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001B1 -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001B1
KR101421001B1 KR1020140025492A KR20140025492A KR101421001B1 KR 101421001 B1 KR101421001 B1 KR 101421001B1 KR 1020140025492 A KR1020140025492 A KR 1020140025492A KR 20140025492 A KR20140025492 A KR 20140025492A KR 101421001 B1 KR101421001 B1 KR 10142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terminal
unit
signal
portable defibr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우
김성현
전일현
Original Assignee
(주)누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스코 filed Critical (주)누스코
Priority to KR102014002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001B1/ko
Priority to EP15153628.1A priority patent/EP2915561A1/en
Priority to US14/612,589 priority patent/US2015025101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87Heart defibrillators characterised by the timing or triggering of the sh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Abstract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는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을 개시하거나, 충전된 전기를 출력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PORTABLE DEFIBRILLATION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미국공개특허 제2005/0085861호
2)한국공개특허 제2010-0042676호
3)한국공개특허 제2013-0056716호
의료기술의 발달로 현대인의 수명은 길어졌으나, 돌연사에 의한 사망률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이러한 돌연사의 원인 중 상당 부분은 심근경색 또는 심장마비와 같은 심장질환에 관한 것이다.
심장마비는 심장 정지 후 수 분 이내에 기초적인 심폐소생술과 전기 충격을 받으면 대부분 회복될 수 있다. 그러나, 심장마비와 같은 심장질환은 환자나 주변사람들이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더욱이 일반인이 심장에 전기 충격을 주는 제세동 장치를 휴대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응급상황에서 누구나 이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한 제세동 장치의 필요성이 야기된다.
일 측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는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전극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1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기가 출력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부를 통해 감지되는 생체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의 출력 및 상기 사용자가 착용 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는 상기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잔여량,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출력 특성, 상기 전원부의 잔여량, 및 상기 전원부의 출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1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2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3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 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이동 단말은 휴대용 제세동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착용 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에 포함된 전극 패드들이 사용자에게 부착되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 패드들이 상기 사용자에게 부착되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에 포함된 전극 패드들에 의해 감지되는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타이밍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잔여량,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출력 특성,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의 잔여량, 및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의 출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를 충전하는 방식은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1 충전 방식;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2 충전 방식;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 및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3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는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전극부; 상기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잔여량,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출력 특성, 상기 전원부의 잔여량, 및 상기 전원부의 출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1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2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3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기가 출력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은 휴대용 제세동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충전 방식들은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1 충전 방식;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2 충전 방식;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 및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3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잔여량,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출력 특성,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의 잔여량, 및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의 출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충전하는 전원 공급원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단말(110)과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가 연동됨으로써 심장 질환이 있는 사용자에게 자동 제세동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11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핸드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도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사용자의 핸드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연동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을 출력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110) 및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를 함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이동 단말(110)과 물리적으로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통신부(121), 제어부(122), 충전부(123), 및 전극부(124)를 포함한다. 통신부(121)는 이동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1)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이동 단말(110)의 제조공정에서 기본적으로 탑재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의 규격에 따라 이동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다.
