일정기간 방치함으로써, 보강토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도록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은,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연약지반에 보강토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대향하게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제2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바닥판 및 연약지반 상면에 안착되는 토목섬유 튜브 내부로 채움재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제1토목섬유 구조물과;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해체한 후,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안착되어 한 쌍의 전면판을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프레임이 해체된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단부 양측에 제2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된 제1프레임과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안착되는 토목섬유 튜브 내부에 채움재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제2토목섬유 구조물과;
상기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해체한 후, 연결부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적층되게 형성되는 보강토 구조물과;
상기 보강토 구조물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바닥판에 설치되면서 연결부재를 결합 및 긴장시켜 지지하는 한 쌍의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연약지반에 보강토 구조물을 지지하는 바닥판을 대향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에 제1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레임과 바닥판 및 연약지반 상면에 토목섬유 튜브를 안착시키고,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시켜 제1토목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해체한 후,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연결부의 연결부재가 결합된 관을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단부 양측에 제1토목섬유 구조물에서 해체된 제1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2프레임 상면에 제2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지지하도록 제1토목섬유 구조물에서 해체된 제1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2프레임과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토목섬유 튜브를 안착시키고,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시켜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해체한 후, 연결부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적층되는 보강토 구조물을 계획성토고까지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토 구조물의 하중으로 연약지반에 침하가 발생하도록 방치하는 단계와;
상기 침하 완료 후, 보강토 구조물의 높이가 계획성토고 높이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최상부의 토목섬유 구조물을 제거하거나 성토를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토 구조물의 양측에 연결고리가 설치된 전면판을 보강토 구조물과 동일한 높이로 바닥판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전면판의 연결고리에 연결부재를 결합하여 타이부재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고리에 타이부재로 결합되면, 상기 보강토 구조물과 전면판 사이를 뒤채움재로 채움하는 단계를 보강토 구조물과 동일하거나 높을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약지반에 다수의 토목섬유 구조물을 적층한 보강토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를 일정기간 방치하여 보강토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도록 하면서 보강토 구조물의 높이를 계획성토고와 유사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성토구조물 설치 및 제거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의 단축에 따라 원가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설치과정도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은,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100)로서, 상기 연약지반에 보강토 구조물(130)을 지지하도록 대향하게 설치되는 바닥판(110)이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110)과 제2프레임(15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120)이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120)과 바닥판(110) 및 연약지반 상면에 안착되는 토목섬유 튜브(131a) 내부로 채움재(131b)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이 구성되고,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120)을 해체한 후,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 상면에 안착되어 한 쌍의 전면판을 연결부재(141)로 연결하는 연결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120)이 해체된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 상단부 양측에 제2토목섬유 구조물(132)의 형태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1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제2프레임(150)이 구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150)에 고정된 제1프레임(120)과 제1토목섬유 구조물(130) 상면에 안착되는 토목섬유 튜브(132a) 내부에 채움재(132b)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제2토목섬유 구조물(132)이 구성되며, 상기 제2토목섬유 구조물(132)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120)을 해체한 후, 연결부재(141)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토목섬유 구조물(132)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적층되게 형성되는 보강토 구조물(130)이 구성되고, 상기 보강토 구조물(130)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바닥판(110)에 설치되면서 연결부재(141)를 결합 및 긴장시켜 지지하는 한 쌍의 전면판(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프레임(120)은, 상기 토목섬유 튜브를 지지하는 수직판(121)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판(121)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12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122)와 수직판(121)에 고정되어 수직판(121)이 수직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보강부재(1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각 토목섬유 구조물(131)(132) 상면에 안착되는 관(141)이 구비되고, 상기 관(141)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4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142)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전면판(160)에 설치된 연결고리(143)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143)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42)의 단부를 묶어 고정하는 타이부재(14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타이부재(144)는 스웨이징 슬리브(swaging sleev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고리(143)와 연결부재(142) 사이에 장착되어 연결부재(142)의 손상을 방지하는 케이블 딤블(thimble)(145)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프레임(150)은,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의 측단에 제1프레임(1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수평판(151)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단(151) 단부에 고정되어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152)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판(151)과 안착부재(152)에 고정되어 수평판(151)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보강부재(15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판(110)에 설치된 전면판(16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면판(160) 상단부에 장착되는 장착캡(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연약지반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보강토 옹벽 구조물(100)이 설치되는 연약지반의 기초를 정리하고,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가 정리된 연약지반에 잡석 포설 및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판(110)을 설치하는데, 상기 바닥판(110)은, 보강토 옹벽 구조물(100)의 양측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향하게 설치된 상기 바닥판(110)에 제1프레임(120)을 고정시키는데, 상기 제1프레임(120)의 지지부재(122)가 바닥판(110) 상면에 안착된 후, 상기 지지부재(122)를 바닥판(110)에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22)에 수직판(121)을 수직으로 고정한다.
