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344A -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344A
KR20120043344A KR1020100104601A KR20100104601A KR20120043344A KR 20120043344 A KR20120043344 A KR 20120043344A KR 1020100104601 A KR1020100104601 A KR 1020100104601A KR 20100104601 A KR20100104601 A KR 20100104601A KR 20120043344 A KR20120043344 A KR 20120043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insulating film
display device
substrate
cel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109B1 (ko
Inventor
최호원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109B1/ko
Priority to US13/243,339 priority patent/US8530766B2/en
Priority to CN201110334990.9A priority patent/CN102455824B/zh
Publication of KR2012004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인-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은, 투명 기판; 상기 기판의 내측 표면 위에 도전물질로 형성된 라우팅부; 상기 라우팅부가 둘러싼 상기 기판의 안쪽 표면에 형성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센서 배선; 상기 센서 배선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배열된 구동 배선; 상기 센서 배선과 상기 구동 배선을 덮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위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배선을 제2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은 평판 표시장치의 전극과 터치 패널의 센서용 전극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센서의 감도 저하를 방지하고, 잡음(Noise)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In-Cell Touch Panel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인-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의 상부 유리 기판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Device: ELD)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 패널을 가압하여(누르거나 터치하여)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장치 중 한 종류이다.
터치 패널은 구조에 따라서, 상판 부착형(Add-on type)과 상판 일체형(On-Cell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상판 부착형(Add-on type)은 평판 표시장치와 터치 패널을 개별적으로 제조한 후에, 평판 표시장치의 상판에 터치 패널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상판 일체형(On-Cell type)은 평판 표시장치의 상부 유리 기판 표면에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소자들을 직접 형성하는 방식이다.
상판 부착형(Add-on type)은 평판 표시장치 위에 완성된 터치 패널이 올라가 장착되는 구조로 두께가 두껍고, 표시장치의 밝기가 어두워져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판 일체형(On-Cell type)의 경우, 특히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의 경우, 보호용 캡 유리판 윗면에 터치 패널용 각종 센서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의 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제조 공정 중에 긁힘에 의해 손상되는 등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터치 패널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한 상판 일체형의 터치 패널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평판 표시장치의 상부 유리 기판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인-셀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도를 높이고, 잡음을 감소 시키는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장치의 상부 유리 기판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인-셀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은, 투명 기판; 상기 기판의 내측 표면 위에 도전물질로 형성된 라우팅부; 상기 라우팅부가 둘러싼 상기 기판의 안쪽 표면에 형성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센서 배선; 상기 센서 배선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배열된 구동 배선; 상기 센서 배선과 상기 구동 배선을 덮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위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배선을 제2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은 유전율이 3F/m 이하인 유전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을 패턴하여 상기 라우팅부의 외측 단부를 노출하는 콘택홀; 그리고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라우팅부와 접촉하는 외부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의 외측 표면 위에 면 접착하는 편광판; 그리고 상기 편광판 위에 면 접착하는 강화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은 평판 표시장치의 상부 유리 기판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공정 중에 터치 패널의 센서와 같은 요소들이 긁힘에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은 평판 표시장치의 전극과 터치 패널의 센서용 전극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센서의 감도 저하를 방지하고, 잡음(Noise)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평판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의한 터치 패널의 기판을 박막화하고, 강화 유리 외피 기판을 부착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b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을 도 1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과 결합한 인-셀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의한 터치 패널의 기판을 박막화하고, 강화 유리 외피 기판을 부착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b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을 도 1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과 결합한 인-셀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평판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인-셀 터치 패널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유리 기판에 내장형으로 형성된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평판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사용하였을 뿐, 본 발명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은 그 외의 평판 표시장치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은, 유리 기판(S) 위에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기판(S)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G), 게이트 전극(G)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GI), 게이트 절연막(GI) 위에서 게이트 전극(G)과 중첩하는 반도체 층(A), 반도체 층(A)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S), 그리고 소스 전극(S)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대향하며 반도체 층(A)의 타측면과 접촉하는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 기판(S) 위에는 보호막(PAS)이 전면 형성된다. 