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831A - Double boiler having detachable inner oven - Google Patents
Double boiler having detachable inner ov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1831A KR20120041831A KR1020100083689A KR20100083689A KR20120041831A KR 20120041831 A KR20120041831 A KR 20120041831A KR 1020100083689 A KR1020100083689 A KR 1020100083689A KR 20100083689 A KR20100083689 A KR 20100083689A KR 20120041831 A KR20120041831 A KR 201200418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pot
- water heater
- main body
- container
- se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에서 착탈되는 내솥을 구비하여, 청소시 내솥을 이탈시켜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가열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된 중탕 용기부로 이루어진 중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착탈되게 설치되고, 물을 수용하도록 하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탕 용기부가 안착되도록 내측면에 안착부가 형성된 내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heater having an inner pot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nd having a detachable inner pot which can be easily cleaned by leaving the inner pot during clean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heater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formed with a heat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ortion to form a sealed space portion and a bath container portion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the water heater being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portion, Recess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o accommodate th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n inner po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be seated so that the bath container portion is se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저장되는 내솥을 본체에서 착탈되도록 구성하여 물이 직접적으로 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heater having a detachable inner pot, and more particularly, a water heater having a detachable inner pot capable of securing stability by preventing the water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main body by detaching the inner pot from which water is store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중탕은 이중가열을 정의하는 것으로, 가마솥에 물을 채우고, 깔판을 깔고 그 위에 단지를 올려놓고 단지 안에 약재나 식품을 넣은 후 단지 상단을 밀봉하여 가마솥 뚜껑을 덮은 다음, 가마솥을 가열하여 물을 끓이는데, 이때 발생한 수증기가 단지 전체를 가열하여 단지 내의 약재나 식품을 달이는 과정을 일컫는다. In general, the bath is defined as double heating, filling the cauldron with water, placing a pallet and placing the jar on it, putting herbs or food in the jar, sealing the top of the jar, covering the lid of the cauldron, and then heating the cauldron Boiling water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the steam generated by heating the jar heats the medicine or food in the jar.
이러한 중탕은 증기에 의한 2차 가열이기 때문에 장시간 가열한다 해도 단지 내의 약재나 식품이 타지 않으며, 단지 내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단지 외부를 감싸고 있는 수증기의 온도보다 낮아 단지 내부에서 응결되므로 단지 내의 약재나 식품의 영양손실이 없이 달일 수 있다. Since the bath is secondary heating by steam, even if it is heated for a long time, no medicine or food inside the jar burns, and the water vapor generated inside the jar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vapor surrounding the outside, and condenses inside the jar. It can be a month without food loss.
이러한 특성 때문에 중탕은 오래전부터 귀한 약재나 귀한 식품을 조리하는데 적용되었으나, 그 방법이나 과정이 복잡하고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실제로 조리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Due to these characteristics, Jungtang has long been applied to cook precious medicines or precious foods, but the method or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time required is lo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oking is cumbersom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동압력 중탕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압력 중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utomatic pressure bath is disclosed.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atic pressure bath.
도 1과 같이, 종래의 자동 압력 중탕기는 가열로 형성된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하는 압력고정부(10)와, 추출하고자하는 조리대상물을 수용하는 용기(30)가 구비된 중탕용기(20)와, 가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내부수증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컨트롤부(40)와, 상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면서 전원을 인가받은 상기 가열부에 의해 내솥(51)에 담겨진 물을 가열하는 본체(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은 압력추이고, '13'은 손잡이이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automatic pressure bath is a bath with a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내솥(51)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가열부(히터)로 내솥(51)에 담겨진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하고, 이렇게 형성된 고온?고압의 수증기는 압력패킹(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중탕용기(20)를 2차 가열하면서 용기(30)에 담겨 진 조리대상물을 중탕하는 것으로 조리된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간편하게 중탕을 할 수 있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한편, 종래의 자동 압력 중탕기는 본체(50)에 내솥(51)이 고정된 구조로, 이 내솥(51)은 수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리 후에 내솥(51)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내솥(51)만 이탈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본체(50)를 대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automatic pressure water heater is a structure in which the
그러나, 본체(50)의 내부에는 컨트롤부(40)와 같은 전자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세척시나 중탕시 물이 본체(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체(50)의 내부에는 가열부나 기타 부품들이 구비되어 있어 취급하기 무거운 단점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 압력 중탕기는 본체(50)에 내솥(51)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하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th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물이 저장되는 내솥을 본체에서 착탈되도록 구성하여 물이 직접적으로 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of the inner pot is stored water to provide a hot water heater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that can ensure the stability by preventing water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main body. Its purpose is to.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열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된 중탕 용기부로 이루어진 중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착탈되게 설치되고, 물을 수용하도록 하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탕 용기부가 안착되도록 내측면에 안착부가 형성된 내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ater heater comprising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heat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ortion to form a closed space portion and a bath container portion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heater having a detachable inner pot,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has a recess formed in a lower surface to receive water, and further comprising an inner pot having a seat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so that the bath container portion is seated. .