상기 제1프레임(120)의 수직판(121)과 상기 바닥판(110) 및 연약지반의 상면에 토목섬유 튜브(131a)을 안착시키고, 상기 토목섬유 튜브(131a) 내부에 토사의 채움재(131b)를 충전한다.
이때, 상기 충전재(131b)는 굴삭기 등을 이용한 건식 채움 또는 준설펌프를 이용한 습식 주입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고, 상기 토목섬유 튜브(131a)에 충전된 충전재(131b)를 별도의 장비를 통하여 다짐할 수 있으며, 상기 장비에 의해 다짐되는 충전재(131b)를 수직판(121)이 지지하여 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상기 수직판(121)은 지지부재(122)에 고정된 제1보강부재(123)가 밀착되어 지지하고 있으므로 수직판(12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충전재(131b)가 다짐된 토목섬유 튜브(131a)의 개구부(미도시)를 접합부재(미도시)로 접합하여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을 형성하면,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120)을 바닥판(110)에서 해체한다.
상기 제1프레임(120)이 해체되면,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의 양단부가 하향으로 처지도록 변형되고, 양단부가 변형된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 상면에 연결부(140)의 연결부재(142)가 결합된 관(141)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 상단부 양측에 제2프레임(150)을 고정시키는데, 상기 제2프레임(150)의 안착부재(152)가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 상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수평판(151)이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판(151)에 바닥판(110)에서 해체된 제1프레임(120)의 지지부재(122)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1프레임(120)의 수직판(121)과 제2프레임(150) 및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 상면에 토목섬유 튜브(132a)을 안착시키고, 상기 토목섬유 튜브(132a) 내부에 토사의 채움재(132b)를 충전한다.
이때, 상기 충전재(132b)는 굴삭기 등을 이용한 건식 채움 또는 준설펌프를 이용한 습식 주입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고, 상기 토목섬유 튜브(132a)에 충전된 충전재(132b)를 별도의 장비를 통하여 다짐한 상태에서, 토목섬유 튜브(132a)의 개구부(미도시)를 접합부재(미도시)로 접합하면서 제2토목섬유 구조물(132)을 형성한 후, 상기 제2토목섬유 구조물(132)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120)을 제2프레임(150)에서 해체하고, 상기 제2프레임(150)을 제1토목섬유 구조물(131)에서 순차적으로 해체한다.
상기 제1,2프레임(120)(150)이 해체되면, 제2토목섬유 구조물(132)의 양단부가 하향으로 처지도록 변형되고, 양단부가 변형된 제2토목섬유 구조물(132) 상면에 연결부(140)의 연결부재(142)가 결합된 관(141)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토목섬유 구조물(132)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의 토목섬유 구조물이 적층되는 보강토 구조물(13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토 구조물(130)은, 건설되는 도로의 높이를 말하는 계획성토고까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계획성토고까지 형성된 보강토 구조물(130)을 일정기간 방치한다.