보호막(PAS) 위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연결된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가 형성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보호막(PAS) 위에서,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D)과 접촉하는 애노드 전극(ANO)을 포함한다. 또한, 기판(S)에서 박막트랜지스터(TFT)와 같이 다른 편편한 부분과 달리 단차가 심한 부분을 덮는 뱅크(B)가 더 형성된다. 뱅크(B)로 인해 표면의 높낮이가 거의 균일해진 화소 영역 내의 애노드 전극(ANO) 위에는 유기발광물질(OLE)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기발광물질(OLE)가 형성된 기판(S) 전면에 캐소드 전극(CAT)을 형성한다.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은 하부 기판 위에 상부 패널로 밀봉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은 내측면에 터치 패널의 구성 요소들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2a, 2b 및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을 구비한 유기발광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의한 터치 패널의 기판을 박막화하고, 강화 유리 외피 기판을 부착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b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을 도 1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과 결합한 인-셀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실시 예 1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은, 기판(SUB) 위에 금속과 같은 도전물질로 형성된 라우팅부(R)와 구동 배선(DR)을 연결하는 연결부(B)를 형성한다. 배선부(R)와 연결부(B) 위에 제1 절연막(PAS1)을 도포한다. 제1 절연막(PAS1)을 패턴하여, 연결부(B)의 양 끝부분을 노출시킨다.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구동 배선(DR) 및 센서 배선(SN)과 연결될 라우팅부(R)의 일측 단부도 노출 시킨다.
제1 절연막(PAS1) 위에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구동 배선(DR)과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센서 배선(SN)을 형성한다. 구동 배선(DR)과 센서 배선(SN)은 서로 연결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구동 배선(DR)은 연결부(B)를 통해 가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고, 센서 배선(SN)은 제1 절연막(PAS1)을 사이에 두고 연결부(B)를 타고 넘어가도록 형성한다. 또한, 도면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노출된 라우팅부(R)와 구동 배선(DR) 및 센서 배선(SN)이 각각 연결된다. 구동 배선(DR)과 센서 배선(SN)을 보호하고,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ANO)과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절연막(PAS2)을 기판(SUB) 전면에 형성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과 표시장치의 하부 패널 및 외부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을 위해 라우팅부(R)의 외측 단부를 노출하는 콘택홀(CH)을 형성한다.
인-셀 터치 패널은 표시장치의 시인성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연결부(B) 및 구동 배선(DR)과 센서 배선(SN)은 투명 도전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절연막(PAS1)과 제2 절연막(PAS2) 역시 투명성을 갖고, 특히 유전율은 3F/m정도로, 유전율이 7~8F/m 정도인 무기 절연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연결부(B)는 라우팅부(R)와 동일한 물질인 금속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투명 도전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시인성 확보를 위해서 투명 도전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완성한 인-셀 터치 패널을 그대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과 합착할 수도 있으나, 박형화를 더 요구할 경우에는 인-셀 터치 패널의 기판(SUB)의 박형화 레벨선(THL)까지 백-에치하여 더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완성된 인-셀 터치 패널의 기판(SUB)의 외측 면에 편광판(POL)을 부착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 및 표시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강화 유리(RG)를 부착한다.
그 후,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최종 완성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을 도 1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과 합착한다. 라우팅부(R)의 외측 단부를 노출하는 콘택홀(CH)에 은점(Ag)등을 이용하여 상부 패널 및 구동부의 신호 전달 패드와 라우팅부(R)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실시 예 1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하부 패널의 캐소드 전극(CAT)과 상부 패널의 구동 배선(DR) 및 센서 배선(SN)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가깝다. 거리가 가까울 수록 기생용량이 커져서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상부 패널의 구동 배선(DR) 및 센서 배선(SN)이 하부 패널의 캐소드 전극(CAT)과 가깝다는 것은, 터치 면인 표시장치의 겉면과 구동 배선(DR) 및 센서 배선(SN)의 거리가 멀다는 것이 된다. 이것은 터치 감도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 1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 구조에서 발생하는 잡음 증가과 감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도 1,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의한 터치 패널의 기판을 박막화하고, 강화 유리 외피 기판을 부착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b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을 도 1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과 결합한 인-셀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실시 예 2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은 기판(SUB) 위에 금속 물질로 형성된 라우팅부(R)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판(SUB) 중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구동 배선(DR)과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센서 배선(SN)이 형성된다. 구동 배선(DR)과 센서 배선(SN)은 서로 연결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각각의 센서 배선(SN)은 세로 방향으로 하나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지만, 각각의 구동 배선(DR)은 센서 배선(SN) 사이에서 끊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나중에 서로 끊어져 있는 구동 배선(DR)들은 연결부(B)를 통해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단면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 배선(DR)과 센서 배선(SN)은 노출된 라우팅부(R)의 일측 단부와 각각 연결된다.