충전부(123)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123)는 전극부(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부(123)는 제어부(122)의 제어를 받아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를 전극부(124)로 출력할 수 있다. 충전부(123)는 충방전 회로 및 안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충방전 회로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방전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안전 회로는 충방전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전 및/또는 충방전 회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극부(124)는 충전부(123)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할 수 있다. 전극부(124)는 사용자에게 부착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예를 들어 전극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124)는 이어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폰은 제세동을 위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어폰은 사용자에게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 장치 또는 부착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통신부(121)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이동 단말(110)에 의하여 생성되고,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제어 신호를 통하여 이동 단말(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제1 신호 및 충전된 전기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제1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이 개시되도록 충전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신호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는 이동 단말(1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110)은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지 않고 자동으로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동 단말(110)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쓰러지는 것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110)은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실제로 출력될지 여부와 무관하게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미리 충전함으로써, 실제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출력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는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된 전기가 출력되도록 충전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신호는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는 이동 단말(1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110)은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되면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동 단말(110)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극부(124)에 포함된 전극 패드들이 사용자에게 부착되었는지 여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충전부(123)에서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10)은 제어부(111) 및 통신부(112)를 포함한다. 통신부(112)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2)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2)는 이동 단말(110)의 제조 공정에서 기본적으로 탑재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의 규격에 따라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1)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생성된 제1 신호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제어부(111)는 가속도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쓰러지는 것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1)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는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생성된 제2 신호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제어부(111)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극부(124)에 포함된 전극 패드들이 사용자에게 부착되었는지 여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충전부(123)에서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10)은 가속도 센서(113)를 더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113)는 이동 단말(11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가속도 센서(113)의 출력을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10)을 소지한 사용자가 심장 질환 등으로 인하여 쓰러지는 경우, 제어부(111)는 가속도 센서(113)의 출력이 이동 단말(110)을 소지한 사용자가 쓰러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가속도 센서(113)의 출력이 이동 단말(110)을 소지한 사용자가 쓰러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신호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맞춤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1)는 평상 시 사용자의 행동에 의한 가속도 정보와 가속도 센서(113)의 출력을 비교함으로써, 가속도 센서(113)의 출력이 이동 단말(110)을 소지한 사용자가 쓰러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인 것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1)는 평상 시 사용자의 행동에 의한 가속도 정보를 미리 구비된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는 평상 시 사용자의 행동에 의한 가속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하, 미리 구비된 저장 장치는 이동 단말(110)에 포함된 메모리, 휴대용 제세동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11)는 사용자가 설정한 옵션에 대응하는 임계값과 가속도 센서(113)의 출력을 비교함으로써, 가속도 센서(113)의 출력이 이동 단말(110)을 소지한 사용자가 쓰러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인 것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1)는 미리 구비된 저장 장치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옵션에 대응하는 임계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10)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에 의해 감지되는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극부(124)에 포함된 전극 패드들을 부착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2)는 전극부(124)를 통하여 수신되는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가 이동 단말(11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는 감지된 생체 신호 자체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감지된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포맷으로 변형된 신호일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의 통신부(112)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111)는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서 부정맥 등 이상 상태를 감지하거나, 이상 상태가 발생된 개연성이 높은 증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1)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11)는 제1 신호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맞춤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1)는 평상 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와 현재 감지된 생체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감지된 생체 신호가 사용자의 이상 상태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인 것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1)는 평상 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미리 구비된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는 평상 시 사용자의 행동에 의한 가속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10)은 네트워크 통신부(114)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통신부(114)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4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114)는 유선 랜 네트워크 등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무선 랜 네트워크 등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41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가 서버(410)로 전송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서 부정맥 등 이상 상태를 감지하거나, 이상 상태가 발생된 개연성이 높은 증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410)는 제1 응답 신호를 이동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410)는 제2 응답 신호를 이동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410)는 사용자의 맞춤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410)는 평상 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와 현재 감지된 생체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감지된 생체 신호가 사용자의 이상 상태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인 것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410)는 평상 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410)는 평상 시 사용자의 행동에 의한 가속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네트워크 통신부(114)를 통하여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1)는 제1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1)는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1)는 네트워크 통신부(114)를 통하여 수신되는 응답 신호가 제1 응답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수신된 응답 신호가 제1 응답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11)는 생성된 제1 신호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10)은 수신부(115)를 더 포함한다. 