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051A - 휴지걸이 - Google Patents

휴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051A
KR20120044051A KR1020100105416A KR20100105416A KR20120044051A KR 20120044051 A KR20120044051 A KR 20120044051A KR 1020100105416 A KR1020100105416 A KR 1020100105416A KR 20100105416 A KR20100105416 A KR 20100105416A KR 20120044051 A KR20120044051 A KR 20120044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frame
cylindrical
hang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793B1 (ko
Inventor
백용칠
Original Assignee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79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47K10/3643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by pulling th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being formed with an aperture or removable portion arranged to allow removal or insertion of contents through one or mor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휴지걸이가 개시된다. 이 휴지걸이는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일측이 회동 결합요소를 통해 결합되어 닫힌위치로부터 열린위치까지 회동가능한 회동프레임과, 회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원통형 휴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보빈을 포함한다. 회동프레임의 닫힌위치일 때 정상 사용 상태이고, 회동프레임의 열린위치일 때 원통형 휴지의 삽탈교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휴지걸이는 매우 간편하게 휴지의 교체가 가능하며, 벽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때 세련된 미관을 갖는다.

Description

휴지걸이{PAPER HOLDER}
본 발명은 휴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지의 교체가 용이한 휴지걸이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가정이나 공용 화장실 또는 욕실에는 항시 휴지가 비치되어 있다. 이렇게 화장실에 비치되는 휴지 또는 화장지는 사용이 편리하도록 원통형 두루마리 휴지를 벽에 고정된 휴지걸이에 걸어서 사용한다.
이러한 기존의 휴지걸이는 단순히 원통형 휴지를 보빈에 끼우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최근 건축물이 고급화되고 있고, 아파트와 같은 주택 건축물에는 휴지걸이 주변 인테리와 조화되도록 고급화되고 있다. 이를 위해, 휴지걸이를 최대한 벽체에 매립시키는 방식이 많이 채택되고 있다.
그런가 하면, 기존의 휴지걸이는 구조적으로 휴지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는 기존의 휴지걸이 대다수가 원통형 휴지의 회동축이 되는 보빈을 휴지걸이로부터 빼내어 휴지를 교체하는 방식을 택하였기 때문이다. 즉, 보빈을 휴지걸이로부터 빼낸 후 보빈에 새로운 휴지를 끼운 후 다시 보빈을 제위치로 삽입한다. 이러한 교체 동작은 그다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약간의 강제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요소들의 손상이나 변형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기존의 휴지걸이로서 보빈에 용수철을 삽입하여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한 제품들이 최근에는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마저도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사용자는 양손을 사용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어린아이나 노약자에게는 휴지의 교체가 쉽지 않다.
따라서, 고급화된 건축물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휴지교체가 간편한 새로운 휴지걸이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휴지를 교체할 수 있는 휴지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매립형으로서 간편하게 휴지를 교체할 수 있는 휴지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스토퍼(stopper)를 채용하는 휴지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지걸이를 제공하며, 이 휴지걸이는: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일측이 회동 결합요소를 통해 결합되어 닫힌위치로부터 열린위치까지 회동가능한 회동프레임; 및 상기 회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원통형 휴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닫힌위치일 때 정상 사용 상태이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열린위치일 때 원통형 휴지의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보빈은 상기 회동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열린위치에서 타단이 노출되는 바(bar)형 이어서, 상기 열린위치에서 원통형 휴지의 삽탈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보빈에 지지된 원통형 휴지를 위쪽에서 가리도록 설치되는 덮개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프레임의 천정부위에 매달린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닫힌위치에서 원통형 휴지의 표면을 자체무게로 눌러 원통형 휴지의 회동을 제한한다.
상기 회동프레임은 하부가 상기 베이스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열린위치일 때 위쪽이 열린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닫힌위치일 때 상기 회동프레임 및 원통형 휴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함체이다.
상기 베이스는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형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몸체에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圓弧)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대응부위가 끼워짐으로써, 적어도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열린위치까지의 회동범위를 한정한다.
상기 회동프레임이 상기 닫힌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지걸이는 사용자가 극히 용이하게 휴지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지걸이에서는 사용자는 단지 한손으로 회동프레임을 당겨서 연 후에 휴지를 교체하면 되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구성이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형으로 제공될 때, 벽체로부터 최소한으로 돌출됨으로써 주위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면서 세련된 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휴지걸이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전체 구성 요소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견고함을 가질 수 있다는 이점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지걸이에서 회동프레임이 열린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휴지걸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지걸이에서 회동프레임이 열린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휴지걸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일측이 회동 결합요소를 통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회동프레임(20)과, 회동프레임(20)에 설치되는 보빈(30)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히 후술되지만, 본 발명의 회동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 이용 상태인 '닫힌위치'(도 1 상태)에서 원통형 휴지를 교체할 수 있는 상태인 '열린위치'(도 2 상태)까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는 전면 부위가 개방된 함체일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욕실이나 