구동 배선(DR)과 센서 배선(SN) 위에는 제1 절연막(PAS1)을 전면 도포한다. 제1 절연막(PAS1)을 패턴하여 구동 배선(DR)의 양측 단부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제1 절연막(PAS1) 위에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구동 배선(DR)을 각각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B)를 형성한다. 구동 배선(DR)과 센서 배선(SN)을 보호하고,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ANO)과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절연막(PAS2)을 기판(SUB) 전면에 형성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과 표시장치의 하부 패널 및 외부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을 위해 라우팅부(R)의 외측 단부를 노출하는 콘택홀(CH)을 형성한다.
인-셀 터치 패널은 표시장치의 시인성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연결부(B) 및 구동 배선(DR)과 센서 배선(SN)은 투명 도전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절연막(PAS1)과 제2 절연막(PAS2) 역시 투명성을 갖고, 특히 유전율은 3F/m정도로, 유전율이 7~8F/m 정도인 무기 절연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완성한 인-셀 터치 패널을 그대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과 합착할 수도 있으나, 박형화를 더 요구할 경우에는 인-셀 터치 패널의 기판(SUB)의 박형화 레벨선(THL)까지 백-에치(Back-Etch)하여 더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셀 터치 패널의 기판(SUB)의 외측 면에 편광판(POL)을 부착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 및 표시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강화 유리(RG)를 부착한다.
그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최종 완성된 인-셀 터치 패널이 형성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상부 패널을 도 1에 의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하부 패널과 합착한다. 라우팅부(R)의 외측 단부를 노출하는 콘택홀(CH)에 은 점(Ag) 등을 이용하여 상부 패널 및 구동부의 신호 전달 패드와 라우팅부(R)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실시 예 2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실시 예 1과 비교했을 때, 하부 패널의 캐소드 전극(CAT)과 상부 패널의 구동 배선(DR) 및 센서 배선(SN) 사이의 거리가 멀리 확보되었다. 더구나, 구동 배선(DR) 및 센서 배선(SN) 위에는 제1 절연막(PAS1) 및 제2 절연막(PAS2)을 포함한 2중 절연막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 예 1에 비해서 기생 용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잡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패널의 구동 배선(DR) 및 센서 배선(SN)이 하부 패널의 캐소드 전극(CAT)과 멀어졌다는 것은, 터치 면인 표시장치의 겉면과 구동 배선(DR) 및 센서 배선(SN)의 거리가 가까워졌다는 것이 된다. 이것은 터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 2에 의한 인-셀 터치 패널 구조는 잡음을 억제하고, 터치 감도를 더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S, SUB: 기판 TFT: 박막트랜지스터
G: 게이트 전극 S: 소스 전극
D: 드레인 전극 A: 반도체 층
GI: 게이트 절연막 PAS: 보호막
B: 뱅크 ANO: 애노드 전극
OLE: 유기발광물질 CAT: 캐소드 전극
OLED: 유기발광다이오드 R: 라우팅부
B: 연결부 DR: 구동 배선
SN: 센서 배선 PAS1: 제1 절연막
PAS2: 제2 절연막 PAS3: 제3 절연막
CH: 콘택홀 Ag: 은 점
POL: 편광판 RG: 강화 유리
THL: 박형화 레벨선

Claims (4)

  1. 투명 기판;
    상기 기판의 내측 표면 위에 도전물질로 형성된 라우팅부;
    상기 라우팅부가 둘러싼 상기 기판의 안쪽 표면에 형성된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센서 배선;
    상기 센서 배선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배열된 구동 배선;
    상기 센서 배선과 상기 구동 배선을 덮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위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배선을 제2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가 형성된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은 유전율이 3F/m 이하인 유전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을 패턴하여 상기 라우팅부의 외측 단부를 노출하는 콘택홀; 그리고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라우팅부와 접촉하는 외부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외측 표면 위에 면 접착하는 편광판; 그리고
    상기 편광판 위에 면 접착하는 강화 유리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KR1020100104601A 2010-10-26 2010-10-26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KR10132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01A KR101320109B1 (ko) 2010-10-26 2010-10-26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US13/243,339 US8530766B2 (en) 2010-10-26 2011-09-23 In-cell touch panel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CN201110334990.9A CN102455824B (zh) 2010-10-26 2011-10-26 用于平板显示装置的内嵌式触摸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01A KR101320109B1 (ko) 2010-10-26 2010-10-26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344A true KR20120043344A (ko) 2012-05-04
