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800A - 모바일 dlna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dlna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800A
KR20120039800A KR1020100101208A KR20100101208A KR20120039800A KR 20120039800 A KR20120039800 A KR 20120039800A KR 1020100101208 A KR1020100101208 A KR 1020100101208A KR 20100101208 A KR20100101208 A KR 20100101208A KR 20120039800 A KR20120039800 A KR 20120039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lna
mobile
digital media
media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528B1 (ko
Inventor
강종오
이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10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5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DMC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를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모바일 DLNA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쉐이킹(Shaking)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쉐이킹 동작이 감지되면 DMS가 DMP나 DMR로 사용자가 선택해 놓은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DMS)에 있는 영화 콘텐츠를 티브이를 통해 감상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해당 영화 콘텐츠를 선택하고, DMR로 티브이(TV)를 선택한 후 스마트폰을 흔들어 주면 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을 흔들 때 해당 영화가 재생될 티브이를 향해 흔들 수 있으므로,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액션이 매우 직관적인 모습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DLNA 디바이스{ Mobile Device for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
본 발명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igital Media Controll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PC), 티브이(TV), 셋톱박스, 모바일 기기, 오디오 시스템, 에어컨, 보일러, 조명, 가스 밸브, 현관문 등 댁내에 구비되는 각종 기기들을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의 표준화를 위한 규약으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가 부각되고 있는데, DLNA는 각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DLNA는 UPnP(Universal Plug-and-Play) 기술을 근간으로 하며, 물리적인 미디어, 네트워크 전송, 미디어 포맷, 스트리밍 프로토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등의 표준화를 포함하고 있다.
DLNA는 가전 제품,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무선 기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IP, HTTP, UPnP, Wi-Fi 등의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가이드 라인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DLNA 가이드 라인에 따라 설계된 기기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댁내의 각종 기기들이 미디어 콘텐츠를 서로 공유하게 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을 더욱 손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를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DLNA 디바이스의 제1실시예는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 및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실시예의 모바일 DLNA 디바이스는 쉐이킹(Shaking)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수단을 통해 쉐이킹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DLNA 디바이스의 제2실시예는,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2실시예의 모바일 DLNA 디바이스는 쉐이킹(Shaking)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수단을 통해 쉐이킹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로 전송하도록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요청한다.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모바일 DLNA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모바일 DLNA 디바이스가 상기 쉐이킹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로 전송하는 동작은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만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모바일 DLNA 디바이스가 상기 쉐이킹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로 전송하도록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요청하는 동작은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만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폰을 흔드는 동작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의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음악이나 영화를 티브이(TV)를 통해 감상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음악이나 영화를 선택하고, 티브이(TV)를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로 선택한 후 스마트폰을 흔들어 주면 된다. 그러면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티브이로 해당 미디어 콘텐츠가 전송되고, 티브이에서 출력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을 흔들 때 해당 음악이나 영화가 재생될 티브이를 향해 흔들 수 있으므로, 미디어 콘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액션은 매우 직관적인 모습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다양한 기기들이 서로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는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를 편리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관한 개요,
도 2는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관한 구체적인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DLNA 디바이스의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DLNA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DLNA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른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서 미디어 콘텐츠가 실행되는 전체적인 과정의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는 홈 게이트웨이(15)를 통해 다양한 DLNA 디바이스들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각 DLNA 디바이스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 Digital Media Server,11),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Digital Media Player,12),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 Digital Media Renderer,13),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 Digital Media Controller,14)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지털 미디어 서버,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를 각각 DMS, DMP, DMR, DMC라고 칭하기로 한다.
DMS(11)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AV 영역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DMP(12) 또는 DMR(13)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MS(11)는 DMC(14)가 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와 방송 미들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이러한 DMS의 역할은 모바일 기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셋톱박스 등이 수행할 수 있다.
DMP(12)는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MP(12)는 DMC와 DMR의 기능을 포함하는 DLNA 디바이스로서, DMS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찾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즉, DMP는 미디어 콘텐츠의 선택, 제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DMP의 역할은 모바일 단말, 티브이(TV), 개인용 컴퓨터 등이 수행할 수 있다.
DMR(13)은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DMR(13)의 역할은 티브이(TV), AV 수신기, 스테레오 스피커 등이 수행할 수 있다.
