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607A -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607A
KR20120042607A KR1020110031105A KR20110031105A KR20120042607A KR 20120042607 A KR20120042607 A KR 20120042607A KR 1020110031105 A KR1020110031105 A KR 1020110031105A KR 20110031105 A KR20110031105 A KR 20110031105A KR 20120042607 A KR20120042607 A KR 20120042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information
aed
measurement sensor
measurem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학록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3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2607A/ko
Publication of KR2012004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1Emergency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체에 부착된 측정센서에서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함으로써,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F REMOTE DIAGNOSTIC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원격에 위치한 대상체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이 사회적인 이슈가 되면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그러나, 심장질환과 같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질병에 대해서는 개인의 노력만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부족하다. 심장질환의 대표적인 것이 심근경색으로, 일단, 심근경색이 생기면, 암 등 기타 질병과 달리 산소 부족으로 뇌 손상되는 5분 이내에 기초적인 심폐소생술과 전기쇼크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회복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가족, 목격자, 구급대원 등의 교육/인식 부족으로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이뤄지는 경우가 매우 낮으며, 이 때문에 살 수 있는 환자들이 허망한 죽음을 맞거나, 살더라도 뇌 손상 등 심각한 후유증에 시달리게 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비만, 고지혈증 인구 증가로 심장병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어, 그 만큼 심장마비 위험이 잠재된 응급 심장병 환자도 급속히 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의료기기인 자동제세동기를 공공장소에 비치해 두어, 응급 상황 발생시 누구나 손쉽게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아직도 자동제세동기의 위치를 잘 모르며, 심장질환은 환자 및 환자의 주변인들이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게 대부분이라, 갑자기 심장질환이 발생할 경우 주변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자동제세동기로 응급 조치하거나, 119와 같은 응급 기관에 구조 요청을 하게 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손쉽게 응급 처치하거나, 심장질환이 발생하였을 경우, 응급 기관에 신속히 구조 요청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상체에 부착된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함으로써,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와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측정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분석하고, 분석된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의 모드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를 절전모드 또는 동작모드로 변경시켜 상기 측정센서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동제세동기의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상체가 위험상태로 진단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을 알림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에게 신속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는 대상체에 부착되고,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측정센서,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프로세서,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진단 프로세서, 및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신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PLC)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단 프로세서는 상기 분석된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의 모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진단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절전모드인 경우,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동작모드인 경우,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단 프로세서는 상기 1차 활동 변화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통신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측정센서로 모드 변경을 명령하고, 상기 2차 심전도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가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대상체를 위험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진단된 결과 상기 대상체가 위험상태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을 알림하거나, 또는 응급 기관으로 상기 대상체의 응급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경고음이 출력된 후,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는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은 대상체에 부착된 측정센서에서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에 부착된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함으로써,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와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측정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분석하고, 분석된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의 모드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를 절전모드 또는 동작모드로 변경시켜 상기 측정센서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제세동기의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가 위험상태로 진단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상기 대상체의 이상을 알림하고,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에게 신속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측정센서로부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측정센서(110, electrocardiogram sensors)는 대상체(150)에 부착되어, 대상체(150)의 활동 변화 또는 심전도(Electrocardiogram)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측정센서(110)는 원격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며, 대상체(150)에 밀착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측정센서(110)가 본체(10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전력을 충전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본체(100)와 분리되어 원격에 위치한 대상체(1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측정센서(110)와 본체(100)를 합쳐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로 해석할 수 있다. 대상체(150, object)는 사람의 신체일 수 있으며, 측정센서(110)가 대상체(150)에 부착되는 위치는 사람의 신장 근처 또는 하위 부위일 수 있다.
실시예로, 측정센서(110)는 모드에 따라 상이한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센서(110)는 절전모드인 경우,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동작모드인 경우,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센서(110)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본체(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측정센서(110)는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본체(100)로 전송한다. 이때, 측정센서(110)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측정센서(110)가 AP1(Access Point, 120, 이하 'AP'라 함)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면, AP1(120)이 AP2(130)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결국 AP2(130)가 본체(100)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측정센서(110)는 휴대 단말(도시하지 않음)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전송된 측정정보를 본체(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또는 대상체(150)와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서, 예컨대, 대상체(150)가 사람인 경우,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가족(부모, 형제, 자매)의 휴대 단말 또는 의료원(의사, 간호사)의 휴대 단말일 수 있다.