상기 보강토 구조물(130)이 방치되는 기간 동안, 보강토 구조물(130)의 하중에 의해 연약지반에 침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지반 침하에 따라 보강토 구조물(130)이 계획성토고보다 높을 경우는, 상기 보강토 구조물(130)의 최상부층 토목섬유 구조물을 제거할 수도 있고, 상기 보강토 구조물(130)이 계획성토고보다 낮을 경우는, 보강토 구조물(130)에 토목섬유 구조물을 더 적층하거나 성토(S)하여 계획성토고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보강토 구조물(130)이 계획성토고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면, 대향하는 바닥판(110) 단부에 전면판(160)을 각각 설치하는데, 상기 전면판(160)은 보강토 구조물(130)과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홈에 돌기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160)에 단부가 매설되어 형성된 연결고리(143)에 연결부재(142)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결합한 후, 긴장시킨 상태에서 타이부재(144)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타이부재(144)는 스웨이징 슬리브(swaging sleeve)가 바람직하며, 이는 턴버클보다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면서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143)에 결합된 연결부재(142)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연결부재(142)에 케이블 딤블(thimble)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판(160)의 연결고리(143)에 연결부재(142)가 긴장되어 타이부재(144)로 고정되면, 보강토 구조물(130)과 전면판(160) 사이에 뒤채움재(160')를 충전하여 다짐하는데, 상기 뒤채움재(160')는 보강토 구조물(130)의 구조적인 안정성과 관련이 없으므로 재료에 제한이 없으나, 우기시, 보강토 구조물(130)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소정 투수계수 이상의 사질토가 바람직하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보강토 구조물(130)과 동일하거나 높게 전면판(160) 및 뒤채움재(160')를 시공하여야 한다.
상기 뒤채움재(160')는 보강토 구조물(130)의 변형에 따른 변위를 흡수하는 완충재 역할을 함과 아울러 대향하는 한 쌍의 전면판(160)을 연결부재(142)로 서로 연결하여 전면의 변위를 허용하지 않으면서 연결부재(142)가 토압을 부담하므로 보강토 구조물(1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토 구조물(130)과 동일하거나 높게 시공된 전면판(160)의 상단부를 장착캡(170)로 장착하여 부분적인 이탈을 방지하므로 전면판(16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토 구조물(130)은, 이용용도에 따라 수직형 및 피라미드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보강토 옹벽 구조물 110: 바닥판
120, 150: 제1,2프레임 130: 보강토 구조물
131,132: 제1,2토목섬유 구조물 140: 연결부
160: 전면판 170: 장착캡

Claims (11)

  1.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연약지반에 보강토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대향하게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제2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바닥판 및 연약지반 상면에 안착되는 토목섬유 튜브 내부로 채움재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제1토목섬유 구조물과;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해체한 후,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안착되어 한 쌍의 전면판을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프레임이 해체된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단부 양측에 제2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된 제1프레임과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안착되는 토목섬유 튜브 내부에 채움재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제2토목섬유 구조물과;
    상기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해체한 후, 연결부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적층되게 형성되는 보강토 구조물과;
    상기 보강토 구조물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바닥판에 설치되면서 연결부재를 결합 및 긴장시켜 지지하는 한 쌍의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프레임은,
    상기 토목섬유 튜브를 지지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수직판에 고정되어 수직판이 수직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는,
    상기 각 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안착되는 관과;
    상기 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전면판에 설치된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단부를 묶어 고정하는 타이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이부재는 스웨이징 슬리브(swaging slee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와 연결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연결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케이블 딤블(thimble)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프레임은,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의 측단에 제1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단 단부에 고정되어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수평판과 안착부재에 고정되어 수평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판에 설치된 전면판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면판 상단부에 장착되는 장착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8.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연약지반에 보강토 구조물을 지지하는 바닥판을 대향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에 제1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프레임과 바닥판 및 연약지반 상면에 토목섬유 튜브를 안착시키고,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시켜 제1토목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해체한 후,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연결부의 연결부재가 결합된 관을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단부 양측에 제1토목섬유 구조물에서 해체된 제1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2프레임 상면에 제2토목섬유 구조물의 형태를 지지하도록 제1토목섬유 구조물에서 해체된 제1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2프레임과 제1토목섬유 구조물 상면에 토목섬유 튜브를 안착시키고,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시켜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해체한 후, 연결부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토목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적층되는 보강토 구조물을 계획성토고까지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토 구조물의 하중으로 연약지반에 침하가 발생하도록 방치하는 단계와;