수신부(115)는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5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15)는 블루투스TM 통신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51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510)에 의해 감지되는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510)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장치로, 예를 들어 안경, 시계, 액세서리, 이어폰, 헤드폰, 모자, 헬멧, 조끼, 벨트, 목도리, 신발, 상의, 하의, 내의, 외투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510)를 착용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510)는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는 감지된 생체 신호 자체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감지된 생체 신호가 미리 정해진 포맷으로 변형된 신호일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의 수신부(115)는 웨어러블 디바이스(51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111)는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서 부정맥 등 이상 상태를 감지하거나, 이상 상태가 발생된 개연성이 높은 증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1)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11)는 제1 신호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사용자의 맞춤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1)는 평상 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와 현재 감지된 생체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감지된 생체 신호가 사용자의 이상 상태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인 것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1)는 평상 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미리 구비된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는 평상 시 사용자의 행동에 의한 가속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10)은 네트워크 통신부(114)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통신부(114)는 유선 랜 네트워크 등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무선 랜 네트워크 등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41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510)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가 서버(410)로 전송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410)는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1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서 부정맥 등 이상 상태를 감지하거나, 이상 상태가 발생된 개연성이 높은 증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410)는 제1 응답 신호를 이동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410)는 제2 응답 신호를 이동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410)는 사용자의 맞춤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410)는 평상 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와 현재 감지된 생체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감지된 생체 신호가 사용자의 이상 상태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인 것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410)는 평상 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410)는 평상 시 사용자의 행동에 의한 가속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네트워크 통신부(114)를 통하여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1)는 제1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1)는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1)는 네트워크 통신부(114)를 통하여 수신되는 응답 신호가 제1 응답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 뒤, 수신된 응답 신호가 제1 응답 신호인 경우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11)는 생성된 제1 신호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10)은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극부(124)에 포함된 전극 패드가 사용자에게 부착되는 조건,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충전부(123)에서 충전이 완료되는 조건, 사용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는 타이밍을 만족하는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주변 사람의 안전을 위하여 사용자와 접촉하고 있는 다른 사람이 없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은 단일 조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둘 이상의 조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전극부(124)에 포함된 전극 패드들이 사용자에게 성공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전극부(124)로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극 패드들이 사용자에게 성공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동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전극부(124)로 수신되는 신호를 이동 단말(110)로 제공함으로써, 이동 단말(110)에서 전극 패드들이 사용자에게 성공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전극부(124)로 수신되는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110)로 제공하고, 이동 단말(110)은 전기 충격을 위한 타이밍을 계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하는 적절한 타이밍을 계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계산된 타이밍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신호를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부(123)에 충전된 전기를 전극부(12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110)은 계산된 타이밍 정보가 포함된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신호를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제2 신호에 포함된 타이밍 정보에 대응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충전부(123)에 충전된 전기를 전극부(12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충전부(123)에서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충전부(123)에 충전된 전기의 양을 이용하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동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충전부(123)에 충전된 전기의 양을 이동 단말(110)로 제공함으로써, 이동 단말(110)에서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신호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충전하는 전원 공급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충전부(123)는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부(123)는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을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전원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부(123)는 전원부(125)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충전부(123)는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전원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부(123)는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 및 전원부(125)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충전 방식들은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을 이용하는 제1 충전 방식,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원부(125)를 이용하는 제2 충전 방식, 및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과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원부(125)를 함께 이용하는 제3 충전 방식을 제3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의 잔여량,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의 출력 특성,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원부(125)의 잔여량, 및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원부(125)의 출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이 선택되는 시나리오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단말(110)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원부(125)를 이용하는 제2 충전 방식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원부(125)의 잔여량과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원부(125)의 잔여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원부(125)의 잔여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1 충전 방식 또는 제3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주기적으로 전원부(125)의 잔여량을 검사함으로써 선택된 충전 방식을 갱신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110)은 전원부(125)의 출력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원부(125)의 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원부(125)의 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1 충전 방식 또는 제3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주기적으로 전원부(125)의 출력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선택된 충전 방식을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110)은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을 이용하는 제1 충전 방식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원(116)의 잔여량과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원(116)의 잔여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1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원(116)의 