상기 내솥은 일측이 막힌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솥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단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po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blocked, and the seating part may have a stepped portion projecting inward from the inner pot.
상기 안착부의 상기 단턱 상에는 다수의 안착패킹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seating packing may be formed 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seating part.
상기 커버부에는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주 배기부와 보조 배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탕 용기부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내부 용기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용기의 하부에는 상기 내솥의 안착부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솥의 상단 테두리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과 패킹링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내솥과 상기 커버 사이의 공간이 밀폐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The cover part is provided with a main exhaust portion and an auxiliary exhaust portion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steam to the outside, the bath container portion is composed of an outer container and an inn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a seating portion of the inner pot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and an upper edge of the inner po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through a packing ring,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cover is sealed. Can be achieved.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에서 내솥이 간편하게 착탈됨으로써 내솥에 물을 채우기 용이하고, 조리 후 내솥을 본체부에서 이탈시켜 응결물이나 고착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물이 직접 본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ot is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o easily fill the inner pot with water, and after cooking, the inner pot can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o easily remove condensation or sediment, and the water directly contacts the main body.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afety by preventing.
도 1은 종래의 자동압력 중탕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탕기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의 측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의 커버부와 내솥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atic pressure bath;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bath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water bath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and the inner pot of the water heater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탕기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의 측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heater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heater with a removable inn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는 본체부(60), 커버부(70), 중탕 용기부(80), 및 내솥(90)으로 구성된다.2 to 4, the water bath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본체부(60)는 온도나 조리시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패널(61)을 구비한다. 본체부(60)의 내부에는 가열부(66)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부(60)의 내측면에는 금속재질의 측면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부(62)의 상부 테두리에는 커버부(70)의 내주면과 체결되기 위한 고정단(63)이 형성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한편, 본체부(6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고정부(65)가 형성되는데, 이 고정부(65)는 커버부(70)의 손잡이(71) 저면에 형성된 고정 레버(미도시)와 결합되어 커버부(70)의 유동을 방지한다. Meanwhile, a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커버부(70)는 주 배기부(73)와 보조 배기부(72)를 구비한다. 주 배기부(73)는 내부 압력제거시 노브(74)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실을 한다. 또한 보조 배기부(72)는 이상입력 발생시 내부의 잔류압을 제거하는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한편, 커버부(7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71)가 형성된다. 이 손잡이(71)는 커버부(70)와 본체부(60)의 결합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으나 커버부(70)의 내주면에는 본체부(60)의 고정단(63)에 맞물리도록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중탕 용기부(80)는 도 4와 같이 외부용기(82)에 내부 용기(85)가 삽입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내부용기(85)는 외부용기(82) 내에 안착되고, 내부용기(85)의 상부로 뚜껑(81)이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를 이루게 한다. 이 뚜껑(81)에는 손잡이(83)가 구비된다. 또한 내부용기(85)의 측면과 하부면에는 다수의 통공(86)이 형성된다. 이 내부용기(85)는 조리물이 담겨 지는 용기이고, 외부용기(82)는 내부용기(85)에서 추출된 조리물의 증숙액이 저장되는 용기이다. 여기서 내부용기(85)와 외부용기(82)는 게르마늄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부용기(82)이 하부면의 가장자리에는 내솥(90)의 안착부(93, 특히 안착패킹; 92)에 안착되는 안착홈(87)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내솥(90)은 일측면이 막힌 원통형으로 하부에 물이 저장되는 오목부(9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이 내솥(90)의 내측면(91)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단턱(97)을 형성하고, 이 단턱(97)의 하부로 오목부(94)가 형성된다. 한편 내솥(90)은 본체부(60)의 가열부(66)로부터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한편, 상기 단턱(97)은 중탕 용기부(80)가 안착되는 안착부(93)로서 역할을 하는데, 이 단턱(97)에는 안착된 중탕 용기부(8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착패킹(92)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이 안착패킹(92)은 단턱(97)에 형성된 안착봉(95)에 끼워진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epped 97 serves as a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의 커버부와 내솥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내솥(90)은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70)와 밀착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솥(90)과 커버부(70)의 결합면에는 패킹링(P)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and the inner pot of the water heater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Water bath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used as follows.