DMC(14)는 DMS(11)의 미디어 콘텐츠가 DMP(12)나 DMR(13)을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DMC(14)를 통해 DMS(11)의 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하여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찾고, DMS(11)가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특정 DMP(12)나 DMR(13)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DMC(14)의 역할은 모바일 기기, 개인용 컴퓨터 등이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관한 구체적인 예로서, DMC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 DMS의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용 컴퓨터(PC,11-1), DMP의 기능을 수행하는 티브이(TV,12-1), DMR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테레오 스피커(13-1)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15-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DMC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는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스마트폰일 수 있다.
사용자는 DMC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11-1)의 미디어 콘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하고, 해당 미디어 콘텐츠가 DMP의 기능을 수행하는 티브이(12-1)나 DMR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테레오 스피커(13-1)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각 DLNA 디바이스는 DMS, DMP, DMR, DMC 중 둘 이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으며,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는 DMC의 기능과 DMS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만이 나타나 있지만,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는 기기의 종류와 성능 등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31)는 사용자가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화면(32)은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의 동작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視覺的)으로 표시하며, 통신부(33)는 다양한 유선/무선의 통신방식을 통해 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34)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움직임 감지수단(36)은 사용자가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를 흔드는 쉐이킹(Shaking)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으로 G-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로 불리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의 쉐이킹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5)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5)는 DLN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가 DMC나 DMS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어부(35)는 움직임 감지수단(36)의 감지 결과에 따라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의 DMC 기능을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여, DMC와 DMS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35)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32)에 현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DLNA 디바이스 중 DMP와 DMR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DLNA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211). 도 2의 예에서 사용자는 티브이(12-1)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13-1)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32)에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메모리(34)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콘텐츠(34-1)를 검색하여 감상을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212).
그리고 제어부(35)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실행 제어 정보(34-2)로서 메모리(34)에 저장한다(213).
한편, 사용자가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를 흔드는 쉐이킹 동작을 수행하면, 움직임 감지수단(36)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5)로 전달한다(214).
그러면 제어부(35)는 메모리(34)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제어 정보(34-2)가 지시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DMP(12-1) 또는 DMR(13-1)로 전송한다(215). 이에 따라 DMP의 기능을 수행하는 티브이(12-1) 또는 DMR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테레오 스피커(13-1)를 통해 해당 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된다.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는 DMP 또는 DMR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때 디코딩된 상태로 전송할 수도 있고,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DMP의 기능을 수행하는 티브이(12-1) 또는 DMR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테레오 스피커(13-1)는 미디어 콘텐츠를 디코딩하여 재생해야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DMC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35)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32)에 현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DLNA 디바이스 중 DMP와 DMR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DLNA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231).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는 티브이(12-1)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13-1)를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DLNA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DMS의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용 컴퓨터(11-1)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목록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화면(32)에 해당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개인용 컴퓨터(11-1)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콘텐츠 목록을 검색하여 감상을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232).
그리고 제어부(35)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실행 제어 정보(34-2)로서 메모리(34)에 저장한다(233).
한편, 사용자가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를 흔드는 쉐이킹 동작을 수행하면, 움직임 감지수단(36)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5)로 전달한다(234).
그러면 제어부(35)는 메모리(34)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제어 정보(34-2)가 지시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DMP(12-1) 또는 DMR(13-1)로 전송하도록 DMS(11-1)로 요청한다(235).
이 요청에 따라 DMS의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용 컴퓨터(11-1)는 DMP의 기능을 수행하는 티브이(12-1) 또는 DMR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테레오 스피커(13-1)로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고, 티브이(12-1)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13-1)는 개인용 컴퓨터(11-1)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가 쉐이킹 동작 감지시 어떤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쉐이킹 동작에 따라 상기와 같이 DMC 또는 DMS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의 DM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의 DMC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모바일 DLNA 디바이스(14-1)에서 DLNA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면 DMC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DMC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35)는 움직임 감지수단(36)으로부터 쉐이킹 동작이 감지되었더라도, DM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에만 사용자가 선택해 놓은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DMP나 DMR로 전송하는 동작을 처리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35)는 움직임 감지수단(36)으로부터 쉐이킹 동작이 감지되었더라도, DM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에만 사용자가 선택해 놓은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DMP나 DMR로 전송하도록 DMS에 요청하는 동작을 처리한다.
도 6을 참조하여,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DLNA 디바이스들의 사이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의 공유가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의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폰이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고(251),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대기화면에 구비된 메뉴를 통해 DLNA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252).