잔여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2 충전 방식 또는 제3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주기적으로 전원(116)의 잔여량을 검사함으로써 선택된 충전 방식을 갱신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110)은 전원(116)의 출력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전원(116)의 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1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6)은 전원부(116)의 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2 충전 방식 또는 제3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주기적으로 전원(116)의 출력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선택된 충전 방식을 갱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110)은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가장 빠르게 충전하는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의 잔여량 및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전원부(125)의 잔여량에 기초하여 각 충전 방식에 의한 충전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110)은 미리 저장된 전원(116)의 출력 특성 및 미리 저장된 전원부(125)의 출력 특성에 더 기초하여 각 충전 방식에 의한 충전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110)은 전원(116)의 출력 특성 및 전원부(125)의 출력 특성을 평가하고, 평가된 전원(116)의 출력 특성 및 평가된 전원부(125)의 출력 특성에 더 기초하여 각 충전 방식에 의한 충전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가장 적은 충전 시간이 걸리는 충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는 선택된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정보를 제1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이동 단말(110)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지시하는 충전 방식에 따라 충전부(123)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의 제어부(122)는 제1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이 개시되도록 충전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2)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지시하는 충전 방식이 제1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충전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지시하는 충전 방식이 제2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전원부(125)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충전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지시하는 충전 방식이 제3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전원부(125) 및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충전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에 전원부(125)가 포함되는 경우, 전원부(125)는 이동 단말(110)을 위한 보조 배터리로 이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의 전원(116)의 잔여량이 부족한 경우, 전원부(125)는 이동 단말(11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10)과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에 포함된 결합부(117)와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에 포함된 결합부(126)는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17)와 결합부(126)는 외형적 구조, 자성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통하여 설명된 실시예들 각각은 예시적인 사항에 해당하고, 실시예들은 다양하게 조합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가 조합됨으로써, 이동 단말(110)은 가속도 센서(113)의 출력과 웨어러블 디바이스(510)의 출력을 함께 이용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들은 이 밖에도 다양한 조합들로 응용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10)은 출력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19)는 사용자의 주변 사람들에게 긴급 상황을 알리거나 제세동 절차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출력부(119)는 응급 센터에 긴급 상황을 알리는 긴급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입력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8)는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출력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28)는 사용자의 주변 사람들에게 긴급 상황을 알리거나 제세동 절차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출력부(119)는 응급 센터에 긴급 상황을 알리는 긴급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제세동 장치(120)는 입력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7)는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110),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1120),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130) 및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1140)를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1210) 및 선택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1220)를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는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0)

  1.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전극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1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기가 출력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 단말과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생성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부를 통해 감지되는 생체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3.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전극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1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기가 출력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생성되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의 출력 및 사용자가 착용 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4.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전극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1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기가 출력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생성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를 충전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잔여량,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출력 특성, 상기 전원부의 잔여량, 및 상기 전원부의 출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여 생성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1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2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3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9. 삭제
  10. 휴대용 제세동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충전 개시를 지시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충전된 전기의 출력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 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단말.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단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에 포함된 전극 패드들이 사용자에게 부착되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 패드들이 상기 사용자에게 부착되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단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에 포함된 전극 패드들에 의해 감지되는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타이밍을 계산하는, 이동 단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잔여량,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출력 특성,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의 잔여량, 및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의 출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이동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를 충전하는 방식은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1 충전 방식;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2 충전 방식;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 및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3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20.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제세동을 위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기를 출력하는 전극부;
    상기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반응하여 충전이 개시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2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충전된 전기가 출력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잔여량,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출력 특성, 상기 전원부의 잔여량, 및 상기 전원부의 출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1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2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를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제3 충전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기가 충전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휴대용 제세동 장치.