본체(100)는 측정센서(110)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체(150)를 진단한다. 실시예로, 자동제세동기(100)는 1차 활동 변화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측정센서(110)로 모드 변경을 명령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센서(110)는 절전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모드를 변경한 후, 대상체(150)에 대한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센서(110)는 상기 측정된 2차 심전도를 측정정보로서 본체(100)로 전송한다.
본체(100)는 상기 2차 심전도 측정을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가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대상체(150)를 위험상태로 진단한다.
이후, 본체(100)는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상기 진단된 결과 대상체(150)가 위험상태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대상체(150)의 이상을 알림하고, 응급 기관(140)으로 대상체(150)의 응급 조치를 요청한다.
이때, 본체(100)는 현재위치를 응급 기관(140)으로 알려줌으로써, 응급 기관(140)에서 대상체(150)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여, 대상체(150)로 구급차를 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로, 본체(100)는 상기 경고음이 출력된 후,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한다. 즉, 대상체(150)의 주변인이 상기 경고음 출력을 정지시킨 경우, 본체(100)는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함으로써, 주변인이 대상체(150)에게 응급 처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체(100)는 자체적으로 현재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한다. 즉, 본체(100)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력선으로부터 교류 전원(Alternating Current)을 공급받음으로써, 자체적으로 전력을 충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200, 이하, '자동제세동기'라 함)는 통신 프로세서(210), 진단 프로세서(220), 컨트롤러(230), 스피커(240), 전원부(250), 및 측정센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센서(260)는 대상체(150)에 부착되고, 대상체(150)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측정센서(260)는 원격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며, 대상체(150)에 밀착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측정센서(260)가 자동제세동기(20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전력을 충전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동제세동기(200)와 분리되어 대상체(150)에 부착될 수 있다. 대상체(150)는 사람의 신체일 수 있으며, 측정센서(260)가 대상체(150)에 부착되는 위치는 사람의 신장 근처 또는 하위 부위일 수 있다. 측정센서(260)는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통신 프로세서(210)로 전송한다.
통신 프로세서(210)는 측정센서(260)로부터 측정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 프로세서(210)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먼저, 무선 통신 방식(wireless communication)은 전선을 통하지 않고 전파를 통하여 신호, 부호, 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를 교신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무선 통신 방식은 종류에 따라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이 있다. 따라서, 통신 프로세서(210)는 실시예에 따라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원격에 위치한 측정센서(260)로부터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력선 통신 방식은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해서 음성, 문자 데이터, 영상 등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예컨대, 전화선 없이 전기 플러그만 꽂으면 초고속 인터넷 통신은 물론 인터넷전화(VoIP), 홈네트워킹, 홈오토메이션, 원격검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통신 프로세서(210)는 측정센서(260)와 근거리에 위치한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210)가 측정센서(260)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기 어려운 경우, 중간에 엑세스 포인트를 둘 수 있다. 실시예로, 엑세스 포인트는 측정센서(260)와 근거리에 위치한 AP1(120)과 자동제세동기(200)와 근거리에 위치한 AP2(130)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측정센서(260)가 AP1(120)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면, AP1(120)이 AP2(130)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결국 AP2(130)가 자동제세동기(200)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측정센서로부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측정센서(311)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측정정보를 자동제세동기(312)로 전송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310).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정의 안방에 자동제세동기(312)를 설치하고, 측정센서(311)를 부착한 대상체가 작은방에 있는 경우, 측정센서(311)는 측정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자동제세동기(312)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측정센서(321)가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측정정보를 자동제세동기(324)로 전송하는 일례에 관한 것이다(320). 자동제세동기(324)는 플러그(325)에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전력선 통신의 경우, 측정센서(321)와 근거리에 위치한 AP1(322)과 자동제세동기(324)와 근거리에 위치한 AP2(323)가 설치될 수 있다. 측정센서(321)가 AP1(322)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면, AP1(322)이 AP2(323)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결국 AP2(323)가 상기 측정정보를 모두 수집하여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자동제세동기(324)로 상기 측정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통신 프로세서(210)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대신, 측정센서(260)와 근거리에 위치한 휴대 단말을 통해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또는 대상체(150)와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서, 예컨대, 대상체(150)가 사람인 경우,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가족(부모, 형제, 자매)의 휴대 단말 또는 의료원(의사, 간호사)의 휴대 단말일 수 있다.