실행된 DLNA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DLNA 디바이스 중 DMP나 DMR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253).
또한, DLNA 어플리케이션은 DMS의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감상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254). 이때 DMS의 기능은 스마트폰 자신이 수행할 수도 있고, 개인용 컴퓨터(PC) 등 타 DLNA 디바이스가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253과 254 과정에서 미디어 콘텐츠와,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DLNA 디바이스를 선택한 후 즉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도 있고, 나중에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254 과정에서 선택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쉐이킹하면(255), 스마트폰은 해당 미디어 콘텐츠가 253 과정에서 선택된 DLNA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도록 처리한다(256).
예컨대 스마트폰이 DMS의 기능을 수행한다면, 스마트폰이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DMP나 DMR로 전송하고, 개인용 컴퓨터가 DMS의 기능을 수행한다면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DMP나 DMR로 전송할 것을 개인용 컴퓨터로 요청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DMP나 DMR로 미디어 콘텐츠가 전송되고, 해당 DMP나 DMR은 수신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257).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11: DMS 12: DMP
13: DMR 14: DMC
15: 홈 게이트웨이 11-1: 개인용 컴퓨터(PC)
12-1: 티브이(TV) 13-1: 스테레오 스피커
14-1: 모바일 DLNA 디바이스 15-1: 액세스 포인트(AP)
31: 키 입력부 32: 디스플레이 화면
33: 통신부 34: 메모리
35: 제어부 36: 움직임 감지수단

Claims (5)

  1.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 및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DLNA 디바이스를 흔드는 쉐이킹(Shaking)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수단을 통해 쉐이킹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
  2.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DLNA 디바이스를 흔드는 쉐이킹(Shaking)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DLNA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수단을 통해 쉐이킹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로 전송하도록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DLNA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킹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로 전송하는 동작은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킹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또는 디지털 미디어 랜더러(DMR)로 전송하도록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에 요청하는 동작은 디지털 미디어 콘트롤러(DM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DLNA 디바이스.
KR1020100101208A 2010-10-18 2010-10-18 모바일 dlna 디바이스 KR101145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208A KR101145528B1 (ko) 2010-10-18 2010-10-18 모바일 dlna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208A KR101145528B1 (ko) 2010-10-18 2010-10-18 모바일 dlna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800A true KR20120039800A (ko) 2012-04-26
KR101145528B1 KR101145528B1 (ko) 2012-05-15

Family

ID=4613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208A KR101145528B1 (ko) 2010-10-18 2010-10-18 모바일 dlna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5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3045A1 (en) * 2006-03-10 2007-09-13 Jonas Gunnar Hermansson Electronic equipment with data transfer function using motion and method
KR20090013436A (ko) * 2007-08-01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파일 전송 방법
KR20090084634A (ko) * 2008-02-01 200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79482B1 (ko) * 2008-09-24 201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528B1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878B1 (ko) Dlna 네트워크의 dlna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92885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media devices
EP3005649B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KR100754431B1 (ko) Dlna 시스템에서 dmr의 처리용량에 따른 컨텐츠변환방법
EP2720435B1 (en) Media shar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edia sharing thereof
US20160134942A1 (en) Multimedia playing system, multimedia file shar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894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me-screen interaction
KR101634745B1 (ko) 전자장치,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2057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TWI654878B (zh) Method and device for video control
US20150281761A1 (en) Hdmi device control via ip
US20070101381A1 (en) IP remote
EP262827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dia rendering unit
KR101722784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2007841B1 (ko) 미디어 공유 제어장치, 미디어 재생장치, 미디어 공유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및 미디어 공유 방법
EP2341684B1 (en) Display Apparatus and Streaming Transporting Method of the Same
KR101145528B1 (ko) 모바일 dlna 디바이스
KR20130134967A (ko) Dlan 기반 안드로이드 셋탑박스용 가상입력장치 및 상기 dlan 기반 안드로이드 셋탑박스와 스마트폰 간의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
KR20070100511A (ko) 디.엘.엔.에이 네트워크에서 북마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328963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703759B1 (ko) 검색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래퍼를 갖는 홈 네트워크 제어기
KR101059367B1 (ko) Dlna에서 dms 디바이스와 dmc/dmp 디바이스 간의 제어화면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520530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番組ガイドコンテンツアイテムの共有
KR20150042356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9