우선 내솥(90)의 오목부(94)에 물을 채운 후, 본체부(60)의 내부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조리물이 담긴 중탕 용기부(80)를 내솥(90)의 안착패킹(92)에 맞춰 올려놓는다. 이어 커버부(70)와 본체부(60)를 결합시킴으로써 중탕기 내부를 밀폐시킨다. First, the
이 상태에서 조리가 시작되면 오목부(94)에 저장된 물은 본체부(60)의 가열부(66)에 의해 수증기로 변해 조리물을 중탕하게 된다. 한편, 조리 후에는 내솥(90)을 본체에서 이탈시키는 것으로 내솥(90)의 오목부(94)에 남아 있는 잔류 응결물을 외부로 쉽게 버릴 수 있다. 또한 내솥(90)이 쉽게 이탈되는 구조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내솥(90)을 청소할 수 있어 중탕기 내부의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When cooking is started in this state, the water stored i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60: 본체부 61: 제어패널
64: 바닥판 65: 고정부
70: 커버부 72: 보조 배기부
73: 주 배기부 74: 노브
80: 중탕 용기부 81: 뚜껑
82: 외부용기 83: 손잡이
85: 내부용기 86: 통공
90: 내솥 91: 내측면
92: 안착패킹 93: 안착부
94: 오목부60: main body 61: control panel
64: bottom plate 65: fixing part
70: cover portion 72: auxiliary exhaust portion
73: main exhaust 74: knob
80: hot water container portion 81: lid
82: outer container 83: handle
85: inner container 86: through hole
90: inner pot 91: inner side
92: seating packing 93: seating part
94: recess
Claims (4)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착탈되게 설치되고, 물을 수용하도록 하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탕 용기부가 안착되도록 내측면에 안착부가 형성된 내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In the water heater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formed with a heat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portion to form a sealed space portion and a bath container portion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The water heater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is installed detachably in the main body portion, a recess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to receive water, the inner pot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bath container portion is seated.
상기 내솥은 일측이 막힌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내솥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단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pot is made of a cylindrical block on one side,
The seating portion is a hot water heater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ped projecting inward from the inner pot.
상기 안착부의 상기 단턱 상에는 다수의 안착패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water heater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ating packing is formed 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seating.
상기 커버부에는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주 배기부와 보조 배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탕 용기부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내부 용기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용기의 하부에는 상기 내솥의 안착부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솥의 상단 테두리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과 패킹링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내솥과 상기 커버 사이의 공간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내솥을 갖는 중탕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ver part is provided with a main exhaust portion and an auxiliary exhaust portion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steam to the outside,
The bath container portion is composed of an outer container and an inn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lower recess of the out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inner pot.
The upper edge of the inner po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the packing ring through the water heater having a removable inner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cover to form a sealed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3689A KR20120041831A (en) | 2010-08-27 | 2010-08-27 | Double boiler having detachable inner ov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3689A KR20120041831A (en) | 2010-08-27 | 2010-08-27 | Double boiler having detachable inner ov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1831A true KR20120041831A (en) | 2012-05-03 |
Family
ID=4626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3689A Ceased KR20120041831A (en) | 2010-08-27 | 2010-08-27 | Double boiler having detachable inner ov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41831A (en) |
-
2010
- 2010-08-27 KR KR1020100083689A patent/KR20120041831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929711U (en) | Cooking utensil article | |
KR101106590B1 (en) | Multifunctional Electric Pressure Bath | |
DE602005014221D1 (en) | BOILER FOR COOKING A DRINK, ELECTRIC BOILER AND CORDLESS ELECTRIC BOILER TO COOK A DRINK | |
KR101244277B1 (en) | Water heater | |
CN211483985U (en) | Cooking utensil | |
KR101409033B1 (en) | A lid for cool pot having overflow preventing function | |
KR20120041831A (en) | Double boiler having detachable inner oven | |
KR20120041833A (en) | Double boiler having detachable inner oven | |
KR100495080B1 (en) | double boiler with varius skill | |
KR200319119Y1 (en) | pot not overflow | |
KR101686527B1 (en) | Double boiler having safety cover | |
KR101209067B1 (en) | Forced exhausting assembly for double boiler | |
KR101713664B1 (en) | Double boiler having detachable inner oven | |
KR101230419B1 (en) | double boil cooker | |
KR101244276B1 (en) | Double boiler to improve the safety | |
KR200441195Y1 (en) | The pot lid with over flow prevention device | |
KR20080006168U (en) | Microwave Cooking Vessel | |
KR200478961Y1 (en) | Pot Having Multiple Structure | |
KR101212245B1 (en) | Forced exhausting assembly for double boiler | |
KR102547837B1 (en) | Multifunctional frying pan | |
KR200473274Y1 (en) | Steamed boiling device | |
KR200283295Y1 (en) | Pressure cooker for microwave oven | |
KR20120000600U (en) | Boilring pot for easy cleaning of Pressure pot | |
KR200475238Y1 (en) | Double boiler having inner container receiving support | |
KR100818778B1 (en) | He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