화장실 같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벽체에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에는 볼트(미도시) 결합을 위한 고정구(11)가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는 도 1과 같이 회동프레임(20)이 닫힌위치에서는 회동프레임(20)과 회동프레임(20)에 거치된 원통형 휴지(A)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가 반드시 함체가 아닐 수 있으며, 회동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형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회동프레임(20)은 베이스(10)에 회동 결합요소인 힌지(12)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프레임(20)의 하단 일측이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함으로써, 도 2 및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부위를 중심으로 위쪽이 '열린위치'까지 열리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회동프레임(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회동프레임(20)이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회동프레임(20)의 수용 및 회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베이스(10)와 회동프레임(20)의 상측이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안정적인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고, 열린위치에서도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프레임(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유사한 형태를 갖지만, 원통형 휴지(A) 삽탈되는 측은 개방된다. 따라서, 도 2, 4, 및 5에서와 같이, 열린위치에서 원통형 휴지(A)의 교체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프레임(20)의 닫힌위치와 열린위치 간의 회동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베이스(10)에 가이드홈(13)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13)에는 회동프레임(20)의 대응부위, 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써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부(21)가 끼워져서 안내를 받는다. 이로써, 회동프레임(20)은 정확하게 정해진 열린위치까지 열리게 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은 힌지(12)를 중심으로 원호(圓弧)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2 및 4에서와 같이 회동프레임(20)이 가이드홈(13)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열리고 닫히게 된다. 가이드홈(13)은 본실시예에서와 같이 베이스(10)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안정적인 동작에 바람직하지만, 대안적으로 한곳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이드홈(13)의 형성 위치는 반드시 베이스(10)의 측벽이 아닌 베이스(10)의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동프레임(20)에는 보빈(30)이 결합된다. 보빈(30)은 일단부위가 회동프레임(20)에 결합되고 타단부위가 열린위치에서 노출되는 바(bar)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빈(30)은 삽입되는 원통형 휴지(A)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도 2,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20)이 열린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아주 용이하게 원통형 휴지(A)를 삽탈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빈(30)의 타단부위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일단 원통형 휴지(A)가 삽입되고 난 후에는 자연스럽게 걸림턱(31)에 걸려서 원통형 휴지(A)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보빈(30)의 결합은 회동프레임(20)에 보빈고정구(22)에 나사결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20)이 닫힌위치에서 정상 사용 상태이다. 이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때에는 장착된 원통형 휴지(A)의 위쪽에 덮개(40)가 설치되어 원통형 휴지(A)가 물 등에 의해 젖거나 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덮개(40)는 회동프레임(20)에 결합되는 형태를 취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10)에 결합되거나 하는 다른 형태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는 회동프레임(20)이 닫힌위치에서 베이스(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구(80)는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요소(81, 82, 83, 84)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푸시 렌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회동프레임(20)을 당겨서 닫힌위치로부터 열린위치까지 또는 열린위치로부터 닫힌위치까지 회동프레임(20)을 회동동작과 잠금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는 회동프레임(20)의 천정부위에 매달린 스토퍼(50)를 더 포함한다. 이 스토퍼(50)는 회동프레임(20)의 천정부위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20)이 닫힌위치에서 원통형 휴지(A)의 표면을 자체무게로 눌러 원통형 휴지(A)의 회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당한 힘을 가해 원통형 휴지(A)를 필요한 만큼 당기고 난 후에는 스토퍼(50)에 의해 더 이상 원통형 휴지(A)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원심력에 의해 원통형 휴지(A)가 풀리는 불편함이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러한 스토퍼(50)는 회동프레임(20)의 천정부위에 형성되는 고리(23)에 스토퍼(50)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51)가 끼워져서 회동되며 타단부에는 무게추(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스토퍼(50) 구성은 도 4와 같은 열린위치에서 자체무게에 의해 아래로 쳐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원통형 휴지(A)의 삽탈 경로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도면부호 70은 회동프레임(20)의 가드이고, 도면부호 60은 가드 커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는 사용자가 모든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1 및 3과 같은 닫힌위치(정상 사용 상태)에서 기존의 휴지가 다 소모되었을 때, 사용자는 간단히 회동프레임(20)을 전방으로 당겨서 도 2 및 4와 같은 열린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 기존의 휴지를 제거한 후 새로운 원통형 휴지(A)를 간단히 보빈(30) 끼우고 나서 다시 회동프레임(20)을 닫힌위치로 위치시켜 잠글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한손만으로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 까지도 쉽게 행할 수 있을 만큼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는 전체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며, 벽체에 매립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최근 고급화되고 있는 건축물에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베이스 및 회동프레임의 상단부위를 회동결합하는 방식과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는 회동프레임이 아래부분으로부터 열리게 되며, 스토퍼는 도시한 실시예와는 반대측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잠금구, 덮개, 가이드홈, 힌지 요소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 역시 유념하여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베이스 11: 고정구
12: 힌지 13: 가이드홈
20: 회동프레임 21, 51: 돌출부
22: 보빈고정구 30: 보빈
31: 걸림턱 40: 덮개
50: 스토퍼 52: 무게추
60: 가드 커버 70: 가드
80: 잠금구 81, 82, 83, 84: 후크 요소
A: 원통형 휴지