  23. 삭제
  24.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휴대용 제세동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충전 개시를 지시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충전 방식들은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1 충전 방식;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2 충전 방식;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 및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는 제3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잔여량, 상기 이동 단말의 전원의 출력 특성,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의 잔여량, 및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의 전원의 출력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이동 단말.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충전된 전기의 출력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제세동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
  28.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세동을 위한 전기 충격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기 충격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충전 개시를 지시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충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따라 충전된 전기의 출력을 지시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29. 휴대용 제세동 장치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충전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충전 개시를 지시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30. 제28항 내지 제29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25492A 2014-03-04 2014-03-04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KR101421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492A KR101421001B1 (ko) 2014-03-04 2014-03-04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EP15153628.1A EP2915561A1 (en) 2014-03-04 2015-02-03 Portable defibrillation device,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US14/612,589 US20150251013A1 (en) 2014-03-04 2015-02-03 Portable defibrillation device,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492A KR101421001B1 (ko) 2014-03-04 2014-03-04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001B1 true KR101421001B1 (ko) 2014-07-17

Family

ID=5174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492A KR101421001B1 (ko) 2014-03-04 2014-03-04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51013A1 (ko)
EP (1) EP2915561A1 (ko)
KR (1) KR101421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7105B2 (en) 2017-10-02 2020-08-11 Avive Solutions, Inc. Modular defibrillator archite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664A (ja) 2000-12-21 2004-10-28 インシュレ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医療機器の遠隔制御装置及び方法
KR20120042607A (ko) * 2011-04-05 2012-05-03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1699A (en) * 1978-09-21 1981-09-29 Purdue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treating ventricular fibrillation
ATE387243T1 (de) * 2001-03-15 2008-03-15 Heartsine Technologies Ltd Batterieanordnung für einen automatischen externen defibrillator
US20040039420A1 (en) * 2002-08-26 2004-02-26 Medtronic Physio-Control Manufacturing Corp. Apparatus, software, and methods for cardiac pulse detection using accelerometer data
US7769465B2 (en) * 2003-06-11 2010-08-03 Matos Jeffrey A System for cardiac resuscitation
DE102005054778B4 (de) * 2005-11-15 2009-05-07 Metrax Gmbh Automatische externe Defibrillatorvorrichtung
US9427564B2 (en) * 2010-12-16 2016-08-30 Zoll Medical Corporation Water resistant wearable medical device
US8838235B2 (en) * 2012-08-10 2014-09-16 Physio-Control. Inc. Wearable defibrillator system communicating vi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2664A (ja) 2000-12-21 2004-10-28 インシュレ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医療機器の遠隔制御装置及び方法
KR20120042607A (ko) * 2011-04-05 2012-05-03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5561A1 (en) 2015-09-09
US20150251013A1 (en)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146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transfer
EP3159999B1 (en) Electronic device quick charg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102414226B1 (ko) 배터리 누설 상태에 기반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728995B2 (en) Mobile X-ray apparatus
DK2672731T3 (da) Høreinstrumentsystem med genopladeligt batteri
US11317850B2 (en) Medical device, algorithm updating method, medical system and external monitoring device
US20160112775A1 (en) Wearable sensor to monitor biosignal and method to monitor biosignal using wearable device
CN106110505B (zh) 控制器和使用其控制除颤的贴片型自动体外除颤器
CN108281998A (zh) 用于控制从电池组输出的电力的电路和电池组
TW201724690A (zh) 控制充電的方法、裝置、電源轉接器和移動終端
KR20210127748A (ko) 무선 충전 수신기 회로를 가지는 안경, 안경용 안경 케이스, 및 시스템
KR20140062890A (ko) 사용자의 상태를 관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 장치와 그 상태 관리 방법
KR102466357B1 (ko) 이물질 검출 기능이 있는 무선 전력 시스템
US10820398B2 (en) Mobile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in mobile X-ray apparatus
KR20180014628A (ko)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149828B1 (en) Battery isolation circuit
KR101421001B1 (ko) 휴대용 제세동 장치,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
KR20200059508A (ko) 압전 소자 기반의 에너지 하베스터를 포함하는 신발 및 이를 이용한 보행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22762B1 (ko)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JP2018075147A (ja) 入力システム、測定装置
CN112402796A (zh) 对心脏起搏器进行充电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220097164A (ko)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JP6477182B2 (ja) 通信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14731480A (zh) 操作具有可充电电池的助听器的方法
CN108432218A (zh) 一种终端解锁的方法、装置、终端及手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