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체(150)를 진단한다. 이때,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분석된 대상체(150)의 상태에 따라 측정센서(260)의 모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측정센서(260)는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절전모드인 경우,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절전모드는 동작모드에 비해 측정센서(260)의 배터리를 적게 쓰게 된다. 1차 활동 변화는 대상체(150)의 움직임 또는 호흡 등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측정센서(260)는 일정시간동안 대상체(150)의 움직임이 작거나, 호흡이 적어지는 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측정정보를 통신 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1차 활동 변화를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차 이상징후는 움직임이 정상적일 때, 100인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이 일정 시간 동안 50 미만'이거나, 호흡이 정상적일 때, 1분에 50회인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호흡이 1분에 20회 미만'인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상기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모드 변경을 명령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프로세서(210)는 모드 변경에 대한 명령을 전력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측정센서(260)로 전송한다.
측정센서(260)는 상기 모드 변경에 대한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모드를 절전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측정센서(260)는 동작모드인 경우, 2차 심전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2차 심전도(electrocardiogram)는 대상체(150)의 심장이 주기적 운동시, 심근에 의해 발생하는 활동전위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측정센서(260)는 대상체(150)의 심장 쪽에 부착되어, 대상체(150)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센서(260)는 상기 측정된 2차 심전도를 측정정보로서 통신 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2차 심전도 측정을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가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차 이상징후는 심전도가 정상적일 때, 80~100의 경우와 비교하여 '80 미만이거나, 100을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진단 프로세서(220)는 상기 2차 심전도가 상기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대상체(150)를 위험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한다. 예컨대, 컨트롤러(230)는 상기 진단된 결과 상기 대상체가 위험상태인 경우, 스피커(24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대상체(150)의 이상을 알림하거나, 또는 응급 기관(140)으로 대상체(150)의 응급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스피커(240)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은, 대상체(150)의 주변인에게 대상체(150)가 위험상태에 있음을 알려, 주변인이 자동제세동기(200)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변인은 경고음이 출력되는 장소에 설치된 자동제세동기(200)를 가져와서 대상체(150)에게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230)는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스피커(240)를 통해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한다. 상기 경고음이 주변인에 의해 정지되는 경우, 컨트롤러(230)는 스피커(240)를 통해 자동제세동기(200)의 사용법을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주변인이 음성으로 안내되는 자동제세동기(200)의 사용법에 따라 대상체(150)에게 응급 처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실시예로, 전원부(250)는 자동제세동기(200)의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하고,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한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선 통신을 위해,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부(250)는 주기적으로 자동제세동기(200)의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함으로써, 충전이 필요할 때 전력선으로부터 자동제세동기(200)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주기적으로 전력을 확인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 없이, 전력선을 통해 필요한 전력을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동작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 41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대상체(150)에 부착된 측정센서(260)에서 상기 대상체를 감지하여 측정정보를 생성한다. 대상체(150)는 사람의 신체일 수 있으며, 측정센서(110)가 대상체(150)에 부착되는 위치는 사람의 신장 근처 또는 하위 부위일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측정센서(260)로부터 상기 생성된 측정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측정정보는 1차 활동 변화 또는 2차 심전도일 수 있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자동제세동기(200)는 대상체(150)의 휴대 단말 또는 대상체(150)와 연관된 가족 또는 의료원의 휴대 단말을 통해 측정센서(260)에서 측정한 상기 측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수신된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체(150)를 진단한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측정정보로서 1차 활동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1차 활동 변화가 기선정된 1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측정센서(260)로 모드 변경을 명령할 수 있다. 측정센서(260)가 1차 활동 변화를 측정하는 모드는 '절전모드'로서, 동작모드에 비해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측정센서(260)는 상기 모드 변경에 대한 명령에 따라, 절전모드에서 동작모드로 모드를 변경한 후, 2차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센서(260)는 상기 측정된 2차 심전도를 측정정보로서 자동제세동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2차 심전도 측정을 상기 측정정보로서 분석하여 상기 2차 심전도 측정이 기선정된 2차 이상징후에 해당하는 경우, 대상체(150)를 위험상태로 진단한다.