KR101320109B1 KR101320109B1 (ko) 2013-10-18

Family

ID=4597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601A KR101320109B1 (ko) 2010-10-26 2010-10-26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30766B2 (ko)
KR (1) KR101320109B1 (ko)
CN (1) CN1024558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780A (ko) * 2014-08-20 2016-03-02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4642B (zh) * 2012-04-27 2014-12-11 Orise Technology Co Ltd 內嵌式多點觸控液晶顯示面板系統
TWI463374B (zh) * 2012-06-07 2014-12-01 Mstar Semiconductor Inc 觸控面板
CN103943061B (zh) * 2013-12-11 2016-08-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内置触控结构的oled显示装置
CN104465703B (zh) * 2014-11-21 2019-02-1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KR101728793B1 (ko) * 2014-12-31 2017-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727108B1 (ko) * 2014-12-31 2017-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2362188B1 (ko) 2015-01-28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5242808B (zh) * 2015-10-20 2018-11-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装置
KR102543487B1 (ko) 2015-12-28 2023-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자기 정전 용량형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TWI563652B (en) 2016-02-26 2016-12-21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111221437B (zh) * 2020-01-03 2023-05-2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0594B2 (en) * 2000-09-08 2011-02-0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witch assembl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ular components
JP4429083B2 (ja) 2004-06-03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遮光型座標入力装置及びその座標入力方法
US7400585B2 (en) 2004-09-23 2008-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al interconnect utilization in a data processing network
KR20070102161A (ko) * 2006-04-14 200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US8373664B2 (en) * 2006-12-18 2013-02-1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Two circuit board touch-sensor device
KR101407301B1 (ko) * 2007-12-03 2014-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표시장치
US8576193B2 (en) * 2008-04-25 2013-11-05 Apple Inc. Brick layout and stackup for a touch screen
US8508495B2 (en) * 2008-07-03 2013-08-13 Apple Inc. Display with dual-function capacitive elements
US8629842B2 (en) * 2008-07-11 2014-01-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780A (ko) * 2014-08-20 2016-03-02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55824B (zh) 2014-07-09
US8530766B2 (en) 2013-09-10
KR101320109B1 (ko) 2013-10-18
CN102455824A (zh) 2012-05-16
US20120097512A1 (en)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109B1 (ko) 평판 표시장치용 인-셀 터치 패널
KR101322981B1 (ko) 터치 소자를 구비한 표시장치
US1073274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KR101295536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8501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44915A (ko) 표시 장치
KR102401080B1 (ko) 표시 장치
US20130194204A1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TWI460639B (zh) 影像顯示系統
KR20150068067A (ko) 표시 장치
WO2018059111A1 (zh) 触控基板及触控显示装置
KR20150078337A (ko) 터치패널과 그 제조 방법
KR102649110B1 (ko) 터치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9470A (ko) 터치 타입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JP620073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346998A (zh) 觸控顯示面板
US20220028933A1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TWI652616B (zh) Display device
WO2022001340A1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120066542A (ko) 터치방식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0473897B (zh) 一种内嵌式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01819494B (zh) 影像显示系统
EP4160367A1 (en) 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5219654A (ja) 表示装置
KR102422926B1 (ko) 표시장치와 그 패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