Claims (9)

  1. 휴지걸이로서: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일측이 회동 결합요소를 통해 결합되어 닫힌위치로부터 열린위치까지 회동가능한 회동프레임; 및
    상기 회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원통형 휴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닫힌위치일 때 정상 사용 상태이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열린위치일 때 원통형 휴지의 교체가 가능한 것인,
    휴지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회동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열린위치에서 타단이 노출되는 바(bar)형 이어서, 상기 열린위치에서 원통형 휴지의 삽탈교체가 가능한 것인,
    휴지걸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지지된 원통형 휴지를 위쪽에서 가리도록 설치되는 덮개가 더 포함하는 것인,
    휴지걸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프레임의 천정부위에 매달린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닫힌위치에서 원통형 휴지의 표면을 자체무게로 눌러 원통형 휴지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인,
    휴지걸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동프레임은 하부가 상기 베이스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열린위치일 때 위쪽이 열리는 것인,
    휴지걸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닫힌위치일 때 상기 회동프레임 및 원통형 휴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함체인 것인,
    휴지걸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벽체에 매립되는 것인,
    휴지걸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몸체에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圓弧)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대응부위가 끼워짐으로써,
    적어도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기 열린위치까지의 회동범위를 한정하는 것인,
    휴지걸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프레임이 상기 닫힌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지걸이.
KR1020100105416A 2010-10-27 2010-10-27 휴지걸이 KR101247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416A KR101247793B1 (ko) 2010-10-27 2010-10-27 휴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416A KR101247793B1 (ko) 2010-10-27 2010-10-27 휴지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51A true KR20120044051A (ko) 2012-05-07
KR101247793B1 KR101247793B1 (ko) 2013-03-26

Family

ID=4626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416A KR101247793B1 (ko) 2010-10-27 2010-10-27 휴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228A (ko) * 2013-07-16 2015-01-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테이프 클리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113Y2 (ko) 1987-02-12 1989-03-30
JPH0677687U (ja) * 1993-04-08 1994-11-01 浩正 吉川 省資源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KR100707386B1 (ko) 2006-11-21 2007-04-16 김정개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793B1 (ko)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31506A1 (en) Concealable Toilet Paper Spindle and Method of Use
KR100755172B1 (ko) 휴지걸이
KR101247793B1 (ko) 휴지걸이
KR101479214B1 (ko) 매립형 휴지걸이
KR20140147249A (ko) 도어장치
KR200456664Y1 (ko) 수납부위를 가진 휴지걸이 조립체
JP2000041893A (ja) 携帯用便器
KR200466791Y1 (ko) 매립형 휴지걸이
KR100707386B1 (ko)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KR101622937B1 (ko) 절약형 휴지걸이
KR101258992B1 (ko) 휴지케이스
KR20100086643A (ko) 접이식 간이 욕조
KR200433899Y1 (ko) 매입형 화장지 거치대
KR200174784Y1 (ko) 냉장고문의 오픈용 발판
CN214117782U (zh) 一种隐藏式拉手及浴室柜
KR200496680Y1 (ko) 매립형 휴지걸이
KR200486667Y1 (ko) 휴지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휴지걸이
KR101427373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CN218684061U (zh) 马桶刷座及马桶清洁组件
KR200232671Y1 (ko) 휴지 걸이대
KR101439491B1 (ko) 휴지디스펜서가 구비된 휴지걸이
KR101885579B1 (ko) 휴지걸이
KR102093126B1 (ko) 다목적 휴지걸이
KR20210032198A (ko) 욕실용 휴대폰 거치장치
KR200250181Y1 (ko) 매립형 휴지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