단계 44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진단된 결과에 따라 대상체(150)에 관한 응급 조치를 처리한다. 실시예로, 자동제세동기(200)는 상기 진단된 결과 대상체(150)가 위험상태인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여 대상체(150)의 이상을 알림하거나, 또는 응급 기관(140)으로 대상체(150)의 응급 조치를 요청한다.
따라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외부로 대상체(150)의 위험을 알려, 대상체(150)가 응급 조치받도록 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고음이 출력된 후,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경고음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자동제세동기(200)는 응급처치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한다.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자동제세동기(200)에 전력 충전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주기적으로 전력이 기준치 이하인지 확인함으로써, 방전되기 전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전력이 상기 기준치 이하인 경우, 단계 460에서,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충전한다. 자동제세동기(200)는 전력선 통신을 위해,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제세동기(200)는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 없이, 전력선을 통해 필요한 전력을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
110: 측정센서
120, AP1
130: AP2
140: 응급 기관

Claims (1)

  1. 대상체에 부착된 측정 센서와 무선 통신하는 자동제세동기의 본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측정센서는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를 통해 무선 통신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대상체를 감지한 측정센서로부터, 전력선 통신(PLC) 방식으로 측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프로세서;
    상기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체를 진단하는 진단 프로세서; 및
    상기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이용되는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의 본체.
KR1020110031105A 2011-04-05 2011-04-05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42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105A KR20120042607A (ko) 2011-04-05 2011-04-05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105A KR20120042607A (ko) 2011-04-05 2011-04-05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447A Division KR101044736B1 (ko) 2010-10-22 2010-10-22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607A true KR20120042607A (ko) 2012-05-03

Family

ID=4626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105A KR20120042607A (ko) 2011-04-05 2011-04-05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26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01B1 (ko) * 2014-03-04 2014-07-17 (주)누스코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KR20190031797A (ko) 2017-09-18 2019-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제세동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01B1 (ko) * 2014-03-04 2014-07-17 (주)누스코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KR20190031797A (ko) 2017-09-18 2019-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제세동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5621B2 (ja) 救命救急補助システムとその方法と救命救急補助装置
TWI458466B (zh) 睡眠管理系統以及睡眠計
US10051410B2 (en) Assist device and system
RU2454924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жизненно важных показателей здоровья пациента
US9913991B2 (en) Defibrillation apparatus for wireless data exchange with a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US10945699B2 (en) Respiratory sound analysis for lung health assessment
US20140135591A1 (en) Footwear capable of being wirelessly charged and transmitting biological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heal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footwea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WO2017031936A1 (zh) 健康监护电视
RU101347U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жизненно важных показателей здоровья и оказания экстренной помощи пациенту
MXPA06011955A (es) Sistema, metodo y dispositivo de manejo de evento fisiologico; dispositivo de monitoreo y producto de programa.
JP201225412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6110505A (zh) 控制器和使用其控制除颤的贴片型自动体外除颤器
WO2018182956A1 (en) Wireless cardiac sensor
KR101044736B1 (ko)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28348A (ko) 신체 영역 네트워크의 언락
CN104095624A (zh) 一种血压计及其监护系统
KR20120042607A (ko)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80310847A1 (en) Wearable monitoring device
KR20150143314A (ko) 응급 의료 카운셀링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9939A (ko) 스마트 케어 로봇
WO2018096634A1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318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notifications based on bladder volume signals and bladder muscle signals
US20190147140A1 (en) Intermediate power supply with sen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622762B1 (ko)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WO2022002636A1 (en) Medical system comprising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on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