    상기 침하 완료 후, 보강토 구조물의 높이가 계획성토고 높이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최상부의 토목섬유 구조물을 제거하거나 성토를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토 구조물의 양측에 연결고리가 설치된 전면판을 보강토 구조물과 동일한 높이로 바닥판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전면판의 연결고리에 연결부재를 결합하여 타이부재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고리에 타이부재로 결합되면, 상기 보강토 구조물과 전면판 사이를 뒤채움재로 채움하는 단계를 보강토 구조물과 동일하거나 높을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설치 전, 상기 연약지반의 기초를 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 튜브에 충전된 충전재를 다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전면판 상단부에 장착캡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00105698A 2010-10-28 2010-10-28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2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698A KR101226223B1 (ko) 2010-10-28 2010-10-28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698A KR101226223B1 (ko) 2010-10-28 2010-10-28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431A true KR20120044431A (ko) 2012-05-08
KR101226223B1 KR101226223B1 (ko) 2013-01-28

Family

ID=4626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698A KR101226223B1 (ko) 2010-10-28 2010-10-28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096B1 (ko) * 2013-11-15 2014-03-19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폐합대가 구비된 토목섬유 튜브 흙구조체
EP2894217A1 (en) * 2014-01-08 2015-07-15 Tenax S.p.A. Plant for producing bioga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pl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291B1 (ko) * 2013-11-04 2015-10-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반 보강용 구조물 및 이를 적용한 도로 또는 선로의 노반 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7390B1 (en) 2005-06-16 2006-08-29 Mega, Inc. Fine-grained fill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43754B1 (ko) 2007-02-12 2008-07-0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지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을 위한 지지틀
KR20090096055A (ko) * 2008-03-07 2009-09-10 김성수 연속 그리드에 의한 보강토옹벽의 옹벽지지구조 및 이를적용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20100034676A (ko) * 2008-09-23 2010-04-01 정재영 토목섬유옹벽과 블록을 띠형섬유보강재로 결속하는 연약지반 보강토옹벽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096B1 (ko) * 2013-11-15 2014-03-19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폐합대가 구비된 토목섬유 튜브 흙구조체
EP2894217A1 (en) * 2014-01-08 2015-07-15 Tenax S.p.A. Plant for producing bioga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223B1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679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CN103321231A (zh) 基坑支护施工方法
KR100967497B1 (ko)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KR101176592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시공 방법
KR100933660B1 (ko)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4878835A (zh) 条形基础房屋后增地下室结构
KR102084829B1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KR101226223B1 (ko)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74502A (ko) 그리드 보강재와 강봉이 설치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KR101000552B1 (ko) 콘크리트가 보강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02953385A (zh) 一种坡道异形处基坑换撑施工方法
KR100603888B1 (ko) 포스트 텐션을 통한 보강토 교대 축조공법
KR102123810B1 (ko) 세굴 방지용 보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10288419U (zh) 一种用于大跨距逆作基坑的反立柱斜撑加固系统
KR101258043B1 (ko) 친환경 옹벽 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CN211037053U (zh) 管井悬吊保护结构
CN211312570U (zh) 一种可周转式钢制沉井支护装置
KR20120012358A (ko) 사각 피라미드 기초 및 시공 공법
CN104060616A (zh) 一种支挡工程的施工模板及施工方法
CN105951863A (zh) 一种主动装配式沉井的施工设备及应用该施工设备的施工方法
KR100967496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KR101696282B1 (ko) 흙막이용 강관을 이용한 pc 벽체, 그 pc 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및 그 pc 벽체의 연결방법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KR100823348B1 (ko)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KR101440392B1 (ko) 벤트형 교대 및 교각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